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948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3948B1 KR100633948B1 KR1020047013131A KR20047013131A KR100633948B1 KR 100633948 B1 KR100633948 B1 KR 100633948B1 KR 1020047013131 A KR1020047013131 A KR 1020047013131A KR 20047013131 A KR20047013131 A KR 20047013131A KR 100633948 B1 KR100633948 B1 KR 1006339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ge
- hoistway
- elevator
- lifting body
- lif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4—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mounted on cars or counterweights
- B66B5/286—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mounted on cars or counterweights between two cars or two counterweigh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하나의 승강로에 다수의 케이지를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승강로(2)와, 이 승강로 내에 상하로 다수 개 배치되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복수의 승강체(12a, 12b)와, 복수의 승강체를 독립적으로 승강하게 하는 구동 수단(20a, 20b)을 포함하며, 복수의 승강체 중 하나의 승강체(12a)와, 그 승강체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다른 승강체(12b) 사이에는 승강체간 브레이크 수단(30)이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승강체간 브레이크 수단(30)은 필요시에 하나의 승강체(12a)와 다른 승강체(12b)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정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승강로에 다수의 케이지를 갖는 엘리베이터(one-shaft multi-car elevator)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것이다.
현재, 특히 고층빌딩 등에 주로 사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하나의 승강로에 다수의 케이지를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one-shaft multi-car elevator)로 지칭되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있다. 이것은, 승강로(elevator shaft) 내에 상하로 엘리베이터 케이지(cage)를 복수 배치하고, 각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에 의해 승강하게 하는 것이다. 이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예컨대 출퇴근 시간대나 대낮 등의 이용 빈도가 높은 시간에는 충돌을 피하도록 제어하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복수 승강시켜서 대응하고, 이용 빈도가 낮은 시간에는 1대의 엘리베이터 케이지만을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효율이 좋은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나 비용 등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승강로에 다수의 케이지를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조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 특개소 제 60-19769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예컨대 상하에 배치된 2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 중, 아래쪽의 하부 케이지의 현수 풀리에 감겨 있는 하부 케이지용 로프가 하부 케이지용 권상기에 감긴다. 계속하여, 하부 케이지용 로프는, 권상기로부터, 상하에 배치된 평형추 중 위쪽의 하부 케이지용 평형추의 현수 풀리에 감긴다. 또한, 하부 케이지용 로프의 양단은 각각 승강로 위쪽에 고정된다.
한편, 위쪽에 배치된 상부 케이지의 천장에 고정된 상부 케이지용 로프는 상부 케이지용 권상기에 감긴다. 계속하여, 상부 케이지용 로프는 권상기로부터 하부 케이지용 평형추에 설치된 로프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에 고정된다.
즉, 하부 케이지는 아래쪽에 배치되는 한편, 이 하부 케이지에 하부 케이지용 로프를 거쳐서 접속되어, 승강시 하부 케이지와의 균형을 잡아서 승강하는 하부 케이지용 평형추가 승강로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반대로, 상부 케이지는 승강로 위쪽에 배치되고,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는 승강로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 저부의 하부 케이지 아래쪽과 상부 케이지 평형추 위쪽에는 총 2개의 완충기가 설치된다. 하부 케이지 아래쪽의 완충기는, 고장 등에 의해 하부 케이지가 승강로 저부에 충돌할 경우의 충격을 완화시킨다. 또한,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 아래쪽의 완충기는, 상부 케이지가 상승하여 승강로 상부에 충돌할 경우에 이에 따라 승강로 저부에 충돌하는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 써, 상부 케이지의 충돌 충격을 간접적으로 완화시킨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하부 케이지가 승강로 위쪽으로 지나치는 경우나, 상부 케이지가 승강로 아래쪽으로 지나치는 경우, 혹은 상부 케이지와 하부 케이지가 접근하는 경우 등에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는 수단이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계 등이 고장나고, 엘리베이터 케이지 또는 평형추를 제지하는 것이 없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끼리 혹은 평형추끼리 직접 충돌하게 되어 엘리베이터 케이지나 평형추가 손상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위쪽, 아래쪽으로의 지나침 등에 의한, 엘리베이터 케이지끼리 혹은 평형추끼리의 충돌을 피하거나, 충돌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개선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복수의 승강체와, 상기 복수의 승강체를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복수의 승강체 중 하나의 승강체와 그 승강체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다른 승강체 사이에 배치되어서 승강하고, 또 필요시에 상기 하나의 승강체와 상기 다른 승강체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정지하는 승강체간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하에 배치된 승강체가 직접 충돌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 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안전성을 더욱 보장할 수 있고, 또 승강체끼리의 충돌에 의한 파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의 유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각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해당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간략화하거나 생략한다.
