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834A -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834A
KR20220147834A KR1020210054842A KR20210054842A KR20220147834A KR 20220147834 A KR20220147834 A KR 20220147834A KR 1020210054842 A KR1020210054842 A KR 1020210054842A KR 20210054842 A KR20210054842 A KR 20210054842A KR 20220147834 A KR20220147834 A KR 20220147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l prevention
fixed
carrier
locking p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093B1 (ko
Inventor
박맹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라산업
Priority to KR1020210054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09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rope or cable sl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Abstract

본 발명은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을 운반하는 운반구가 프레임 구조체 내에서 승하강되도록 구동하는 산업용 리프트에 있어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추락방지공이 형성되는 수직빔과, 양단이 상기 양측의 수직빔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직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과, 상단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을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승강실린더와, 양단이 상기 수직빔의 양측에 일정 높이 선상으로 수평방향으로 각각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시브를 통과하여, 타단이 운반구에 고정되는 체인을 포함하는 이송연결부와, 상기 운반구의 일측에 잠금핀이 설치되어, 상기 체인이 단락될 경우, 상기 추락방지공으로 상기 잠금핀이 고정되도록 하는 추락방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일측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풀리와, 일단이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풀리를 통과하여 타단이 상기 운반구의 일측면으로 연장되는 연결와이어와, 상기 운반구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탄성반발력에 의해 상기 추락방지공을 향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되, 일측면에 직하방으로 삽입공이 형성되는 잠금핀과, 상기 연결와이어의 타단에 고정되되, 상기 삽입공 내측으로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상기 체인이 끊어질 경우, 상기 운반구가 낙하하면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삽입공 내측에서 분리되어, 상기 잠금핀이 탄성반발력에 의해 상기 수직빔에 형성된 추락방지공 내측으로 일단부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운반구를 지지하는 일측의 체인이 단락되더라도, 잠금핀이 즉각적으로 수직빔에 고정됨에 의해, 운반구가 추락하는 것을 물리적인 방식으로 방지하여 현장에서의 대형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함께, 잠금핀의 타측에 접지된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잠금핀이 접촉해제됨을 전자식 센싱방식으로 센싱하여 승강실린더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어, 승강실린더의 부가적인 동작에 의해 다른 쪽의 체인도 함께 끊어지지 않도록 하여, 추후 유지보수 수리가 매우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반구의 양측으로 수평유지와이어를 로핑시켜, 일측의 체인이 떨어져 운반구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하방으로 낙하되더라도, 수평유지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운반구가 양측으로 요동되지 않고 어느정도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운반구 내측의 화물이 하방으로 추락하지 않아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Industrial lift with fall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구를 승하강시키는 체인이 끊어지더라도 잠금핀이 즉각적으로 수직빔에 고정되도록 함과 함께, 수평유지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운반구가 양측으로 요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엘리베이터는 고층건물의 공사장이나 대규모 공구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화물을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반물을 싣고 승강로(1)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대(2)와 승강대(2)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권양기(4), 승강대(2)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5), 권양기(4)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6), 승강대(2)와 카운터 웨이트(6)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3), 승강대(2)가 비정상적으로 하강할 때 강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정지장치(7), 비상정지장치(7)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속기(8)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비상정지장치는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지(W)와 구동브레이커(9a), 종동 브레이커(9b), 힌지축(9c), 연동링크(미도시), 구동링크(9e), 로프소켓(9f), 댐퍼스프링(9g) 및 메인블록(9h) 등 다수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승강대(2)가 일정속도 이상으로 하강할 때 승강대(2)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5)을 강하게 파지함으로써 승강대(2)의 하강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산업용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는 가이드레일(5)을 강하게 파지함에 의하여 승강대(2)를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비상정지장치(7)와 가이드레일(5) 간에 마찰력이 지나치게 발생하여 오동작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한 비상정지장치는 웨지(W)와 구동브레이커(9a), 종동브레이커(9b), 힌지축(9c), 연동링크, 구동링크(9e), 로프소켓(9f), 댐퍼스프링(9g) 및 메인블록(9h) 등 다수의 구성요소를 구비하여 작동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각 부품을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승강용 와이어로프가 파손될 