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1325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1325A
KR20040071325A KR10-2004-7011087A KR20047011087A KR20040071325A KR 20040071325 A KR20040071325 A KR 20040071325A KR 20047011087 A KR20047011087 A KR 20047011087A KR 20040071325 A KR20040071325 A KR 20040071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cage
wiring
operation switc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에마사노리
이시이도시아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1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32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46Maintenanc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케이지는 카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케이지 본체와, 케이지 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천정부를 갖고 있다. 천정부는, 케이지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통상 운전 위치와, 케이지 본체내에서 통상 운전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승강 위치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승강장에는 천정부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장측 조작 스위치부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EQUIPMENT}
종래, 승강로내의 상부에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 위에 작업원이 타서 보수 점검 작업이 실행되었다. 따라서, 승강로내의 상부에는, 보수 점검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고, 그 공간 정도만큼 승강로의 상부 간극 치수(오버헤드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즉, 카 위의 작업을 위한 공간이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공간 절약화에 방해가 되고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106459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케이지(cage) 벽에 점검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점검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승강로내의 기기가 케이지내에서 보수 점검된다.
그러나,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케이지 벽에 점검 도어를 설치하기 때문에, 케이지내의 의장성이 저하하게 된다. 또한, 점검 도어에 대향한 기기에 대해서만 작업할 수 있고, 작업 범위가 좁다. 게다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기기에 대하여 작업하기 위해서는, 점검 도어를 복수 설치할 필요가 있어, 의장성은 더욱 저하하게 된다. 더욱이, 승강로내의 최상부 근방에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케이지 벽의 상부에 점검 도어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접사다리(stepladder) 등의 발판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행해진 것으로서, 승강로내의 기기에 대하여 카 위에서 용이하게 보수 점검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더욱이 케이지내의 의장성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승강로의 오버헤드 치수를 축소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카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케이지 본체와, 케이지 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천정부를 갖고,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케이지를 구비하며, 천정부는 케이지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통상 운전 위치와, 케이지 본체내에서 통상 운전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여, 승강장에서 승강(乘降) 가능한 승강 위치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승강장에는 천정부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장측 조작 스위치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로내에 설치된 기기의 보수 점검 작업을 카(car) 위에서 실행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 점검 작업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천정부의 승강 기구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도 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천정부상으로의 승강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배선 권취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 점검 작업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한쌍의 카 가이드 레일(2) 및 한쌍의 균형추(counterweight) 가이드 레일(3)이 설치되고 있다. 카(4)는 카 가이드 레일(2)로 안내되어서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균형추(5)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3)로 안내되어서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균형추 가이드 레일(3)의 상단부에는 지지 부재(6)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6)에는, 카(4) 및 균형추(5)를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권상기)(7)가 지지되어 있다. 구동 장치(7)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본체(8)와, 구동 장치 본체(8)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시브(driving sheave)(9)를 갖고 있다.
구동 시브(9)에는 복수개의 메인 로프(10)가 감겨 있다. 카(4) 및 균형추(5)는 메인 로프(10)에 의해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카(4)의 하단부에는, 메인 로프(10)가 감겨진 한쌍의 카 현수 시브(car suspension sheave)(11)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5)의 상단부에는 메인 로프(10)가 감겨진 균형추 현수 시브(12)가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카 가이드 레일(2)의 상단부에는 제 1 로프 고정부(13)가 고정되어 있다. 균형추 가이드 레일(3)의 상단부 근방에는 제 2 로프 고정부(14)가 고정되어 있다. 메인 로프(10)는 제 1 로프 고정부(13)에 접속된 제 1 단부(10a)와, 제 2 로프 고정부(14)에 접속된 제 2 단부(10b)를 갖고 있다. 또한, 메인 로프(10)는 제 1 단부(10a)로부터 카 현수 시브(11), 구동 시브(9) 및 균형추 현수 시브(12)의 순차로 감겨지고, 제 2 단부(10b)에 이르고 있다.
다른쪽의 카 가이드 레일(2)의 상단부에는 구동 장치(7)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15)이 고정되어 있다.
