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228B1 -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 Google Patents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228B1
KR100838228B1 KR1020070115309A KR20070115309A KR100838228B1 KR 100838228 B1 KR100838228 B1 KR 100838228B1 KR 1020070115309 A KR1020070115309 A KR 1020070115309A KR 20070115309 A KR20070115309 A KR 20070115309A KR 100838228 B1 KR100838228 B1 KR 100838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roller
wire
coupled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휘숙
장금자
김응수
김학수
권준용
백남석
이희석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지질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지질,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지질
Priority to KR1020070115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228B1/ko
Priority to PCT/KR2008/001045 priority patent/WO200906404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suspended loads
    • G01G19/2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suspended loads for weighing unbalanced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차량을 지하의 작업 현장에 출입시키는 케이지부의 총하중 및 편하중을 감지하고, 케이지부를 정확하게 수직 방향으로 승강 및 가이드하여 흔들림이나 회전 현상을 방지하며, 케이지부의 내부에서 화물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하에 설치된 하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상부로서 지상에 설치된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서포트 프레임과, 서포트 프레임에 설치된 호이스트부와, 호이스트부에 설치된 호이스트 와이어와, 호이스트 와이어에 결합되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를 수직으로 승강하는 케이지부로 이루어진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에 있어서, 서포트 프레임에는 호이스트부 및 케이지부를 통과한 호이스트 와이어의 끝단이 결합되어 케이지부의 총하중 및 편하중을 감지하는 하중 감지부가 설치되고, 서포트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는 케이지부를 수직 방향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 와이어가 설치된 동시에, 서포트 프레임에는 가이드 와이어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 조정부가 설치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를 개시한다.
건설 공사, 화물 차량, 리프터, 호이스트 와이어, 가이드 와이어

Description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CAR LIFTER}
본 발명은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화물 차량을 지하의 작업 현장에 출입시키는 케이지부의 총하중 및 편하중을 감지하고, 케이지부를 정확하게 수직 방향으로 승강 및 가이드하여 흔들림이나 회전 현상을 방지하며, 케이지부의 내부에서 화물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와이어 드럼에 감긴 호이스트 와이어 및 가이드 빔 구조를 이용하여 차량이 실리는 케이지부(cage region)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케이지부의 총하중이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화물차에 편하중 상태로 화물이 실리거나 케이지부에 편하중 상태로 화물차가 실릴 경우 매우 위험한 상태가 된다. 즉, 화물차의 총하중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승강시에 호이스트 와이어가 끊기거나 또는 와이어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 등이 고장날 수 있다. 또한, 케이지부가 편하중 상태가 되어도 상술한 바와 같이 호이스트 와이어가 끊기거나, 모터가 고장날 수 있으며 더욱 이 승강시에 케이지부가 심하게 흔들리거나 일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지상에서 지하까지 케이지부가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빔을 반드시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리프터의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공사 기간도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호이스트 와이어만을 이용하여 케이지부를 승강시키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이 호이스트 와이어만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케이지부에 차량이 들어가거나 나올 때, 또는 케이지부가 승강될 때 호이스트 와이어에 매달린 케이지부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심하게 흔들리거나 회전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심한 불안감을 느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케이지부가 출발하거나 정지시에, 상기 케이지부에 진입한 화물 차량이 일측으로 움직일 수 있음으로써, 케이지부의 내부 벽을 손상시키거나 또는 도어 등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지부의 총하중 및 편하중을 감지하여 이를 즉각적으로 중앙 통제소 또는 작업자에게 알림으로써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 빔없이 네모서리 부근 및 대향되는 두개의 센터에 가이드 와이어를 설치하여 케이지부를 정확하게 수직 방향으로 승강 및 가이 드함으로써 비용 및 설치 기간이 적게 소요되고, 또한 케이지부에 차량 출입시 또는 케이지부의 승강시 케이지부의 흔들림 현상 및 회전 현상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지부의 출발 및 정지시에도 케이지부의 내부 화물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지하에 설치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로서 지상에 설치된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서포트 프레임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설치된 호이스트부와, 상기 호이스트부에 설치된 호이스트 와이어와,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를 수직으로 승강하는 케이지부로 이루어진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는 상기 호이스트부 및 상기 케이지부를 통과한 호이스트 와이어의 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케이지부의 총하중 및 편하중을 감지하는 하중 감지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케이지부를 수직 방향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 와이어가 설치된 동시에,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 조정부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네모서리 영역에 각각 설치된 네개의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대향되는 변의 두센터 영역에 각각 설치된 두개의 센터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지부의 네모서리 영역에는 상기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상기 케이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주롤러와 보조 롤러로 이루어진 모서리 가이드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모서리 가이드 롤러는 케이지부의 대향되는 하단과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케이지부의 두센터 영역에는 상기 센터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상기 케이지부가 가이드되도록 하는 센터 가이드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센터 가이드 롤러는 케이지부의 대향되는 하단과 상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가이드 와이어와 대응되는 지하의 벽면에는 완충 롤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완충 롤러는 지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브라켓 돌출봉; 상기 브라켓 돌출봉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돌출봉의 길이보다 긴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 돌출봉과 일정 거리 이격된 이동 돌출봉; 상기 이동 돌출봉에 