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506A - 엘리베이터 승강로 가이드 레일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로 가이드 레일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506A
KR20190012506A KR1020170095574A KR20170095574A KR20190012506A KR 20190012506 A KR20190012506 A KR 20190012506A KR 1020170095574 A KR1020170095574 A KR 1020170095574A KR 20170095574 A KR20170095574 A KR 20170095574A KR 20190012506 A KR20190012506 A KR 20190012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guide rail
hoistway
pair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6724B1 (ko
Inventor
최성균
황회운
Original Assignee
최성균
황회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균, 황회운 filed Critical 최성균
Priority to KR1020170095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7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2Mining-hoist operation installing or exchanging guide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되어 케이지를 승 하강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권양기로 들어올려 상기 승강로의 최상부에 이르는 위치까지 설치하되, 권양기로 가이드레일을 소정의 높이로 끌어 올려가면서 차례로 결합하여 가이드레일 전체를 끌어올려 승강로 최상부에 설치함으로써, 가이드레일의 설치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가이드레일의 설치작업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설치하고자 하는 가이드레일의 크기나 무게에 제한을 받지 않고 가이드레일을 결합하여 끌어올릴 수 있는 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설치하고자 하는 가이드레일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플레이트를 따로 구비하지 않아도 설치할 수 있어 설치 비용 및 작업 공수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APPARATUS FOR INSTALLING A MACHINE ROOM LESS ELEVATOR RAIL}
본 발명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를 승 하강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승강로에 간편 용이하게 설치함은 물론,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의 무게에 제한을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작업 시간 단축과 함께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층의 건물에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엘리베이터는 고층 건물의 높이방향으로 승, 하강할 수 있도록 승강로를 구축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승강로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기, 상기 구동기와 연결된 와이어로프를 권취드럼에 권회시켜 풀어주고 감아주면서 균형추로 무게균형을 유지해 가면서 승 하강시키는 케이지로 구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지는 승강로 측벽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로를 승 하강하게 되며, 상기 케이지가 승 하강하게 되는 가이드레일은 승강로의 최하부 저면으로부터 최상부의 고정 지점까지 다수개의 단위 가이드레일을 수직으로 세워서 브라켓을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고, 상기 브라켓으로 연결 고정되는 다수의 단위 가이드레일은 다수개의 앵커볼트로 승강로의 측벽에 일일이 고정시켜 가면서 수직으로 길게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건물에 마련된 승강로에 케이지를 승,하강 안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8950호(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구조)와 같이 승강로에 임시 카를 설치하고, 상기 임시 카에 작업자가 승선한 상태에서 승강로의 최하부 저면으로부터 가이드레일을 세워 놓은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가이드레일을 별도의 권양기(winch)로 끌어올려 피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고, 이어서 다시 임시 카를 가이드레일이 결합될 위치로 올려놓고, 또 다른 하나의 가이드레일을 권양기로 끌어올려 다른 하나의 가이드레일에 피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는 것으로 가이드레일을 승강로의 최상부의 고정 지점까지 세워 설치하거나, 또는 승강로에 상기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이 피쉬플레이트로 결합되는 지점에 비계(scaffold)를 설치하여 상부로 끌어 올려지는 다수의 가이드레일을 결합하는 것으로 설치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상기 임시 카를 이용하거나, 비계를 설치하여 다수의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임시 카 또는 비계의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다수의 가이드레일을 상기 임시 카 또는 비계 설치후 별도로 권양기를 이용하여 하나하나 들어올려 결합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 작업 공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뿐만아니라 종래에는 상기 임시 카의 설치를 위해 불필요한 자재들이 사용하게 되고, 더욱이 비계는 상기 다수의 가이드레일이 결합되는 위치 마다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상기 임시 카를 설치하였을 때 비하여 많은 량의 자재들이 사용됨에 따라, 설치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설치 작업이 전체적으로 길어져 작업 능률 저하는 물론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상기 임시 카 또는 비계 설치의 경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방호천장 설치 및 작업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선 및 안전고리를 메고 걸어준 상태에서 설치작업을 하게 되므로, 작업하는데 부자연스러워 오히려 작업자의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를 승하강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승강로에 간편 용이하게 설치하여 가이드레일의 설치작업 시간을 줄이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승강로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의 크기 및 무게에 관계없이 이송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에 