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290B1 -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 Google Patents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290B1
KR100739290B1 KR1020050055624A KR20050055624A KR100739290B1 KR 100739290 B1 KR100739290 B1 KR 100739290B1 KR 1020050055624 A KR1020050055624 A KR 1020050055624A KR 20050055624 A KR20050055624 A KR 20050055624A KR 100739290 B1 KR100739290 B1 KR 100739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
cage
wire
wires
sh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6096A (ko
KR20070000126A (ko
Inventor
김휘숙
Original Assignee
김휘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휘숙 filed Critical 김휘숙
Priority to KR1020050055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290B1/ko
Publication of KR20060136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6096A/ko
Publication of KR20070000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8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 B66B15/06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04Mining-hoist cars or cages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을 탑재한 채 수직 방향의 지하 통로를 승하강하는 케이지부의 흔들림 현상을 방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해결 방법의 요지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리버스 와이어 드럼에 다수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권취되고, 호이스트 와이어중 특정 호이스트 와이어는 리버스 와이어 드럼을 통하여 직접 하부 방향으로 승강하고, 다른 호이스트 와이어는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다음 상부 시브를 통하여 하부로 승강하는 호이스트부와, 호이스트부를 통하여 승강되는 다수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후방 및 전방에 각각 설치된 시브에 결합됨으로써,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을 수직 방향의 지하 통로로 소정 깊이 승강시키는 케이지부를 포함하고, 지하 통로의 상부에는 호이스트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이 고정되고, 지하 통로의 하부에는 케이지부가 안착되도록 하부 프레임이 고정되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케이지부를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로 이루어진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가 개시된다.
화물 차량 리프터, 리버스 와이어 드럼, 호이스트 와이어, 가이드 와이어

Description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Freight car lifter for construction works}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리버스 와이어 드럼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2b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2c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101; 제1서포트 프레임 102; 제2서포트 프레임
103; 상부 프레임 104; 하부 프레임
105;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106; 지하 통로
107; 감시 카메라 108; 제어룸
109; 도어 110; 호이스트부
111; 리버스 와이어 드럼 111a; 회전축
111b; 권취홈 112; 모터
113a,113b; 상부 시브 114; 하부 시브
115; 호이스트 와이어 116; 측부 시브
117; 고정부 120; 가이드 와이어
130; 케이지부 131; 시브
132; 바닥 프레임 133; 가이드 롤러
134; 락킹 돌기 135; 락킹 실린더 부재
141; 리밋 스위치
본 발명은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지하철 공사와 같이 땅을 지하로 깊이 파고 들어가 작업하는 건설 공사를 할 때 지하에서 파낸 흙을 실어다 버리기 위해 수시로 지하의 작업 현장에 출입하는 차량을 흔들림없이 지상과 지하의 작업장으로 승강시킬수 있도록 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와이어 드럼에 감긴 호이스트 와이어 및 가이드빔 구조를 이용하여 차량이 실리는 케이지(cage)를 수직으로 승강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지상에서 지하까지 케이지가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빔을 반드시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리프터의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공사 기간도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호이스트 와이어만을 이용하여 케이지를 승강시키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와이어만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케이지에 차량이 들어가거나 나올 때, 또는 케이지가 승강될 때 와이어에 매달린 케이지가 심하게 흔들려서 차량의 운전자가 심한 불안감을 느끼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빔없이 와이어 구조만을 이용하여 케이지를 승강시킴으로써 비용 및 기간이 적게 소요되고, 또한 케이지에 차량 출입시 또는 케이지의 승강시 케이지의 흔들림이 없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리버스 와이어 드럼에 다수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권취되고,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중 특정 호이스트 와이어는 상기 리버스 와이어 드럼을 통하여 직접 하부 방향으로 승강하고, 다른 호이스트 와이어는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다음 상부 시브를 통하여 하부로 승강하는 호이스트부와, 상기 호이스트부를 통하여 승강되는 다수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후방 및 전방에 각각 설치된 시브에 결합됨으로써,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을 수직 방향의 지하 통로로 소정 깊이 승강시키는 케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 통로의 상부에는 상기 