우선 도 1로부터 도 9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1은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경우를 도시하고, 도 2는 측면으로부터 보았을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출입구가 설치되는 측을 정면측(도 2에 있어서는 좌측)이라 칭하고, 반대측(도 2에 있어서는 오른쪽)을 배면측이라고 칭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승강로(2)와, 승강로(2)에 직립 설치된 한 쌍의 엘리베이터 케이지 가이드 레일(4)과, 한 쌍의 평형추 가이드 레일(6)과, 승강로(2) 내를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하는 하부 케이지 엘리베이터(100a)와 상부 케이지 엘리베이터(100b)를 구비한다.
하부 케이지 엘리베이터(100a)에 있어서는, 승강로(2) 내를 승강하는 하부 케이지(12a)(제 2의 승강체)와 하부 케이지용 평형추(14a)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지(12a)의 아래쪽에는 현수 풀리(16)가 설치되고, 하부 케이지용 평형추(14a)의 상부에는 현수 풀리(18)가 설치된다. 또한, 승강로(2)의 위쪽에는 하부 케이지용 권상기(20a)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케이지용 로프(22a)는, 양단부가 각각 승강로(2) 상부에 설치된 로프 고정 장치(24)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 케이지용 로프(22a)는, 로프 고정 장치(24)에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하부 케이지(12a)의 현수 풀리(16)에 감겨, 하부 케이지(12a)의 저부를 지나고, 승강로(2) 위쪽의 하부 케이지용 권상기(20a)에 감긴다. 또한, 하부 케이지용 로프(22a)는, 하부 케이지용 권상기(20a)로부터 하부 케이지용 평형추(14a)의 현수 풀리(18)에 감기고, 타단이 로프 고정 장치(24)에 고정되어 있다.
즉, 하부 케이지 엘리베이터(100a)는, 2:1 로핑(roping) 방식으로 로프가 감긴 엘리베이터이다. 또한, 하부 케이지용 평형추(14a)의 중심부에는, 승강 방향으로 관통하는 로프 관통 구멍(26)이 설치된다.
또한, 승강로(2) 저부의 하부 케이지(12a) 아래쪽으로, 하부 케이지용 완충기(28a)가 설치된다.
한편, 상부 케이지 엘리베이터(100b)에 있어서는, 승강로(2) 내를 승강하는 상부 케이지(12b)(제 1의 승강체)와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14b)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2)의 위쪽에는 상부 케이지용 권상기(20b)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케이지용 로프(22b)의 일단은 상부 케이지(12b)의 천장면의 중앙 부근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14b)의 천장면의 중앙 부근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지용 로프(22b)의 상부 케이지(12b)와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14b) 사이 부분은, 상부 케이지용 권상기(20b)에 감겨 있다. 바꿔 말하면, 상부 케이지용 로프(22b)는, 일단에 있어서 상부 케이지(12b)의 천장에 고정되고, 상부 케이지(12b)로부터 상부 케이지용 권상기(20b)에 감긴 후 하부 케이지용 평형추(14a)의 로프 관통 구멍(26)을 지나며, 타단에 있어서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14b)의 천장에 고정되어 있다.
즉, 상부 케이지 엘리베이터(100b)는 1:1 로핑 방식으로 로프가 감긴 엘리베이터이다.
또한, 승강로(2) 저부의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14b) 아래쪽에는 상부 케이지용 완충기(28b)가 설치된다.
이렇게 구성된 하부 케이지 엘리베이터(100a)와, 상부 케이지 엘리베이터(100b)와의 승강로(2) 내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부 케이지(12b)와 하부 케이지(12a)는, 승강로(2) 내에서 승강 방향에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즉, 하부 케이지(12a)는, 상부 케이지(12b)의 바로 아래쪽에 배치되어, 항상 상부 케이지(12b)보다 아래쪽에서 승강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지용 평형추(14a)와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14b)는 승강로(2) 내에서 승강 방향에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즉, 하부 케이지용 평형추(14a)는,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14b)의 바로 위쪽에 배치되어, 항상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14b)보다도 위쪽에서 승강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지(12a)와 상부 케이지(12b)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가 설치된다.
