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950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950B1
KR100633950B1 KR1020047013134A KR20047013134A KR100633950B1 KR 100633950 B1 KR100633950 B1 KR 100633950B1 KR 1020047013134 A KR1020047013134 A KR 1020047013134A KR 20047013134 A KR20047013134 A KR 20047013134A KR 100633950 B1 KR100633950 B1 KR 100633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ge
elevator
hoistway
cag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9665A (ko
Inventor
하시구치나오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9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46Maintenanc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승강로(1)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체(30)에, 회전축이 거의 수직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된 구동 풀리(14)를 갖는 권상기(13),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 등의 전향 풀리, 제어판(31), 조속기(32)가 부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케이지(5)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에 보수용의 개구부(9)가 설치된다. 권상기(13) 등의 기기는 적어도 일부가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케이지(5) 등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케이지(5)가 소정의 보수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의 권상기(13) 등의 기기와 케이지 상면(8)과의 간극을, 적어도 케이지(5)의 정격 속도의 자승을 중력 가속도의 두 배로 나눈 값(V2/2g) 이상으로 하고, 또한 이 간극을 가능한 한 작게 한다. 보수 작업자(20)는, 케이지(5) 내의 작업대(21)를 타고,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의 개구부(9)로부터 손을 뻗어서 권상기(13) 등의 기기의 보수를 실행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본 발명은, 권상기가 승강로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기계실을 설치하지 않는, 이른바 기계실 미설치(machineroom-less)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로 내의 상부에 권상기를 구비할 수 있어, 권상기의 구동 풀리(drive sheave)를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승강로 벽면 사이에 배치하고, 또한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권상기의 일부가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겹치도록 해서 배치되는 것이 많다. 또한, 종래는 기계실에 배치되어 있었던 제어판이나 전향 풀리, 조속기 등의 기기도,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승강로 벽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승강로 벽면 사이에 권상기의 구동 풀리, 제어판, 전향 풀리, 조속기 등의 기기의 두께 이상의 간극이 필요하다. 이 간극은 승강로의 전체 높이에 걸쳐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발생시키고, 특히 건물이 고층화됨에 따라 이 데드 스페이스가 확대된다.
또한, 승강로 상부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가 어떠한 이유에 의해 폭주해서 극한까지 상승한 사태를 가정하여,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기기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충돌 회피와 보수 작업시에 있어서의 보수 작업자의 안전 확보 때문에 승강로 상부에 간극을 설치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승강로 상부에도 데드 스페이스가 생긴다. 여기에서, 이 승강로 상부의 데드 스페이스는 다음 두 개의 방식 중 하나로 형성된다. 하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폭주해서 극한까지 상승했을 경우라도, 승강로 상부에 배치된 기기와 엘리베이터 바구니가 부딪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상하 방향의 공간을 말한다. 또 하나는, 종래의 기계실 미설치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로에 배치된 권상기 등의 기기를 점검하기 위해서, 보수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을 타고 작업하거나, 혹은 일본 특개평 제 5-97357 호 공보에 설명된 것처럼, 보수 작업자가 상반신을 엘리베이터 케이지로부터 내밀고 작업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었다.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폭주했을 경우에, 보수 작업자가 승강로 상부 또는 승강로 상부에 배치된 기기에 머리를 부딪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승강로 상부에 배치된 기기 사이에 간극을 크게 잡을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확보하는 상하 방향의 공간을 말한다.
이렇게, 종래의 기계실 미설치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로 전체 높이에 걸친 데드 스페이스와 승강로 상부의 데드 스페이스가 생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 와 승강로 벽면 사이에 권상기 등의 기기를 배치하지 않도록 해서 승강로의 전체 높이에 걸쳐 생기는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로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폭주해서 극한까지 상승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기기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충돌 회피 및 보수 작업자의 안전 확보 때문에 설치된 공간에 의한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로 한다. 이로써, 필요한 승강로 공간을 최소로 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상부에 프레임체가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체에는 권상기, 전향 풀리가 부착되어 있다. 권상기는, 회전축이 거의 수직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된 구동 풀리를 갖는다. 전향 풀리는, 권상기의 구동 풀리에 감긴 엘리베이터의 주 로프를 방향 전환시키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케이지 상면에 개폐 가능한 개구부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권상기 또는 전향 풀리는, 적어도 일부가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 또는 평형추 중 어느 하나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소정의 보수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의, 권상기 및 전향 풀리와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과의 간극을, 적어도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격 속도의 자승을 중력 가속도의 두 배로 나눈 값(V2/2 g) 이상으로 하고, 또한 이 간극을 될 수 있는 한 작게 한 것이다.
