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289B1 -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 Google Patents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289B1
KR100739289B1 KR1020060011027A KR20060011027A KR100739289B1 KR 100739289 B1 KR100739289 B1 KR 100739289B1 KR 1020060011027 A KR1020060011027 A KR 1020060011027A KR 20060011027 A KR20060011027 A KR 20060011027A KR 100739289 B1 KR100739289 B1 KR 100739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
cage
guide
wire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휘숙
Original Assignee
김휘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휘숙 filed Critical 김휘숙
Priority to KR1020060011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6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positively attached to a winding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을 탑재한 채 수직 방향의 지하 통로를 승하강하는 케이지부의 흔들림 현상을 방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해결 방법의 요지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와이어 드럼에 다수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권취되고,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중 특정 호이스트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드럼을 통하여 직접 하부 방향으로 승강하고, 다른 호이스트 와이어는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다음 상부 시브를 통하여 하부로 승강하는 호이스트부와, 상기 호이스트부를 통하여 승강되는 다수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후방 및 전방에 각각 설치된 시브에 결합됨으로써,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을 수직 방향의 지하 통로로 소정 깊이 승강시키는 케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 통로의 상부에는 상기 호이스트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지하 통로의 하부에는 케이지부가 안착되도록 하부 프레임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각각 네영역에 설치되고 상호 연결되어 상기 케이지부를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네 개의 가이드 와이어로 이루어진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가 개시된다.
화물 차량 리프터, 호이스트 와이어, 가이드 와이어, 가이드부, 텐션

Description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Freight car lifter for construction works}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d는 케이지부 및 케이지부 주변에 설치된 가이드부, 텐션 조정부 및 가이드 와이어 등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의 텐션 조정부중 포스트를 도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2c 및 도 2d는 텐션 조정부중 볼트, 넛트 및 스페이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가이드부를 도시한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케이지부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고정부를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101; 제1서포트 프레임 102; 제2서포트 프레임
103; 상부 프레임 104; 하부 프레임
105;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106; 지하 통로
107; 감시 카메라 108; 제어룸
109; 도어 110; 호이스트부
111; 와이어 드럼 112; 모터
113; 상부 시브 114; 하부 시브
115; 호이스트 와이어 116; 측부 시브
117; 고정부 117a; 브라켓
117b; 회동부 117c; 제1회전축
117d; 제2회전축 117e; 제3회전축
117f; 연결부재 117g; 실린더
120; 가이드 와이어 130; 케이지부
131; 시브 132; 바닥 프레임
133; 가이드부 133a; 제1브라켓
133b; 제1가이드 롤러 133c; 제2가이드 롤러
133d; 제2브라켓 134; 락킹 돌기
135; 락킹 실린더 부재 141; 리밋 스위치
150; 텐션 조정부 151; 포스트
151a; 받침대 151b; 지지대
151c; 고정대 151d; 관통홀
152; 볼트 152a; 관통홀
153; 스페이서 154; 넛트
155; 고정판
본 발명은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지하철 공사와 같이 땅을 지하로 깊이 파고 들어가 작업하는 건설 공사를 할 때 지하에서 파낸 흙을 실어다 버리기 위해 수시로 지하의 작업 현장에 출입하는 차량을 흔들림없이 지상과 지하의 작업장으로 안전하게 승강시킬수 있도록 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와이어 드럼에 감긴 호이스트 와이어 및 가이드빔 구조를 이용하여 차량이 실리는 케이지(cage)를 수직으로 승강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지상에서 지하까지 케이지가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빔을 반드시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리프터의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공사 기간도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더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호이스트 와이어만을 이용하여 케이지를 승강시키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이 호이스트 와이어만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케이지에 차량이 들어가거나 나올 때, 또는 케이지가 승강될 때 호이스트 와이어에 매달린 케이지가 심하게 흔들려서 차량의 운전자가 심한 불안감을 느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빔없이 와이어 구조만을 이용하여 케이지를 승강시킴으로써 비용 및 설치 기간이 적게 소요되고, 또한 케이지에 차량 출입시 또는 케이지의 승강시 케이지의 흔들림이 없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와이어 드럼에 다수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권취되고,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중 특정 호이스트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드럼을 통하여 직접 승강하고, 다른 호이스트 와이어는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다음 상부 시브를 통하여 승강하는 호이스트부와, 상기 호이스트부를 통하여 승강되는 다수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후방 및 전방에 각각 설치된 시브에 결합됨으로써,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을 수직 방향의 지하 통로로 소정 깊이 승강시키는 