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109B1 -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109B1
KR100326109B1 KR1019990006610A KR19990006610A KR100326109B1 KR 100326109 B1 KR100326109 B1 KR 100326109B1 KR 1019990006610 A KR1019990006610 A KR 1019990006610A KR 19990006610 A KR19990006610 A KR 19990006610A KR 100326109 B1 KR100326109 B1 KR 100326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vernor
elevator
hoistway
guide rail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580A (ko
Inventor
사사끼히로따다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00022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1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함의 속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함과, 승강함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해 승강함의 속도를 검출하는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조속기는 승강로를 따라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지지 부재를 개재해서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ELEVATOR HAVING GOVERNOR}
본 발명은 승강함(moving cage)의 속도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조속기(governor)를 갖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빌딩 등의 높은 건물에는 엘리베이터(elevator)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는 일반적으로 빌딩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뻗은 승강로와, 이 승강로 내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이 가이드 레일 사이에 승강함 프레임을 개재해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함과, 이 승강함을 매달기 위한 로프와, 이 로프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승강함을 승강시키기 위한 권상기를 갖는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에는 어떠한 이상이 생겼을 경우에 승강함을 안전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비상 정지 장치는 승강함의 이동 속도를 검지하기 위한 조속기와, 이 조속기로 상기 승강함이 소정 속도 이상이 된 것을 검출한 것에 의거하여 승강함을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기구를 갖는다. 이 비상 정지 기구는 승강함 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브레이크로 이 승강함을 기계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조속기는 조속기용 로프가 감긴 시브(sheave)를 가지며, 이 시브에 설치된 평형추(whirling weights)의 원심력에 의해 작동하고, 상기 조속기용 로프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조속기용 로프는 통상은 상기 승강함과 동일 속도로 이동하고 있지만, 상기 승강함이 소정 속도 이상으로 하강한 때에는 상기 조속기에 의해 이동을 멈춘다. 이 조속기용 로프에는 승강함 측에 설치된 상기 비상 정지 기구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속기용 로프가 정지함에 따라 순간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승강함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킨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상기 권상기 및 조속기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상측, 즉 건물의 옥상 등 최상층에 설비된 기계실 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기계실을 설비하는 데는 대단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설치에 코스트가 드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기계실이 없어도 되는 엘리베이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실을 갖지 않는 구조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로의 상부 이외의 공간은 대단히 좁기 때문에 권상기 뿐만 아니라 조속기도 어떻게 배치할지가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조속기를 승강로 내의 최적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조속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조속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제 1 실시예의 요부가 되는 조속기의 취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및 도 3b은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조속기의 지지 부재에 대한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상기 고정 구조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동작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다른 조속기의 지지 부재에 대한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조속기의 커버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다른 조속기의 커버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펄스 발생기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비상 정지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
본 발명은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승강함(8)과, 승강함(8)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함(8)의 속도를 검출하는 조속기(13)를 갖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상기 조속기(13)는 지지 부재에 고정되고, 또한 이 지지 부재는 상기 승강로(1)를 따라 설치된 가이드 레일(5a, 9b)에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조속기(13)가 상기 승강로(1) 내의 승강함(8) 통과 영역 이외의 부분에 위치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속기가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속기(13)가 붙이기(이하 취부라고 한다)된 가이드 레일은 승강함(8)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5a)이어도 좋고, 승강함(8)과 평형을 이루는 카운터웨이트(12)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9b)이어도 좋다.
또 상기 승강함(8)의 구동 장치(53)는 승강로(1)를 따라 설치된 가이드 레일(5a, 9b)에 취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속기(13)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8)는
상기 가이드 레일(5a)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개소(22, 23)를 가지며, 이들 고정 개소 중의 특정 개소가 가이드 레일을 관통하는 핀형상 부재(24)로 상기 가이드 레일(5a)에 고정되고, 다른 개소가 클립 부재(25)로 가이드 레일(5a)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속기(13)는 상기 승강로 내의 상기 승강함 통과 영역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고, 그 일단은 상기 승강로 내를 따라서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에 지지되고, 이 지지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조속기의 타단이 상기 승강로의 벽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요동(遙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조속기는 상기 승강로 내의 상기 승강함 통과 영역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고, 그 일단은 상기 승강로 내를 따라서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승강로와 대향하는 상기 조속기의 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상기 승강로의 벽면으로부터 거의 평행으로 떨어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속기(13)는 커버(40)를 가지며, 이 커버(40)가 상기 승강로(l)의 벽면과는 반대 측으로 분리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5a)에 취부된 상기 조속기(13)가, 이 조속기가 취부된 가이드 레일(5a)보다도 엘리베이터 승차장 측으로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승차장으로부터 조속기에의 액세스가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속기(13)가 상기 승강함(8)의 속도가 입력되는 무단부 형상(無端部形狀)의 로프(27)와, 이 로프에 텐션을 부여하는 인장 풀리(tension pulley)(29)를 가지고, 상기 인장 풀리에 엘리베이터의 승강층을 검지하는 펄스 발생기(50)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1및 도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빌딩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최상층 부분의 횡단면도이다.