도 3 및 도 4는,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3은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경우를 도시하고, 도 4는 측면으로부터 보았을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에 있어서, 1개의 하부 완충기(32a)가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해서 레일 그리퍼(rail gripper)(34)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완충기(32a)의 양측에는 2개의 상부 완충기(32b)가 위쪽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각각 레일 그리퍼(34)에 설치되어 있다.
또, 레일 그리퍼(34)의 양단은, 가이드 장치(36)에 접속되어, 가이드 장치(36)에 의해, 엘리베이터 케이지 가이드 레일(4)에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레일 그리퍼(34)의 상부 완충기(32b) 양측에는 지지부(38)가 설치된다. 각각의 지지부(38)에는, 각각 아래쪽 및 위쪽으로 돌출하는 하측 충돌 검출기(40a) 및 상측 충돌 검출기(40b)가 설치된다. 지지부(38)에는 기름이 충전되어, 평상시는 지지부(38)에 충전된 기름의 유압에 의해 각각의 충돌 검출기(40a, 40b)가 아래쪽 및 위쪽으로 돌출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지(12a) 천장면에는 파워 유닛(42)이 설치된다.
레일 그리퍼(34)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가이드 레일(4)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 하측 지지판(48a)과 상측 지지판(48b)을 구비한다.
하측 지지판(48a) 양단의 엘리베이터 케이지 가이드 레일(4)에 접하는 부분 에는, 각각 하부 유지 부재(50a)가 설치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하부 유지 부재(50a)에는, 각각 위쪽을 향해서 폭이 가늘어진 하부 쐐기형 홈(52a)이 설치된다. 하측 지지판(48a)은, 그 양단에 설정된 하부 쐐기형 홈(52a)이 엘리베이터 케이지 가이드 레일(4)에 결합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 가이드 레일(4)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하측 지지판(48a) 정면측의 양단부에는, 각각 L형 하부 레버(54a)가 설치된다. 각각의 하부 레버(54a)는, 세로 기둥 부분과, 이 세로 기둥 부분의 일단에 접속하고 세로 기둥 부분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된 가로 기둥 부분에 의해 구성된다. 각각의 하부 레버(54a)의 세로 기둥 부분은, 각각 하측 지지판(48a)의 양단에, 하부 회전핀(56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가로 기둥 부분은, 각각 정면측에서 배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하부 레버(54a)의 가로 기둥 부분의 배면측 일단에는 각각 하부 롤러(58a)가 설치된다. 각각의 하부 롤러(58a)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가이드 레일(4)과 함께, 각각의 하부 쐐기형 홈(52a)에 끼워 넣어져 있다.
각각의 하부 레버(54a)의 세로 기둥 부분에는, 가로 기둥 부분과 접속하는 부분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각각 하부 스프링(60a)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하부 스프링(60a)의 타단은 각각 가이드 장치(36)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하부 스프링(60a)은 하부 레버(54a)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한다.
각각의 하부 레버(54a)의 하부 스프링(60a) 설치 면에 대향하는 면측에는, 각각 유압식 하부 누름 장치(pressing device)(62a)가 설치된다. 각각의 하부 누름 장치(62a)는, 내부에 기름이 충전되어서 압력이 채워지고, 이 유압에 의해, 각각의 하부 스프링(60a)의 탄성력을 반대측, 즉 위쪽으로 되돌리는 힘을 발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측 지지판(48a)에는, 하부 유지 부재(50a), 하부 쐐기형 홈(52a), 하부 레버(54a), 하부 회전핀(56a), 하부 롤러(58a), 하부 스프링(60a), 하부 누름 장치(6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 지지판(48a)과는 수평 방향으로 선대칭되는 형태로, 상측 지지판(48b)의 양단에도, 상부 유지 부재(50b), 상부 쐐기형 홈(52b), 상부 레버(54b), 상부 회전핀(56b), 상부 롤러(58b), 상부 스프링(60b), 상부 누름 장치(62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상부 쐐기형 홈(52b)은, 하부 쐐기형 홈(52a)과는 반대로, 아래쪽으로 폭이 좁아진 형상을 한다. 또한, 상부 스프링(60b)은, 하부 스프링(60a)과는 반대로, 상부 레버(54b)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힘을 발휘한다. 따라서, 상부 누름 장치(62b)도 하부 누름 장치(62a)와는 반대로, 상부 스프링(60b)의 제동력에 대응하여 상부 레버(54b)를 아래쪽으로 되돌리는 힘을 발휘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부재가 설치된 하측 지지판(48a)과 상측 지지판(48b)이 엘리베이터 케이지 가이드 레일(4)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서, 레일 그리퍼(34)가 구성된다.