호이스트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지하 통로의 하부에는 케이지부가 안착되도록 하부 프레임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지부를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버스 와이어 드럼은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가 소정 방향으로 권취되도록 외경면을 따라 권취홈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홈은, 호이스트 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하는 동시에 케이지부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리버스 와이어 드럼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15~45°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대각선 방향 양끝단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상기 케이지부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결합되어 가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 롤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지부는 하부의 네모서리에 락킹 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케이지부가 상승했을 때 상기 케이지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락킹 돌기를 고정시키는 락킹 실린더 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이스트부는 선택된 두개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후 호이스트부의 전방에 설치된 상부 시브 및 하부 시브를 통과한 후, 케이지부의 전방에 설치된 시브를 통과하며, 이어서 호이스트부의 전방 측부에 설치된 측부 시브를 통과한 후 호이스트부의 측부에 고정되고, 나머지 다른 두개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직하강하여 호이스트부의 후방에 설치된 하부 시브를 통과한 후, 케이지부의 후방에 설치된 시브를 통과하며, 이어서 호이스트부의 후방 측부에 설치된 측부 시브를 통과한 후 호이스트부의 측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권취홈이 15~45°의 각도로 형성된 리버스 와이어 드럼을 이용함으로써, 그것에 권취된 호이스트 와이어가 대략 100~200m의 깊이로 승강한다고 해도 그 호이스트 와이어가 꼬이는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이 호이스트 와이어가 꼬이지 않음으로써, 이것에 결합된 케이지부의 흔들림 현상도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사이로서 대각선의 양단에 가이드 와이어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서 케이지부가 승강됨으로써, 케이지부의 승강시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지부가 지상으로 상승했을 경우 케이지부의 하단 네모서리를 락킹 실린더 부재가 고정시킴으로써,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의 인입출시에도 케이지부의 흔들림 현상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100)는 크게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105)을 승강시키는 호이스트부(110), 상기 차량(105)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 와이어(120) 및 차량(105)이 실제로 탑재되어 승강되는 케이지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호이스트부(110)는 대략 판상의 제1서포트 프레임(101)과, 이러한 제1서포트 프레임(101)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다수의 제2서포트 프레임(10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서포트 프레임(102)은 지상에 설치되는 장변과 단변을 갖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상부 프레임(103) 위에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상부 프레임(103) 하부로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105)이 승강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의 지하 통로(10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하 통로는 10~300m 정도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하 통로(106)의 바닥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103)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변과 단변을 갖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하부 프레임(104)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 프레임(104)은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호이스트부(110)는, 특히 도 1c를 참조하면, 제1서포트 프레임(101)의 대략 후방 영역에 설치된 4개의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과, 상기 4개의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을 함께 회전시키는 모터(112)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모터(112)와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 사이에는 감속기(11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4개의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에는 케이지부(130)의 상부에 설치된 네개의 시브(131)에 결합되는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4개의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중 가장 바깥쪽에 설치된 2개의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에 권취된 호이스트 와이어(115)는 케이지부(130)의 후방쪽으로 직하강한다. 즉,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으로부터 케이지부(130)의 후방에 설치된 두개의 시브(131)로 2개의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하부 시브(114')를 따라서 직하강한다. 더불어, 상기 4개의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중 가장 안쪽에 설치된 2개의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에 권취된 호이스트 와이어(115)는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다음, 전방에 설치된 상 부 시브(113a,113b) 및 하부 시브(114)를 걸쳐서 하강된다.