경우 즉각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승강대(2)가 30m/min 이상 추락한 후 비상정지되는 구조이어서, 운행구간이 비교적 짧은 약 10m 이내인 운행거리를 갖는 산업용 리프트에는 대응시간이 긴 승강기용 비상정지장치를 그대로 적용시키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 2011-10665호에 관한 도 3을 참조하면, 리프트의 하강 시에는 솔레노이드(21)에 의해 멈춤쇠(22)가 체인(40)과의 결합을 해제하고 체인(40)과 맞물려 회전하는 체인기어(31)의 회전을 속도감지센서(32)를 통해 읽어 평균속도에 비해 빠른 회전속도가 감지되면 솔레노이드(21)의 전원을 차단시켜 솔레노이드(21)와 결합된 멈춤쇠(22)가 체인(40)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하강 시 발생되는 리프트 오작동 또는 와이어로프의 파손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속도감지에 의한 추락방지 대책은 종래와 같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떨어진 다음 체인에 결속되도록 하여 실제로는 즉각적인 사고대처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어 리프트가 균형을 잃고 리프트 내부 화물이 추락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아울러 체인(40)이 끊어질 경우에는 대처할 방법이 없으며, 더욱이, 전자장비 오류로 센서 오작동 발생 우려도 항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산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 방식에 대한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다양한 원인으로 리프트 추락이 발생되더라도, 리프트가 추락하지 않고 신속하게 멈출 수 있도록 함과 함께, 리프트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평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1-1066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용 리프트의 프레임 구조체 내측에서 승하강하는 운반구가 추락할 경우, 물리적인 방식으로 프레임 구조체의 수직빔 상에 잠금핀이 강제적으로 끼워져 추락이 방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구의 양측으로 수평유지와이어가 로핑되도록 하여, 운반구를 승하강시키는 일측의 체인이 끊어지더라도 운반구가 쉽게 양측으로 요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화물을 운반하는 운반구가 프레임 구조체 내에서 승하강되도록 구동하는 산업용 리프트에 있어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추락방지공이 형성되는 수직빔과, 양단이 상기 양측의 수직빔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직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과, 상단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을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승강실린더와, 양단이 상기 수직빔의 양측에 일정 높이 선상으로 수평방향으로 각각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시브를 통과하여, 타단이 운반구에 고정되는 체인을 포함하는 이송연결부와, 상기 운반구의 일측에 잠금핀이 설치되어, 상기 체인이 단락될 경우, 상기 추락방지공으로 상기 잠금핀이 고정되도록 하는 추락방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일측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풀리와, 일단이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풀리를 통과하여 타단이 상기 운반구의 일측면으로 연장되는 연결와이어와, 상기 운반구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탄성반발력에 의해 상기 추락방지공을 향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되, 일측면에 직하방으로 삽입공이 형성되는 잠금핀과, 상기 연결와이어의 타단에 고정되되, 상기 삽입공 내측으로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상기 체인이 끊어질 경우, 상기 운반구가 낙하하면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삽입공 내측에서 분리되어, 상기 잠금핀이 탄성반발력에 의해 상기 수직빔에 형성된 추락방지공 내측으로 일단부가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잠금핀이 횡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운반구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관통공의 일단부측에는 원호를 따라 내측으로 단턱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잠금핀의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링과, 상기 잠금핀이 관통되어 상기 관통공 내측에 수납되되, 일단이 상기 단턱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링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잠금핀이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고정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이 상기 삽입공 내측에서 이탈되면,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상기 지지링이 가압되어 상기 고정캡의 일단부에 밀착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체인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운반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잠금핀의 양단부는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각 잠금핀의 일단이 상기 삽입공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각 잠금핀의 타단에 각각 접촉되는 제1, 제2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제1, 제2 리미트 스위치의 접촉상태에 따라 상기 승강실린더를 구동시키는 동작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동작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 제2 리미트 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접촉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승강실린더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더욱이, 상기 회전풀리는 상기 수직빔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시브의 일측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풀리를 통과하여 타단이 상기 운반구의 일측면으로 연장되되, 상기 회전풀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와이어가 상기 수직빔에 형성된 추락방지공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운반구의 하부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아이들롤러를 통과하여, 상기 연결와이어가 상기 잠금핀의 삽입공을 향하여 직하방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간섭방지용와이어유도부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아울러, 