케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 통로의 상부에는 상기 호이스트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지하 통로의 하부에는 케이지부가 안착되도록 하부 프레임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각각 네영역에 설치되고 상호 연결되어 상기 케이지부를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네개의 가이드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케이지부와 간섭되지 않는 외측으로서, 상기 네 개의 가이드 와이어와 대응되는 영역에 소정 높이를 가지며 고정된 포스트 와, 상기 포스트에 결합되는 동시에,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상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포스트를 관통하여 결합된 볼트와, 상기 볼트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상기 볼트에 고정하는 동시에, 결합 회전수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텐션을 조정하는 넛트로 이루어진 텐션 조정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지부에는 상기 각각의 가이드 와이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각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1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1가이드 롤러의 바깥 방향으로서,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접촉되어 상기 제1가이드 롤러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진 가이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이스트부는 선택된 두개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후 호이스트부의 전방에 설치된 상부 시브 및 하부 시브를 통과한 후, 케이지부의 전방에 설치된 시브를 통과하며, 이어서 호이스트부의 전방 측부에 설치된 측부 시브를 통과한 후 호이스트부의 측부에 설치된 고정부에 고정되고, 나머지 다른 두개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직하강하여 호이스트부의 후방에 설치된 하부 시브를 통과한 후, 케이지부의 후방에 설치된 시브를 통과하며, 이어서 호이스트부의 후방 측부에 설치된 측부 시브를 통과한 후 호이스트부의 측부에 설치된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호이스트부의 측부에 설치된 브라켓에 제1회전축으로 고정되고, 중간 영역에 제2회전축이 구비되며, 끝단 영역에 제3회전축이 구비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제2회전축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전방으로부터의 와이어 및 후방으로부터 와이어가 각각 고정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제3회전축에 길이가 가변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길이 가변에 의해 상기 케이지부의 수평 상태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네영역에 각각 소정 텐션을 갖는 가이드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서 케이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됨으로써, 케이지부의 승강시 흔들림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에 가이드 와이어의 텐션을 조정할 수 있는 텐션 조정부가 형성됨으로써, 네영역에 연결된 각각의 가이드 와이어에 대한 텐션을 동일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가이드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케이지부의 흔들림 현상이 더욱 적극적으로 억제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케이지부의 네영역에 가이드 와이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가이드부가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케이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부드럽게 승강된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가이드부에 구비된 제1가이드 롤러와 제2가이드 롤러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케이지부가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d는 케이지부 및 케이지부 주변에 설치된 가이드부, 텐션 조정부 및 가이드 와이어 등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100)는 크게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105)을 승강시키는 호이스트부(110), 상기 차량(105)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 와이어(120) 및 차량(105)이 실제로 탑재되어 승강되는 케이지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호이스트부(110)는 대략 판상의 제1서포트 프레임(101)과, 이러한 제1서포트 프레임(101)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다수의 제2서포트 프레임(10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서포트 프레임(102)은 지상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103) 위에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상부 프레임(103) 하부로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105)이 승강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의 지하 통로(10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하 통로는 10~300m 정도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하 통로(106)의 바닥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103)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 프레임(104)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호이스트부(110)는 제1서포트 프레임(101)의 대략 후방 영역에 설치된 4개의 와이어 드럼(111)과, 상기 4개의 와이어 드럼(111)을 함께 회전시키는 모터(112)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모터(112)와 와이어 드럼(111) 사이에는 감속기(11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4개의 와이어 드럼(111)에는 케이지부(130)의 상부에 설치된 네개의 시브(131)에 결합되는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4개의 와이어 드럼(111)중 가장 바깥쪽에 설치된 2개의 와이어 드럼(111)에 권취된 호이스트 와이어(115)는 케이지부(130)의 후방쪽으로 직하강한다. 즉, 와이어 드럼(111)으로부터 케이지부(130)의 후방에 설치된 두개의 시브(131)로 2개의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하부 시브(114')를 따라서 직하강한다. 더불어, 상기 4개의 와이어 드럼(111)중 가장 안쪽에 설치된 2개의 와이어 드럼(111)에 권취된 호이스트 와이어(115)는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다음, 전방에 설치된 상부 시브(113) 및 하부 시브(114)를 걸쳐서 하강된다.
