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892B1 -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892B1
KR102480892B1 KR1020220135025A KR20220135025A KR102480892B1 KR 102480892 B1 KR102480892 B1 KR 102480892B1 KR 1020220135025 A KR1020220135025 A KR 1020220135025A KR 20220135025 A KR20220135025 A KR 20220135025A KR 102480892 B1 KR102480892 B1 KR 102480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support
hoistway
roller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삼안엘리베이터(주)
이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안엘리베이터(주), 이상엽 filed Critical 삼안엘리베이터(주)
Priority to KR1020220135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동모터가 승강로의 하부에 배치되고 별도의 기계실이 없는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는, 승강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카와; 상기 승강로의 하부에서 상기 승강카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승강카의 상부 양측에 장착된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보다 상부에서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 제1고정빔과;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 제3롤러와; 상기 승강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평형추와; 상기 평형추에 장착된 제4롤러와;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 제2고정빔과; 상기 승강카와 상기 평형추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와이어로프는 일단이 상기 제1고정빔에 고정되고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를 거쳐 상기 구동모터에 감긴 후 상기 제3롤러와 제4롤러를 거쳐 타단이 상기 제2고정빔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승강카의 최하단보다 하부에 형성된 하부피트의 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 BOTTOM DRIVING ELEVATOR }
본 발명은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동모터가 승강로의 하부에 배치되고 별도의 기계실이 없는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아파트 또는 사물실용 고층건물 등을 건축할 시에는 건물에 필연적으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승강작동할 수 있는 통로로서 승강로가 시공되는데, 이러한 엘리베이터 승강로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건물의 각 층에는 상기 승강로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승강로에는 통상적으로 승강카와, 평형추 및 상기 승강카와 평형추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카를 움직이는 권상기에 권취되는 로프와, 승강카나 평형추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한편, 승강카와 제어반을 연결하는 제어케이블, 승강카의 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류 등이 설치되고, 또한 승강로의 각층 개구부에는 도어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승강로 하부에는 승강카가 최하층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카 하부면과 상기 승강로 바닥면 사이에는 피트가 제공되는 바, 그 피트형상은 승강로의 유효면적이 그대로 규정되어 있는 깊이까지 내려가 있도록 설계되며, 이와같은 피트내에는 상기 피트가 극단적으로 깊은 경우에 엘리베이터 보수·점검을 위한 사다리 또는 도어 스위치가 달린 점검구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승강로 구조는 그 승강로 상부 또는 하부 일정위치에 승강카를 구동하기 위한 권상기가 설치되며, 이때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승강로 하부의 기계실 제공여부에 따라 승강로 구조는 각각 상이하게 구성된다.
종래의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모터 등에 배치되기 위한 별도의 기계실이 존재하였고, 와이어로프의 양끝단이 승강카와 평형추에 각각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평형추의 이동시 흔들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하부구동형의 경우 승강로의 하부에 배치된 모터 등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관련규정에 따라 점검 및 작업공간이 필요한데, 종래에는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시설 또는 장치가 없었다.
등록실용신안 20-019947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기계실이 필요없고, 평형추의 이동시 흔들림을 최소화하며, 승강로의 하부에 배치된 모터를 점검하기 위해 관련규정에 맞는 공간을 구현할 수 있는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는, 승강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카와; 상기 승강로의 하부에서 상기 승강카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승강카의 상부 양측에 장착된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보다 상부에서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 제1고정빔과;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 제3롤러와; 상기 승강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평형추와; 상기 평형추에 장착된 제4롤러와;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 제2고정빔과; 상기 승강카와 상기 평형추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와이어로프는 일단이 상기 제1고정빔에 고정되고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를 거쳐 상기 구동모터에 감긴 후 상기 제3롤러와 제4롤러를 거쳐 타단이 상기 제2고정빔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승강카의 최하단보다 하부에 형성된 하부피트의 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카 하부에 장착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하부피트에서 상방향으로 길게 장착되어, 상기 승강카의 추락시 상기 완충부재와 접하여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지지대와; 상기 하부피트에서 상방향으로 설치되는 점검용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점검용지지대는 수축된 상태에서 최상단이 상기 완충지지대의 최상단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최대 전개된 상태에서 최상단이 상기 완충지지대의 최상단보다 높게 배치되며, 상기 점검용지지대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점검용지지대의 최상단은 상기 완충부재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점검용지지대는 다수개의 지지바가 접철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점검용지지대는, 하단이 상기 하부피트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지지바와; 하단이 상기 제1지지바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바와; 하단이 상기 제2지지바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지지바와; 상기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를 고정 결합시키고, 상기 제2지지바와 제3지지바를 고정 결합시키는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지지바와 제3지지바가 세워져 상기 제1지지바, 제2지지바 및 제3지지바가 일직선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3지지바의 상단은 상기 완충지지대의 최상단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점검용지지대는, 상기 제2지지바에 고정 결합되는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지지바가 상기 제1지지바에 대하여 회전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지지대의 하단은 상기 하부피트의 저면에 접하여 상기 제2지지바를 지지한다.