결합된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위치되는 롤러 브라켓; 상기 브라켓 돌출봉과 상기 이동 돌출봉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 및, 상기 롤러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센터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센터 가이드 롤러가 교차할 때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는 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센터 가이드 와이어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센터 가이드 롤러의 일측에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지부는 건설 공사용 차량이 진입하는 바닥부에 상기 건설 공사용 차량을 고정하는 차량 고정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고정부는 로드를 왕복 운동시키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 고, 타단이 회전 중심축에 결합된 링크; 및, 상기 링크에 결합되어 건설 공사용 차량의 바퀴쪽으로 이동하는 패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네모서리에 상기 케이지부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수직 방향의 가이드 봉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네개의 호이스트 와이어 끝단에 하중 감지부가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에 결합된 케이지부의 총하중 뿐만 아니라, 각 호이스트 와이어에 인가되는 편하중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이 감지된 총하중 및 편하중의 정보는 중앙 통제소 등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케이지부의 총하중 및 편하중이 소정 기준값을 벗어나게 되면 작업자에게 경고 방송을 함으로써 위험 상황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상부 프레임이 아닌 그 상부의 서포트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각 네모서리 영역, 그리고 상대적으로 긴변의 두센터 영역에 각각 소정 텐션을 갖는 6개의 가이드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서 케이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 및 가이드됨으로써, 케이지부의 승강 및 가이드시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서포트 프레임에 6개의 가이드 와이어에 대한 텐션을 조정할 수 있는 텐션 조정부가 형성됨으로써, 6개의 영역에 연결된 각각의 가이드 와이어에 대한 텐션을 동일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가이드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케이지부의 흔들림 현상이 더욱 효율적으로 예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케이지부의 네모서리 영역에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모서리 가이드 롤러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케이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부드럽게 승강된다. 더욱이, 상기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는 모서리 가이드 롤러에 구비된 주롤러와 보조롤러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가이드 롤러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케이지부가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지하의 벽면에 센터 가이드 와이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완충 롤러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센터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케이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더욱 안정적으로 승강된다. 더욱이, 상기 완충 롤러는 상기 센터 가이드 와이어 또는 케이지부에 설치된 센터 가이드 롤러와 접촉시 스스로 후방으로 후퇴함으로써, 케이지부의 센터 가이드 롤러가 용이하게 지나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케이지부의 바닥에 차량 고정부가 설치됨으로써, 케이지부에 진입한 화물 차량이 케이지부의 승강시 소정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케이지부의 승강시 화물 차량이 움직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하부 프레임의 네모 서리 영역에 가이드 봉이 설치됨으로써, 케이지부가 상기 가이드 봉의 안내를 받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케이지부 내부의 화물 차량이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진출입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하부 프레임(110), 상부 프레임(120), 서포트 프레임(130), 호이스트부(140), 호이스트 와이어(150), 하중 감지부(160), 케이지부(170), 가이드 와이어(180), 텐션 조정부(190), 가이드 롤러(210,220), 완충 롤러(230) 및 차량 고정부(240) 등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110)은 지하 통로(101)의 바닥에 대략 사각 프레임 형태로 고정 부재(11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110)은 상부 표면에 다수의 스프링(112)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케이지부(170)의 안착시 그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불어, 하부 프레임(110)의 네모서리 영역에는 일정 길이의 가이드 봉(113)이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70)가 하부 프레임(110)의 정확한 위치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20)은 지하 통로(101)의 상부 즉, 지상에 대략 사각 프레임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20)의 일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를 제어하는 중앙 통제소(10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은 상기 상부 프레임(120)의 상부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은 다수의 수직 프레임(131)에 의해 상기 상부 프레임(120)의 상부에 위치된 형태를 한다. 물론, 상기 다수의 수직 프레임(131)은 상기 케이지부(17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수직 프레임(131)의 일측에는 화물 차량의 진출입을 통제하는 도어(132)가 더 설치되어 있다. 물론, 이를 위해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의 상부에는 상기 도어(132)를 승강시키는 도어 모터(133)가 더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은 상기 다수의 수직 프레임(131) 상부에 대략 사각 프레임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호이스트부(140)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호이스트부(140)는 모터(141), 상기 모터(141)에 결합된 기어 커플링(142), 상기 기어 커플링(142)에 결합된 감속기(143), 상기 감속기(143)에 결합된 4개의 와이어 드럼(144), 상기 와이어 드럼(144)의 일측에 설치된 브레이크부(145), 상기 4개의 와이어 드럼(144)중 중앙에 설치된 2개의 와이어 드럼(144)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2개의 수평 시브(146), 상기 2개의 수평 시브(146)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2개의 경사 수직 시브(14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4개의 와이어 드럼(144)중 바깥쪽 2개의 와이어 드럼(144)으로부터는 호 이스트 와이어(150)가 직하강하고, 안쪽 2개의 와이어 드럼(144)으로부터는 호이스트 와이어(150)가 수평 시브(146) 및 경사 수직 시브(146)를 통하여 하강한다.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4개의 와이어 드럼(144)에 각각 권취되어 있다. 상기 4개의 와이어 드럼(144)중 가장 안쪽에 있는 2개의 와이어 드럼(144)에 권취된 2개의 호이스트 와이어(150)는 각각 직하강 하여 케이지부(170)에 설치된 2개의 시브(171)를 통과한 후, 끝단이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된 2개의 하중 감지부(160)에 각각 결합된다. 또한, 상기 4개의 와이어 드럼(144)중 가장 바깥쪽에 있는 2개의 와이어 드럼(144)에 권취된 2개의 호이스트 와이어(150)는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된 수평 시브(146) 및 경사 수직 시브(147)를 통과한 후, 이어서 케이지부(170)에 설치된 또다른 2개의 시브(172)를 통과한다. 더불어, 이러한 호이스트 와이어(150)는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된 또다른 2개의 하중 감지부(160)에 각각 결합된다.