계속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120)는 상부 프레임(103)과 하부 프레임(104)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와이어(120)는 상부 프레임(103)의 네영역 및 이와 대응하는 하부 프레임(104)의 네영역을 상호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120)는 총 4개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프레임(103)의 대략 네영역에는 텐션 조정부(150)가 설치되고, 상기 각 텐션 조정부(150)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120)의 상단이 연결되어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 와이어(120)의 하단은 각각 텐션 조정부없이 상기 하부 프레임(104)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파(155)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텐션 조정부(15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 케이지부(130)는,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115)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케이지부(130)의 상부에는 네개의 시브(131)가 대략 사각 라인의 네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네개의 시브(131)에는 각각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결합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선택된 두개의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후 호이스트부(110)의 전방에 설치된 상부 시브(113) 및 하부 시브(114)를 통과한 후, 케이지부(130)의 전방에 설치된 시브(131)를 통과하며, 이어서 호이스트부(110)의 전방 및 측부에 설치된 시브(116a,116b)를 통과한 후 호이스트부(110)의 측부에 설치된 고정부(117)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나머지 다른 두개의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직하강하여 호이스트부(110)의 후방에 설치된 하부 시브(114')를 통과한 후, 케이지부(130)의 후방에 설치된 시브(131)를 통과하며, 이어서 호이스트부(110)의 후방 및 측부에 설치된 측부 시브(116a',116b')를 통과한 후 호이스트부(110)의 측부에 설치된 고정부(117)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17)는 소정 방향(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에어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부(117)에 의해 하기할 케이지부(130)의 수평 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고정부(117)에 대해서도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상기 케이지부(130)의 바닥 프레임(132)중 네영역 하부에는 락킹 돌기(134)가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103)에는 상기 케이지부(130)가 상승했을 때 상기 케이지부(130)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락킹 돌기(134) 를 고정시키는 락킹 실린더 부재(135)가 더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케이지부(130)의 바닥 프레임(132)중 상기 가이드 와이어(120)와 대응되는 4개의 영역에는 가이드부(133)가 더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부(133)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120)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30)의 승강시 좌,우 방향으로의 흔들림없이 상기 케이지부(130)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33) 역시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7은 케이지부(130)의 승강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상부 감시 카메라이고, 미설명 부호 108은 호이스트부 및 케이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룸(control room)이며, 미설명 부호 109는 차량의 인입출시 개방되는 도어이고, 미설명 부호 141은 케이지부(130)의 상승 상태를 감지하여 호이스트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리밋 스위치이고, 미설명 부호 141'는 케이지부(130)의 하강 상태를 감지하여 호이스트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리밋 스위치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의 텐션 조정부중 포스트를 도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2c 및 도 2d는 텐션 조정부중 볼트, 넛트 및 스페이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먼저 이러한 텐션 조정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3)의 네영역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에는 가이드 와이어(120)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텐션 조정부(150)는 크게 포스트(151)와 볼트(152) 등을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포스트(151)는 케이지부(130)의 외주연으로서 상기 상부 프레임(103)의 대략 네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포스트(151)와 케이지부(130)는 상호간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포스트(151)는 상기 상부 프레임(103)에 직접 고정되는 받침대(151a)와, 상기 받침대(151a)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대(151b)와, 상기 지지대(151b)로부터 상기 케이지부(130)에 근접하도록 소정 길이 연장된 고정대(151c)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대(151c)에는 하기할 볼트(152)가 고정되도록 관통홀(151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트(152)는 하단에 가이드 와이어(120)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홀(15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로는 상기 포스트(151)의 고정대(151c)에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며 원주면에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고정대(151c)의 관통홀(151d)을 관통한 볼트(152)에는 스페이서(153) 및 넛트(154)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상기 