KR20180131912A -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912A
KR20180131912A KR1020170068631A KR20170068631A KR20180131912A KR 20180131912 A KR20180131912 A KR 20180131912A KR 1020170068631 A KR1020170068631 A KR 1020170068631A KR 20170068631 A KR20170068631 A KR 20170068631A KR 20180131912 A KR20180131912 A KR 20180131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rope
motor
passenger
obs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3817B1 (ko
Inventor
한성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한성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한성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70068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817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1Detection by monitoring transmitted force or torque; Safety couplings with activation dependent upon torque or force, e.g. slip coup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1Wire gates, e.g. traction gates; Fasten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설치하는 다수개의 승하강유닛; 상기 승하강유닛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는 적어도 두 줄 이상의 로프; 상기 승하강유닛의 상부 또는 하부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이동몸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로 구성하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로프가 이동하면서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발생하는 상하 흔들림을 이용하여 이동몸체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이동유닛; 상기 로프가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이동하는 상기 이동몸체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발생하는 상기 모터의 토크 변위값에 따라서 로프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로프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로프를 정지 또는 이동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이물질로 인한 센서의 잦은 고장 및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작동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로프의 하부에 설치하는 터치바와 같은 중량의 감지장치를 탈피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Platform safety device including passenger and obstacle dete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하는 로프가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정지 또는 이동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Rope Screen Door, "RSD"라 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설치하는 다수개의 승하강유닛(100); 상기 승하강유닛(10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20); 상기 이동몸체(120)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는 적어도 두 줄 이상의 로프(200);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승하강유닛(100)은 수직방향으로 본체를 형성하고, 그 본체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전체(131,132)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회전체(131,132)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이동몸체(120)와 연결하도록 연결체(133)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체(131,132)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몸체(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유닛(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적외선 또는 레이저 등과 같은 센서를 설치하여 승객의 무단 출입을 감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감지장치는 이물질 등이 센서에 묻거나 또는 승객이 로프(200)를 잡고 밀거나 당길 경우 센서의 오작동 및 잦은 고장을 유발하여 감지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에는 전기적인 구조를 통해서 승객은 물론 장애물을 감지하고 있으므로, 전원 공급이 중단되거나 유지보수 과정에서 장애물을 감지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를 갖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프(200)가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충격이 그대로 승객 또는 장애물로 전달되므로 상해 또는 손상을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01112호(2006.07.19.) 일본공개특허 특2008-534827호(2008.08.28.) 한국등록특허 제10-1143843호(2012.05.04.)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9813호(2014.01.23.)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3411호(2015.02.05.)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3410호(2015.02.05.)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7980호(2014.01.20.) 한국등록특허 제10-1471543호(2014.12.1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로프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정지 또는 이동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로프가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발생하는 모터의 토크(Torque) 변위값에 따라서 로프를 정지 또는 이동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하는 로프가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발생하는 상하 흔들림을 이용하여 이동몸체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설치하는 다수개의 승하강유닛; 상기 승하강유닛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는 적어도 두 줄 이상의 로프; 상기 승하강유닛의 상부 또는 하부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이동몸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로 구성하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로프가 이동하면서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발생하는 상하 흔들림을 이용하여 이동몸체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이동유닛; 상기 로프가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이동하는 상기 이동몸체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발생하는 상기 모터의 토크 변위값에 따라서 로프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승하강유닛의 상부와 하부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전체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회전체를 서로 순환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체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몸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몸체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하부에 상기 이동몸체의 하부면과 맞닿아 들어올리기 위한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상기 연결체의 일단을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상기 연결체의 타단을 결합하는 유도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축의 상부에 상기 이동몸체의 상부면과 맞닿아 내리기 위한 보조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와 이동몸체의 사이 및 상기 보조지지부와 이동몸체의 사이에 각각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가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치지 않는 평소에 상기 이동몸체 및 로프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발생하는 토크를 기준 값으로 기억하고 상기 로프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발생하는 모터의 토크와 기준 토크를 서로 비교하여 오차범위 이상 벗어난 경우 로프가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몸체 및 로프를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로프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로프를 정지 또는 이동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이물질로 인한 센서의 잦은 고장 및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작동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로프의 하부에 설치하는 터치바와 같은 중량의 감지장치를 탈피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종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설치하는 다수개의 승하강유닛(100); 상기 승하강유닛(10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20); 상기 이동몸체(120)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는 적어도 두 줄 이상의 로프(200); 상기 승하강유닛(100)의 상부 또는 하부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이동몸체(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130);로 구성하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로프(200)가 이동하면서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발생하는 상하 흔들림을 이용하여 이동몸체(120)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이동유닛(300); 상기 로프(200)가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이동하는 상기 이동몸체(120)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발생하는 상기 모터(130)의 토크 변위값에 따라서 로프(200)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승하강유닛(100)은 상기 이동몸체(120) 및 로프(200)를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유도하기 위한 수단이고, 상기 로프(200)는 승객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수단으로, 이는 당업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기술로써 작동원리 및 세부구조에 대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이동유닛(300)은 상기 로프(200)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상기 이동몸체(1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제어부(400)를 통해서 모터(130)의 토크 변위값을 비교하여 승객 또는 장애물의 감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수단이다.