한편, 이러한 호이스트 와이어(150) 외에도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에는 다수의 가이드 와이어(180) 즉, 4개의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 및 2개의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하중 감지부(160)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하중 감지부(160)는 호이스트 와이어(150)의 갯수와 대응되는 4개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하중 감지부(160)의 하단에는 각각 호이스트 와이어(150)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중 감지부(160)에 의해 케이지부(170)의 편하중 또는 총하중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지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4개의 호이스트 와이어(15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 사이를 승강한다. 물론, 이를 위해 상기 케이지부(170)의 상부에는 4개의 시브(171,172)가 결합되어 있고, 이러한 시브(171,172)에는 각각 호이스트 와이어(15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지부(170)의 네모서리에는 상기 케이지부(170)가 상기 하부 프레임(110)에 설치된 가이드봉(113)을 따라 용이하게 가이드되도록 하는 다수의 롤러(171a)가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케이지부(170)에는 8개의 모서리 가이드 롤러(210) 및 4개의 센터 가이드 롤러(220)가 더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 와이어(180)는 상기 하부 프레임(110)과 서포트 프레임(1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지부(170)가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 사이를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180)는 다시 상기 하부 프레임(110) 및 서포트 프레임(130)의 네 모서리 영역에 설치된 4개의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와, 상기 하부 프레임(110) 및 서포트 프레임(130)의 대향되는 두변 중앙에 설치된 2개의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로 이루어져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와이어(180)는 하단이 하부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있고, 상단이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된 텐션 조정부(190)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모서리"의 의미는 사각형의 꼭지점인 모서리 및 그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텐션 조정부(190)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텐션 조정부(190)는 가이드 와이어(180)의 갯수와 대응되는 6개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텐션 조정부(190)의 하단에는 각각 가이드 와이어(180)(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 및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텐션 조정부(190)에 의해 케이지부(170)의 편하중 또는 총하중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하게 된다.
상기 모서리 가이드 롤러(210)는 상기 케이지부(170)에 설치되어 있되, 상기 케이지부(170)의 네모서리 영역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70)가 상기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모서리 가이드 롤러(210)는 케이지부(170)의 모서리 영역중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터 가이드 롤러(220) 역시 상기 케이지부(170)에 설치되어 있되, 상기 케이지부(170)의 대향되는 두변 영역에 각각 설치됨으로서, 상기 케이지부(170)가 상기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승강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는 케이지부(170)의 센터 영역중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완충 롤러(230)는 상기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와 대응되는 위치의 지하 벽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70)가 좀더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완충 롤러(230)는 케이지부(170)에 설치된 센터 가이드 롤러(220)가 지나갈 때 약간 후방으로 후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센터 가이드 롤러(220)의 진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완충 롤러(230)는, 상기 케이지부(170)의 높이가 대략 5m일 경우, 대략 20~30m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이러한 설치 간격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차량 고정부(240)는 상기 케이지부(170)의 바닥에 설치됨으로써, 케이지부(170)에 진입한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차량 고정부(240)는 화물 차량이 진입하기 전에는 미동작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가, 상기 화물 차량이 진입하면 동작하여, 상기 화물 차량의 바퀴를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고정시켜 준다. 따라서, 케이지부(170)의 승강시 충격이 가해진다고 해도 상기 화물 차량은 전방 및 후방으로 전혀 움직이지 않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3은 지하 통로의 하부를 밝히기 위한 조명이고, 104는 지하 통로를 통제소에서 관찰하기 위한 카메라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호이스트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b 및 도 2c는 브레이크부를 도시한 일측면도 및 타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부(140)는 모터(141)와, 상기 모터(141)에 연결되어 모터(141)의 회전력을 소정 방향으로 전달하는 기어 커플링(142)과, 상기 기어 커플링(142)에 결합되어 회전수를 감속 또는 가속하는 감속기(143)와, 상기 감속기(143)에 결합된 4개의 와이어 드럼(144)과, 상기 와이어 드럼(144)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부(14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드럼(144)의 일측에는 디스크(14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크(148)의 일측에 브레이크부(145)가 결 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부(145)가 상기 디스크(148)를 강하게 압착함으로써, 와이어 드럼(144)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되며, 또한 상기 브레이크부(145)가 차지하는 체적은 최소화된다. 물론, 상기 4개의 와이어 드럼(144)에는 각각 호이스트 와이어(150)가 권취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호이스트 와이어 및 가이드 와이어 등의 결선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먼저 와이어 드럼(144)중 가장 안쪽에 위치된 2개의 와이어 드럼(144)으로부터의 호이스트 와이어(150)는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된 수평 시브(146) 및 경사 수직 시브(147)를 통과하고, 이어서 케이지부(170)에 설치된 시브(172)를 통과한다. 또한,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150)의 끝단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된 하중 감지부(160)에 결합된다.
이어서, 와이어 드럼(144)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된 2개의 와이어 드럼(144)으로부터의 호이스트 와이어(150)는 직하강하여 케이지부(170)에 설치된 시브(171)를 통과하고, 끝단이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된 하중 감지부(160)에 결합된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180)중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는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된 텐션 조정부(190)에 각각 결합된 동시에, 상기 케이지부(170)에 설치된 모서리 가이드 롤러(210)를 통과한다.
더불어, 가이드 와이어(180)중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는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된 또다른 텐션 조정부(190)에 결합된 동시에, 상기 케이지부(170) 에 설치된 센터 가이드 롤러(220)를 통과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하중 감지부를 도시한 일측면도 및 타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감지부(160)는 서포트 프레임(130)에 결합된 길이 조절봉(161)과, 상기 길이 조절봉(161)에 결합된 하단 브라켓(162)과, 상기 하단 브라켓(162)에 결합된 로드 셀(163)과, 상기 로드 셀(163)에 결합된 상단 브라켓(164)을 포함한다.