도 5는, 파워 유닛(42)과, 지지부(38) 및 누름 장치(62a, 62b)와의 접속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하부 케이지(12a)의 천장에 설정된 파워 유닛 (42)과, 각각의 지지부(38)는, 각각 지지부용 유압 배관(6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파워 유닛(42)과 각각의 하부 누름 장치(62a)는 각각 하부 누름 장치용 유압 배관(66a)에 접속되고, 파워 유닛(42)과 각각의 상부 누름 장치(62b)는 각각 상부 누름 장치용 유압 배관(66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워 유닛(42) 내에 있어서, 각각의 하부 누름 장치용 유압 배관(66a)과 각각의 지지부용 유압 배관(64)은, 각각 하부 밸브(68a)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상부 누름 장치용 유압 배관(66b)과 각각의 지지부용 유압 배관(64)은, 각각 상부 밸브(68b)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한쪽의 지지부(38)와 누름 장치(62a, 62b)의 접속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동일한 구조로 다른 쪽도 접속되어 있다.
도 6과 도 7은, 엘리베이터 장치(100)에 있어서, 하부 케이지(12a)가 상승하여 상부 케이지(12b)에 충돌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6은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경우, 도 7은 측면으로부터 보았을 경우를 도시한다. 또한, 도 8과 도 9는, 엘리베이터 장치(100)에 있어서, 상부 케이지(12b)가 하강하여 하부 케이지(12a)에 충돌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8은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경우를 도시하고, 도 9는 측면으로부터 보았을 경우를 도시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장치(100)의 하부 케이지 엘리베이터(100a)에 있어서는, 하부 케이지용 권상기(20a)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하부 케 이지용 로프(22a)가 이동한다. 이 하부 케이지용 로프(22a)의 이동에 따라, 하부 케이지(12a) 및 하부 케이지용 평형추(14a)가, 하부 케이지용 로프(22a)의 장력을 유지하고, 균형을 잡으면서 승강한다.
또한, 상부 케이지 엘리베이터(100b)에 있어서는, 상부 케이지용 권상기(20b)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부 케이지용 로프(22b)가 이동한다. 이 상부 케이지용 로프(22b)의 이동에 따라, 상부 케이지(12b) 및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14b)가, 상부 케이지용 로프(22b)의 장력을 유지하고, 균형을 잡으면서 승강한다.
또한, 이 때, 하부 케이지용 권상기(20a) 및 상부 케이지용 권상기(20b)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하부 케이지(12a) 및 상부 케이지(12b)를 승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하부 케이지 엘리베이터(100a)는 하부 케이지(12a)를 승강로(2)의 최하층보다 아래쪽으로 정지시킨 상태로 하고 상부 케이지 엘리베이터(100b)만을 가동시키는 등,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이용 빈도에 일치하는 운행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장치(100)에 있어서는, 각각의 엘리베이터(100a, 100b)가 함께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있을 경우에는, 각각의 엘리베이터 케이지(12a, 12b)가 서로 충돌하는 일이 없도록 제어되어 있다.
여기에서, 권상기의 고장 등, 어떤 원인에 의해, 하부 케이지(12a)가 승강로(2)의 최하층보다 더욱 아래쪽으로 하강하여도 제지하지 않을 경우, 하부 케이지(12a)는 하부 케이지용 완충기(28a)에 충돌한다. 하부 케이지용 완충기(28a)에 의해, 하부 케이지(12a)가 승강로(2)저부의 밑바닥에 충돌할 때의 충격이 완화된다.
또한, 상부 케이지(12b)가 승강로(2)의 최상층보다 더욱 위쪽으로 상승하여 도 제지하지 않을 경우,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14b)는 반대로 승강로(2)의 최하층보다 더욱 아래쪽으로 하강한다. 이 경우,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14b)는, 승강로(2) 저부에 설치된 상부 케이지용 완충기(28b)에 충돌한다. 상부 케이지용 완충기(28b)에 의해,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14b)가 승강로(2) 저부의 밑바닥에 충돌할 때의 충격이 완화된다. 또한, 이로써, 간접적으로, 상부 케이지(12b)가 승강로(2) 천장부에 충돌할 때의 충격도 완화되게 된다.
