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010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010B1
KR100750010B1 KR1020057018059A KR20057018059A KR100750010B1 KR 100750010 B1 KR100750010 B1 KR 100750010B1 KR 1020057018059 A KR1020057018059 A KR 1020057018059A KR 20057018059 A KR20057018059 A KR 20057018059A KR 100750010 B1 KR100750010 B1 KR 100750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hoistway
elevator
work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8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8666A (ko
Inventor
아쓰시 미쓰이
시로우 이케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18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010B1/ko
Publication of KR2006005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보수 점검 작업을 요하는 승강로 기기가 승강로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 내의 상부에는, 승강로 기기에 대한 보수 점검 작업을 행할 때의 발판으로 되는 작업대가 배치되어 있다. 작업대는,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 내의 최상부 이동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또한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과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보수 점검 작업을 요하는 승강로 기기가 승강로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 특개 2000-238971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 내에 설치된 기계실에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은 승강로 내의 평형추의 바로 위에 설치되어 있다. 또, 기계실의 플로어 면은,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한 최상층의 승강장 플로어와 같은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평형추의 승강 범위가 기계실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평형추의 상하 치수를 작게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의해, 평형추의 수평 단면적이 크게 되고 말아, 승강로의 수평 단면적도 크게 할 필요가 있었다.
또, 승강로 내에 배치된 구동장치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의 위로부터 보수 점검 작업을 행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 경우 작업 공간이 제한되는 일이 있으며, 구동장치에 대해 적절한 위치로부터 보수 점검 작업을 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로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보수 점검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승강로 기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칸, 및 승강로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대를 구비하고, 작업대는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 내의 최상부 이동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또한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수평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한 쌍의 평형추 가이드 레일(3)(도 1에서는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하게 된다. 평형추(5)는 평형추 가이드 레일(3)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하게 된다.
평형추(5)는, 승강로(1)의 안쪽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바닥부에는, 엘리베이터 칸(4)을 받는 엘리베이터 칸측 완충기(도시하지 않음)와 평형추(5)를 받는 평형추측 완충기(6)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정상부)에는 한 쌍의 지지보(support beam)(7)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보(7)는 엘리베이터 칸(4)의 폭방향(승강장 출입구(8)의 정면 폭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지지보(7) 상에는 기계대(machine platform)(9)가 가설(架設)되어 있다.
기계대(9) 상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평형추(5)를 승강시키는 승강로 기기로서의 구동장치(권상기)(1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10)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본체(11)와, 구동장치 본체(1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12)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12)의 회전축은 그 양 단부에서 지지되어 있다. 또, 구동 쉬브(12)의 회전축은, 엘리베이터 칸(4)의 폭방향에 평행하며, 또한 수평으로 되어 있다.
또, 구동장치(10)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구동장치(10)는 엘리베이터 칸(4)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기계대(9)에는 승강로 기기인 회전 자재(自在)의 디플렉터 쉬브(13)가 지지되어 있다. 디플렉터 쉬브(13)의 회전축은 구동 쉬브(12)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되 어 있다.
구동 쉬브(12) 및 디플렉터 쉬브(13)에는 복수 개의 메인 로프(14)가 감겨져 있다. 메인 로프(14)는, 엘리베이터 칸(4)의 상부 보(upper beam)(4a)에 접속된 제 1 단부(14a)와, 평형추(5)의 상부에 접속된 제 2 단부(14b)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4) 및 평형추(5)는, 메인 로프(14)에 의해 1: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져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정상부)에는, 구동장치(10)에 대한 보수 점검 작업을 행할 때에 작업자가 올라타기 위한 작업대(15)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대(15)는,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로(1) 내의 최상부 이동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4)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또한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과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작업대(15)는, 평형추(5)가 평형추측 완충기(6)에 충돌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밀어 올려졌을 때에도, 엘리베이터 칸(4)의 상부 틀(4a)이나 엘리베이터 칸(4) 상의 기기(도어 장치 등)와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업대(15)는 승강로(1)의 전후 방향 후방측의 한쪽 구석에 배치되어 있다.
또, 작업대(15)는 한 쌍의 지지보(7) 사이에 고정된 한 쌍의 고정보(fixing beam)(16)와, 고정보(16) 상에 고정된 플로어부(17)와, 플로어부(17) 상에 고정된 난간(18)을 가지고 있다. 고정보(16)는 엘리베이터 칸(4)의 안쪽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플로어부(17)에는 탈출구(17a)와, 탈출구(17a)를 개폐하는 덮개 (19)가 설치되어 있다. 또, 플로어부(17)에는 덮개(19)가 열렸음을 검출하는 덮개 검출 스위치(19a)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10)의 운전은 제어장치(제어반)(2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장치(20)는, 예를 들면 승강로(1) 내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다. 제어장치(20)에는 덮개 검출 스위치(19a)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장치(20)는 덮개(19)가 열려 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4)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을 승강로(1) 내의 상부까지 이동시키고, 엘리베이터 칸(4) 위로부터 작업대(15) 상에 작업자가 이동하여, 구동장치(10)나 디플렉터 쉬브(13)에 대한 보수 점검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작업대(15)는 엘리베이터 칸(4)이나 평형추(5)와의 간섭을 피해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업대(15)에 의해 평형추(5)의 상하 치수가 제한되는 일은 없으며, 평형추(5)에 의해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승강로(1)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의 영역 외에도 플로어부(17)를 확장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4) 상에서 보수 점검 작업을 행하는 경우보다도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보수 점검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 어떠한 원인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을 이동시킬 수 없게 된 경우, 탈출구(17a)로부터 엘리베이터 칸(4) 위로 이동하고, 엘리베이터 칸(4)의 천장에 설치된 구출구로부터 엘리베이터 칸(4) 안으로 이동, 또는 근처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위로 이동할 수 있다.