상기 제1지지바, 제2지지바 및 제3지지바가 일직선을 이루면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지지대는 수평방향으로 그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하부피트의 측벽에 접하여 지지된다.
상기 잠금부재의 잠김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잠금부재의 잠김 상태에 따라 상기 보조지지대의 길이 변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지지바, 제2지지바 및 제3지지바가 일직선을 이루면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바, 제2지지바, 제3지지바를 상기 잠금부재가 결합시켜 상기 센서가 상기 잠금부재의 잠금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지지대의 길이를 신장시켜 상기 보조지지대의 타단이 상기 하부피트의 측벽에 접하여 지지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가 승강로의 하부에 반드시 존재하여야 하는 하부피트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기계실과 같은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고, 하부 구동형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계실과 같은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공사 및 시공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로프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고정빔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평형추의 이동시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하부피트의 작업과정 중 상기 승강카가 하강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 상기 승강카의 하부는 상기 완충지지대의 최상단보다 높게 위치하는 상기 점검용지지대의 최상단에 접하기 때문에, 관련규정에 맞는 작업공간을 구현하여 작업자는 상기 하부피트에서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A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와이어로프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전개도,
도 6은 하부피트 점검을 위해 점검용지지대를 작동 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검용지지대가 전개된 상태의 측면도.
본 발명의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0)와, 구동모터(20)와, 제1롤러(41)와, 제2롤러(42)와, 제1고정빔(51)과, 제3롤러(43)와, 평형추(30)와, 제4롤러(44)와, 제2고정빔(52)과, 와이어로프(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카(10)는 건물에 형성된 승강로(9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승강로(90)의 하부에는 하부피트(9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피트(95)는 승강카(10) 즉 엘리베이터의 점검 등을 위해 반드시 필요로 공간이기 때문에, 승강로(90)에는 반드시 하부피트(95)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구동모터(20)는 상기 승강로(9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하부피트(95)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카(10)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20)는 상기 승강로(90)에서 상기 승강카(10)의 최하단보다 하부에 형성된 상기 하부피트(95)의 내부에 배치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승강로(90)의 하부에 반드시 존재하여야 하는 상기 하부피트(95)에 상기 구동모터(2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기계실과 같은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고, 하부 구동형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종래의 기계실과 같은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공사 및 시공비용 등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0)에는 상기 와이어로프(60)를 이동시키기 위한 풀리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롤러(41)는 상기 승강카(10)의 상부 양측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롤러(41)는 상기 승강카(10)의 상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장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롤러(42)는 상기 제1롤러(41)보다 상부에서 상기 승강로(90)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빔(51)은 상기 제2롤러(42)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승강로(90)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1고정빔(51)에는 와이어로프(60)의 일단이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3롤러(43)는 상기 승강로(90)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평형추(30)는 상기 승강로(9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4롤러(44)는 상기 평형추(30)에 장착된다.
상기 제2고정빔(52)은 상기 승강로(90)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2고정빔(52)에는 와이어로프(60)의 타단이 고정 장착된다.
상기 와이어로프(60)는 상기 승강카(10)와 상기 평형추(30)를 연결한다.
이러한 상기 와이어로프(60)는 일단이 상기 제1고정빔(51)에 고정되고 순차적으로 상기 제1롤러(41)와 제2롤러(42)를 거쳐 상기 구동모터(20)의 풀리에 감긴 후 상기 제3롤러(43)와 제4롤러(44)를 거쳐 타단이 상기 제2고정빔(52)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0)의 작동시 상기 승강카(10)와 평형추(3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60)가 설치되는 경로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로프(60)의 설치경로에 따라 다른 구성을 전개하여 도시하였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60)의 양 끝단 즉 일단과 타단이 각각 승강카(10)와 평형추(30)에 결합된 것이 아니라, 제1고정빔(51)과 제2고정빔(52)에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평형추의 이동시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완충부재(11), 완충지지대(70), 점검용지지대(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11)는 상기 승강카(10)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완충지지대(70)는 상기 하부피트(95)에서 상방향으로 길게 장착되어, 상기 승강카(10)의 추락시 상기 완충부재(11)와 접하여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완충지지대(70)는 접철되거나 신축됨이 없이 상시 일정한 길이를 견고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상기 점검용지지대(80)는 상기 하부피트(95)에서 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부피트(95)의 점검시 수직으로 세워져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승강카(10)의 임의 하강시에도 필요한 작업공간 및 안전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점검용지지대(80)는 수축된 상태에서 최상단이 상기 완충지지대(70)의 최상단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최대 전개된 상태에서 최상단이 상기 완충지지대(70)의 최상단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점검용지지대(80)를 수축시키게 되면 상기 승강카(10)는 평상시처럼 최대하강을 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점검용지지대(80)를 전개하여 수직으로 세우게 되면 상기 승강카(10)는 상기 완충지지대(70)의 최상단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하강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모터(20)가 상기 하부피트(95)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공간의 확보 등을 위해 상기 점검용지지대(80)가 필요하다.