또한, 제어계의 고장 등에 의해, 예컨대 하부 케이지(12a)가 제지되지 않고, 정지중 혹은 감속중에 상부 케이지(12b)에 접근하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지(12a)의 천장면과 상부 케이지(12b)의 저면의 거리가 가깝게 된다. 이로써, 각각의 충돌 검출기(40a, 40b)가, 하부 케이지(12a)의 천장면과 상부 케이지(12b)의 저면 사이에 끼여서 눌리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충돌 검출기(40a, 40b)가 눌리면, 각각의 지지부(38)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고, 이로써 각각의 지지부(38) 내부에 충전된 기름이 각각의 지지부용 유압 배관(64)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배출된 기름에 의해, 각각의 지지부용 유압 배관(64) 내부가 소정의 압력으로 되어, 각각의 밸브(68a, 68b)가 개방된다. 이로써, 각각의 지지부(38) 내부의 기름은 각각의 지지부용 유압 배관(64)을 통과해 파워 유닛(42) 내로 배출되어, 각각의 충돌 검출기(40a, 40b)가 각각의 지지부(38) 내에 수납된 상태가 된다.
한편, 각각의 밸브(68a, 68b)가 동시에 개방되기 때문에, 각각의 누름 장치용 유압 배관(66a, 66b)을 통해 각각의 누름 장치(62a, 62b) 내에 충전된 기름이 배출된다. 이로써, 각각의 누름 장치(62a, 62b)의 유압력이 해제된다.
다시,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누름 장치(62a, 62b)의 유압력이 해제되면, 각각의 누름 장치(62a, 62b)에 되돌려져 있었던 각각의 스프링(60a, 60b)이 신장하여, 각각의 레버(54a, 54b)를 각각의 회전핀(56a, 56b)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각각의 롤러(58a, 58b)는, 각각의 쐐기형 홈(52a, 52b)의 폭의 좁아져 있는 측에 밀려, 엘리베이터 케이지 가이드 레일(4)과 각각의 쐐기형 홈(52a, 52b) 사이에 눌린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가, 엘리베이터 케이지 가이드 레일(4)에 지지되어서, 승강로(2) 도중에 정지한다.
예를 들면, 상부 케이지용 권상기(20b)의 고장 등에 의해 상부 케이지(12b)의 하강이 정지하지 않을 경우에, 상부 케이지(12b)는 정지한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의 상부 완충기(32b)에 충돌하여, 충돌의 충격이 완충되면서 정지한다.
또한, 하부 케이지(12a)가 상부 케이지(l2b)와 충돌했을 때의 충격은, 하부 완충기(32a)에 충돌함으로써 흡수된다. 또한, 하부 케이지(12a)는, 하부 케이지용 권상기(20a) 등의 고장에 의해 아래쪽으로 낙하했을 경우에는, 하부 케이지용 완충기(28a)에 충돌하여, 충돌의 충격이 완화되면서 정지한다.
한편, 엘리베이터 장치(100)의 상부 케이지(12b)의 하강이 제어되지 않아, 상부 케이지(12b)가 하강하여 하부 케이지(12a)에 충돌할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의 동작은 동일하다. 이 경우에도,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지(12a)의 천장면과 상부 케이지(12b)의 저면 사이의 거 리가 가깝게 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충돌 검출기(40a, 40b)가 눌리면, 각각의 지지부(38) 내의 기름이 지지부용 유압 배관(64)으로 배출되어, 밸브(68a, 68b)가 개방된다. 이로써, 각각의 누름 장치(62a, 62b)의 유압이 해제되어, 각각의 스프링(60a, 60b)이 신장한다. 이로써, 각각의 롤러(58a, 58b)가 각각의 쐐기형 홈(52a, 52b)에 끼워 넣어져, 쐐기 효과에 의해,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가 정지한다.