필요한 부품의 수를 줄여 설치작업 비용을 줄이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수단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건물 승강로의 최하부로부터 최상부에 이르기까지 권양기로 끌어올려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승강로의 최상부에 시설되는 빔에 현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고정하는 상기 빔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후크가 구비된 체인, 상기 체인의 타단에 제1 샤클로 고정되고 제2 샤클이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1 샤클과 제2 샤클의 길이를 조절하는 턴버클로 구비되는 레일고정수단,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권양기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권양기로 소정의 높이까지 끌어 올려가면서 차례로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승강로 최상부의 높이에 이르기까지 끌어 올려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부의 어느 일측을 측방으로 확장 돌출하여 상기 권양기가 결합되는 제1 결합공, 상기 제1 결합공의 타측에 천공되고 상기 레일고정수단이 결합되는 제2 결합공, 상기 제2 결합공의 하방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사방으로 각각 천공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 쌍의 레일결합공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 쌍의 레일결합공은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한 쌍의 구경 및 구경 간에 간격을 서로 달리하여 천공되는 한 쌍의 제1 레일결합공과,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결합공 사이에 천공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크기와 무게에 크게 제한을 받지 않고 설치 가능하도록 장방형으로 천공되는 한 쌍의 제2 레일결합공으로 형성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 해결수단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되어 케이지를 승 하강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권양기로 들어올려 상기 승강로의 최상부에 이르는 위치까지 설치하되, 권양기로 가이드레일을 소정의 높이로 끌어 올려가면서 차례로 결합하여 가이드레일 전체를 끌어올려 승강로 최상부에 설치함으로써, 가이드레일의 설치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가이드레일의 설치작업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설치하고자 하는 가이드레일의 크기나 무게에 제한을 받지 않고 가이드레일을 결합하여 끌어올릴 수 있는 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설치하고자 하는 가이드레일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플레이트를 따로 구비하지 않아도 설치할 수 있어 설치 비용 및 작업 공수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의 레일 설치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의 레일 설치 상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100)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를 설치하고자 하는 건물에 형성된 승강로(1)에 설치하게 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100)는 가이드레일(2), 상기 가이드레일(2)를 고정하는 레일고정수단(10), 상기 가이드레일(2)을 끌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2)에 결합되는 플레이트(2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건물 승강로(1)에 최하부로부터 최상부에 이르기까지 수직으로 길게 설치되어 케이지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은 통상적으로 길이 5m로 형성되고, 1m당 3kgf ~ 50kgf 공칭하중을 갖고 단면이 T형으로 형성되고, 엘리베이터의 용량에 따라 공칭하중 8kgf, 13kgf, 18kgf 또는 24kgf를 사용하게 된다.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의 경우, 35kgf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은 길이 1m당 공칭하중이 8kgf인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1)은 5m×8kgf = 40kg의 무게를 갖게 된다.
이렇게 무게를 갖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경우, 최상부에 설치되는 빔에 상기 가이드레일(2)을 승강로(1)의 내부 최하부로부터 최상부에 이르기까지 권양기(3)로 끌어올려 가면서 가이드레일(2)과 가이드레일(2)을 별도의 고정브라켓(4)으로 결합하면서 수직으로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권양기(3)는 로프(31)와 상기 최상부에 설치되는 도르래(32), 및 모터(33)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33)의 회전력으로 드르레(32)를 타고 로프를 감고 풀어주면서 사물을 승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레일고정수단(10)은 일측에 상기 승강로(1)의 최상부에 시설된 빔에 감아서 고정되도록 일단에 후크(hook)(111)가 구비된 체인(11), 타측에 상기 후크가 구비된 체인(11)에 일측단이 제1 샤클(shackle)(12)로 고정되고 타측단이 제2 샤클(shackle)(13)이 결합된 턴버클(14)로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레일고정수단(10)은 승강로(1)의 최상부에 시설된 빔에 턴버클(14)이 결합된 체인(11)의 후크(111)를 넘기고 넘겨진 후크(111)를 상기 체인(11)을 걸어줌으로 상기 레일고정수단(10)은 턴버클(14)을 하방으로 하여 상기 승강로(1)의 최상부에 위치한 빔에 고정 설치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20)는 상부의 어느 일측이 측방으로 돌출시켜 형성되는 돌출면에 천공시켜 상기 권양기(3)의 로프(31)가 결합되는 제1 결합공(21), 상기 제1 결합공(21)의 타측에 상기 레일고정수단(10)의 턴버클(14)과 결합되는 제2 결합공(22), 상기 제2 결합공(22)의 하방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각각 천공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 쌍의 레일결합공(23)이 구비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 쌍의 레일결합공(23)은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한 쌍의 구경 크기와 간격을 서로 달리하는 한 쌍의 제1 레일결합공(24)과,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결합공(24) 사이에 천공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의 크기와 무게에 크게 제한을 받지 않고 설치 가능하도록 장방형으로 천공되는 한 쌍의 제2 레일결합공(25)이 구비된다.