부호 1은 건물(2)(건옥)의 내부에 형성된, 예를 들면 각형 단면의 승강로를 나타낸다. 이 승강로(1)는 수직 방향으로, 예를 들면 건물(2)의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승강로(1)의 각층 부분에는 이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승차장으로 연통하는 개구부(1a)가 설치되고, 이 개구부(1a)에는 자동 도어 장치(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최상층의 개구부에는 자동 도어 장치(3)의 도어 박스 부분의 내부에 제어반(control panel)(4)이 수납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의 좌우 양측의 벽면에는 한 쌍의 승강함용 가이드 레일(5a, 5b)이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승강함용 가이드 레일(5a, 5b)은 어느 것이나 승강로(1)의 벽면으로부터 돌출한 제 1브래킷(6)(이 도면에서는 한쪽밖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승강로(1)의 좌우 양측의 벽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 레일(5a, 5b)에는 승강함 프레임(8a)을 개재해서승강함(8)(moving cage)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승강로(1)의 한쪽 벽면 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뻗은 한 쌍의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 레일(9a, 9b)이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 레일(9a)은 승강함(8)의 배면에 대응하는 승강로(1)의 벽면에 고정되고, 다른 쪽의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 레일(9b)은 상기 제 1 브래킷(6)에 고정되어 있다. 이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 레일(9a, 9b)에는 카운터웨이트(12)가 승강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승강함(8)과 카운터웨이트(12)는 길다란 로프를 통해서 상하 방향으로 평형을 이루는 동활차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즉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로(1) 내에는 승강함(8)과 카운터웨이트(12)가 도면에 52로 나타내는 로프에 의해 현가되어 평형을 이루고 있다. 승강로(1) 내부의 상부 왼쪽 사이드에는 승강로(1)의 내벽과 승강함(8)의 측벽 사이의 좁은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구동 장치(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 장치(53)는 가이드 레일(5a, 9b)에 고정되어 있으며, 로프(52)를 감아올려서 승강함(8)과 카운터 웨이트(12)를 상대적으로 승강시키게 되어 있다.
즉 구동 장치(53)에 의해 감아올려지는 로프(52)의 일단부는 가이드 레일(5a)의 상단부에 설치된 로프 히치(55)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 레일(9a)의 상단부에 설치된 로프 히치(56)에 고정되어 있다. 로프(52)의 중도부는 승강함(8)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시브(57)에 걸쳐지고, 구동 장치(53)를 경유하여 카운터웨이트(12)의 상부에 설치된 카운터웨이트 시브(58)에 걸쳐진다.
따라서 상기 제어반(4)에 의해 이 구동 장치(53)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승강함(8)을 각 층으로 이동,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함(8)의 하단에는 비상 정지 기구(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비상 정지 기구(60)는 도시하지 않은 쐐기 부재를 가이드 레일(5a, 5b) 사이에 끼워넣음으로써 승강함(8)의 하강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게 되어 있다.
또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5a)과 자동 도어 장치(3) 사이에 구획되는 공간 부분에는 조속기 유닛(13)이 제 2브래킷(18)을 개재해서 상기 레일(5a)에 고정되어 있다. 이 조속기 유닛(13)의 설치 구조를 도2a 및 도 2b에 나타낸다.
도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속기 유닛(13)은 프레임(14)을 가지며, 이 프레임(14)에 시브(15), 원심식의 로프 구속 기구(16), 전원 개방용의 리미트 스위치(17)를 조합하여 유닛화한 것이다.
이 조속기 유닛(13)은 강제의 제 2브래킷(18)을 개재해서 한쪽의 승강함용 가이드 레일(5a)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제 2브래킷(18)은 크랭크 형상으로 굽힌 세로판(19), 상기 세로판(19)의 상부 일단측에 L 자형으로 조합한 가로판(20), 나아가서는 각종 보강 판(21)을 조합한 강철판제의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로판(20)의 상면에 프레임(14)이 볼트로 고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조속기 유닛(13)은 제 2브래킷(18)에 장착되어진다.