즉, 종래에는 로프(200)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승객 또는 장애물과 직접 부딪칠 경우 로프(200)가 더 이상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정지 또는 제어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없는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이동유닛(300)을 통해서 로프(200)가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모터(130)의 토크를 변위시켜 즉각적인 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로프(200)를 정지 또는 원래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로프(200)는 몇 미터 내지 수십 미터의 길이를 갖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하는 것으로 승객 또는 장애물이 부딪칠 경우 상하방향으로 흔들리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몸체(120)가 상기 이동유닛(300)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써 상기 모터(130)의 토크 변위값을 원활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만일 상기 로프(200)가 종래와 같이 스크린 도어 또는 판재형상의 중량물일 경우에는 승객 또는 장애물이 부딪칠 경우 상기 이동블록(120)을 상하방향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상기 모터(130)의 토크 변위값을 확인할 수 없는 구조상의 한계를 갖는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유닛(300)은 상기 승하강유닛(100)의 상부와 하부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전체(131,132)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회전체(131,132)를 서로 순환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체(133)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체(131,132)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몸체(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모터(13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몸체(120)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하부에 상기 이동몸체(120)의 하부면과 맞닿아 들어올리기 위한 지지부(311)를 구비하고 상부에 상기 연결체(133)의 일단을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311)의 하부에 상기 연결체(133)의 타단을 결합하는 유도축(310);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131,132)는 다양한 규격 및 형태를 스프로킷 또는 풀리 등을 적용하고, 상기 연결체(133)는 체인 또는 벨트를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터(130)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갖는 모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일측에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로프(200)와 이동몸체(1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변위하는 토크에 따라서 제어할 수 있는 인버터 또는 서버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도축(310)은 평소에 상기 지지부(311)가 이동몸체(120)의 하부면과 맞닿은 상태로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이동몸체(120)를 하부방향으로 내릴 경우 상기 로프(200) 및 이동몸체(120)의 자체중량으로 인해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로프(2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상기 이동몸체(120)가 상기 유도축(310)을 따라서 상부방향으로 들려서 올라가고 동시에 상기 모터(130)가 이동몸체(120)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토크의 변위값이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모터(130)를 정지 및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로프(2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는 상기 유도축(310)이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하여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베어링을 포함한 통공(120a)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도축(310)의 상부에는 상기 이동몸체(120)가 자체하중에 의해서 하부방향으로 내려오지 않을 경우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면과 맞닿아 강제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보조지지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311)와 이동몸체(120)의 사이 및 상기 보조지지부(312)와 이동몸체(120)의 사이에 각각 탄성체(313)를 구비하여 장애물과 상기 로프(200)와 부딪칠 경우 상기 로프(200)와 이동몸체(120)가 상하방향으로 완충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때 상기 탄성체(313)는 다양한 규격 및 탄성력을 갖는 압축스프링을 적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이동몸체(1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상기 모터(130)의 토크 변위값에 따라서 상기 모터(130)를 정지 및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모터(130)가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치지 않는 평소에 상기 이동몸체(120) 및 로프(2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발생하는 토크를 기준 값으로 기억하고 상기 로프(2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발생하는 모터(130)의 토크와 기준 토크를 서로 비교하여 오차범위 이상 벗어난 경우 로프(200)가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모터(130)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몸체(120) 및 로프(200)를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모터(130)가 상기 이동몸체(120) 및 로프(200)가 장애물과 부딪치지 않고 정상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토크를 기준 값으로 기억한 상태로,
상기 로프(2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로프(200)와 함께 이동몸체(120)가 상기 유도축(310)을 따라서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모터(130)의 토크가 급작스럽게 변위되면서 상기 기준 값의 토크가 오차범위 이상 벗어나므로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쳤음을 감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기준 값의 토크를 저장하고 이를 비교연산하여 오차범위를 판단할 수 있도록 중앙연산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0)는 외부충격 또는 진동으로 인한 모터(130)의 토크 변위값은 무시하고, 상기 로프(200)가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발생하는 상하방향의 이동으로 인한 모터(130)의 토크 변위값을 비교하여 오차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400)는 토크의 기준 값을 설정 및 저장할 수 있도록 Flash Memory 또는 EPROM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프(200)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상기 로프(200)와 이동몸체(1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상기 모터(130)의 토크 변위값에 따라서 로프(200)가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정지시키거나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승하강유닛 110: 지지대
120: 이동몸체 120a: 통공
130: 모터 131,132: 회전체
133: 연결체
200: 로프
300: 이동유닛 310: 유도축
311: 지지부 312: 보조지지부
313: 탄성체
400: 제어부

Claims (4)