계속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120)는 상부 프레임(103)과 하부 프레임(104)(도 3a 참조)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와이어(120)는 상부 프레임(103)의 한쪽 장변의 대각선 끝단과, 이에 대응하는 하부 프레임(104)의 한쪽 장변의 대각선 끝단을 연결하고, 상부 프레임(103)의 다른쪽 장변의 대각선 끝단과, 이에 대응하는 하부 프레임(104)의 다른쪽 장변 대각선 끝단을 상호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120)는 두개가 구비된다. 물론, 상부 프레임(103) 및 하부 프레임(104)의 모든 모서리에 가이드 와이어(120)를 설치하면 케이지부(130)의 흔들림 현상이 더욱 방지될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 네모서리에 가이드 와이어(120)를 설치해본 결과 케이지부(130)의 가이드가 원할하지 않아서 오히려 흔들림 현상이 더 심해졌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120)는 상부 프레임(103)과 하부 프레임(104) 사이로서 각각의 대각선 양끝단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케이지부(130)는, 특히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115)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케이지부(130)의 상부에는 네개의 시브(131)가 대략 사각 라인의 각 모서리에 해당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네개의 시브(131)에는 각각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결합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선택된 두개의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후 호이스트부(110)의 전방에 설치된 상부 시브(113a,113b) 및 하부 시브(114)를 통과한 후, 케이지부(130)의 전방에 설치된 시브(131)를 통과하며, 이어서 호이스트부(110)의 전방 및 측부에 설치된 시브(116a,116b)를 통과한 후 호이스트부(110)의 측부에 설치된 고정부(117)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나머지 다른 두개의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직하강하여 호이스트부(110)의 후방에 설치된 하부 시브(114')를 통과한 후, 케이지부(130)의 후방에 설치된 시브(131)를 통과하며, 이어서 호이스트부(110)의 후방 및 측부에 설치된 측부 시브(116a',116b')를 통과한 후 호이스트부(110)의 측부에 설치된 고정부(117)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117)는 소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에어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부(117)에 의해 하기할 케이지부(130)의 수평 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케이지부(130)의 바닥 프레임(132)중 네모서리 하부에는 락킹 돌기(134)가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103)에는 상기 케이지부(130)가 상승했을 때 상기 케이지부(130)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락킹 돌기(134)를 고정시키는 락킹 실린더 부재(135)가 더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케이지부(130)의 바닥 프레임(132)중 상기 가이드 와이어(12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 롤러(133)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 롤러(133)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120)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30)의 승강시 좌,우 방향으로의 흔들림없이 상기 케이지부(130)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7은 케이지부(130)의 승강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상부 감시 카메라이고, 미설명 부호 108은 호이스트부 및 케이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룸(control room)이며, 미설명 부호 109는 차량의 인입출시 개방되는 도어이고, 미설명 부호 141은 케이지부(130)의 상승 상태를 감지하여 호이스트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리밋 스위치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리버스 와이어 드 럼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2b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2c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중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은 대략 4개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일측에는 감속기(112a)에 결합되는 회전축(111a)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은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소정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피치로 권취되도록 외경면을 따라 소정 깊이의 권취홈(111b)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권취홈(111b)은 호이스트 와이어(115)의 꼬임을 방지하는 동시에 케이지부(130)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대략 15~45°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도는 지하 통로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더 커진다. 예를 들어, 지하 통로의 깊이가 작을 경우 권취홈(111b)의 각도는 대략 15°정도이고, 지하 통로의 깊이가 깊을 경우 권취홈(111b)의 각도는 대략 45°일 수 있다. 여기서, 가장 안쪽에 형성된 두개의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에 형성된 권취홈(111b)의 각도는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가장 바깥쪽에 형성된 두개의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에 형성된 권취홈(111b)의 각도도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상기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에 형성된 권취홈(111b)이 소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됨으로써,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에 감기거나 풀릴때, 그 호이스트 와이어(115)의 꼬임 현상이 방지된다. 즉, 소정 각도를 이루는 권취홈(111b)을 따라서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강제로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호이스트 와이어(115)의 꼬이려는 현상이 방지된다. 물론, 이와 같은 호이스트 와이어(115)의 꼬임 현상 방지에 의해 이것에 결합된 케이지부(130)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흔들림 현상도 방지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여기서는 작동의 이해를 위해 도 1a 내지 도 1c를 모두 참조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에는 상부 프레임(10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프레임(103)의 하부로는 지하 통로(10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하 통로(106)의 하단에는 하부 프레임(104)이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상부 프레임(103)과 하부 프레임(104) 사이에는 대각선 방향으로서 양측에 가이드 와이어(120)가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105)은 케이지부(130)에 탑재된 채 상기 상부 프레임(103)과 하부 프레임(104) 사이를 승,하강되는데 그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차량(105)을 탑재한 케이지부(130)가 하강하기 위해서는 호이스트부(110)의 모터(112)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모터(112)에 감속기(112a)를 통해서 결합된 4개의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된 2개의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으로부터는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직접 하부 시브(114')를 통해서 하강한다. 또한, 상기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중 가장 안쪽에 위치된 2개의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으로부터는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전방의 상부 시브(113a,113b) 및 그 하단의 하부 시브(114)를 거쳐서 하강한다.
물론, 상기 4개의 호이스트 와이어(115)는 모두 케이지부(130)의 상부 네모서리 근처에 설치된 시브(131)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30)는 소정 속도로 상기 지하 통로(106)를 따라서 하부 프레임(104)까지 하강하게 된다.
한편, 이때 상기 케이지부(130)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133)는 상부 프레임(103)으로부터 하부 프레임(104)까지 설치된 가이드 와이어(120)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30)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한다. 더불어, 고정부(117)에 의해 케이지부(130)의 수평 상태가 더욱 정밀하게 제어된다.