상기 길이 조절봉(161)은 볼트 형태로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에 관통 설치된 동시에 넛트(161a)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길이 조절봉(161)은 상기 넛트(161a)를 적절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그 서포트 프레임(130)을 관통하는 길이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넛트(161a)의 회전수에 따라 상기 길이 조절봉(161)의 길이가 적절히 변화됨으로써, 케이지부(170)까지의 호이스트 와이어(150)의 길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최초 설치시 상기 넛트(161a)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케이지부(170)의 수평 상태를 정확하게 조절하게 된다. 물론, 상기 넛트(161a)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각 호이스트 와이어(150)에 걸리는 케이지부(170)의 하중도 동일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하단 브라켓(162)은 상기 길이 조절봉(161)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로드 셀(163)은 결합 핀(163a)을 통하여 상기 하단 브라켓(162)에 결합 되어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로드 셀(163)은 기계적 하중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상기 로드 셀(163)에 연결된 회로 및 배선 등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물론, 상기 로드 셀(163)로부터 감지된 신호는 중앙 통제소(102,도 1b 참조)로 전달된다.
상기 상단 브라켓(164)은 또다른 결합핀(164a)을 통하여 상기 로드셀(163)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단 브라켓(164)에는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150)가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상기 하중 감지부(160)를 통하여 케이지부(170)의 수평 상태를 정확히 조정할 뿐만 아니라, 케이지부(170)에 화물 차량이 진입했을 경우 편하중 및 총하중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리프터의 동작을 더욱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의 주변 구조를 도시한 일측면도 및 타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는 하단이 하부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있고, 상단은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된 텐션 조정부(190)에 결합되어 있다. 물론,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에는 케이지부(170)에 결합된 모서리 가이드 롤러(210)가 결합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모서리 가이드 롤러(210)는 주롤러(212)와 보조 롤러(21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주롤러(212)와 보조 롤러(213) 사이를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가 지나간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모서리 가이드 롤러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가이드 롤러(210)는 케이지부(170)에 고정되는 브라켓(211)과, 상기 브라켓(211)에 서로 마주보며 설치된 주롤러(212) 및 보조 롤러(213)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주롤러(212) 및 보조 롤러(213) 사이에는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주롤러(212)와 보조 롤러(213) 사이에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가 위치함으로써,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가 이탈되지 않으며 케이지부(170)가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를 따라서 정확하게 수직 방향으로 안내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센터 가이드 와이어의 주변 구조를 도시한 일측면도 및 타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는 하단이 하부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있고, 상단은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된 텐션 조정부(190)에 결합되어 있다. 물론,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에는 케이지부(170)에 결합된 센터 가이드 롤러(220)가 결합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센터 가이드 롤러(220)는 롤러(222)와 커버(223)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222)와 커버(223) 사이를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가 지나간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센터 가이드 롤러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가이드 롤러(220)는 케이지부(170)에 고정되는 브라켓(221)과, 상기 브라켓(221)에 설치된 롤러(222)와, 상기 롤러(222)의 외주연에 설치된 커버(223)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롤러(222) 및 커버(223) 사이에는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롤러(222)와 커버(223) 사이에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가 위치함으로써,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는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며, 케이지부(170)가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를 따라서 정확하게 수직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완충 롤러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롤러(230)는 브라켓(231), 브라켓 돌출봉(232), 하우징(233), 이동 돌출봉(234), 스프링(235), 롤러 브라켓(236) 및 롤러(237)를 포함한다.
먼저, 브라켓(231)은 지하 벽면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브라켓(231)은 대략 20~30m 간격으로 지하 벽면에 부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브라켓(231)은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와 대응되는 위치의 지하 벽면에 부착된다.
상기 브라켓 돌출봉(232)은 상기 브라켓(231)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형태를 한다. 이러한 브라켓 돌출봉(232)은 대략 원기둥 모양을 하나, 이러한 모양으 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233)은 상기 브라켓(231)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브라켓 돌출봉(232)의 외주연에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233)은 상기 브라켓 돌출봉(232)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상기 이동 돌출봉(234)은 상기 하우징(233)에 결합되어 있되, 상기 브라켓 돌출봉(232)과 일정 거리 이격된 형태를 한다. 이러한 이동 돌출봉(234) 역시 상기 브라켓 돌출봉(232)과 마찬가지로 대략 원 기둥 모양을 한다.
상기 스프링(235)은 상기 브라켓 돌출봉(232)과 상기 이동 돌출봉(234)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러한 스프링(235)은 외부에서 소정 힘이 전달될 경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압축된다. 즉, 상기 스프링(235)은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로부터 소정 힘이 전달될 경우, 일정 길이로 수축한다.