또한, 프레임체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 또는 조속기를 붙일 수 있고, 제어판 또는 조속기의 적어도 일부가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소정의 보수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의, 제어판 또는 조속기와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과의 간극을, 적어도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격 속도의 자승을 중력 가속도의 두 배로 나눈 값(V2/2g) 이상으로 하고, 또한 이 간극을 될 수 있는 한 작게 한 것이다.
또한, 권상기 또는 제어판의 적어도 한 쪽의 보수 작업 대상면이 수직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권상기는, 직경 방향의 치수보다 회전축 방향의 두께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발명에 의하면, 승강로 상부에 권상기 등의 기기를 집약해서 배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승강로 측벽면 사이의 승강로 전체 높이에 걸쳐 생기는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로 해서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기기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충돌 회피 및 보수 작업자의 안전 확보 때문에 설정된 공간에 의한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함으로써, 필요한 승강로 공간을 최소로 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위쪽으로부터 내려다 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 배면측에서 본 배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 측면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보수 작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이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폭주한 상태를 가정하고, 그 폭주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이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로, 정격 속도가 빠른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보수 작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기 위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각각의 도면 중,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 설명은 적절하게 간략화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위쪽으로부터 내려다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 배면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승강로(1)의 벽면(2)에 설치된 레일 브라켓(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한 쌍의 케이지용 가이드 레일(3)과 다른 한 쌍의 평형추용 가이드 레일(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케이지(5)는 케이지용 가이드 레일(3)에 안내되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하고, 평형추(10)는 평형추용 가 이드 레일(4)에 안내되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 케이지(5)에는, 출입구문(7)이 엘리베이터 케이지(5) 정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도 1에 있어서, 출입구문(7)측의 승강로의 벽면을 정면이라 칭하고, 정면과 대향하는 면을 배면이라 칭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출입구면과 직교하는 양 면을 측면이라고 칭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케이지(5)는 복수의 대들보에 의해 형성된 케이지 프레임(6)에 의해 하면 및 양 측면이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상면(8)에는, 개폐 뚜껑(9a)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된 보수 작업 실행용 개구부(9)가 설치된다. 평형추(10)는, 승강로(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배면측에, 그리고 일 측면이 승강로(1)의 벽면(2)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승강로(1) 상부에는, 케이지용 가이드 레일(3)과 평형추용 가이드 레일(4)에 의해 지지된 프레임체(30)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체(30)에는, 엘리베이터 주 로프(12)가 감긴 구동 풀리(14)를 갖는 권상기(13)가 설치된다. 또한, 구동 풀리(14)는 회전축이 거의 수직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권상기(13)는 적어도 권상기(13)의 일부가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겹치는 것 같이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배치예에서는, 평형추(10)가 배치되는 부분의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코너부와는 다른 타 코너부측에, 권상기(13)가 그 주요부가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의 개구부(9)와도 권상 기(13)의 일부가 수직 투영면상에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권상기(13)는 직경 방향의 치수보다 회전축 방향의 두께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 실시형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향 풀리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 평형추측 전향 풀리(16), 케이지용 풀리(17), 평형추용 풀리(18)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이들 전향 풀리의 배치에 대해서는, 권상기(13)의 구동 풀리(14)에 감긴 주 로프(12)의 배치 경로와 함께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주 로프(12)의 한 쪽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에 감기고,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켜져, 케이지 프레임(6) 하부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된 케이지용 풀리(17)에 순차적으로 감기고, 다시 수직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승강로(1) 상부의 프레임체(30)에 부착되어 있다. 주 로프(12)의 다른 쪽은, 권상기(13)에서 평형추측 전향 풀리(16)에 감기고, 수평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켜져, 평형추용 풀리(18)에 감기고, 승강로(1) 상부의 프레임체(30)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 및 케이지용 풀리(17)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로부터 케이지용 풀리(17)를 향하는 주 로프부 및 케이지용 풀리(17)로부터 프레임체(30)를 향하는 주 로프부가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측면에 가능한 한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 및 케이지용 풀리(17)의 대부분이 수직 투영면상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겹치도록 배치되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승강로 벽면(2)과의 거리를 크게 취할 필요가 없도록 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는 바구니 상면(8)의 개구부(9)와도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평형추측 전향 풀리(16)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평형추(10)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평형추용 풀리(18)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평형추(10)와 전체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평형추(10)와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의 간극을 크게 취할 필요가 없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31)은, 승강로(1) 상부의 프레임체(30)에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겹치도록 배치된다. 