상기 점검용지지대(80)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점검용지지대(80)의 최상단은 상기 완충부재(11)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점검용지지대(80)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피트(95)에서 작업을 할 때, 상기 승강카(10)가 하강할 경우 상기 점검용지지대(80)의 최상단은 상기 완충지지대(70)의 최상단보다 상부에서 상기 완충부재(11)의 하부에 접하여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행정안전부 고시 제2019-32호 「승강기안전부품 안전기준 및 승강기 안전기준」 전부개정 별표22 "엘리베이터 안전기준"의 [6.6.4.4 피트 내부의 작업구역]에는 아래와 같은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6.6.4.4 피트 내부의 작업구역
6.6.4.4.1 피트에서 기계류의 점검 등 유지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그 업무 수행으로 개문출발 등 통제되지 않거나 예측되지 않은 카의 움직임이 사람을 위험하게 만들 수 없도록 다음 사항에 적합해야 한다.
가) 6.5.8.2가)의 1) 및 2)에 따른 경우를 제외하고, 작업구역의 바닥과 카의 가장 낮은 부분 사이의 수직거리 2 m 이상을 확보하기 위해 정격하중을 적재하고 정격속도로 하강하는 카를 기계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장치가 영구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추락방지안전장치를 제외한 기계적인 장치에 의한 카의 감속도는 완충기(12.2)에 의한 감속도를 초과하지 않아야 된다.
나) 기계적인 장치는 카를 정지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다) 기계적인 장치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어야 한다.
라) 피트에 출입할 수 있는 문이 열쇠 사용에 의해 열렸을 때, 엘리베이터의 모든 움직임을 막는 15.2에 따른 전기안전장치에 의해 확인되어야 한다.
엘리베이터의 움직임은 바)에 따른 경우에만 가능해야 한다.
마) 기계적인 장치가 작동된 경우, 카의 모든 움직임이 15.2에 따른 전기안전장치에 의해 방지되어야 한다.
바) 15.2에 따른 전기안전장치에 의해 기계적인 장치가 작동 위치에 있다는 것이 확인되면, 전기적으로 구동시키는 카의 움직임은 점검운전 조작반에 의해서만 가능해야 한다.
사) 엘리베이터의 정상운전 상태로의 복귀는 점검자 등 관계자만이 접근 가능한(잠긴 캐비닛 내부 등) 승강로(90) 외부의 전기적인 재-설정(reset) 장치에 의해서만 가능해야 한다.』
위 밑줄친 내용을 살펴보면, 피트에서 기계류의 점검 등 유지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작업구역의 바닥과 카(승강카, 엘리베이터)의 가장 낮은 부분 사이의 수직거리가 2 m 이상을 확보하여야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이를 반영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점검용지지대(80)의 최대 전개 길이는 2m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지지대(70)는 접철되거나 신축됨이 없이 상시 일정한 길이를 견고하게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완충지지대(70)의 길이를 2m 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상기 하부피트(95)의 깊이를 깊게 굴착하여야 하는바 시공비용 등이 많이 소요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점검용지지대(80)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신축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점검용지지대(80)의 최대길이를 2m 이상으로 하면, 상기 하부피트(95)의 깊이를 2m 이상으로 깊게 굴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공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점검용지지대(80)는 실린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그 길이가 신축되게 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다수개의 지지바가 접철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점검용지지대(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바(81)와, 제2지지바(82)와, 제3지지바(83)와, 잠금부재(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바(81)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하단이 상기 하부피트(95)의 저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2지지바(82)는 하단이 상기 제1지지바(81)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지지바(83)는 하단이 상기 제2지지바(82)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잠금부재(84)는 상기 제1지지바(81)와 제2지지바(82)를 고정 결합시키고, 상기 제2지지바(82)와 제3지지바(83)를 고정 결합시켜, 상기 제2지지바(82)와 제3지지바(83)가 세워져 상기 제1지지바(81), 제2지지바(82) 및 제3지지바(83)가 일직선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점검용지지대(80)의 사용이 없을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검용지지대(80)는 상기 제1지지바(81), 제2지지바(82) 및 제3지지바(83)가 절곡 배치되어 낮은 높이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점검용지지대(80)는 수축된 상태에서 최상단이 상기 완충지지대(70)의 최상단보다 하부에 배치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승강카(10)는 상기 점검용지지대(80)의 간섭없이 평상시처럼 최대하강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피트(95)에서 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승강카(10)를 높게 올려 놓고, 상기 하부피트(95)와 승강카(1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작업자가 상기 하부피트(95)로 내려한다.