이렇게 상기 플레이트(20)는 상부 일측을 돌출하여 천공된 제1 결합공(21)에는 권양기(3)의 로프(31)가 결합되어 상기 권양기(3)에 의해 승하강하게 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 쌍의 레일결합공(23)에는 설치하고자 하는 가이드레일(2)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한 쌍의 제1 레일결합공(24) 또는 장방향으로 천공된 한 쌍의 제2 결합공(25)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하고자 하는 가이드레일(2)의 크기와 무게에 크게 제한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플레이트(20)를 일일이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간편함을 제공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의 레일 설치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의 레일 설치 상태도 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를 설치하고자 하는 건물의 승강로(1) 최상부에 시설된 빔에 레일 설치장치(100)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승강로(1)의 최상부에 설치된 빔에 후크가 결합된 체인(11)과 일측이 제1 샤클(12)로 결합되고 타측이 제2 샤클(13)로 결합된 턴버클(14)로 구비된 레일고정수단(10)을 설치 고정하되, 상기 레일고정수단(10)을 플레이트(2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레일고정수단(10)의 체인(11) 부분을 승강로(1)의 최상부에 설치된 빔에 넘겨 걸어준 후 상기 체인(11)에 결합된 후크(111)를 상기 빔에 넘겨져 있지 않은 상기 체인(11)에 걸어줌으로써 상기 체인(11)은 상기 빔을 감싸아 풀어지지 않게 고정되게 되어 상기 체인(11)과 제1 샤클(12)로 결합 고정된 턴버클(14)은 상기 체인(11)과 함께 하방으로 현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레일고정수단(10)을 빔에 설치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레일고정수단(10)로부터 분리된 플레이트(20)는 승강로(1)의 최상부에 설치된 빔에 현수되는 도르래(32), 상기 도르래(32)에 설치되는 로프(31) 및 상기 로프(31)를 감아주고 풀어주는 모터(33)로 구성되는 권양기(3)에 결합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20)는 상기 권양기(3)의 로프(31)에 아이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돌출면(21)에 구비되는 제1 결합공(23)에 삽입 결합시켜 상기 플레이트(20)를 로프(31)에 설치하게 된다.
이렇게 권양기(3)의 로프에 설치되는 플레이트(20)는 하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각각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 쌍의 제1 레일결합공(24) 및 한 쌍의 제2 결합공(25)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승강로(1)에 설치하고자 하는 가이드레일(2)을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0)의 하나 이상의 한 쌍의 제1 레일결합공(24) 및 한 쌍의 제2 결합공(25)에는 설치하고자 하는 가이드레일(2)의 크기 및 무게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한 쌍의 제1 레일결합공(24) 또는 한 쌍의 제2 레일결합공(25)에 체결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가령 설치하고자 하는 가이드레일(2)의 공칭하중 24kgf 즉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경우, 구경이 크고 간격이 넓게 형성된 한 쌍의 제2 레일결합공(24)에 체결 고정하게 되고, 반면에 가이드레일(2)의 공칭하중 8kgf, 13kgf, 18kgf 경우 크기가 크지 않고 무게도 많이 무겁지 않은 경우, 한 쌍의 제2 레일결합공(25)에 결합하여 권양기(3)로 플레이트(20)를 상방으로 끌어올려서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0)에 결합되어 권양기(3)로 끌어 올려지는 가이드레일(2)은 승강로(1)의 최하부로부터 가이드레일(2)의 길이(5m) 높이만큼 끌어올려 정지한 상태에서 승강로(1)의 높이 5m 지점에서 상기 끌어 올려져 있는 가이드레일(2)의 하단과 다른 가이드레일(2-1)의 상단을 고정브라켓(4)으로 결합하여 고정한다.