넛트(154)의 결합 회전수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120)의 텐션을 적절한 값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실질적으로, 네 개의 가이드 와이어(120)가 모두 동일한 텐션을 갖도록 상기 넛트(154)의 결합 회전수가 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네 개의 가이드 와이어(120)가 정확히 동일한 텐션을 갖게 됨으로써, 케이지부(130)의 승강이 원할하게 이루어진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가이드부를 도시한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부(130)의 네영역에 결합되는 가이드부(133)는 제1브라켓(133a)과, 제1가이드 롤러(133b)와, 제2가이드 롤러(133c)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브라켓(133a)은 케이지부(130)의 소정 영역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 롤러(133b)는 상기 브라켓(133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1가이드 롤러(133b)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120)가 접촉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 롤러(133c)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120)에 접촉되는 동시에, 상기 제1가이드 롤러(133b)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제2가이드 롤러(133c) 역시 제2브라켓(133d)에 의해 제1브라켓(133a)에 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케이지부(130)의 승강시 상기 제1가이드 롤러(133b) 및 제2가이드 롤러(133c)가 상기 가이드 와이어(120)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케이지부(130)는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가이드 롤러(133c) 및 제2브라켓(133d)은 상기 제1가이드 롤러(133b)로부터 가이드 와이어(120)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상술한 텐션 조정부(150)는 상기 케이지부(130)가 최대로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지부(130)에 설치된 가이드부(133)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텐션 조정부(150)와 상기 가이드부(133) 사이의 간섭 현상은 없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케이지부 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지부(130)의 네영역에는 가이드부(133)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즉, 케이지부(130)의 네영역에는 제1브라켓(133a), 제1가이드 롤러(133b), 제2가이드 롤러(133c) 및 제2브라켓(133d)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133)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1가이드 롤러(133b) 및 제2가이드 롤러(133c) 사이의 영역으로는 각각 가이드 와이어(120)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지부(130)의 네 영역이 가이드 와이어(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고정부를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상기 고정부(117)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호이스트부(110)의 측부에 각각 한 개씩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117)는 크게 회동부재(117b)와, 연결부재(117f)와, 실린더(117g)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부재(117b)는 호이스트부(110)의 측부에 고정된 브라켓(117a)에 제1회전축(117c)이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중간 영역에 제2회전축(117d)이 구비되며, 끝단인 상부 영역에 제3회전축(117e)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17f)는 상기 회동부재(117b)의 제2회전축(117d) 양단에 바깥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으로부터의 호이스트 와이어(115) 및 후방으로부터의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실린더(117g)는 상기 회동 부재(117b)의 제3회전축(117e)에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부(117)의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상기 실린더(117g)의 가변 길이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17f)에 연결된 호이스트 와이어(115)의 길이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115)에 의해 승강하는 케이지부(130)의 수평 상태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하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에는 상부 프레임(10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프레임(103)의 하부로는 지하 통로(10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하 통로(106)의 하단에는 하부 프레임(104)이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상부 프레임(103)과 하부 프레임(104) 사이에는 대략 네 개의 모서리 영역으로서 가이드 와이어(120)가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105)은 케이지부(130)에 탑재된 채 상기 상부 프레임(103)과 하부 프레임(104) 사이를 승강하게 되는데 그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차량(105)을 탑재한 케이지부(130)가 하강하기 위해서는 호이스트부(110)의 모터(112)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모터(112)에 감속기(112a)를 통해서 결합된 4개의 와이어 드럼(111)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 드럼(111)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된 2개의 와이어 드럼(111)으로부터는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직접 하부 시브(114')를 통해서 하강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드럼(111)중 가장 안쪽에 위치된 2개의 와이어 드럼(111)으로부터는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전방의 상부 시브(113) 및 그 하단의 하부 시브(114)를 거쳐서 하강한다.