더욱이,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115)는 꼬임 현상이 없는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으로부터 풀림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30)의 흔들림 현상은 거의 없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케이지부(130)가 하부 프레임(104)에 안착되면, 리밋 스위치(141')가 이를 감지함으로써, 호이스트부(11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케이지부(130)의 상태는 제어룸(108)에서 감시 카메라(107')에 의해 실시간으로 관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케이지부(130)가 하부 프레임(104)에 안착되면, 케이지부(130)의 도어(109)가 개방됨으로써, 화물 차량(105)은 작업장으로 운행하게 된다.
이어서, 차량(105)을 탑재한 케이지부(130)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호이스트부(110)의 모터(112)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모터(112)에 감속기(112a)를 통해서 결합된 4개의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된 2개의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에는 하부 시브(114')를 통과하는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직접 권취된다. 또한, 상기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중 가장 안쪽에 위치된 두개의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에는 호이스트 와이어(115)가 전방의 하부 시브(114) 및 상부 시브(113b,113a)를 거쳐서 권취된다.
물론, 상기 네개의 호이스트 와이어(115)는 모두 케이지부(130)의 상부 네모서리 근처에 설치된 시브(131)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30)는 소정 속도로 상기 지하 통로(106)를 따라서 상부 프레임(103)까지 상승하게 된다.
한편, 이때에도 상기 케이지부(130)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133)는 상부 프레임(103)으로부터 하부 프레임(104)까지 설치된 가이드 와이어(120)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30)의 흔들림 현상이 최소화된다. 더욱이,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115)는 꼬임 현상이 없는 리버스 와이어 드럼(111)에 권취됨으로써, 상기 케이지부(130)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흔들림 현상은 거의 없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케이지부(130)가 상부 프레임(103) 내에 안착되면, 리밋 스위치(141)가 이를 감지함으로써, 호이스트부(11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케이지부(130)의 상태는 제어룸(108)에서 감시 카메라(107)에 의해 실시간으로 관찰된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케이지부(130)가 완전히 상승한 후에는, 케이지부(130)의 네모서리에 설치된 락킹 돌기(134)를 상부 프레임(103)의 바깥에 형성된 락킹 실린더 부재(135)가 강하게 고정시킴으로써, 화물 차량(105)의 인입출시 케이지부(130) 자체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는 권취홈이 15~45°의 각도로 형성된 리버스 와이어 드럼을 이용함으로써, 그것에 권취된 호이스트 와이어가 대략 100~200m의 깊이로 승강한다고 해도 그 호이스트 와이어가 꼬이는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이 호이스트 와이어가 꼬이지 않음으로써, 이것에 결합된 케이지부의 흔들림 현상도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사이로서 대각선의 양단에 가이드 와이어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서 케이지부가 승강됨으로써, 케이지부의 승강시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지부가 지상으로 상승했을 경우 케이지부의 하단 네모서리를 락킹 실린더 부재가 고정시킴으로써,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의 인입출시에도 케이지부의 흔들림 현상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리버스 와이어 드럼에 다수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권취되고,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중 특정 호이스트 와이어는 상기 리버스 와이어 드럼을 통하여 직접 하부 방향으로 승강하고, 다른 호이스트 와이어는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다음 상부 시브를 통하여 하부로 승강하는 호이스트부와,
    상기 호이스트부를 통하여 승강되는 다수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후방 및 전방에 각각 설치된 시브에 결합됨으로써,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을 수직 방향의 지하 통로로 소정 깊이 승강시키는 케이지부와,
    상기 지하 통로의 상부에는 상기 호이스트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 형태의 상부 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지하 통로의 하부에는 케이지부가 안착되도록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 형태의 하부 프레임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지부를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리버스 와이어 드럼은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가 소정 방향으로 권취되도록 외경면을 따라 권취홈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홈은,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하는 동시에 케이지부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리버스 와이어 드럼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15~45°의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장변으로서 대각선 방향의 서로 마주보는 양끝단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 동시에 그대로 직선 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의 장변으로서 대각선 방향의 서로 마주보는 양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지부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결합되어 가이드될 수 있도록 대각선 방향의 서로 마주보는 양끝단에 가이드 롤러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부는 하부의 네모서리에 락킹 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케이지부가 상승했을 때 상기 케이지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락킹 돌기를 고정시키는 락킹 실린더 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부는