상기 롤러 브라켓(236)은 상기 이동 돌출봉(234)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하우징(233)의 외측에 위치된다. 더불어, 상기 롤러 브라켓(236)은 상기 하우징(233)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짐으로써, 상기 롤러 브라켓(236) 자체가 하우징(233)의 내측으로 일정 거리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롤러(237)는 상기 롤러 브라켓(236)에 결합되어 상기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에 의해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센터 가이드 롤러(220)가 교차할 때 상기 스프링(235)을 압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롤러(237)는 롤러 브라켓(236)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센터 가이드 롤러(220)의 커버(223)가 용이하게 지나가도록 한다. 즉, 롤러 브라켓(236)보다 롤러(237)가 외측 으로 더 돌출됨으로써, 케이지부(170)에 설치된 센터 가이드 롤러(220)가 상기 완충 롤러(230)를 용이하게 지나가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텐션 조정부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조정부(190)는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가 관통하는 하부 고정부(191), 상기 하부 고정부(191) 위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194) 및 상기 유압 실린더(194) 위에 설치된 상부 고정부(196)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고정부(191)는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다시 하부 협착부(192)와 이를 감싸는 하부 아답터(193)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하부 아답터(193)가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에 고정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협착부(192)는 유압 실린더(194)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194)를 관통하는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가 관통한다. 이러한 하부 협착부(192)는 내벽에 다수의 요철(미도시)이 형성됨으로써,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와의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 협착부(192)는 2개 내지 4개로 서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주연에 하부 아답터(193)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194)는 상기 하부 고정부(191) 위에 고정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유압 실린더(194)는 피스톤 및 로드(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유압 실린더(194)는 내부에 오일이 채워져 있으며, 표면에 와이어 상승용 오일 주입구(195a) 및 와이어 하강용 오일 주입구(195b)가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상 승용 오일 주입구(195a) 및 하강용 오일 주입구(195b)에는 오일 주입 부재(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유압 실린더(194)는 오일 주입 방향 및 압력에 따라 내부의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킨다.
상기 상부 고정부(196)는 상기 유압 실린더(194)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다시 상부 협착부(197)와 이를 감싸는 상부 아답터(198)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상부 아답터(198)는 유압 실린더(194)에 고정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협착부(197)는 유압 실린더(194)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194)를 관통하는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가 관통한다. 이러한 상부 협착부(197)는 내벽에 다수의 요철(미도시)이 형성됨으로써,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와의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 협착부(197)는 2개 내지 4개로 서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주연에 상부 아답터(198)가 고정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99는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가 하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의 상단에 결합된 클램프이다. 또한, 도면에는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가 결합된 텐션 조정부(19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가 결합된 텐션 조정부(190)도 동일한 구조 및 동작을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호이스트 와이어 및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적인 연결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드럼(144)중 가장 안쪽에 구비된 두개의 와이어 드 럼(144)을 통해서는 호이스트 와이어(150)가 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수평 시브(146) 및 경사 수직 시브(147)를 통과한 후, 하부의 케이지부(170)에 설치된 시브(172)에 결합된다. 물론, 상기 케이지부(170)의 시브(172)를 통과한 호이스트 와이어(150)의 끝단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하중 감지부(160)에 결합된다.
또한, 와이어 드럼(144)중 가장 바깥에 구비된 두개의 와이어 드럼(144)을 통해서는 호이스트 와이어(150)가 직하강하여, 케이지부(170)에 설치된 시브(171)에 결합된다. 이러한 케이지부(170)의 시브(171)를 통과한 호이스트 와이어(150)의 끝단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하중 감지부(160)에 결합된다.
또한, 케이지부(170)의 승강시 이를 가이드하는 4개의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것들은 모두 상단이 텐션 조정부(190)에 결합되어 있다. 더욱이, 케이지부(170)의 승강시 이를 가이드하는 2개의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 역시 상단이 또다른 텐션 조정부(170)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4개의 하중 감지부(160) 및 6개의 텐션 조정부(190)는 모두 상부 프레임(120)이 아닌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그 하부의 케이지부(170)가 더욱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텐션 조정부(190)가 서포트 프레임(130)이 아닌 상부 프레임(120)에 설치되면, 케이지부(170)의 승강 상태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즉, 케이지부(170)가 상부 프레임(130) 상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케이지부(170)의 거의 하단 영역에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 및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의 끝단이 위치하기 때문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케이지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부(170)는 시브(171,172)를 통하여 호이스트 와이어(150)가 연결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지부(170)에는 모서리 가이드 롤러(210)를 통하여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가 결합되고, 센터 가이드 롤러(220)를 통하여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지부(170)는 가이드 와이어(181,182)를 통하여 흔들림없이 수직 방향으로 승강한다.
한편, 상기 케이지부(170)의 바닥에는 화물 차량의 바퀴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차량 고정부(240)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 고정부(240)는 화물 차량의 진입 방향(정방향 또는 역방향)에 관계없이, 화물 차량의 바퀴를 앞,뒤에서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차량 고정부(240)가 화물 차량의 뒷바퀴를 앞,뒤에서 고정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차량 고정부를 도시한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고정부(240)는 실린더(241), 링크(243) 및 패들(244)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241)는 일단이 상기 케이지부(170)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일정 길이로 왕복 운동하는 로드(24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실린더(241)는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또는 그 등가물이 가능하며, 여기서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링크(243)는 상기 실린더(241)의 로드(242)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회전 중심축(245)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면에서 상기 링크(243)는 상기 회전 중심축(245)을 중심으로 로드(242)가 좌측으로 움직인 상태에서는 대략 7시 방향을 향하고, 로드(242)가 우측으로 움직인 상태에서는 대략 5시 방향을 향한다.