또 가로판(20)의 타단부의 판면 상단과 판면 하단에는 가이드 레일(5a)의 고정좌(5c)의 폭 치수에 대응한 간격으로 한 쌍의 관통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또 마찬가지로 중단에는 가이드 레일(5a)의 고정좌(5c)의 근원측에 대응한 간격으로 한 쌍의 관통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합계 6개의 관통 구멍(22, 23) 중, 중단의 2개소(23)가 가이드 레일(5)에 볼트(24)에 의해 위치 결정 고정되고, 나머지 상/하단의 4개소(22)가 가이드 레일(5)에 클립(25) 및 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제 2브래킷(18)은 가이드 레일(5)에 대하여 상기 중단의 관통 구멍(23)으로 위치 결정되고, 나머지 4 개소의 관통 구멍(22)에 의해 강고히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취부 구조에 의해, 조속기(13)는 최상층의 홀 도어(3)의 근방에,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어 박스(4)의 이면 측에서 홀 도어(3)로부터 1m 이내가 되는 승강로(1)의 벽 옆에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13)의 시브(15)에는 승강함(8)에 장비되어 있는 비상 정지 장치(60)에 연결되는 무단부 형상의 조속기 로프(27)가 걸쳐져 있다. 또 이 조속기 로프(27)의 하부에는 도2a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평형추(28)가 부착된 인장 풀리(29)가 매달려서 조속기 로프(27)에 텐션을 주고 있다.
즉 조속기(13)는 승강함(8)의 이동 속도를 검지하여, 승강함(8)의 이동 속도가 승강함 현가용의 로프 절단 등으로 소정 속도 이상이 되면, 원심식 로프 구속 기구(16)를 작동시켜서, 승강함(8)이 비상 정지 장치(6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조속기 로프(27)를 구속시키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발명에 의한 제 1이점은 조속기(13)를 승강함(8)을 가이드하는 승강함용 가이드 레일(5a)에 고정하여 승강로(1) 내에 설치하도록 하였으므로, 이 조속기(13)를 설치하기 위한 기계실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점이다. 또 승강로(1)의 크기나 승강함(8)의 위치 관계 등을 고려한 최적의 위치에 조속기(13)를 설치할 수 있다. 더구나 조속기(13)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8)는 건물(2)의 구조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이면 되므로 코스트면에서도 염가가 된다.
둘째로, 조속기(13)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8)의 고정은 특정 개소 만을 볼트(24)로 고정하고, 다른 개소를 레일 클립(25)으로 고정하는 구조로 하였으므로, 지지 부재(18)의 고정 작업으로, 레일 클립(25)을 가이드로 해서, 승강함용 가이드 레일(5a)의 최적 위치가 되는 지점으로 지지 부재(18)를 인도하고, 그 후 승강함용 가이드 레일(5a)의 고정벽(5c)을 관통하는 볼트(24)로 움직이지 않게 위치 결정 고정하면 된다. 따라서 대단히 간단하다. 더구나 위치 결정 고정에 필요한 볼트(24)의 고정 개소는 적어도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소이어도, 또는 1 개소이어도 좋다. 즉 적어도 1개의 볼트 고정이면 되므로, 지지 부재(18)의 고정 작업은 효율이 좋게 진행된다. 그 위에 지지 부재(18)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관통 구멍수는 적어도 되므로 승강함용 가이드 레일(5a)의 강도 저하가 억제된다.
세째로, 이 구조에서는 조속기(13)를 홀 도어(3)의 근방에 배치하였으므로, 로프 구속 상태에 있는 조속기 로프(27)의 로프 구속을 풀 때는 홀 도어(3)로부터 보수원이 탑승해서,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도어 박스(4)의 이면 측에 있는 조속기(13)의 해제 작업을 하면 되어서 작업이 용이해진다. 물론 도어 박스(4)를 열고, 도어 박스(4)의 내부를 통하여 조속기(13)의 해제 작업을 하여도 된다.
다음에 도3a∼도5b을 참조하여, 조속기의 점검을 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즉 엘리베이터에서는 조속기(13)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한 점검 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동작 확인 작업이라고 부르며, 조속기(13)가 어느 특정한 속도로 작동하여 비상 정지 장치가 작동하는지의 여부를 점검하는 작업이다.