카(4)는 카 프레임(도시하지 않음)과, 이 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케이지(16)를 갖고 있다. 케이지(16)는 카 출입구(17a)가 설치되어 있는 케이지 본체(17)와, 케이지 본체(17)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천정부(18)와, 카 출입구(17a)를 개폐하는 카 도어(19)와, 카 도어(19)를 지지하여 개폐 구동하는 도어 장치(20)를 갖고 있다.
또한, 케이지 본체(17)는 카 바닥(바닥면),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갖고 있다. 카 출입구(17a)는 케이지 본체(17)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천정부(18)는, 케이지 본체(17)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통상 운전 위치(도 1)와, 케이지 본체(17)내에서 통상 운전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보수 작업 위치(도 2)와, 케이지 본체(17)내에서 보수 작업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승강 위치(도 5)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천정부(18)는 작업 바닥을 겸하고 있다. 또한, 보수 작업 위치의 높이는 작업원의 신장이나 작업 대상의 기기[구동 장치(7) 및 제어반(15) 등]의 높이 등에 따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천정부(18)의 승강 기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케이지 본체(17)의 상단부의 네 구석에는, 각각 회전 가능한 제 1 내지 제 4 케이지 본체 풀리(21 내지 24)가 배치되어 있다. 천정부(18)상의 네 구석에는, 각각 회전 가능한 제 1 내지 제 4 천정부 풀리(25 내지 28)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케이지 본체 풀리(21 내지 24) 및 제 1 내지 제 4 천정부 풀리(25 내지 28)에는, 와이어 로프(29)가 감겨져 있다. 도어 장치(20) 위에는, 천정부(18)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 장치인 전동의 권취 장치(30)가 탑재되어 있다. 권취 장치(34)는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와이어 로프(29)의 권취 및 풀림을 실행한다.
와이어 로프(29)는, 그 일단부에서, 제 3 케이지 본체 풀리(23), 제 3 천정부 풀리(27), 제 2 천정부 풀리(26), 제 2 케이지 본체 풀리(22), 제 1 케이지 본체 풀리(21), 제 1 천정부 풀리(25), 제 4 천정부 풀리(28) 및 제 4 케이지 본체 풀리(24)의 순서로 감겨지고, 양단부가 권취 장치(34)에 권취되어 있다. 천정부(18)는 권취 장치(30)로부터 와이어 로프(29)를 푸는 것에 의해 하강되고, 권취 장치(30)에 와이어 로프(29)를 권취하는 것에 의해 상승된다.
케이지 본체(17)의 내벽면에 대향하는 천정부(18)의 단부면에는, 천정부(18)의 상하 이동에 의해 내벽면이 손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부재(31)가 배치되어 있다. 보호 부재(31)로서는, 예를 들어 펠트(felt) 등의 포(cloth), 또는 케이지 본체(17)의 내벽면을 따라 회전되는 롤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천정부상으로의 승강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천정부(18)를 승강 위치까지 내림으로써, 승강장(32)과 천정부(18) 사이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승강 위치의 높이도, 작업원의 이동이나 공구의 반입·반출에 용이한 높이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승강장(32)에는, 승강장 조작반(33)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조작반(33)은 승강장(32)의 벽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34)와, 케이스(3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커버(35)와, 커버(35)에 설치되고 제어반(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승강장 호출 버튼(36)을 갖고 있다. 승강장 호출 버튼(36)에서의 조작 정보는 제어반(15)으로 전송된다. 또한, 도 5는 커버(35)를 케이스(34)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케이스(34)에는 천정부(18)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장측 조작 스위치부(37)가 수납되어 있다. 승강장측 조작 스위치부(37)에는, 권취 장치(30)로의 신호전송용의 조작 배선(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되어 있다. 권취 장치(30)는 승강장측 조작 스위치부(37)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 로프(29)의 권취 및 풀림을 실행한다.이로써, 천정부(18)는 상하 이동된다.