상기 패들(244)은 상기 회전 중심축(245)을 중심으로 상기 링크(243)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로드(242)가 좌측으로 움직인 상태에서는 상기 패들(244)이 케이지부(170)의 바닥에 대하여 대략 평평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화물 차량이 케이지부(170)에 용이하게 진출입하도록 한다. 또한, 로드(242)가 우측으로 움직인 상태에서는 상기 패들(244)이 케이지부(170)의 바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이룸으로써, 화물 차량이 바퀴가 후방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물론, 상기 바퀴의 전방에 위치된 차량 고정부(240)도 동일한 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바퀴를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고정하게 된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4b는 가이드봉을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10)은 지하의 바닥에 설치되고, 이는 고정 부재(111)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하부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케이지부(170)의 하강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스프링(112)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하부 프레임(110)에는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 및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의 하단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프레임(110)에는 각 모서리의 상부에 상기 케이지부(170)가 정확한 위치에 가이드되어 안착되도록 수직 방향의 가이드 봉(113)이 더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봉(113)은 상기 케이지부(170)의 높이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 케이지부(170)가 용이하게 안내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케이지부(170)에는 상기 가이드 봉(113)에 슬라이드되도록 다수의 가이드 롤러(171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하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 통로(101)의 하부에는 하부 프레임(110)이 설치되고, 지하 통로(101)의 상부인 지상에는 상부 프레임(12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20)의 상부에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131)에 의해 서포트 프레임(13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에는 4개의 호이스트 와이어(150)가 권취된 호이스트부(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4개의 호이스트 와이어(150)에 케이지부(170)가 시브(171,172)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더불어, 하부 프레임(110)과 서포트 프레임(130) 사이에는 4개의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 및 2개의 센터 가이드 와이 어(18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지부(170)는 상기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 및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안내되는 동시에,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150)에 의해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 사이를 승강하게 된다.
먼저, 상부 프레임(120)에 케이지부(170)가 위치한 상태에서 도어(132)가 개방되면, 화물 차량이 상기 케이지부(170)의 내측으로 진입한다.
그러면, 상기 케이지부(170)에 설치된 차량 고정부(240)가 동작함으로써, 케이지부(170)의 승하강시 화물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즉, 차량 고정부(240)를 이루는 실린더(241)가 동작하여 로드(242)가 바깥 방향으로 전진하면, 링크(243)가 회전 중심축(245)을 중심으로 대략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링크(243)의 끝단에 설치된 패들(24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화물 차량의 바퀴에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들(244)에 의해 화물 차량의 바퀴 이동이 제한된다.
이어서, 화물 차량을 탑재한 케이지부(170)가 하강하도록 호이스트부(140)가 동작한다. 이를 위해 호이스트부(140)의 모터(141)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모터(141)에 기어 커플링(142) 및 감속기(143)를 통해서 결합된 4개의 와이어 드럼(144)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 드럼(144)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된 2개의 와이어 드럼(144)으로부터는 호이스트 와이어(150)가 직접 하강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드럼(144)중 가장 안쪽에 위치된 2개의 와이어 드럼(144)으로부터는 호이스트 와이어(150)가 수평 시브(146) 및 경사 수직 시 브(147)를 거쳐서 하강한다.
물론, 상기 4개의 호이스트 와이어(150)는 모두 케이지부(170)의 상부 모서리 근처에 설치된 시브(171,172)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70)는 소정 속도로 상기 지하 통로(101)를 따라서 상부 프레임(120)으로부터 하부 프레임(110)까지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지부(170)를 통과한 각 호이스트 와이어(150)의 끝단은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된 하중 감지부(16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중 감지부(160)에 의해 상기 케이지부(170)의 총하중이 기준 중량을 초과했는지, 또는 편하중이 걸리지는 않았는지 등의 상태가 감지된다. 더불어, 이러한 하중 감지부(160)에 의해 감지된 총하중 및 편하중은 중앙 통제소(102)로 전달된다. 물론, 상기 감지된 총하중 및 편하중이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리프터의 동작이 정지되며, 이러한 상태를 방송으로 경고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이러한 동작은 상기 케이지부(170)에 화물 차량이 진입한 후 바로 수행됨으로써, 이상 현상 발생시 케이지부(170)의 승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지부(170)는 네개의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 및 두개의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에 의해 승강시 그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이 정밀하게 제어된다. 즉, 하부 프레임(110)과 서포트 프레임(130) 사이에 설치된 4개의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 및 케이지부(170)에 설치된 8개의 모서리 가이드 롤러(210)와, 하부 프레임(110)과 서포트 프레임(130) 사이에 설치된 2개의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 케이지부(170)에 설치된 4개의 센터 가이드 롤러(220) 및 지하 벽면에 설 치된 다수의 완충 롤러(230)에 의해 케이지부(170)의 수직 승강 상태가 정확하게 제어된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 및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 등에 의해 케이지부(170)의 흔들림 및 회전 상태가 방지된다. 더불어, 상기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 및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의 상단인 서포트 프레임(130)에는 텐션 조정부(190)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 및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의 텐션이 케이지부(170)가 승강하기에 가장 적절한 값으로 조정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케이지부(170)가 하부 프레임(110)에 안착될 때, 상기 케이지부(170)는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네모서리에 형성된 가이드 봉(113)의 안내를 받아 하부 프레임(110)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다. 즉, 상기 케이지부(170)에 형성된 다수의 롤러(171a)가 상기 가이드 봉(113)을 따라서 상기 케이지부(170)를 하부 프레임(110)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다수의 스프링(112)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70)의 안착시 충격을 상기 스프링(112)이 흡수하여 완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케이지부(170)가 하부 프레임(110)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 후에는 상기 호이스트부(140)의 동작이 정지한다. 그리고, 케이지부(170)의 바닥에 설치된 차량 고정부(240)가 동작함으로써, 패들(244)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즉, 화물 차량의 바퀴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있던 패들(244)이 원래의 위치인 수평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화물 차량이 상기 케이지부(170)를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지하에서 작업을 완료한 화물 차량이 케이지부(170)에 진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고정부(240)가 동작함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70) 내에서 화물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더불어,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된 다수의 하중 감지부(160)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지부(170)의 총중량을 감지하고 또한 편하중이 걸리지 않았는지 감지하고 이상이 없으면 호이스트부(140)가 동작한다. 즉, 호이스트부(140)의 모터(14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모터(141)에 기어 커플링(142) 및 감속기(143)를 통해서 결합된 4개의 와이어 드럼(144)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 드럼(144)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된 2개의 와이어 드럼(144)에는 호이스트 와이어(150)가 직접 권취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드럼(144)중 가장 안쪽에 위치된 두개의 와이어 드럼(144)에는 호이스트 와이어(150)가 경사 수직 시브(147) 및 수평 시브(146)를 거쳐서 권취된다.