이 작업은 먼저 도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속기 로프(27)를 떼어낸 시브(15)에 회전계(30)를 세트한다. 이어서, 보수원의 조작으로 전기 드릴(31)(도3a에 나타냄)의 선단에 세트한 롤러(32)를 시브(15)의 외주부에 대고 상기 시브(15)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시브(14)의 회전 속도가 승강함이 비상 정지 속도에 달하였을 때에, 원심식의 로프 구속 기구(16)가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그런데 이 때의 시브(15)의 회전 방향은 승강함(8)이 하강할 때의 동작을 확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특정한 일방향이다. 또 전기 드릴(31)도 특정한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도1과 같이 조속기(13)가 승강로(1)의 벽면 가까이에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전기 드릴(31)을 도3a 중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해야 할 경우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승강로(1)의 벽면이 방해가 되어 전기 드릴(31)을 지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실시예에서는 전기 드릴(31)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도4a 및 도 4b은 이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들 도면은 도 2b에 대응한 것으로서, 조속기(13)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조속기(13)의 프레임(14)(도2a 참조)과, 이 프레임(14)이 지지된 지지 프레임(18)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프레임(14)은 도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속기(13)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속기(13)를 지지하는 프레임(14)이 가이드 레일(5a) 측의 일단부의 1점(33)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프레임(14)은 도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가 볼트(33), 타단부가 볼트(34)에 의해 지지 부재(18)의 가로판(20)에 고정되고, 이 타단부의 볼트(34)를 떼어냄으로써 상기 프레임(14)을 승강로(1)의 벽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속기(13)와 승강로(1)의 벽면 사이에 스페이스가 생긴다. 이 스페이스가 생긴 상태를 나타낸 것이 도5이다. 이 도5에 나타내는 스페이스(A)를 이용하여 전기 드릴(31)을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회동식의 구조가 아니라,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슬라이드 식의 구조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실시예는 볼트(33, 34)가 관통하고 있는 가로판(20)의 볼트 구멍(35)을 승강로(1)의 안쪽을 향하는 긴 구멍으로 한 구조를 채용하여 볼트(33) 및 볼트(34)를 느슨하게 하여, 조속기(13)의 전체를 승강로(1)의 안쪽으로 슬라이드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속기(13)를 승강로(1)의 벽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14) 측의 볼트 구멍을 긴 구멍으로 하여도 된다.
또 도7a 및 도 7b는 조속기(13)의 시브(15)의 커버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승강로 내에 조속기를 설치한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함의 상측에 보수원이 타고 보수 점검을 할 경우, 보수원의 가까이에 조속기가 배치되므로 안전을 위해 조속기의 시브를 주위로부터 커버로 덮을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커버는 용접 등으로 고정해서는 조속기의 보수 점검을 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커버는 착탈 구조일 것이 요구되지만 도1과 같이 조속기(13)가 승강로(1)의 벽 옆에 배치되는 경우, 승강로(1)의 벽면과 조속기(13)사이는 좁으므로, 번잡한 착탈 조작을 강요받는다.
그래서 이 실시예는 착탈 작업을 하기 어려운 부분이 되는 승강로벽과 마주 보는 측 이외의 부위에 장착부를 배치한 커버 구조를 채용하였다.
이 구체적인 구조가 도 7에 나타나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는 조속기(13)를 홀 도어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즉 조속기(13)의 프레임(14)은 상방으로 개구가 향하는 대략 C자형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14)의 상측에 시브(15)의 주위를 덮는 커버(40)를 설치하고 있다.
이 커버(40)는 예를 들면 시브(15)의 상방측을 덮는 가로판부(41)와, 시브(l5)의 승강로 안쪽의 측면을 덮는 세로판부(42)를 조합한 대략 역L 자형을 이루고 있다. 세로판부(42)의 선단측에는 프레임(14)의 승강로 안쪽의 세로벽(14a)과 맞겹치는 고정좌(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좌(43)와 세로벽(14a)이고정구, 예를 들면 양자를 관통하는 볼트(44)(장착부에 상당)로 떼어낼 수 있게 체결되고, 커버(40)를 프레임(1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프레임(14)에 설치된 커버(40)는 장착부가 되는 볼트(44)가 승강함 위의 보수원이 작업하기 쉬운 승강함(8) 측에 배치되므로, 벽 옆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커버(40)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도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승강로(1)의 벽측이 개방한 커버 구조가 아니라, 도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로벽 측에 배치되어 있는 프레임(14)의 세로벽(14b)에, 벽측이 개방한 부분을 덮도록 상방으로 뻗은 플레이트(45)를 용접하고, 이 플레이트(45)의 상단부와 커버(40)의 가로판부 선단을 볼트(46)로 떼어낼 수 있게 체결하고, 커버(40)를 착탈 가능하게 프레임(14)에 취부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9는 승강로(1)의 공간 내에 설치한, 승강계를 검지하기 위한 펄스 발생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엘리베이터에서는 조속기 로프의 위치로부터 실제의 승강함의 위치를 검지하게 되고, 그 때문에 통상 조속기에 시브와 동축으로 펄스 발생기를 설치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로(1)의 벽 옆에 조속기를 설치한 경우, 펄스 발생기는 펄스 발생기와 함께 승강로의 벽면과 승강함 사이에 수납할 필요가 있지만, 그 간격이 좁으므로 수납하기 어렵다.