물론, 상기 4개의 호이스트 와이어(115)는 모두 케이지부(130)의 상부 네영역 근처에 설치된 시브(131)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30)는 소정 속도로 상기 지하 통로(106)를 따라서 하부 프레임(104)까지 하강하게 된다.
한편, 이때 상기 케이지부(130)에 설치된 네 개의 가이드부(133)는 상부 프레임(103)으로부터 하부 프레임(104)까지 설치된 네 개의 가이드 와이어(120)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30)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한다. 더불어, 고정부(117)에 의해 호이스트 와이어(115)의 길이가 적절히 조절됨으로써 케이지부(130)의 수평 상태가 더욱 정밀하게 제어된다.
더불어, 이러한 케이지부(130)가 하부 프레임(104)에 안착되면, 리밋 스위치(141')가 이를 감지함으로써, 호이스트부(11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케이지부(130)의 상태는 제어룸(108)에서 감시 카메라(107')에 의해 실시간으로 관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케이지부(130)가 하부 프레임(104)에 안착되면, 케이지부(130)의 도어(109)가 개방됨으로써, 화물 차량(105)은 작업장으로 운행하게 된다.
이어서, 차량(105)을 탑재한 케이지부(130)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호이스트부 (110)의 모터(112)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모터(112)에 감속기(112a)를 통해서 결합된 4개의 와이어 드럼(111)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 드럼(111)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된 2개의 와이어 드럼(111)에는 하부 시브(114')를 통과하는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직접 권취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드럼(111)중 가장 안쪽에 위치된 두개의 와이어 드럼(111)에는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전방의 하부 시브(114) 및 상부 시브(113)를 거쳐서 권취된다.
물론, 상기 네개의 호이스트 와이어(115)는 모두 케이지부(130)의 상부 네영역 근처에 설치된 시브(131)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30)는 소정 속도로 상기 지하 통로(106)를 따라서 상부 프레임(103)까지 상승하게 된다.
한편, 이때에도 상기 케이지부(130)에 설치된 가이드부(133)는 상부 프레임(103)으로부터 하부 프레임(104)까지 설치된 가이드 와이어(120)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30)의 흔들림 현상이 최소화된다. 더욱이,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115)는 꼬임 현상이 없는 와이어 드럼(111)에 권취됨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30)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흔들림 현상은 거의 없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케이지부(130)가 상부 프레임(103) 내에 안착되면, 리밋 스위치(141)가 이를 감지함으로써, 호이스트부(11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케이지부(130)의 상태는 제어룸(108)에서 감시 카메라(107)에 의해 실시간으로 관찰된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케이지부(130)가 완전히 상승한 후에는, 케이지부(130) 의 네영역에 설치된 락킹 돌기(134)를 상부 프레임(103)의 바깥에 형성된 락킹 실린더 부재(135)가 강하게 고정시킴으로써, 화물 차량(105)의 인입출시 케이지부(130) 자체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네영역에 각각 소정 텐션을 갖는 가이드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서 케이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됨으로써, 케이지부의 승강시 흔들림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에 가이드 와이어의 텐션을 조정할 수 있는 텐션 조정부가 형성됨으로써, 네영역에 연결된 각각의 가이드 와이어에 대한 텐션을 동일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가이드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케이지부의 흔들림 현상이 더욱 적극적으로 억제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케이지부의 네영역에 가이드 와이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가이드부가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케이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부드럽게 승강된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가이드부에 구비된 제1가이드 롤러와 제2가이드 롤러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케이지부가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와이어 드럼에 다수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권취되고,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중 특정 호이스트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드럼을 통하여 직접 승강하고, 다른 호이스트 와이어는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다음 상부 시브를 통하여 승강하는 호이스트부와, 상기 호이스트부를 통하여 승강되는 다수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후방 및 전방에 각각 설치된 시브에 결합됨으로써,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을 수직 방향의 지하 통로로 소정 깊이 승강시키는 케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 통로의 상부에는 상기 호이스트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지하 통로의 하부에는 케이지부가 안착되도록 하부 프레임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각각 네영역에 설치되고 상호 연결되어 상기 케이지부를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네개의 가이드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케이지부와 간섭되지 않는 외측으로서, 상기 네 개의 가이드 와이어와 대응되는 영역에 소정 높이를 가지며 고정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결합되는 동시에,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상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포스트를 관통하여 결합된 볼트와, 상기 볼트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상기 볼트에 고정하는 동시에, 결합 회전수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텐션을 조정하는 넛트로 이루어진 텐션 조정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부에는