물론, 상기 네개의 호이스트 와이어(150)는 모두 케이지부(170)의 상부 네영역 근처에 설치된 시브(171,172)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70)는 소정 속도로 상기 지하 통로(101)를 따라서 상부 프레임(120)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때에도 상기 케이지부(170)에 설치된 모서리 가이드 롤러(210) 및 센터 가이드 롤러(220)가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 및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승하므로, 상기 케이지부(170)의 상승시 흔들림 현상이 전혀 없고 안정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지부(170)가 상부 프레임(120)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 후에는 상기 호이스트부(140)의 동작이 정지한다. 그리고, 케이지부(170)의 바닥에 설치된 차량 고정부(240)가 동작함으로써, 패들(244)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즉, 화물 차량의 바퀴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있던 패들(244)이 원래의 위치인 수평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화물 차량이 상기 케이지부(170)를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지부(170)가 하강 또는 상승할 때 상기 케이지부(170)는 그것에 설치된 모서리 가이드 롤러(210)와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이드된다. 즉, 상기 모서리 가이드 롤러(210)는 하나의 브라켓(211)에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주롤러(212)와, 상기 주롤러(212)에 접촉하며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보조 롤러(213)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주롤러(212)와 보조 롤러(213) 사이에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가 위치함으로써, 상기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는 모서리 가이드 롤러(21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롤러(212)의 표면에는 상기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가 안착되도록 일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지부(170)가 하강 또는 상승할 때 상기 케이지부(170)는 그것에 설치된 센터 가이드 롤러(220)와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이드된다. 더욱이, 이때 상기 센터 가이드 롤 러(220),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 및 완충 롤러(230)는 상호 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완충 롤러(230)에 설치된 롤러(237)는 그것이 부착된 롤러 브라켓(236)에 비해 일정 길이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또한, 센터 가이드 롤러(220)에는 롤러(222)의 외주연에 커버(223)가 더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롤러(222)와 커버(223) 사이에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가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는 센터 가이드 롤러(22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롤러(222)의 표면에는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가 안착되도록 일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지부(170)가 하강 또는 상승할 때마다 상기 케이지부(170)에 설치된 센터 가이드 롤러(220)는 상기 지하 벽면에 설치된 다수의 완충 롤러(230)를 통과하게 된다.
먼저, 상기 완충 롤러(230)에 설치된 롤러(237)는 그것이 부착된 롤러 브라켓(236)에 비해 일정 길이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또한, 센터 가이드 롤러(220)에는 롤러(222)의 외주연에 커버(223)가 더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롤러(222)와 커버(223) 사이에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가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는 센터 가이드 롤러(22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센터 가이드 롤러(220)가 상기 완충 롤러(230)를 지나갈 때에는, 상기 센터 가이드 롤러(220)의 커버(223)가 상기 완충 롤러(230)의 롤러(237)를 일측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 브라켓(236) 및 이것에 결합된 이동 돌출 봉(234)이 스프링(235)을 일측으로 수축시킨다. 즉, 상기 이동 돌출봉(234)이 브라켓 돌출봉(232)에 가까와진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상기 센터 가이드 롤러(220)는 상기 완충 롤러(230)를 용이하게 지나가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센터 가이드 롤러(220)가 상기 완충 롤러(230)를 지나간 후에는, 상기 스프링(235)의 동작에 의해 상기 이동 돌출봉(234), 롤러 브라켓(236) 및 롤러(237)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호이스트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b 및 도 2c는 브레이크부를 도시한 일측면도 및 타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호이스트 와이어 및 가이드 와이어 등의 결선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하중 감지부를 도시한 일측면도 및 타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의 주변 구조를 도시한 일측면도 및 타측면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모서리 가이드 롤러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센터 가이드 와이어의 주변 구조를 도시한 일측면도 및 타측면도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센터 가이드 롤러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완충 롤러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텐션 조정부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호이스트 와이어 및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적인 결선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케이지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차량 고정부를 도시한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4b는 가이드봉을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하부 프레임 120; 상부 프레임
130; 서포트 프레임 140; 호이스트부
141; 모터 142; 기어 커플링
143; 감속기 144; 와이어 드럼
145; 브레이크부 146; 수평 시브
147; 경사 수직 시브 148; 디스크
150; 호이스트 와이어 160; 하중 감지부
170; 케이지부 171; 롤러
180; 가이드 와이어 181;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
182; 센터 가이드 와이어 190; 텐션 조정부
191; 하부 고정부 192; 하부 협착부
193; 하부 아답터 194; 유압 실린더
195a,195b; 오일 주입구 196; 상부 고정부
197; 상부 협착부 198; 상부 아답터
199; 클램프 210; 모서리 가이드 롤러
211; 브라켓 212; 주롤러
213; 보조 롤러 220; 센터 가이드 롤러
221; 브라켓 222; 롤러
223; 커버 230; 완충 롤러
240; 차량 고정부 241; 실린더
242; 로드 243; 링크
244; 패들 245; 회전 중심축

Claims (12)