  1.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설치하는 다수개의 승하강유닛; 상기 승하강유닛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는 적어도 두 줄 이상의 로프; 상기 승하강유닛의 상부 또는 하부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이동몸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로 구성하는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로프가 이동하면서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발생하는 상하 흔들림을 이용하여 이동몸체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이동유닛; 상기 로프가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이동하는 상기 이동몸체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발생하는 상기 모터의 토크 변위값에 따라서 로프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승하강유닛의 상부와 하부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전체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회전체를 서로 순환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체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몸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몸체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하부에 상기 이동몸체의 하부면과 맞닿아 들어올리기 위한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상기 연결체의 일단을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상기 연결체의 타단을 결합하는 유도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축의 상부에 상기 이동몸체의 상부면과 맞닿아 내리기 위한 보조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와 이동몸체의 사이 및 상기 보조지지부와 이동몸체의 사이에 각각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가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치지 않는 평소에 상기 이동몸체 및 로프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발생하는 토크를 기준 값으로 기억하고 상기 로프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칠 경우 발생하는 모터의 토크와 기준 토크를 서로 비교하여 오차범위 이상 벗어난 경우 로프가 승객 또는 장애물과 부딪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몸체 및 로프를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20170068631A 2017-06-01 2017-06-01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953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631A KR101953817B1 (ko) 2017-06-01 2017-06-01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631A KR101953817B1 (ko) 2017-06-01 2017-06-01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912A true KR20180131912A (ko) 2018-12-11
KR101953817B1 KR101953817B1 (ko) 2019-03-06

Family

ID=6467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631A KR101953817B1 (ko) 2017-06-01 2017-06-01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0340A (en) * 2020-07-21 2023-03-01 Skd Hi Tec Co Ltd Safety apparatus for passengers or pedestrians
KR102502694B1 (ko) * 2020-07-21 2023-02-23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7637A (ja) * 1996-07-26 1998-02-10 Bunka Shutter Co Ltd シャッター開閉装置
KR100601112B1 (ko) 2005-02-14 2006-07-1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JP2008534827A (ja) 2005-04-04 2008-08-28 ドナルド スチュワート ネイピア 柵システム
KR101143843B1 (ko) 2011-11-30 2012-05-04 (주) 금동강건 도로용 가드케이블
KR20140007980A (ko) 2014-01-02 2014-01-20 한국교통연구원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40009813A (ko) 2012-07-13 2014-01-23 한국교통연구원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471543B1 (ko) 2012-06-07 2014-12-11 한국교통연구원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50013411A (ko) 2014-12-23 2015-02-05 한국교통연구원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50013410A (ko) 2014-12-23 2015-02-05 한국교통연구원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101500875B1 (ko) * 2013-11-25 2015-03-12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604863B1 (ko) * 2014-10-02 2016-03-21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로프 장력조절수단을 구비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7637A (ja) * 1996-07-26 1998-02-10 Bunka Shutter Co Ltd シャッター開閉装置
KR100601112B1 (ko) 2005-02-14 2006-07-1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JP2008534827A (ja) 2005-04-04 2008-08-28 ドナルド スチュワート ネイピア 柵システム
KR101143843B1 (ko) 2011-11-30 2012-05-04 (주) 금동강건 도로용 가드케이블
KR101471543B1 (ko) 2012-06-07 2014-12-11 한국교통연구원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40009813A (ko) 2012-07-13 2014-01-23 한국교통연구원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500875B1 (ko) * 2013-11-25 2015-03-12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40007980A (ko) 2014-01-02 2014-01-20 한국교통연구원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604863B1 (ko) * 2014-10-02 2016-03-21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로프 장력조절수단을 구비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50013411A (ko) 2014-12-23 2015-02-05 한국교통연구원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50013410A (ko) 2014-12-23 2015-02-05 한국교통연구원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817B1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703B2 (en) Elevator system with bottom tensioning apparatus
KR101471543B1 (ko)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5081751B2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時安全装置
KR20140007980A (ko)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US20180229966A1 (en) Elevator with a safety arrangement and method for creating a safe working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shaft
EP3366626B1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CN104684834B (zh) 低顶部或低底坑电梯的补偿措施
US9399563B2 (en) People mover
EP3401260B1 (en) Elevator overrun systems
KR101953817B1 (ko)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US10280045B2 (en) Human transport device having a monitoring apparatus
JP6648247B2 (ja) 乗客及び障害物検知機能を含む電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EP3854743B1 (en) Elevator cars with camera mount
CN101200258A (zh) 电梯限速器张紧装置
JP419094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20190389695A1 (en) Elevator system
KR100838228B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2205520B1 (ko) 끼임사고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US20210163260A1 (en) Emergency stop system for elevator
US20240067497A1 (en) Safety system for an elevator
KR100588851B1 (ko) 행거 추락방지 안전장치
CN111071899B (zh) 提升装置和提升机
JP5951685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作業時報知装置
KR100429303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081736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