    선택된 두개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후 호이스트부의 전방에 설치된 상부 시브 및 하부 시브를 통과한 후, 케이지부의 전방에 설치된 시브를 통과하며, 이어서 호이스트부의 전방 측부에 설치된 측부 시브를 통과한 후 호이스트부의 측부에 고정되고,
    나머지 다른 두개의 호이스트 와이어가 직하강하여 호이스트부의 후방에 설치된 하부 시브를 통과한 후, 케이지부의 후방에 설치된 시브를 통과하며, 이어서 호이스트부의 후방 측부에 설치된 측부 시브를 통과한 후 호이스트부의 측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20050055624A 2005-06-27 2005-06-27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0739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624A KR100739290B1 (ko) 2005-06-27 2005-06-27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624A KR100739290B1 (ko) 2005-06-27 2005-06-27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511U Division KR200397103Y1 (ko) 2005-06-27 2005-06-27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6096A KR20060136096A (ko) 2007-01-02
KR20070000126A KR20070000126A (ko) 2007-01-02
KR100739290B1 true KR100739290B1 (ko) 2007-07-16

Family

ID=3786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624A KR100739290B1 (ko) 2005-06-27 2005-06-27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2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646B1 (ko) * 2011-03-30 2013-05-24 주식회사 동아지질 인화물 겸용 리프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807B1 (ko) * 2009-10-23 2010-04-28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트랜스포트 리프트
CN105858403A (zh) * 2016-05-10 2016-08-17 中国水利水电第十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竖井开挖期间载人吊笼稳绳装置及应用方法
KR101892160B1 (ko) * 2016-12-07 2018-08-28 주식회사 상일테크 차량 리프트 장치
JP6698900B1 (ja) * 2019-02-27 2020-05-27 吉永機械株式会社 昇降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2286A (ja) * 1990-07-09 1992-03-06 Yoshitada Etsuhara 工事用昇降装置
JPH05229765A (ja) * 1992-02-21 1993-09-07 Kuchiku Kogyo Kk ビル建設現場等の隙間における重量物昇降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重量物昇降具
JPH0881186A (ja) * 1994-09-14 1996-03-26 Sanesu Kogyo Kk ワイヤ巻取ドラム
JPH09104592A (ja) * 1995-10-09 1997-04-22 Mitsubishi Heavy Ind Ltd 荷役装置
KR19980021644A (ko) * 1996-09-18 1998-06-25 이종수 차량용 승강기의 로프 권취방법
KR20000024748A (ko) * 1998-10-01 2000-05-06 이종수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의 리프트 승강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2286A (ja) * 1990-07-09 1992-03-06 Yoshitada Etsuhara 工事用昇降装置
JPH05229765A (ja) * 1992-02-21 1993-09-07 Kuchiku Kogyo Kk ビル建設現場等の隙間における重量物昇降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重量物昇降具
JPH0881186A (ja) * 1994-09-14 1996-03-26 Sanesu Kogyo Kk ワイヤ巻取ドラム
JPH09104592A (ja) * 1995-10-09 1997-04-22 Mitsubishi Heavy Ind Ltd 荷役装置
KR19980021644A (ko) * 1996-09-18 1998-06-25 이종수 차량용 승강기의 로프 권취방법
KR20000024748A (ko) * 1998-10-01 2000-05-06 이종수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의 리프트 승강구동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9104592
102000002474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646B1 (ko) * 2011-03-30 2013-05-24 주식회사 동아지질 인화물 겸용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126A (ko) 200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6109B1 (ko)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KR100739290B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JP5538471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工法
JPH09165106A (ja) 自動倉庫用貨物入出庫装置
KR20060136096A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JP2004504239A (ja) 最小のビル空間を使用するエレベータ装置
KR200397103Y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2059627B1 (ko) 커튼월시공용 미니크레인
KR101923925B1 (ko) 크레인 장착형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
JP6936610B2 (ja) 仮設養生体の昇降機構及び昇降方法
KR200414025Y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0739289B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JP2011020804A (ja) 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
EP1329411B1 (en) Elevator device
JP5538470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工法
JPH04306364A (ja) 外壁pc部材の取付施工方法
JP4804144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類のクライミング工法におけるトップシーブ装置
JP3348018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KR10072841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2363762B1 (ko) 창호 손상방지 및 안전 운반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양중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3147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90012506A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가이드 레일의 설치방법
EP1266859A1 (en) Elevator device
JPWO201716869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056672B2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