또한, 여기에서, 상부 케이지(12b)가 하부 케이지(12a)에 접근해서 충돌할 경우의 충격은 상부 완충기(32b)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하부 케이지용 권상기(20a) 등의 고장에 의해 하부 케이지(12a)가 낙하할 경우에는, 하부 케이지용 완충기(28a)에 충돌하여, 충돌의 충격이 흡수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있을 경우에는, 롤러(58a, 58b)와 가이드 레일(4)의 마찰력은 아래쪽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하부 롤러(58a)에 있어서는, 하부 스프링(60a)으로부터의 상향의 탄성력과는 반대인, 엘리베이터 케이지 가이드 레일(4)과의 마찰력이 걸림으로써, 하부 롤러(58a)가 하부 쐐기형 홈(52a)에 끼워 넣어지는 힘이 다소 약해진다. 이에 대하여, 상부 롤러(58b)에서는, 상부 스프링(60b)으로부터의 하향의 탄성력에 엘리베이터 케이지 가이드 레일(4)과의 하향의 마찰력이 더해짐으로써, 상부 롤러(58b)가 보다 강하게 상부 쐐기형 홈(52b)에 끼워 넣어진다.
반대로,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있을 경우에는, 각각의 롤러(58a, 58b)와 가이드 레일(4)과의 마찰력이 위쪽으로 작 용함으로써, 하부 롤러(58a)가 하부 쐐기형 홈(52a)에 끼워 넣어지는 힘이 강하다.
즉,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가 상승하고 있을 경우에는, 주로 상부 롤러(58b)와 상부 쐐기형 홈(52b)과의 쐐기 효과에 의해 그 상승이 정지하고, 하강하고 있을 경우에는, 주로, 하부 롤러(58a)와 하부 쐐기형 홈(52a)과의 쐐기 효과에 의해 그 하강이 정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의하면, 하부 케이지(12a)와 상부 케이지(12b) 사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에 의해, 충돌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는, 독립적으로 승강로(2)도중위치에 정지 할 수 있으므로, 상부 케이지(12b)의 하강을 그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하의 엘리베이터 케이지끼리의 충돌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실시형태 1에서는, 유압에 의해, 충돌을 검출하고,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를 정지시킬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에 의하면, 특히 전기적인 제어를 설치하는 일 없이 충돌을 검출하고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정지시키거나 충돌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컨대, 정전이나, 제어계의 고장 등의 경우에도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컨대 센서 등에 의해 충돌을 감지하고 전기적인 신호를 누름 장치에 보내어, 각각의 스프링(60a, 60b)의 탄성력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를 정지시키는 것이어도 되며,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가 하부 케 이지(12a) 위에 설치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부 케이지(12b)의 저부에 어떠한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 하부 케이지 엘리베이터(100a)는 2:1 로핑 방식으로 로프를 감은 것이며, 상부 케이지 엘리베이터(100b)는, 1:1 로핑 방식으로 로프를 감은 것일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로핑 방식에 의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는, l개의 하부 완충기(32a)와 2개의 상부 완충기(32b)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1개씩의 완충기를 설치한 것 등, 다른 개수 혹은 다른 배치여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 설명된 브레이크 장치(30)는, 레일 그리퍼(34)의 각각의 롤러(58a, 58b)와 각각의 쐐기형 홈(52a, 52b)과의 쐐기 효과에 의해, 엘리베이터 케이지 가이드 레일(4) 도중에 정지시키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방법에 의해 정지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나 다른 부재의 형상은,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면, 다른 형상, 구조에 의한 것이라도 좋다.
다음에, 도 1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다.
엘리베이터 장치(200)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엘리베이터 장치(100)와 유사한 것이지만, 엘리베이터 장치(100)와 다르고,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가 설치되지 않는다. 한편,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 대신에,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14b) 상부에 평형추간 브레이크 장치(70)가 설치된다.