그래서 이 실시예는 조속기에 비하여 폭 치수가 작고, 승강로의 벽면과 승강함 사이의 틈새 치수에 충분히 여유가 있는 텐션 부여용의 인장 풀리(29)에 펄스 발생기를 취부해서 승강로 내의 한정된 부분에 펄스 발생기가 수납되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 풀리(29)의 측부에, 상기 인장 풀리(29)와 동축으로 펄스 발생기(50)를 취부한 구조를 사용하여, 승강로(1)의 벽면과 승강함(8)과의 사이가 한정된 틈새 내에 펄스 발생기(50)를 수납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단 51은 인장 풀리(29)의 틈새 방향의 편향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기구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승강함을 검지 대상(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체)로 한 조속기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평형추를 검지 대상(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체)으로 한 조속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속기는 지지 부재를 개재해서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 레일에 고정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속기를 승강로 내의 최적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조속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승강함(8)과, 승강함(8)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함(8)의 속도를 검출하는 조속기(13)를 갖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13)는 지지 부재에 고정되고, 또한 이 지지 부재는 상기 승강로(1)를 따라 설치된 가이드 레일(5a, 9b)에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조속기(13)가 상기 승강로(1) 내의 승강함(8) 통과 영역 이외의 부분에 위치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13)가 취부된 가이드 레일은 승강함(8)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5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13)가 취부된 가이드 레일은 승강함(8)과 평형을 이루는 카운터웨이트(12)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9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함(8)의 구동 장치(53)는 승강로(1)를 따라 설치된 가이드 레일(5a, 9b)에 취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53)가 취부된 가이드 레일은 승강함(8)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5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53)가 취부된 가이드 레일은 승강함(8)과 평형을 이루는 카운터웨이트(12)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9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13)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8)는 상기 가이드 레일(5a)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개소(22, 23)를 가지며, 상기 고정 개소 중 특정 개소가 가이드 레일을 관통하는 핀형상 부재(24)로 상기 가이드 레일(5a)에 고정되고, 다른 개소가 클립 부재(25)로 가이드 레일(5a)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8.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함과,
    이 승강함을 비상 정지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함의 속도를 검출하는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는 상기 승강로 내의 상기 승강함 통과 영역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고, 그 일단은 상기 승강로를 따라서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에 지지되고, 이 지지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조속기의 타단이 상기 승강로의 벽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요동(遙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13)는 커버(40)를 가지며, 상기 커버(40)가 상기 승강로(1)의 벽면과는 반대 측으로 떼어낼 수 있게 취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13)는 상기 조속기가 취부된 가이드 레일(5a)보다도 엘리베이터 승차장 측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13)는 상기 승강함(8)의 속도가 입력되는 무단부 형상의 로프(27)와, 상기 로프에 텐션을 주는 인장 풀리(29)를 가지며, 상기 인장 풀리에 엘리베이터의 승강층을 검지하는 펄스 발생기(50)가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2.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함과,
    이 승강함을 비상 정지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함의 속도를 검출하는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는 상기 승강로 내의 상기 승강함 통과 영역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로를 따라서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승강로와 대향하는 상기 조속기의 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상기 승강로의 벽면으로부터 거의 평행으로 떨어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KR1019990006610A 1998-09-03 1999-02-27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KR100326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49872 1998-09-03
JP24987298A JP4047462B2 (ja) 1998-09-03 1998-09-03 エレべーター調速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580A KR20000022580A (ko) 2000-04-25
KR100326109B1 true KR100326109B1 (ko) 2002-03-07

Family

ID=1719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610A KR100326109B1 (ko) 1998-09-03 1999-02-27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20010040071A1 (ko)
EP (1) EP0990615B1 (ko)
JP (1) JP4047462B2 (ko)
KR (1) KR100326109B1 (ko)
DE (1) DE69909033T2 (ko)
MY (1) MY1240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821A (ko) * 2001-08-23 2003-05-1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조속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ITMI20012558A1 (it) * 2001-12-04 2003-06-04 L A Consulting S A S Di Sara F Ascensore con cabina guidata in un vano corsa, senza locale del macchinario