도 1의 배치예에서는, 제어판(31) 전체가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의 개구부(9)와도 제어판(31) 전체가 수직 투영면상에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조속기(32)는, 제어판(31)과 같이 승강로(1) 상부의 프레임체(30)에 설치되어 있고, 조속기(32)에는 조속기 로프(33)가 감겨 있다. 그리고, 조속기 로프(33)에 장력을 주기 위한 조속기용 인장 풀리(34)가 승강로(1) 하부에 설치된다. 조속기(32)도, 제어판(31)과 같이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의 개구부(9)와도 조속기(32)의 일부가 수직 투영면상에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조속기(32)의 로우프 풀리부 이외는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조속기(32) 두께로 인해 조속기(32)와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측면 사이에 필요 없는 간극을 잡을 필요가 없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권상기(13),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 평형추측 전향 풀리(16), 제어판(31), 조속기(32)와 같은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가, 승강로(1)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체(30)에 집약해서 배치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라고 할 경우에는, 권상기(13),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 평형추측 전향 풀리(16), 제어판(31), 조속기(32)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체(30)는,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케이지용 가이드 레일(3) 및 평형추용 가이드 레일(4)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예를 도시했지만, 승강로(1)의 벽면(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라도 좋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 측면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보수 작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이용하여, 이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엘리베이터 케이지(5)를 최상층 부근의 소정 보수 위치에 정지시켜, 보수 작업자(20)가 작업대(21)를 타고,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의 개구부(9)의 개폐 뚜껑(9a)을 열고, 엘리베이터 케이지(5) 내로부터 승강로 상부 기기의 보수 작업을 실행한다.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작업대(21)는 엘리베이터 케이지(5)에 상설된 접기식의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평상 운전시에는 접혀져서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내부 측벽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이 작업대(21)는, 상하 방향으로 높이를 조정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 보수 작업자(20)의 신장에 따라 작업대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권상기(13)와 제어판(31)은, 보수 작업을 실행하는 보수 작업 대상면(22)이 수직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승강로(1) 상부에 있어서의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과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와의 간극은 최대한 작게 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이하에 설명하는 방법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과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와의 거리를 구하는 계산을 실행한다.
도 4는, 이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폭주한 상태를 가정하고, 그 폭주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4a는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정격 속도에서 상승하고, 평형추가 완충기에 돌입하는 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b는 평형추가 완충기에 돌입한 후,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관성력으로 더욱 상승했을 때의 한계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가 정격 속도로 상승하고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상면(8)과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와의 간극은, 어떠한 이유에 의해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폭주해버렸을 경우를 가정하여,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에 충돌하지 않도록 해야만 한다. 바꿔 말하면,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과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와의 간극은,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폭주시에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에 충돌하지 않는 거리 이상으로 하면 좋다.
여기에서,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정격 속도(V)에서 상승 중에, 어떠한 원인에 의해 감속하지 않고 상승을 계속했을 경우,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는 반대 방향으로 하강을 계속하는 평형추(10)가 완충기(11)에 돌입한다.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돌입에 의해,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평형추(10) 사이에 그 때까지 있었던 주 로프(12)의 장력이 없어진다. 이 때, 정격 속도(V)로 상승하고 있던 엘리베이터 케이지(5)는, 관성력에 의해, 이 속도(V)를 초속으로 해서 비상(飛上)한다. 이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비상값은 다음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S = V2 / 2g
여기서, S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비상값, V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초속(정격 속도), g는 중력가속도이다.