이어서, 상기 권양기(3)로 상기 플레이트(20)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2)와 가이드레일(2-1)을 함께 승강로(1)의 최하부로부터 가이드레일(2)의 길이(5m) 높이만큼 끌어올린 후, 승강로(1)의 높이 5m 지점에서 또 다른 가이드레일(2-2)의 상단을 상기 다른 가이드 레일(2-1)의 하단과 고정브라켓(4)으로 결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다시 상기 권양기(3)로 상기 플레이트(20)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2)와 가이드레일(2-1), 가이드레일(2-2)을 함께 승강로(1)의 최하부로부터 가이드레일(2)의 길이(5m) 높이만큼 끌어올린 후, 승강로(1)의 높이 5m 지점에서 다시 다른 가이드레일(2-3)의 상단을 상기 다른 가이드 레일(2-2)의 하단과 고정브라켓(4)으로 결합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승강로(1)의 최상부에 설치된 빔에 현수되어 있는 레일고정수단(10)의 높이까지 차례로 결합하여 끌어올리게 된다.
한편, 상기 권양기(3)로 승강로(1)의 최상부에 설치된 빔에 현수된 레일고정수단(10)의 높이까지 플레이트(20)에 차례로 길게 결합되어 끌어 올려진 가이드레일(2)은 상기 플레이트(2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레일고정수단(10)의 턴버클(14)의 제2 샤클(13)에 플레이트(20)의 제2 결합공(22)을 결합 고정하되, 상기 턴버클(14)로 제2 샤클(13)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플레이트(20)의 제2 결합공(22)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승강로(1)의 최하부로부터 최상부에 이르는 높이까지 상기 가이드레일(2)들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가이드레일(2)를 승강로(1)에 설치 완료하게 되면, 이어서 상기 플레이트(20)의 제1 결합공(21)에 결합된 권양기(3)의 로프(31)를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권양기(30의 로프(31)를 다시 설치하고자 하는 가이드레일(2)을 승강하기 위한 다른 플레이트(20)의 제1 결합공(21)에 결합하고, 상기 다른 플레이트(2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 쌍의 레일결합공(23)에 가이드레일(2)을 결합하여 권양기(3)로 플레이트(20)를 승강시키면서 가이드레일(2)을 설치하게 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은 상기 승강로(1)의 내측에 4개를 설치하게 되는데, 2개는 케이지를 승하강하는 가이드레일을 마주보게 설치되고, 2개는 케이지의 발란스를 맞추어주는 무게추를 승하강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로 설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권양기(3)로 끌어올려서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을 작업자가 하나씩 끌어올려 일일이 결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및 소정의 높이마다 작업대를 설치하면서 결합작업하고 해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설치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 1; 승강로
2; 가이드레일 3; 권양기
31;로프 32; 도르래
33; 모터 4; 고정브라켓
10; 레일고정장치 11; 체인
111; 후크 12; 제1 샤클
13; 제2 사클 14; 턴버클
20; 플레이트 21; 제1 결합공
22; 제2 결합공 23; 한 쌍의 레일결합공
24; 한 쌍의 제1 레일결합공 25; 한 쌍의 제2 레일결합공

Claims (4)

  1.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건물 승강로의 최하부로부터 최상부에 이르기까지 권양기로 끌어올려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승강로의 최상부에 시설되는 빔에 현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고정하는 상기 빔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후크가 구비된 체인, 상기 체인의 타단에 제1 샤클로 고정되고 제2 샤클이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1 샤클과 제2 샤클의 길이를 조절하는 턴버클로 구비되는 레일고정수단,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권양기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권양기로 소정의 높이까지 끌어 올려가면서 차례로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승강로 최상부의 높이에 이르기까지 끌어올려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부의 어느 일측을 측방으로 확장 돌출하여 상기 권양기가 결합되는 제1 결합공,
    상기 제1 결합공의 타측에 천공되고 상기 레일고정수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공, 및
    상기 제 2결합공의 하방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사방으로 각각 천공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 쌍의 레일결합공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 쌍의 레일결합공은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한 쌍의 구경 및 구경 간에 간격을 서로 달리하여 천공되는 한 쌍의 제1 레일결합공,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결합공 사이에 천공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크기와 무게에 크게 제한을 받지 않고 설치 가능하도록 장방형으로 천공되는 한 쌍의 제2 레일결합공으로 형성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장치.