일단이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 천장면에 고정되며 하방으로 상기 운반구의 일측면으로 연장되는 수평유지와이어와, 상기 운반구의 일측면 상단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롤러와, 상기 운반구의 타측면 상단에 설치되는 제2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수평유지와이어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천장에서 상기 제1 가이드롤러의 하부측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2 가이드롤러의 상부측을 지나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수평유지부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더욱이,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되, 상기 수평유지와이어의 단부가 결속되어 상기 수평유지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더욱이, 상기 수평유지부는 상기 운반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운반구를 지지하는 일측의 체인이 단락되더라도, 잠금핀이 즉각적으로 수직빔에 고정됨에 의해, 운반구가 추락하는 것을 물리적인 방식으로 방지하여 현장에서의 대형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함께, 잠금핀의 타측에 접지된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잠금핀이 접촉해제됨을 전자식 센싱방식으로 센싱하여 승강실린더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어, 승강실린더의 부가적인 동작에 의해 다른 쪽의 체인도 함께 끊어지지 않도록 하여, 추후 유지보수 수리가 매우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반구의 양측으로 수평유지와이어를 로핑시켜, 일측의 체인이 떨어져 운반구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하방으로 낙하되더라도, 수평유지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운반구가 양측으로 요동되지 않고 어느정도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운반구 내측의 화물이 하방으로 추락하지 않아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산업용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산업용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한국공개특허 제 2011-10665호에 따른 산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의 전,후방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의 정면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에 설치되는 수평유지부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의 전,후방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의 정면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는 화물운반 또는 작업인부들이 탑승할 수 있는 운반구(A)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프레임 구조체(100) 내에서 승하강되도록 구동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수직빔(110), 이동프레임(120), 승강실린더(130), 고정프레임(140), 이송연결부(200) 및 추락방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빔(110)은 프레임 구조체(100)의 양측 주주 역할로서,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운반구(A)가 승하강되도록 일정 길이로 설치되며, 운반구(A)와 맞닿게 되는 수직빔(110)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추락방지공(11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동프레임(120)은 양단이 양측의 수직빔(110) 사이로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수직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H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수직빔(110)의 내측면으로 이동프레임(120)의 양단이 삽입되며, 롤러에 의해 수직빔(110)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승강실린더(130)는 상기의 이동프레임(120)을 상하로 승하강시키도록 하단이 프레임 구조체(100)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단이 이동프레임(120)의 일측면 즉, 이동프레임(120)의 하부면에 고정설치된다.
고정프레임(140)은 수직빔(110)의 일정 높이 선상에서 양단이 양측의 수직빔(110)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고정된다.
이송연결부(200)는 운반구(A)를 프레임 구조체(100)에서 승하강되도록 연결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고정프레임(140)에 고정되고, 타측 상부로 연장되어 이동프레임(120)의 일측면, 도면에서는 이동프레임(120)의 하부면에 고정설치되는 시브(210)를 통과하여, 타단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운반구(A)에 고정되는 체인(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이송연결부(200)는 고정프레임(140)의 양단부측에 각각 설치되어 승강실린더(130)의 승하강에 의해 체인(220)이 시브(210)를 따라 이동되면서 운반구(A)가 승하강되도록 한다.
추락방지부(300)는 운반구(A)의 일측에 설치된 잠금핀(350)이 체인(220)의 단락에 의해, 추락방지공(111)으로 삽입고정되도록 하여, 운반구(A)가 하방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이러한 추락방지부(300)는 회전풀리(310), 연결와이어(320), 고정핀(390), 케이스(330), 잠금핀(350), 지지링(360), 코일스프링(370) 및 고정캡(3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풀리(310)는 프레임 구조체(100)의 일측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의 회전풀리(310)는 수직빔(110)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시브(210)의 일측에 자유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연결와이어(320)는 프레임 구조체(100)에 고정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연결와이어(320)의 일단이 고정프레임(140)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연장되어 회전풀리(310)를 통과하여 다시 하방으로 연결와이어(320)의 타단이 운반구(A)의 일측면으로 연장된다.
고정핀(390)은 연결와이어(320)의 타단에 고정되며, 후술될 잠금핀(350) 내측으로 삽입되어 탄성반발력에 의해 전진하려는 잠금핀(350)이 이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케이스(330)는 운반구(A)의 하단에, 수직빔(110)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내측으로는 잠금핀(350)이 횡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관통공(340)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공(340)의 일단부측에는 원호를 따라 내측으로 단턱(341)이 돌출형성된다.