또, 플로어부(17)에 덮개 검출 스위치(19a)를 설치하고, 덮개(19)가 열려 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4)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하였으므로, 탈출구(17a)로부터의 이동 중에 엘리베이터 칸(4)이 움직이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에서는 기계대(9) 상에 구동장치(10)가 탑재되어 있었으나, 실시 형태 2에서는 기계대(9)의 하부에 구동장치(10)가 고정되어 있다.
또, 기계대(9)에는, 구동 쉬브(12)로부터 뻗는 메인 로프(14)의 방향을 반전하여 엘리베이터 칸(4) 및 평형추(5)로 유도하는 승강로 기기인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21) 및 평형추측 리턴 풀리(22)가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 로프(14)로부터 구동 쉬브(12)로의 하중은 위쪽으로 작용한다.
작업대(15)는 지지보(7)로부터 매달려져 있다. 즉, 플로어부(17)는 지지보(7) 사이에 가설된 고정보(16)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따라서, 작업대(15)는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로(1) 내의 최상부 이동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4)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또한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과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15)는 엘리베이터 칸(4) 바로 위에 배치되어, 수직 투영면 내에서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칸(4)의 천정 면적에 대한 구동장치 (10)나 리턴 풀리(21, 22)의 점유 면적이 큰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칸(4) 위로부터 작업대(15)에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작업대(15)에는, 작업대(15) 위로의 이동시에 개방되는 개폐 가능한 출입구 도어(23)가 설치되어 있다. 출입구 도어(23)는 닫은 상태로 난간(18)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또, 출입구 도어(23)에는 출입구 도어(23)가 열린 것을 검출하는 도어 검출 스위치(24)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 검출 스위치(24)로부터의 신호는 제어장치(20)(도 1 참조)에 송신된다. 제어장치(20)는, 출입구 도어(23)가 열려 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4)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출입구 도어(23)를 개방하여 작업대(15)에 출입하고 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4)이 이동되는 일이 없어서, 작업대(15)로의 출입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로 기기로서 구동장치(10), 디플렉터 쉬브(13) 및 리턴 풀리(21, 22)를 나타내었으나, 승강로 기기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구동장치가 승강로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라도, 제어반, 조속기(調速機) 또는 리턴 풀리 등의 승강로 기기가 승강로 내의 상부에 배치되고, 승강로 기기의 보수 점검 작업이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작업대를 승강로 내에 설치하면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1: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었으나, 예를 들면 2:1 로핑 방식 등, 다른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작업대(15)를 1개만 설치하였으나, 승강로 내의 복수의 작업대를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또,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 위로부터 작업대(15)로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승강장으로부터 전용의 출입구를 통하여 작업대로 이동하거나, 보수 점검 작업시에 승강장 출입구와 작업대의 사이에 발판을 가설하여 이동하거나 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쉬브(12)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구동장치(10)를 배치하였으나,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직 또는 거의 수직이 되도록 구동장치를 배치해도 된다. 단, 구동장치는, 예를 들면 브레이크 등의 보수 점검 작업의 필요성이 높은 부위가 작업대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역으로 말하면, 보수 점검 작업이 많은 부위의 근방에 작업대를 배치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수 점검 작업을 요하는 승강로 기기가 승강로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승강로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승강로 기기,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대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로 내의 최상부 이동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평형추가 평형추측 완충기에 충돌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밀어 올려졌을 때에도,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 틀이나 엘리베이터 칸 상의 기기와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수직 투영면 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기기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인 엘리베이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탈출구가 설치된 플로어(floor)부와, 상기 탈출구를 개폐하는 덮개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열린 것을 검출하는 덮개 검출 스위치, 및 상기 덮개 검출 스위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덮개가 열려 있을 때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작업대 위로의 이동시에 개방되는 출입구 도어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도어가 열린 것을 검출하는 도어 검출 스위치, 및 상기 도어 검출 스위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출입구 도어가 열려 있을 때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57018059A 2005-09-26 2004-01-30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50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8059A KR100750010B1 (ko) 2005-09-26 2004-01-30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8059A KR100750010B1 (ko) 2005-09-26 2004-01-30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666A KR20060058666A (ko) 2006-05-30
KR100750010B1 true KR100750010B1 (ko) 2007-08-16

Family

ID=3715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8059A KR100750010B1 (ko) 2005-09-26 2004-01-30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0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3658A (ja) * 2000-03-09 2001-09-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3658A (ja) * 2000-03-09 2001-09-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666A (ko)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13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326109B1 (ko)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KR100415746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CN109476458B (zh) 用以打开电梯轿厢的轿厢顶的电梯装置
KR20170136562A (ko) 승강기 통로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승강기 승강칸 벽
KR20030029134A (ko) 기계실 레스 엘리베이터
WO2004020322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93431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966072A1 (en) Elevator system
KR20030051900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3258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5001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40071325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40083467A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14599598B (zh) 电梯装置以及电梯装置的门位置检测装置
WO2016103318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10191B1 (en) Elevator system
JP2001048445A (ja) エレベータ
KR10063395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6145092A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5077804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92360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4142853A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22264245A1 (ja) エレベータ及びそのピット作業補助装置
JP6440862B2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