KR1020170095574A 2017-07-27 2017-07-27 엘리베이터 승강로 가이드 레일의 설치방법 KR101976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574A KR101976724B1 (ko) 2017-07-27 2017-07-27 엘리베이터 승강로 가이드 레일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574A KR101976724B1 (ko) 2017-07-27 2017-07-27 엘리베이터 승강로 가이드 레일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506A true KR20190012506A (ko) 2019-02-11
KR101976724B1 KR101976724B1 (ko) 2019-05-09

Family

ID=6537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574A KR101976724B1 (ko) 2017-07-27 2017-07-27 엘리베이터 승강로 가이드 레일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8456A1 (de) 2020-01-20 2021-07-29 Inventio Ag Hebevorrichtung zum steuerbaren heben einer nutzlast innerhalb eines aufzugschach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7675U (ko) * 1977-08-19 1979-03-12
JPH0398977A (ja) * 1989-09-12 1991-04-24 Toshiba Corp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立設方法
JPH11139714A (ja) * 1997-11-04 1999-05-25 Fujitec Co Ltd ガイドレール吊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7675U (ko) * 1977-08-19 1979-03-12
JPH0398977A (ja) * 1989-09-12 1991-04-24 Toshiba Corp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立設方法
JPH11139714A (ja) * 1997-11-04 1999-05-25 Fujitec Co Ltd ガイドレール吊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8456A1 (de) 2020-01-20 2021-07-29 Inventio Ag Hebevorrichtung zum steuerbaren heben einer nutzlast innerhalb eines aufzugschachts
CN114981197A (zh) * 2020-01-20 2022-08-30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在电梯竖井内能够受控地提升有效载荷的提升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724B1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2963B2 (en) A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parallel transport and installation of elevator components
AU2013361847B2 (en) Installation method for a lift
JP2007099515A (ja) エレベータケージの支持手段をエレベータケージおよびエレベータ昇降路に取り付ける方法
CN102216545A (zh) 移动式悬臂平台及其安装方法
CN113502924A (zh) 一种高层封闭核心筒内钢梁施工的方法
JP2013019195A (ja) 足場用昇降機の制動装置
CN111021749A (zh) 一种清水混凝土外墙挂板简易提升机构及其施工方法
US20080308362A1 (en) Cable management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on elevator systems
EA016364B1 (ru) Механизм для подачи каната к ограничителю скорости
JP6969686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方法
US20160332852A1 (e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transporting material in an elevator shaft
KR101976724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가이드 레일의 설치방법
JP2008222382A (ja) 据付用昇降装置移動方法
US20230322522A1 (en) Construction arrangement of an elevator and method
JP2007210703A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の巻上機据付装置および据付工法
JP2011190047A (ja) エレベータ装置
CN211691536U (zh) 一种清水混凝土外墙挂板简易提升机构
JP2008285260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据え付け工法
JP3844944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解体方法
JP3920527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
JP6382391B1 (ja) エレベーター釣合おもり枠の補強材取付支援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釣合おもり枠の補強材取付方法
JP2878936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工法
JP2005067813A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の揚重治具及び揚重方法
CN203212170U (zh) 电梯
US8480060B2 (en) Crane cable roll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