천정부(18)에는, 승강장측 조작 스위치부(37)와는 별도로, 천정부(18)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천정부측 조작 스위치부(39)가 설치되어 있다. 천정부측 조작 스위치부(39)에는, 권취 장치(30)로의 신호 전송용의 조작 배선(40)(조작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다. 천정부(18)는 천정부측 조작 스위치부(39)의 조작에 의해도 상하 이동된다.
또한, 천정부(18)에는 조명 기구나 환기 장치 등의 복수의 전기 기기(41)가 지지되어 있다. 이들 전기 기기(41)에는 전기 공급 및 제어용의 전기 배선(42)(전기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다. 케이지 본체(17)의 상단부에는 조작 배선(40) 및 전기 배선(42)을 권취하는 배선 권취 장치(43)가 장착되어 있다.
도 6은 도 5의 배선 권취 장치(43)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배선 권취 장치(43)는 케이지 본체(17)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은 지지부(44)와, 지지부(44)에 수평으로 지지 고정되어 있는 축(45)과, 축(4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권취 휠(46)과, 한쪽 및 다른쪽의 단부가 축(45) 및 권취 휠(46)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탄성체인 나선형 스프링(spiral spring)(47)을 갖고 있다.
권취 휠(46)에는 조작 배선(40) 및 전기 배선(42)이 감겨져 있다. 권취 휠(46)은 조작 배선(40) 및 전기 배선(42)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나선형 스프링(47)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조작 배선(40) 및 전기 배선(42)은 천정부(18)의 상승에 따라 배선 권취 장치(43)에 권취되고, 천정부(18)의 하강에 따라 나선형 스프링(47)의 가압에 대항하여 배선 권취 장치(43)로부터 풀려진다. 즉, 조작 배선(40)의 천정부측 조작 스위치부(39)와 배선 권취 장치(43) 사이의 부분의 길이, 및 전기 배선(42)의 전기 기기(41)와 배선 권취 장치(43) 사이의 부분의 길이는 천정부(18)의 상하 이동에 따라 배선 권취 장치(43)에 의해 각각 조정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천정부(18)는 통상 운전 위치에 위치한다. 보수 점검시에는, 카(4)가 최상부 층까지 이동된 후, 승강장(32)의 작업원이 승강장 조작반(33)의 커버(35)를 분리하여 케이스(34)내의 승강장측 조작 스위치부(37)를 조작함으로써, 천정부(18)가 승강 위치까지 하강된다. 이 때, 조작 배선(40) 및 전기 배선(42)은 나선형 스프링(47)의 가압에 대항하여 배선 권취 장치(43)로부터 풀려진다.
천정부(18)가 승강 위치에 정지하고 있을 때, 작업원의 승강장(32)으로부터 천정부(18)상으로의 이동, 및 기기나 공구를 반입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승강장(32)으로부터 기기나 공구의 반입 작업이 실행된다.
그 후에, 천정부(18)상의 작업원이 천정부측 조작 스위치부(39)를 조작함으로써, 천정부(18)가 보수 작업 위치까지 상승된다. 천정부(18)가 보수 작업 위치에 정지된 후, 천정부(18)상의 작업원에 의해, 구동 장치(7) 및 제어반(15) 등의 기기에 대한 보수 점검 작업이 실시된다. 작업 종료후에는, 상기의 역순으로 천정부(18)가 통상 운전 위치로 복귀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천정부(18)가 통상 운전 위치와 승강 위치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승강장(32)에는 천정부(18)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장측 조작 스위치부(3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천정부(18)의상하 이동을 승강장(32)에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승강장(32)과 천정부(18)의 상부 사이에서의 작업원의 이동이나 공구의 반입·반출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운전 위치와 승강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보수 작업 위치에 천정부(18)를 정지시킴으로써, 승강로(1)내의 기기에 대하여 카(4) 위로부터 용이하게 보수 점검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더욱이 케이지(16)내의 의장성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승강로(1)의 오버헤드 치수를 축소할 수 있다. 게다가, 케이지(16)내에 작업대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도 없다.
또한, 승강장(32)에는, 승강장 호출 버튼(36)을 갖는 승강장 조작반(33)이 설치되어 있고, 승강장 조작 스위치부(37)가 승강장 조작반(33)내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장(32)의 의장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장측 조작 스위치부(37)를 수납하기 위한 박스를 새롭게 준비할 필요도 없어진다.