잠금핀(350)은 상기의 케이스(330) 내측 관통공(340)으로 삽입되되, 잠금핀(350)의 양단부가 케이스(33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잠금핀(350)은 일단부가 추락방지공(111)을 향하여 횡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며, 일측면에는 직하방으로 삽입공(351)이 형성되어, 삽입공(351) 내측으로 고정핀(390)이 삽입된다.
지지링(360)은 잠금핀(350)의 외연을 둘러싸도록 외측면에 고정설치된다.
코일스프링(370)은 잠금핀(350)이 내측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관통공(340) 내측에 수납되되, 코일스프링(370)의 일단은 단턱(341)에 의해 지지되며, 코일스프링(370)의 타단은 지지링(360)에 지지되도록 하여, 잠금핀(350)의 전후방향 이동에 의해 코일스프링(370)이 단턱(341)과 지지링(360) 내에서 압축 및 이완되도록 한다.
고정캡(380)은 잠금핀(350)이 삽입되는 통공(381)이 형성되며, 관통공(340)의 타단부에 고정되되, 이러한 고정캡(380)은 지지링(360)이 코일스프링(370)의 탄성에 의해 관통공(34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와 같이 평상시 운반구 승하강 동작에서는 잠금핀(350)이 후방으로 밀려 코일스프링(370)이 지지링(360)에 의해 탄성가압된 상태에서, 고정핀(390)이 잠금핀(350)의 삽입공(351)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만일, 체인(220)이 단락될 경우에는 운반구(A)가 낙하되면서 고정프레임(140)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연결와이어(320)가 당겨지면서, 연결와이어(320)의 타단에 고정된 고정핀(390)이 잠금핀(350)의 삽입공(351) 내측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잠금핀(350)은 이러한 고정핀(390)의 이탈로 코일스프링(370)의 탄성복원력이 관통공(340)을 따라 전방으로 전달되어, 잠금핀(350)의 일단이 추락방지공(111)이 형성되는 수직빔(110)의 일측면에 밀착접지되며, 아울러 운반구(A)는 체인(220)이 끊어짐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되면서 상기의 잠금핀(350)이 수직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가압슬라이딩되다가, 하부에 형성된 추락방지공(111) 내측으로 삽입고정된다.
이에 따라, 추락하던 운반구(A)는 잠금핀(350)의 물리적인 고정에 의해 추락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언급하자면, 본 발명은 운반구(A)를 지탱하는 체인(220)이 끊어지게 되면, 체인(220)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된 연결와이어(320)도 이와 함께 운반구(A)에서 떨어지면서, 연결와이어(320)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핀(390)이 잠금핀(350) 내측에서 분리되어 잠금핀(350)이 물리적인 방식에 의해 즉각적으로 수직빔(110)에 형성된 추락방지공(111) 내측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더욱이, 체인(220)은 고정프레임(14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추락방지부(300)는 운반구(A)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 잠금핀(350)의 일단부가 양측 수직빔(110)의 각 삽입공(351)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각 잠금핀(350)의 타단에 각각 접촉되는 제1, 제2 리미트 스위치(410, 420)와, 제1, 제2 리미트 스위치(410, 420)의 접촉상태에 따라 승강실린더(130)의 구동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500)를 더 포함하여, 일측의 체인(220)의 끊어짐에 의해 잠금핀(350)의 물리적인 이동동작으로 잠금핀(350)이 제1, 제2 리미트 스위치(410, 420) 중 어느 하나가 잠금핀(350)에서 떨어지면서 접촉해제되는 것을 동작제어부(500)에서 판단하여 승강실린더(13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의 체인(220)의 끊어짐을 물리적인 작동에 의해 운반구(A)가 낙하되지 않고 수직빔(110)의 일정 높이 선상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잠금핀(350)의 물리동작으로 인해 제1, 제2 리미트 스위치(410, 420)에서 접촉해제됨을 전자식 센싱방식으로 인식되도록 하여 승강실린더(130)의 동작을 자동으로 중단시켜 추가적인 동작에 의해 다른 쪽의 체인(220)도 함께 끊어지지 않도록 하여, 추후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도록 한다.
아울러, 이러한 연결와이어(320)는 잠금핀(350)의 직상방에 위치하여 고정핀(390)이 즉각적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운반구(A)의 승하강 동작에 의해 연결와이어(320)가 수직빔(110) 사이에서 간섭이 발생되어, 끊어질 우려가 있어 연결와이어(320)를 운반구(A)와 수직빔(110) 사이에서 어느 정도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연결와이어(320)가 로핑되는 회전풀리(310)가 수직빔(110)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시브(210)의 일측에 자유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연결와이어(320)가 전풀리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수직빔(110)에서 떨어져 연장된다.