  1. 지하에 설치된 하부 프레임(110)과,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상부로서 지상에 설치된 상부 프레임(120)과, 상기 상부 프레임(120)의 상부에 설치된 서포트 프레임(130)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에 설치된 호이스트부(140)와, 상기 호이스트부(140)에 설치된 호이스트 와이어(150)와,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150)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10) 사이를 수직으로 승강하는 케이지부(170)로 이루어진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에는 상기 호이스트부(140) 및 상기 케이지부(170)를 통과한 호이스트 와이어(150)의 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케이지부(170)의 총하중 및 편하중을 감지하는 하중 감지부(160)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110)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 사이에는 상기 케이지부(170)를 수직 방향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 와이어(180)가 설치된 동시에,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180)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 조정부(190)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180)는 상기 하부 프레임(110)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의 네모서리 영역에 각각 설치된 네개의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 및, 상기 하부 프레임(110)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130)의 대향되는 변의 두센터 영역에 각각 설치된 두개의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부(170)의 네모서리 영역에는 상기 모서리 가이드 와이어(181)에 의해 상기 케이지부(170)가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주롤러(212)와 보조 롤러(213)로 이루어진 모서리 가이드 롤러(2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모서리 가이드 롤러(210)는 케이지부(170)의 대향되는 하단과 상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부(170)의 두센터 영역에는 상기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에 의해 상기 케이지부(170)가 가이드되도록 하는 센터 가이드 롤러(2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센터 가이드 롤러(220)는 케이지부(170)의 대향되는 하단과 상단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와 대응되는 지하의 벽면에는 완충 롤러(23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롤러(230)는
    지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231);
    상기 브라켓(231)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브라켓 돌출봉(232);
    상기 브라켓 돌출봉(232)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돌출봉(232)의 길이보다 긴 하우징(233);
    상기 하우징(233)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 돌출봉(232)과 일정 거리 이격된 이동 돌출봉(234);
    상기 이동 돌출봉(234)에 결합된 동시에 상기 하우징(233)의 외측에 위치되는 롤러 브라켓(236);
    상기 브라켓 돌출봉(232)과 상기 이동 돌출봉(234)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235); 및,
    상기 롤러 브라켓(236)에 결합되어 상기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에 의해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센터 가이드 롤러(182)가 교차할 때 상기 스프링(235)을 압축하는 롤러(2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가이드 롤러(220)는 상기 센터 가이드 와이어(182)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센터 가이드 롤러(220)의 일측에 커버(223)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부(170)는 건설 공사용 차량이 진입하는 바닥부에 상기 건설 공사용 차량중 바퀴를 앞, 뒤에서 고정하는 차량 고정부(24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고정부(240)는 로드(242)를 왕복 운동시키는 실린더(241);
    상기 실린더(241)의 로드(242)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회전 중심축에 결합된 링크(243); 및,
    상기 링크(243)에 결합되어 건설 공사용 차량의 바퀴쪽으로 이동하는 패들(2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10)에는 네모서리에 상기 케이지부(170)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수직 방향의 가이드 봉(1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20070115309A 2007-11-13 2007-11-13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0838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309A KR100838228B1 (ko) 2007-11-13 2007-11-13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PCT/KR2008/001045 WO2009064040A1 (en) 2007-11-13 2008-02-22 Car lift for construction 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309A KR100838228B1 (ko) 2007-11-13 2007-11-13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228B1 true KR100838228B1 (ko) 2008-06-16

Family

ID=3977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309A KR100838228B1 (ko) 2007-11-13 2007-11-13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38228B1 (ko)
WO (1) WO200906404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581B1 (ko) 2011-09-08 2012-10-18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
KR101192582B1 (ko) 2011-09-08 2012-10-18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
KR20190005457A (ko) * 2017-07-06 2019-01-16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인력 리프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878Y1 (ko) * 2004-04-14 2004-07-09 김휘숙 하중변화 감지장치
KR100739289B1 (ko) * 2006-02-06 2007-07-16 김휘숙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143B1 (ko) * 1995-08-30 2001-12-28 튜보 린타마키, 타피오 하카카리 크레인의 로드와 로딩부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383457Y1 (ko) * 2005-02-04 2005-05-03 김휘숙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878Y1 (ko) * 2004-04-14 2004-07-09 김휘숙 하중변화 감지장치
KR100739289B1 (ko) * 2006-02-06 2007-07-16 김휘숙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581B1 (ko) 2011-09-08 2012-10-18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
KR101192582B1 (ko) 2011-09-08 2012-10-18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
KR20190005457A (ko) * 2017-07-06 2019-01-16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인력 리프트
KR101966261B1 (ko) * 2017-07-06 2019-04-05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인력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64040A1 (en) 200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2591B2 (ja) エレベータの終端安全装置
JP6263650B2 (ja) 電車プラットホーム安全装置
KR101760019B1 (ko) 하부 구동 타워형 주차장치
KR100838228B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JP394448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135437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894408B2 (ja) 昇降機の停止調整装置を備えた機械式駐車設備
EP1914188A1 (en) Elevator device
KR101953817B1 (ko)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4260048B2 (ja) 機械式駐車装置
KR100840375B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2378998B1 (ko) 자동차 주차용 리프트장치
TWI681890B (zh) 包括乘客及障礙物檢測功能的電車平臺安全裝置
JP4406273B2 (ja) エレベータの作業保護装置
JP200435241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886879B2 (ja) 水平循環式駐車装置
KR10063394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24867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3225541B2 (ja) 昇降装置
JP3838306B2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JP405647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446299B1 (ko) 고소작업대탑승장치
KR102567005B1 (ko) 개선된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 장치
KR100446047B1 (ko) 입체주차장치
JP2870614B2 (ja) 物品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