더욱이, 천정부(18)에는, 승강장측 조작 스위치부(37)와는 별도로, 천정부(18)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천정부측 조작 스위치부(39)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천정부(18)상의 작업원에 의해 천정부(18)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천정부(18)에는 전기 기기(41)가 지지되어 있고, 전기 기기(41)에 접속된 전기 배선(42)의 전기 기기(41)와 배선 권취 장치(43) 사이의 부분의 길이는 천정부(18)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전기 배선(42)을 권취하는 배선 권취 장치(43)에 의해 조정되므로, 접속 및 분리를 위한 커넥터부를 전기 배선(42)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커넥터부의 접속 및 분리 시간을 없앨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있다. 또한, 전기 배선(42)의 느슨해짐을 작게 할 수 있어, 전기 배선(42)이 천정부(18)의 상하 이동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천정부측 조작 스위치부(39)는 조작 배선(40)에 접속되어 있고, 조작 배선(40)의 천정부측 조작 스위치부(39)와 배선 권취 장치(43) 사이의 부분의 길이는 천정부(18)의 상하 이동에 따라 배선 권취 장치(43)에 의해 조정되므로, 접속 및 분리를 위한 커넥터부를 조작 배선(40)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커넥터부의 접속 및 분리 시간을 없앨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배선(40)의 느슨해짐을 작게 할 수 있어, 조작 배선(40)이 천정부(18)의 상하 이동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천정부(18)는 와이어 로프(29)에 의해 매달려 있고, 와이어 로프(29)를 권취하는 권취 장치(30)에 의해 상하 이동되므로, 케이지(16)내의 의장에 영향이 없고, 간단한 구조로 천정부(18)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정지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천정부(18)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작업에 적당한 위치에 천정부(18)를 정지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케이지 본체(17)의 내벽면에 대향하는 천정부(18)의 단부면에는 보호 부재(31)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천정부(18)를 부드럽게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천정부(18)와의 접촉에 의해 케이지 본체(17)의 내벽면이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케이지 본체(17)의 상단부의 네 구석에 제 1 내지 제 4 케이지 본체 풀리(21 내지 24)를 배치하고, 천정부(18)상의 네 구석에 제 1 내지 제 4 천정부풀리(25 내지 28)를 배치했기 때문에, 천정부(18)를 안정하게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지 본체(17)의 내벽면에 난간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승강 위치를 난간의 상방에 위치시킴으로써, 천정부(18)와 난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예에서는, 와이어 로프(29)에 의해 천정부(18)를 매달았지만, 예를 들어 벨트 또는 체인 등에 의해 천정부를 매달아도 좋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와이어 로프(29)를 권취하는 권취 장치(30)에 의해 천정부(18)를 상하 이동시켰지만, 예를 들어 유압 액추에이터 등에 의해 천정부(18)를 상하 이동시켜도 좋다.
게다가, 천정부(18)가 통상 운전 위치에 있을 때, 천정부(18)에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천정부(18)의 하강을 규제하는 로킹 수단(locking means)을 케이지 본체(17)와 천정부(18) 사이에 설치하여도 좋다.