따라서, 상기 식에 의해,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과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 사이의 간극은, 적어도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비상값(S) 이상으로 두면, 만약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정격 속도(V)에서의 상승 중에 폭주했을 경우라도,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에 충돌해버리는 사태는 피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 승강로 상부에 있어서의 데드 스페이스를 축소시키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의 폭주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과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와의 충돌을 피하는 간극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이 간극을 최대한 작게 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식에서 구한 간극은 평형추(10)가 완충기(11)에 돌입한 때로부터의 비상값(S)이기 때문에, 이 간극을 될 수 있는 한 작게 하기 위해서, 보수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서 보수 작업자(20)가 엘리베이터 케이지(5)를 이동시켰을 때의 보수 위치는 평형추(10)가 완충기(11)에 접촉하기 직전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는, 보수 위치에 있어서의 평형추(10)와 완충기(11) 사이에는 여유값을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그 여유값은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비상값(S)의 2 할 정도로 하면 충분하다.
이상에서, 보수 위치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과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와의 간극은,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비상값(S) 내지 비상값(S)의 2할 증가 정도의 사이에서 설정하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정격 속도가 매분 120미터인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실제로 간극을 계산하면,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비상값(S)은 약 20cm가 되고, 여유값을 고려하면, 간극은 20cm 내지 24cm 정도로 확보하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수 작업을 실행할 때에, 보수 작업자(20)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의 개구부(9)보다 머리를 돌출하지 않고 손을 뻗으면 권상기(13) 등의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에 손이 닿도록 작업대(21)의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만약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폭주했을 경우라도 보수 작업자(20)가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에 머리를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는, 이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로, 정격 속도가 빠른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보수 작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정격 속도가 매분 120미터보다 빠른, 이른바 고속의 부류에 들어가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전술한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비상값(S)이 속도의 자승에 비례해서 커지므로, 엘리베이터 정격 속도가 커진 정도로,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과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와의 사이에서 최소로 필요한 간극이 커진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수 작업을 실행할 때에, 보수 작업자(20)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의 개구부(9)보다 머리만을 돌출하고, 또한 손 을 뻗으면 권상기(13) 등의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에 손이 닿도록 작업대(21)의 높이를 설정하면 보수 작업이 가능해서, 만약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폭주했을 경우라도 보수 작업자(20)는 목을 움츠리는 정도로 기기와 머리가 부딪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작업대(21)가 엘리베이터 케이지(5)에 상설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작업대(21)는 엘리베이터 케이지(5)에 상설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보수 작업용으로 외부로부터 가지고 들어가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보수 작업자(20)는 서서 작업하도록 하고 있지만, 작업대(21)의 높이를 더 높게 해서, 보수 작업자(20)가 앉아서 작업하도록 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권상기(13),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 평형추측 전향 풀리(16), 제어판(31), 조속기(32)와 같은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를 프레임체(30)에 집약하고,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승강로 벽면(2)과 엘리베이터 케이지(5) 사이에 기기를 배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과,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를 수직 투영면상에서 엘리베이터(5) 또는 평형추(10)와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하는 것으로, 승강로(1)의 평면 치수가 최소가 되어, 승강로(1)의 전체 높이에 걸쳐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수직 투영면상에서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를 엘리베이터 케이지(5) 또는 평형추(10)와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하는 것에 더하여,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를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의 개구부(9)와도 일부가 겹치 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보수 작업자(20)가 엘리베이터 케이지(5) 내에서 작업할 때에 보수 대상이 되는 기기에 손을 뻗기 쉬워지므로, 보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폭주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와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승강로(1) 상부와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상면(8)과의 간극을 최소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승강로(1) 상부에 있어서의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로 할 수 있다. 게다가, 권상기(13)와 제어판(31)의 보수 작업 대상면(22)이 수직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보수 작업자(20)는 엘리베이터 케이지(5) 내로부터 작업대(21)를 타고,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의 개구부(9)로부터 머리를 돌출하지 않고 손을 뻗으면, 혹은 필요하면 개구부(9)로부터 머리만 돌출하고 또 손을 뻗는 것으로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의 보수가 가능하게 되어, 만약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폭주했을 경우에도 머리를 움츠리는 정도로 보수 작업자(20)와 기기가 부딪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보수 작업자(20)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지금까지 보수 작업시의 안전 확보 때문에 크게 하여야 했던 데드 스페이스를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권상기(13)는 직경 방향의 치수보다 회전축 방향의 두께가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승강로(1) 전체 높이의 축소에 기여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엘리베이터 케이지(5)는, 케이지 프레임(6)의 하부에 설치된 케이지용 풀리(17)에 의해 지지되어서 승강하는 배치로 하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에 상부 프레임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승강 로(1) 전체 높이의 축소에 기여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케이지(5)를 양 측면에서 매다는 타입과 같이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에 상부 프레임이 불필요한 것이면, 로핑(roping) 형식은 이 실시형태의 2:1 로핑 형식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기계실 미설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존재하는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로 할 수 있고, 승강로(1)가 점유하는 공간 용적을 최대한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종래의 기계실 미설치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 있어서 존재하던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로 할 수 있어, 기계실 미설치 엘리베이터의 장점인 공간 절약성이 더욱 향상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건축 비용을 염가로 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건물의 외관이나 높이에 의한 제한 등을 갖는 엄격한 입지 조건에서의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도 적합하다.