    상기 각각의 가이드 와이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각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1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1가이드 롤러의 바깥 방향으로서,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접촉되어 상기 제1가이드 롤러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진 가이드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부는
    선택된 두개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후 호이스트부의 전방에 설치된 상부 시브 및 하부 시브를 통과한 후, 케이지부의 전방에 설치된 시브를 통과하며, 이어서 호이스트부의 전방 측부에 설치된 측부 시브를 통과한 후 호이스트부의 측부에 설치된 고정부에 고정되고,
    나머지 다른 두개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직하강하여 호이스트부의 후방에 설치된 하부 시브를 통과한 후, 케이지부의 후방에 설치된 시브를 통과하며, 이어서 호이스트부의 후방 측부에 설치된 측부 시브를 통과한 후 호이스트부의 측부에 설치된 고정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호이스트부의 측부에 설치된 브라켓에 제1회전축으로 고정되고, 중간 영역에 제2회전축이 구비되며, 끝단 영역에 제3회전축이 구비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제2회전축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전방으로부터의 와이어 및 후방으로부터 와이어가 각각 고정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제3회전축에 길이가 가변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길이 가변에 의해 상기 케이지부의 수평 상태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20060011027A 2006-02-06 2006-02-06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0739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027A KR100739289B1 (ko) 2006-02-06 2006-02-06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027A KR100739289B1 (ko) 2006-02-06 2006-02-06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219U Division KR200414025Y1 (ko) 2006-02-06 2006-02-06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289B1 true KR100739289B1 (ko) 2007-07-16

Family

ID=38498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027A KR100739289B1 (ko) 2006-02-06 2006-02-06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2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228B1 (ko) * 2007-11-13 2008-06-16 주식회사 동아지질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8325U (ko) 1975-02-27 1976-08-30
JPH0335986U (ko) * 1989-08-22 1991-04-08
JPH0477576U (ko) * 1990-11-20 1992-07-07
KR200397103Y1 (ko) 2005-06-27 2005-09-29 김휘숙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0965306B1 (ko) * 2007-07-02 2010-06-22 김재중 티슬롯볼트 제작용 단조 금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8325U (ko) 1975-02-27 1976-08-30
JPH0335986U (ko) * 1989-08-22 1991-04-08
JPH0477576U (ko) * 1990-11-20 1992-07-07
KR200397103Y1 (ko) 2005-06-27 2005-09-29 김휘숙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0965306B1 (ko) * 2007-07-02 2010-06-22 김재중 티슬롯볼트 제작용 단조 금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228B1 (ko) * 2007-11-13 2008-06-16 주식회사 동아지질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WO2009064040A1 (en) * 2007-11-13 2009-05-22 Dongkuk Synthesis Industry Co., Ltd Car lift for construction 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6449T3 (es) Método para instalar el cableado de izado de un ascensor
JP41913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345146B1 (ko) 윈치 및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JP4200603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989062A (zh) 曳引机安装设备和用于曳引机的安装方法
JP5818533B2 (ja) クレーンによる構造物の吊上用治具
KR100739290B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JP2009173386A (ja)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
KR200414025Y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JP5791206B2 (ja) 巻上機揚重治具ユニット、及び、巻上機揚重方法
KR20060136096A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0739289B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1114030B1 (ko) 지브크레인
JP6449423B1 (ja) 作業用ゴンドラ
CN103189295B (zh) 电梯
KR20220125633A (ko)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CN103130067B (zh) 电梯设备
KR102059627B1 (ko) 커튼월시공용 미니크레인
JP4765444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振れ止め装置
KR200397103Y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2363762B1 (ko) 창호 손상방지 및 안전 운반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양중기 및 그 제어방법
JP551749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840375B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JP200034445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804144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類のクライミング工法におけるトップシー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