그 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바(82)와 제3지지바(83)를 세워 상기 제1지지바(81), 제2지지바(82) 및 제3지지바(83)가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잠금부재(84)로 고정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3지지바(83)의 상단은 상기 완충지지대(70)의 최상단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과정 중 상기 승강카(10)가 하강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 상기 승강카(10)의 하부는 상기 완충지지대(70)의 최상단보다 높게 위치하는 상기 점검용지지대(80)의 최상단에 접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상기 하부피트(95)에서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점검용지지대(80)는, 일단이 상기 제2지지바(82)에 고정 결합되는 보조지지대(8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바(82)가 상기 제1지지바(81)에 대하여 회전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지지대(85)의 타단은 상기 하부피트(95)의 저면에 접하여 상기 제2지지바(82)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바(81), 제2지지바(82) 및 제3지지바(83)가 일직선을 이루면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지지대(85)는 수평방향으로 그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하부피트(95)의 측벽에 접하여 지지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제1지지바(81), 제2지지바(82) 및 제3지지바(83)가 일직선을 이루면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지지대(85)는 수평방향으로 그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하부피트(95)의 측벽에 접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다수개의 지지바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상기 점검용지지대(80)가 옆으로 넘어지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대(85)의 길이 신축은 수동 또는 전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자동으로 이동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보조지지대(85)의 길이 신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센서(미도시)와,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잠금부재(84)의 잠김 상태를 감지한다.
즉, 상기 센서는 상기 제1지지바(81)와 제2지지바(82)가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상기 잠금부재(84)가 상기 제1지지바(81)와 제2지지바(82)를 잠금 결합시켰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또한 상기 제2지지바(82)와 제3지지바(83)가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상기 잠금부재(84)가 상기 제2지지바(82)와 제3지지바(83)를 잠금 결합시켰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잠금부재(84)의 잠김 상태에 따라 상기 보조지지대(85)의 길이 변화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바(81), 제2지지바(82) 및 제3지지바(83)가 일직선을 이루면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바(81), 제2지지바(82), 제3지지바(83)를 상기 잠금부재(84)가 결합시켜 상기 센서가 상기 잠금부재(84)의 잠금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지지대(85)의 길이를 신장시켜 상기 보조지지대(85)의 타단이 상기 하부피트(95)의 측벽에 접하여 지지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점검용지지대(80)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웠을 때, 상기 보조지지대(85)가 수평방향으로 자동으로 신장되어 상기 하부피트(95)의 측벽에 접하여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승강카, 11 : 완충부재, 20 : 구동모터, 30 : 평형추, 41 : 제1롤러, 42 : 제2롤러, 43 : 제3롤러, 44 : 제4롤러, 51 : 제1고정빔, 52 : 제2고정빔, 60 : 와이어로프,
70 : 완충지지대,
80 : 점검용지지대, 81 : 제1지지바, 82 : 제2지지바, 83 : 제3지지바, 84 : 잠금부재, 85 : 보조지지대,
90 : 승강로, 95 : 하부피트.