Claims (6)

  1.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에 장착되고 회전축이 거의 수직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된 구동 풀리를 갖는 권상기와,
    상기 프레임체에 장착되고 상기 권상기의 상기 구동 풀리에 감긴 엘리베이터의 주 로프를 방향 전환시키는 전향 풀리와,
    상면에 개폐 가능한 개구부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구비하고,
    상기 권상기 또는 상기 전향 풀리는 적어도 일부가,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 또는 평형추 중 어느 하나와 겹치고 또 상기 개구부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소정의 보수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권상기 및 상기 전향 풀리와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과의 간극을, 적어도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격 속도의 자승을 중력 가속도의 두 배로 나눈 값(V2/2g) 이상으로 하고, 또한 이 간극을 가능한 한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에,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이 장착되고, 상기 제어판의 적어도 일부가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상기 개구부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소정의 보수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판과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과의 간극을, 적어도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격 속도의 자승을 중력 가속도의 두 배로 나눈 값(V2/2g) 이상으로 하고, 또한 이 간극을 가능한 한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에 조속기가 장착되고, 상기 조속기의 적어도 일부가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상기 개구부와 겹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소정의 보수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조속기와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과의 간극을, 적어도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격 속도의 자승을 중력 가속도의 두 배로 나눈 값(V2/2 g)이상으로 하고, 또한 이 간극을 가능한 한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47013134A 2002-12-24 2002-12-24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33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13444 WO2004058619A1 (ja) 2002-12-24 2002-12-24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665A KR20040089665A (ko) 2004-10-21
KR100633950B1 true KR100633950B1 (ko) 2006-10-13

Family

ID=3267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134A KR100633950B1 (ko) 2002-12-24 2002-12-24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77247A4 (ko)
JP (1) JPWO2004058619A1 (ko)
KR (1) KR100633950B1 (ko)
CN (1) CN1612837A (ko)
WO (1) WO20040586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06556A1 (en) 2017-05-23 2018-11-2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way display systems for elevator cars
US20200122959A1 (en) * 2017-07-12 2020-04-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operation management device, elevator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DE102018202551A1 (de) * 2018-02-20 2019-08-22 Thyssenkrupp Ag Kollisionsverhinderung zwischen einer Führungseinrichtung und einem Fahrkorb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7357A (ja) * 1991-10-04 1993-04-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かご装置
FI96198C (fi) * 1994-11-03 1996-05-27 Kone Oy Vetopyörähissi
JP4191331B2 (ja) * 1999-01-08 2008-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0318941A (ja) * 1999-05-07 2000-11-21 Inventio Ag エレベータシャフト内で作業を行なうための装置
JP4493759B2 (ja) * 1999-09-13 2010-06-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02024566A1 (fr) * 2000-09-20 2002-03-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elevate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058619A1 (ja) 2006-04-27
WO2004058619A1 (ja) 2004-07-15
CN1612837A (zh) 2005-05-04
EP1577247A4 (en) 2010-12-22
EP1577247A1 (en) 2005-09-21
KR20040089665A (ko) 200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2591B2 (ja) エレベータの終端安全装置
CN109476460B (zh) 用于安全维护工作的电梯装置
KR102480892B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US7097000B2 (en) Elevator apparatus
KR10063395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1053184A1 (fr) Systeme d'ascenseur
JP2012056773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3603606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10096838A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 방법
JP2000177949A (ja) エレベータ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4867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917829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工法および据付装置
JP2002128433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作業安全装置
WO201716869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3807851B2 (ja) エレベータの昇降路
JP2004142853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75001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7352223B1 (ja) エレベーター
EP1710191B1 (en) Elevator system
WO2023119548A1 (ja) エレベーター
KR200199478Y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KR200199477Y1 (ko)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JP629425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400204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