더욱이, 회전풀리(310)를 지나 운반구(A)측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와이어(320)를 추락방지공(111)으로 다시 유도되도록 운반구(A)의 하부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들롤러(610)를 설치하여, 연결와이어(320)가 아이들롤러(610)를 따라 로핑되면서 연결와이어(320)의 단부가 잠금핀(350)의 삽입공(351)을 향하여 직하방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간섭방지용와이어유도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에 설치되는 수평유지부(700)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에서는 운반구(A)에 수평유지부(700)를 더 설치하여, 일측의 체인(220)이 손상되어 순식간에 떨어져 나가더라도 운반구(A)가 급강하하더라도 수평유지부(700)에 의해 운반구(A)의 전후 양측부분이 어느정도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러한 수평유지부(700)는 일단이 프레임 구조체(100)의 상부 천장면에 고정되며, 하방으로 운반구(A)의 일측면으로 연장되는 수평유지와이어(710)와, 운반구(A)의 일측면 상단, 즉 운반구(A)의 입구측 전면 상단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롤러(720)와, 운반구(A)의 타측면 상단, 즉 운반구(A)의 입구 반대측 전면 상단에 설치되는 제2 가이드롤러(730)를 포함하여, 수평유지와이어(710)가 프레임 구조체(100)의 천장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제1 가이드롤러(720)의 하부를 통과하여 제2 가이드롤러(730)를 향하여 연장되며, 제2 가이드롤러(730)의 상부측을 거쳐 하방으로 다시 연장되도록 로핑되어, 타단이 프레임 구조체(100)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프레임 구조체(10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장력조절장치(740)를 더 포함하여, 수평유지와이어(710)의 타단이 장력조절장치(740)에 결속되어 제1, 제2 가이드롤러(730)에 로핑되는 수평유지와이어(710)의 장력을 조절하여 운반구(A)의 전후방측 바닥면이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아울러 이러한 수평유지부(700)는 수직빔(110)의 양측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일측의 체인(220)이 끊어지더라도 이러한 운반구(A)의 양측으로 로핑되는 수평유지와이어(710)의 장력에 의해 운반구(A)가 쉽게 기울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운반구(A)를 매달고 있는 체인(220)이 끊어지더라도, 잠금핀(350)이 즉각적으로 이동되어, 수직빔(110)의 일정 높이 선상에서 고정되도록 함과 함께, 수평유지와이어(710)의 장력에 의해 운반구(A)가 양측으로 요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프레임 구조체 110 : 수직빔
111 : 추락방지공 120 : 이동프레임
130 : 승강실린더 140 : 고정프레임
200 : 이송연결부 210 : 시브
220 : 체인
300 : 추락방지부 310 : 회전풀리
320 : 연결와이어 330 : 케이스
340 : 관통공 341 : 단턱
350 : 잠금핀 351 : 삽입공
360 : 지지링 370 : 코일스프링
380 : 고정캡 381 : 통공
390 : 고정핀
410 : 제1 리미트 스위치 420 : 제2 리미트 스위치
500 : 동작제어부
600 : 간섭방지용와이어유도부 610 : 아이들롤러
700 : 수평유지부 710 : 수평유지와이어
720 : 제1 가이드롤러 730 : 제2 가이드롤러
740 : 장력조절장치

Claims (7)

  1. 화물을 운반하는 운반구가 프레임 구조체 내에서 승하강되도록 구동하는 산업용 리프트에 있어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추락방지공이 형성되는 수직빔과;
    양단이 상기 양측의 수직빔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직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과;
    상단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을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승강실린더와;
    양단이 상기 수직빔의 양측에 일정 높이 선상으로 수평방향으로 각각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시브를 통과하여, 타단이 운반구에 고정되는 체인을 포함하는 이송연결부와;
    상기 운반구의 일측에 잠금핀이 설치되어, 상기 체인이 단락될 경우, 상기 추락방지공으로 상기 잠금핀이 고정되도록 하는 추락방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일측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풀리와,
    일단이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풀리를 통과하여 타단이 상기 운반구의 일측면으로 연장되는 연결와이어와,
    상기 운반구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탄성반발력에 의해 상기 추락방지공을 향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되, 일측면에 직하방으로 삽입공이 형성되는 잠금핀과,
    상기 연결와이어의 타단에 고정되되, 상기 삽입공 내측으로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상기 체인이 끊어질 경우, 상기 운반구가 낙하하면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삽입공 내측에서 분리되어, 상기 잠금핀이 탄성반발력에 의해 상기 수직빔에 형성된 추락방지공 내측으로 일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잠금핀이 횡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운반구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관통공의 일단부측에는 원호를 따라 내측으로 단턱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잠금핀의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링과,
    상기 잠금핀이 관통되어 상기 관통공 내측에 수납되되, 일단이 상기 단턱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링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잠금핀이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고정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이 상기 삽입공 내측에서 이탈되면,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상기 지지링이 가압되어 상기 고정캡의 일단부에 밀착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운반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잠금핀의 양단부는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각 잠금핀의 일단이 상기 삽입공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각 잠금핀의 타단에 각각 접촉되는 제1, 제2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제1, 제2 리미트 스위치의 접촉상태에 따라 상기 승강실린더를 구동시키는 동작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동작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 제2 리미트 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접촉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승강실린더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풀리는 상기 수직빔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시브의 일측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풀리를 통과하여 타단이 상기 운반구의 일측면으로 연장되되,