US7377366B2 (en) * 2002-11-25 2008-05-27 Otis Elevator Company Sheave assembly for an elevator system
JP2004352377A (ja) * 2003-05-27 2004-12-16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
JP4484494B2 (ja) * 2003-11-05 2010-06-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JP2005263490A (ja) * 2004-03-15 2005-09-29 Inventio Ag 大荷重用エレベータ
CN100537389C (zh) * 2004-04-20 2009-09-0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紧急停止系统
JP2005343680A (ja) * 2004-06-07 2005-12-1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調速装置
JP2006306520A (ja) * 2005-04-26 2006-11-0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用調速機
JP2007062948A (ja) * 2005-08-31 2007-03-1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5053549B2 (ja) * 2006-01-24 2012-10-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ガバナ
WO2007149079A1 (en) * 2006-06-21 2007-12-27 Otis Elevator Company Governor for an elevator system
JP2008037570A (ja) * 2006-08-04 2008-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RU2007132738A (ru) * 2006-08-31 2009-03-10 Инвенцио АГ (CH) Подъемник с кабиной и противовесом и способ размещения подъемника
ES2294943B1 (es) * 2006-09-25 2009-02-16 Orona S. Coop Aparato elevador sin sala de maquinas.
JP2008303008A (ja) * 2007-06-06 2008-12-18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WO2009019780A1 (ja) * 2007-08-09 2009-02-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エレベータの調速機
JP2009107809A (ja) * 2007-10-31 2009-05-2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9263015A (ja) * 2008-04-22 2009-11-1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FI120788B (fi) * 2008-06-30 2010-03-15 Kone Corp Hissijärjestely
EP2346771B1 (de) * 2008-11-05 2013-02-27 Inventio AG Modernisierungsverfahren für aufzuganlagen
WO2010067435A1 (ja) * 2008-12-11 2010-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WO2010144093A1 (en) * 2009-06-12 2010-12-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governor device
JP5570612B2 (ja) * 2010-11-05 2014-08-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
US20160101965A1 (en) * 2013-06-07 2016-04-14 Juan José FERNÁNDEZ Elevator with low overhead and low pit
WO2016016680A1 (en) * 2014-08-01 2016-02-04 Otis Elevator Company Car mounted governor for an elevator system
ES2842325T3 (es) 2015-03-12 2021-07-13 Otis Elevator Co Limitador de velocidad de ascensor
WO2017167600A1 (de) * 2016-03-31 2017-10-05 Inventio Ag Geschwindigkeitsbegrenzer mit einer schutzhaube
WO2023119548A1 (ja) * 2021-12-23 2023-06-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5399A (en) * 1970-10-26 1972-10-03 Marvin R Laing Overspeed safety brake for elevators
US5513723A (en) * 1994-07-01 1996-05-07 Harnischfeger Corporation Double-masted crane with improved brake arrangement
FI101783B1 (fi) * 1997-03-07 1998-08-31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asennuksess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4080A (en) 2006-06-30
EP0990615A3 (en) 2000-05-17
EP0990615B1 (en) 2003-06-25
US20030106747A1 (en) 2003-06-12
US20020125078A1 (en) 2002-09-12
EP0990615A2 (en) 2000-04-05
DE69909033D1 (de) 2003-07-31
US20010040071A1 (en) 2001-11-15
DE69909033T2 (de) 2004-05-06
JP2000072353A (ja) 2000-03-07
JP4047462B2 (ja) 2008-02-13
KR20000022580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6109B1 (ko)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JP41913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70037995A (ko) 승강실 및 승강로에 승강실의 지지 수단을 설치하는 방법
JP4882195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7097000B2 (en) Elevator apparatus
JP3991657B2 (ja) エレベータ
EP1396457B1 (en) Elevator device
EP1431231B1 (en) Elevator without machineroom
JP5516512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6855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18179179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109764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1329411B1 (en) Elevator device
JP2011051736A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9123583A1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200500833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WO2005077804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48095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571112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47042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294252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52436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4002045A5 (ko)
JP2023177370A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据付補助装置及び据付方法
KR100617383B1 (ko)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