Claims (7)

  1. 승강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카와; 상기 승강로의 하부에서 상기 승강카의 최하단보다 하부에 형성된 하부피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승강카의 상부 양측에 장착된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보다 상부에서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 제1고정빔과;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 제3롤러와; 상기 승강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평형추와; 상기 평형추에 장착된 제4롤러와;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 제2고정빔과; 상기 승강카와 상기 평형추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승강카 하부에 장착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하부피트에서 상방향으로 길게 장착되어, 상기 승강카의 추락시 상기 완충부재와 접하여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지지대와; 상기 하부피트에서 상방향으로 설치되고, 다수개의 지지바가 접철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점검용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와이어로프는 일단이 상기 제1고정빔에 고정되고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를 거쳐 상기 구동모터에 감긴 후 상기 제3롤러와 제4롤러를 거쳐 타단이 상기 제2고정빔에 고정되며,
    상기 점검용지지대는 수축된 상태에서 최상단이 상기 완충지지대의 최상단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최대 전개된 상태에서 최상단이 상기 완충지지대의 최상단보다 높게 배치되며,
    상기 점검용지지대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점검용지지대의 최상단은 상기 완충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점검용지지대는,
    하단이 상기 하부피트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지지바와; 하단이 상기 제1지지바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바와; 하단이 상기 제2지지바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지지바와; 상기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를 고정 결합시키고, 상기 제2지지바와 제3지지바를 고정 결합시키는 잠금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2지지바에 고정 결합되는 보조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지지바와 제3지지바가 세워져 상기 제1지지바, 제2지지바 및 제3지지바가 일직선으로 전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3지지바의 상단은 상기 완충지지대의 최상단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바가 상기 제1지지바에 대하여 회전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하부피트의 저면에 접하여 상기 제2지지바를 지지하고,
    상기 제1지지바, 제2지지바 및 제3지지바가 일직선을 이루면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지지대는 수평방향으로 그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하부피트의 측벽에 접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의 잠김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잠금부재의 잠김 상태에 따라 상기 보조지지대의 길이 변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지지바, 제2지지바 및 제3지지바가 일직선을 이루면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바, 제2지지바, 제3지지바를 상기 잠금부재가 결합시켜 상기 센서가 상기 잠금부재의 잠금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지지대의 길이를 신장시켜 상기 보조지지대의 타단이 상기 하부피트의 측벽에 접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KR1020220135025A 2022-10-19 2022-10-19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KR102480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025A KR102480892B1 (ko) 2022-10-19 2022-10-19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025A KR102480892B1 (ko) 2022-10-19 2022-10-19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892B1 true KR102480892B1 (ko) 2022-12-26

Family

ID=8454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025A KR102480892B1 (ko) 2022-10-19 2022-10-19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8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320B1 (ko) 2023-04-03 2023-06-28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기계실이 필요없는 플랫벨트식 탑승카 자체구동 승객용, 인화물용 엘리베이터
KR102566304B1 (ko) 2023-05-17 2023-08-11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구동 권상기가 균형추에 구비된 기계실이 필요없는 승객용, 인화물용, 화물용, 건설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478Y1 (ko) 2000-04-15 2000-10-0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JP2017218279A (ja) * 2016-06-07 2017-12-1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バッファ装置
CN212712295U (zh) * 2019-09-05 2021-03-16 苏州科莱瑞机电科技有限公司 曳引系统下置的建筑施工用复绕式井道升降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478Y1 (ko) 2000-04-15 2000-10-0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JP2017218279A (ja) * 2016-06-07 2017-12-1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バッファ装置
CN212712295U (zh) * 2019-09-05 2021-03-16 苏州科莱瑞机电科技有限公司 曳引系统下置的建筑施工用复绕式井道升降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320B1 (ko) 2023-04-03 2023-06-28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기계실이 필요없는 플랫벨트식 탑승카 자체구동 승객용, 인화물용 엘리베이터
KR102566304B1 (ko) 2023-05-17 2023-08-11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구동 권상기가 균형추에 구비된 기계실이 필요없는 승객용, 인화물용, 화물용, 건설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0892B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JP4742591B2 (ja) エレベータの終端安全装置
JP4712313B2 (ja) バッファおよびバッファを備えたエレベータ設備
KR101036020B1 (ko) 산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WO2001058796A1 (fr) Dispositif de securite pour travailler sur une cage d'ascenseur
KR101766914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상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JP2011093699A (ja) エレベータの落下防止構造
JP4454765B2 (ja) エレベータ
JP3603606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10096838A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 방법
JP2019112218A (ja) 人荷昇降装置付き移動昇降式足場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施工方法及びこれらの設置方法
JP2005112487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JP200109764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209697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24867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9272671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の据付工法
KR10063395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300715B2 (ja) エレベータ用足場装置
KR102649766B1 (ko)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
CN102887415A (zh) 电梯
KR102446293B1 (ko) 사다리차 탑승장치
KR102443566B1 (ko) 수직개폐형 도어패널의 추락을 방지하고 도어 개폐시간을 단축시킨 대형 및 초대형 엘리베이터
KR101022798B1 (ko) 소형 기계실 설치형 승강기
CN212799207U (zh) 一种建筑施工用的智能升降机
KR102446299B1 (ko) 고소작업대탑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