더욱이, 상기 예에서는, 천정부(18)의 전체가 상하 이동되지만, 천정부(18)의 일부만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카(4)에는 승강 위치로부터 더욱 하강하지 않도록, 천정부(18)를 승강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하한 정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Claims (5)

  1. 카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케이지 본체와, 상기 케이지 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천정부를 갖고,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케이지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는, 상기 케이지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통상 운전 위치와, 상기 케이지 본체내에서 상기 통상 운전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승강장으로부터 상기 카 출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천정부상으로 이동하기 위한 승강 위치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장에는 상기 천정부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장측 조작 스위치부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에는 승강장 호출 버튼을 갖는 승강장 조작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장측 조작 스위치부는 상기 조작반내에 수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에는, 상기 승강장측 조작 스위치부와는 별도로, 상기 천정부를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천정부측 조작 스위치부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측 조작 스위치부에 접속된 조작 배선을 권취하는 배선 권취 장치에 의해, 상기 조작 배선의 상기 천정부측 조작 스위치부와 상기 배선 권취 장치 사이의 부분의 길이가 상기 천정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조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에는 전기 기기가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전기 기기에 접속된 전기 배선을 권취하는 배선 권취 장치에 의해, 상기 전기 배선의 상기 전기 기기와 상기 배선 권취 장치 사이의 부분의 길이가 상기 천정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조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4-7011087A 2002-11-26 2002-11-26 엘리베이터 장치 KR200400713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12326 WO2004048245A1 (ja) 2002-11-26 2002-11-26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325A true KR20040071325A (ko) 2004-08-11

Family

ID=32375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087A KR20040071325A (ko) 2002-11-26 2002-11-26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66357B1 (ko)
JP (1) JP4323431B2 (ko)
KR (1) KR20040071325A (ko)
CN (1) CN100352752C (ko)
WO (1) WO20040482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474A (ko) * 2020-10-19 2022-04-2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60290B1 (es) * 2012-11-12 2014-11-18 Rubén PALOMINO BUSTOS Sistema de techo con desplazamiento vertical para ascensor
AT517871B1 (de) * 2015-10-16 2017-12-15 Norbert Steiner Aufzugskabine
AT15711U1 (de) * 2016-05-19 2018-04-15 Steiner Norbert Aufzugskabine
WO2018011458A1 (en) * 2016-07-15 2018-01-18 Kone Corporation Elevator arrangement to open the roof of an elevator car
AT519275B1 (de) * 2016-10-21 2018-10-15 Norbert Steiner Aufzug sowie Verfahren zur Lieferung von Paketen
CN109384119A (zh) * 2017-08-08 2019-02-26 三菱电机上海机电电梯有限公司 机械式升降逃生装置、电梯和方法
CN109384129A (zh) * 2017-08-08 2019-02-26 三菱电机上海机电电梯有限公司 电动升降逃生装置、电梯和方法
EP3546412A1 (en) * 2018-03-27 2019-10-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ceiling access system
EP4303164A1 (en) * 2022-07-04 2024-01-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with foldable working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8973A (ja) * 1993-03-30 1994-10-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室天井装置
JPH09263372A (ja) * 1996-03-28 1997-10-07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かご天井昇降装置
US6691833B1 (en) * 1999-02-05 2004-02-17 Inventio Ag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DK1276692T3 (da) * 2000-04-20 2004-02-16 Inventio Ag Indretning til brug under udførelse af arbejder i en elevatorskakt
JP2002114462A (ja) * 2000-10-11 2002-04-1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保守点検時運転装置
JP2002173277A (ja) * 2000-12-08 2002-06-2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最上階故障停止時のかご降下方法
DE10104351A1 (de) * 2001-02-01 2002-08-22 Ingenieurgesellschaft Foerder Aufzug mit auf der Aufzugskabine mitfahrender Antriebseinheit und Steuereinhe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474A (ko) * 2020-10-19 2022-04-2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6357B1 (en) 2011-08-17
CN1615263A (zh) 2005-05-11
JP4323431B2 (ja) 2009-09-02
EP1566357A1 (en) 2005-08-24
WO2004048245A1 (ja) 2004-06-10
JPWO2004048245A1 (ja) 2006-03-23
CN100352752C (zh) 2007-12-05
EP1566357A4 (en)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6109B1 (ko)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KR10057234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9476462B (zh) 电梯装置
KR20010023844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20000052619A (ko) 엘리베이터장치
CN109476460B (zh) 用于安全维护工作的电梯装置
KR20040071325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56736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766914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상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KR20030020969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10096838A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 방법
JP430383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005334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1048445A (ja) エレベータ
WO2003104130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0013117A (ko)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2486567B1 (ko) 엘리베이터 카
KR200207427Y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329410B1 (en) Elevator and car position confirmation device for the elevator
KR100336352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장착장치
KR200199478Y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JP2001226056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414285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2240760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75001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