평형추간 브레이크 장치(70)의 구조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의 구조와 같다. 평형추간 브레이크 장치(70)는,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와 같이 동작하고, 상하의 평형추(14a, 14b)가 접근했을 경우에 작동하며, 평형추 가이드 레일(6)에 결합하는 쐐기형 홈에 롤러를 끼워 넣게 하는 것에 의해, 평형추 가이드 레일(6)에 고정시킨다. 또한, 평형추간 브레이크 장치(70)에는, 아래쪽 및 위쪽에 완충기(32a, 32b)를 구비하고, 각각의 평형추(14a, 14b)가 정지한 평형추간 브레이크 장치(70)에 충돌하는 때는, 이 완충기(32a, 32b)에 충돌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상하의 평형추(14a, 14b) 사이의 충돌의 충격을 완화시킨다. 또한, 평형추(14a, 14b) 사이의 충돌이 완화되는 것에 의해, 각각 로프(22a, 22b)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12a, 12b)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거나 충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 밖의 부분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14b)의 천장에 평형추간 브레이크 장치(70)를 설치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부 케이지용 평형추(14a)(제 1의 승강체)의 저부에 평형추간 브레이크 장치(7O)를 설치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평형추(14a, 14b)의 사이에만 평형추간 브레이크(70)를 설치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를 엘리베이터 케이지(12a, 12b) 사이에 더 설치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로프가 절단되는 경우 등에 의한, 엘리베이터 케이지 혹은 평형추의 충돌 충격을 적절하게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승강체로는 예컨대 실시형태 1, 2에 있어서의 하부 케이지(12a), 상부 케이지(12b) 혹은 하부 케이지용 평형추(14a), 상부 케이지용 평형추(14b)(제 2의 승강체)가 해당하고, 구동 수단으로는 예컨대 하부 케이지용 권상기(20a), 상부 케이지용 권상기(20b)가 해당한다. 또한, 승강체간 브레이크 수단으로는 예컨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간 브레이크 장치(30) 혹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평형추간 브레이크 장치(70)가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완충기로는 예컨대 실시형태 1, 2에 있어서의 하부 완충기(32a), 상부 완충기(32b)가 해당하고, 검지 수단으로는 예컨대, 충돌 검출기(40a, 40b)가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동 부재로는 예컨대 실시형태 1, 2에 있어서의 각각의 롤러(58a, 58b)가 해당하고, 돌출 부재로는 예컨대 충돌 검출기(40a, 40b)가 해당하며, 가압 부재로는 예컨대 각각의 스프링(60a, 60b)이 해당하고, 누름 부재로는 예컨대 각각의 누름 장치(62a, 62b)가 해당하며, 검지 수단용 배관으로는 예컨대 지지부용 유압 배관(64)이 해당하고, 누름 부재용 배관으로는 예컨대 각각의 누름 장치용 배관(66a, 66b)이 해당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하에 배치되는 승강체 사이에, 독립적으로 정지하는 승강체간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하에 배치된 승강체가 직접 충돌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승강체끼리의 충돌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유용하다.
Claims (13)
- 승강로와,상기 승강로 내에 매달리고,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 1의 승강체와,상기 승강로 내의, 상기 제 1의 승강체의 하방에 매달려서, 상기 제 1의 승강체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 2의 승강체와,상기 제 1의 승강체 및 상기 제 2의 승강체를, 각각 독립하여 승강시키는 구동 수단과,상기 제 1의 승강체와, 제 2의 승강체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승강하고, 또 상기 제 1의 승강체와 상기 제 2의 승강체의 사이에서 독립하여 정지하는 승강체간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엘리베이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승강체간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 1의 승강체 또는 상기 제 2의 승강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 1의 승강체 또는 상기 제 2의 승강체의 충돌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엘리베이터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승강체간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 1의 승강체와, 상기 제 2의 승강체가 소정의 거리에 접근했을 경우에, 그 접근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한 접근의 검지에 따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엘리베이터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승강로는 상기 제 1의 승강체 및 상기 제 2의 승강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상기 승강체간 브레이크 수단은,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동 부재를 구비하고,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가이드 레일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엘리베이터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승강체간 브레이크 수단은,내부에 액체가 채워진 돌출하는 돌출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 1의 승강체와 상기 제 2의 승강체가 접근하여 상기 돌출부가 가압되는 것에 의해, 그 접근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가이드 레일에 가압하는 방향의 힘을 가하는 가압 부재와,내부에 액체를 채운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에 가압 부재와는 역방향의 힘을 가하는 누름 부재와,상기 검지 수단에 접속하고, 상기 돌출부가 눌렸을 경우에, 상기 검지 수단 내부의 액체를 배출할 수 있는 검지 수단용 배관과,상기 검지 수단용 배관에 접속되어 상기 검지 수단용 배관에 액체가 배출되면 개방되는 밸브와,상기 누름 부재와 상기 밸브에 접속하고, 상기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누름 부재 내부의 액체를 배출시키는 누름 부재용 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엘리베이터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승강체간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조합되는 쐐기형 홈을 구비하고,상기 제동 부재는 상기 쐐기형 홈에 끼워 넣어진 롤러이며,상기 탄성체는, 상기 쐐기형 홈에 상기 롤러를 끼워 넣고, 상기 롤러를 상기 가이드 