    상기 회전풀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와이어가 상기 수직빔에 형성된 추락방지공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운반구의 하부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아이들롤러를 통과하여, 상기 연결와이어가 상기 잠금핀의 삽입공을 향하여 직하방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간섭방지용와이어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5. 제 4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 천장면에 고정되며 하방으로 상기 운반구의 일측면으로 연장되는 수평유지와이어와,
    상기 운반구의 일측면 상단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롤러와,
    상기 운반구의 타측면 상단에 설치되는 제2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수평유지와이어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천장에서 상기 제1 가이드롤러의 하부측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2 가이드롤러의 상부측을 지나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수평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되, 상기 수평유지와이어의 단부가 결속되어 상기 수평유지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부는 상기 운반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KR1020210054842A 2021-04-28 2021-04-28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KR102504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842A KR102504093B1 (ko) 2021-04-28 2021-04-28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842A KR102504093B1 (ko) 2021-04-28 2021-04-28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834A true KR20220147834A (ko) 2022-11-04
KR102504093B1 KR102504093B1 (ko) 2023-02-28

Family

ID=8410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842A KR102504093B1 (ko) 2021-04-28 2021-04-28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0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6532A (zh) * 2023-04-20 2023-06-06 广东南桂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大车运动机构及起重机
CN117228484A (zh) * 2023-11-13 2023-12-15 烟台市政府投资工程建设服务中心 一种建筑施工升降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399A (ko) * 2002-12-18 2004-06-25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자유낙하 방지용 제동장치
KR100893891B1 (ko) * 2007-05-11 2009-04-20 신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
KR20110010665A (ko) 2011-01-14 2011-02-01 세계실업(주) 산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399A (ko) * 2002-12-18 2004-06-25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자유낙하 방지용 제동장치
KR100893891B1 (ko) * 2007-05-11 2009-04-20 신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
KR20110010665A (ko) 2011-01-14 2011-02-01 세계실업(주) 산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6532A (zh) * 2023-04-20 2023-06-06 广东南桂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大车运动机构及起重机
CN116216532B (zh) * 2023-04-20 2023-09-26 广东南桂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大车运动机构及起重机
CN117228484A (zh) * 2023-11-13 2023-12-15 烟台市政府投资工程建设服务中心 一种建筑施工升降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228484B (zh) * 2023-11-13 2024-03-15 烟台市政府投资工程建设服务中心 一种建筑施工升降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093B1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2558B1 (ko) 엘리베이터
KR100326109B1 (ko)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JP663320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504093B1 (ko)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KR20150095918A (ko) 리프트의 설치 방법
KR101036020B1 (ko) 산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CN101486424B (zh) 电梯绳索止振装置
JP200625676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480892B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JP4672656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WO2016135922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394448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86297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3010604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9173429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727631B1 (ko) 엘리베이터용 승강대 추락 방지장치
JP200225546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の非常停止装置
CN110054057B (zh) 电梯装置
JP2005104653A (ja) エレベータ
KR10063394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16162984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62754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13767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JP2004203533A (ja) エレベータかごの非常停止装置
CN114364627B (zh) 施工用升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