레일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승강체간 브레이크 수단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엘리베이터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 1의 승강체 및 상기 제 2의 승강체는, 승강로 내에, 서로 상하로 배치된 케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엘리베이터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 1의 승강체는, 제 1의 로프를 거쳐서 제 1의 케이지에 접속된 평형추이고,상기 제 2의 승강체는, 제 2의 로프를 거쳐서 제 2의 케이지에 접속된 평형추이며,상기 구동 수단은,상기 제 1의 로프가 감겨져서, 상기 제 1의 케이지와 상기 제 1의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제 1의 권상기와,상기 제 2의 로프가 감겨져서, 상기 제 2의 케이지와 상기 제 2의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제 2의 권상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2/013445 WO2004058621A1 (ja) | 2002-12-24 | 2002-12-24 | エレベータ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02831A KR20050002831A (ko) | 2005-01-10 |
KR100633948B1 true KR100633948B1 (ko) | 2006-10-13 |
Family
ID=3267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13131A KR100633948B1 (ko) | 2002-12-24 | 2002-12-24 | 엘리베이터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1577250B1 (ko) |
JP (1) | JP4302062B2 (ko) |
KR (1) | KR100633948B1 (ko) |
CN (1) | CN1321874C (ko) |
WO (1) | WO200405862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6065241A2 (en) | 2004-12-16 | 2006-06-22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system with multiple cars in a hoistway |
CN102530683A (zh) * | 2004-12-16 | 2012-07-04 | 奥蒂斯电梯公司 | 在井道内具有多个轿厢的电梯系统 |
US20110120809A1 (en) * | 2007-12-14 | 2011-05-26 | Hans Kocher | Collision brake for two elevator bodies moving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CN105967023A (zh) * | 2016-07-25 | 2016-09-28 | 无锡福镁轻合金科技有限公司 | 一种施工升降机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896776A (en) * | 1928-02-17 | 1933-02-07 |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 Multiple elevator system |
JPS59153773A (ja) * | 1983-02-04 | 1984-09-01 | 株式会社東芝 | エレベ−タ |
JPH02106570A (ja) * | 1988-10-12 | 1990-04-18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 |
JPH07157243A (ja) * | 1993-12-07 | 1995-06-20 | Hitachi Ltd | エレベータの衝突防止装置 |
JP2004168450A (ja) * | 2002-11-18 | 2004-06-17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ー装置 |
-
2002
- 2002-12-24 CN CNB028275098A patent/CN1321874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12-24 EP EP02808322A patent/EP157725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12-24 JP JP2004562844A patent/JP430206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12-24 KR KR1020047013131A patent/KR10063394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12-24 WO PCT/JP2002/013445 patent/WO200405862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577250B1 (en) | 2012-12-19 |
JPWO2004058621A1 (ja) | 2006-04-27 |
CN1615264A (zh) | 2005-05-11 |
KR20050002831A (ko) | 2005-01-10 |
EP1577250A4 (en) | 2011-05-25 |
EP1577250A1 (en) | 2005-09-21 |
WO2004058621A1 (ja) | 2004-07-15 |
CN1321874C (zh) | 2007-06-20 |
JP4302062B2 (ja) | 2009-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562910B (zh) | 电梯装置 | |
KR101617572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20130093650A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6238270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US7607518B2 (en) | Emergency brake of elevator | |
KR100633948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20220147834A (ko) |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 |
EP1914188B1 (en) | Elevator device | |
JP4190947B2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JP2006315796A (ja) |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装置 | |
JP6301010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US5238088A (en) | Pit buffer assembly for high speed elevators | |
JP6289743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2012158440A (ja) | エレベータ | |
JP2016204061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0813767B1 (ko) |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 |
JP7520262B2 (ja)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作動装置 | |
JP4433888B2 (ja) |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 | |
JP4248678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WO2022249793A1 (ja) | 非常止め装置、エレベーター及び非常止め装置の復帰方法 | |
CN110171760B (zh) | 调速器张紧机构、调速器装置及电梯 | |
JPWO2018179182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0429303B1 (ko) |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 |
JPH08324914A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