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427Y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427Y1
KR200207427Y1 KR2020000010460U KR20000010460U KR200207427Y1 KR 200207427 Y1 KR200207427 Y1 KR 200207427Y1 KR 2020000010460 U KR2020000010460 U KR 2020000010460U KR 20000010460 U KR20000010460 U KR 20000010460U KR 200207427 Y1 KR200207427 Y1 KR 200207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way
pulley
boarding car
lifting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송산특수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2020000010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에 기계실에 설치되던 구동부와 제어부 등을 승강로(30)를 따라 설치하여 별도의 기계실이 필요없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동모터(50)는 승강로(30)의 내벽 후면이나 측면을 따라 소정의 높이에 설치하고 제어기(80)는 승강로(30)를 따라 각 층에 형성된 외부도어(32)의 주변에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기계실을 제거함에 의해 시설공간이 줄어들고 별도의 기계실을 위한 건물설계에 제한이 없게 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로의 상단이나 하단에 별도로 기계실을 구비하지 않는 엘리베이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물내부에 위치되는 승강로(1)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로(1)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각 층에는 외부도어(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로(1)의 내부에는 그 상하로 이동되면서 사람이나 화물을 이동시키는 탑승카(3)가 설치된다. 상기 탑승카(5)에는 각각의 층에서 상기 외부도어(3)와 함께 개폐되는 도어(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탑승카(3)는 아래에서 설명될 호이스트머신(22)의 호이스트로프(23)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승강로(1)의 내부에는 상기 탑승카(5)의 승강을 안내하는 탑승카레일(7)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탑승카레일(7)은 상기 탑승카(5)의 양단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승강로(1)의 상하로 길게 연장형성된다.
한편, 상기 승강로(1)의 일측에는 상기 탑승카(5)의 승강과 연동되어 승강되는 균형추(9)가 설치된다. 상기 균형추(9)는 호이스트로프(23)와 그것이 감겨져 안내되는 풀리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유지하고, 탑승카(5)와 탑승중량을 상쇄하기에 필요한 무게를 제공하여 탑승카(5)의 승강중의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탑승카(5)는 호이스트로프(23)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어 탑승카(5)의 승강과 함께 승강되고, 그 승강은 균형추레일(11)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균형추레일(11)은 상기 탑승카레일(7)과 같이 승강로(1)의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탑승카(5)와 균형추(9)의 승강을 위한 호이스트로프(23)의 연결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연결구성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상기 승강로(1)의 최하단에는 상기 탑승카(5)와 균형추(9) 낙하시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기(13,1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탑승카(5)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그 제어를 위한 구성이 구비되는 기계실(2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기계실(20)의 엘리베이터장치의 종류에 따라 승강로(1)의 최상부나 최하부에 형성된다.
도 1에는 기계실(20)이 상기 승강로(1)의 최상단에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20)에는 엘리베이터장치의 구동을 위한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안전하며 효율적인 작동을 통제하는 기계와 각종 기구들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기계실(20)의 내부에는 먼저 상기 탑승카(5)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호이스트머신(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호이스트머신(22)은 상기 탑승카(5) 및 균형추(9)와 연결되어 있는 호이스트로프(23)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20)에는 카제어기(24)가 설치된다. 상기 카제어기(24)는 탑승카(5)의 승강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외에도 상기 기계실(20)에는 직류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호이스트머신(22)에 직류를 공급하는 모터발전기(26)가 구비되고, 안전장치의 일종인 속도감지기구인 가버너(28)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장치에는 그 구동을 위한 호이스트머신(22) 및 제어를 위한 카제어기(24) 등을 설치하기 위한 기계실(20)을 승강로(1)의 상부나 하부에 별도로 마련함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먼저 엘리베이터장치의 설치를 위해서는 건물 최상층에 별도로 기계실(20)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따라서 건물의 설계시에 기계실공간을 미리 확보하여야 하고, 이와 같은 공간의 존재로 인해 건물설계가 어려워지고 엘리베이터장치의 시설위치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기계실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건물에서는 엘리베이터장치의 설치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일단 엘리베이터장치가 설치되고 나서 건물의 층수를 높이는 증축을 하게 되면, 상기 기계실을 새로 설치하여야 하고, 건물 내에서 다른 위치로 옮기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승강로(1)의 최하단(소위 말하는 피트(Pit) 바닥)에 탑승카(5)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건물의 침수시에는 누전이나 감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기계실공간이 없는 엘리베이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의 요부구서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승강로 32: 외부도어
40: 탑승카 42: 내부도어
43,43': 연동풀리 44: 카레일
50: 구동모터 60: 승강로프
61,61': 고정부 63: 구동푸리
65: 하단풀리 67: 상단풀리
70: 균형추 72: 승강풀리
80,80': 제어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건물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로의 내부를 따라 승강되며 화물이나 사람이 탑승하는 탑승카와, 상기 승강로의 내벽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탑승카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탑승카와 탑승카의 균형을 위한 균형추를 연동하여 승강시키는 승강로프시스템과, 상기 탑승카의 승강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하고 승강로의 건물의 각층을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승강로도어 주변에 설치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로프시스템은 그 양단이 승강로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탑승카 및 균형추와 연결되어 이들을 승강시키는 승강로프와,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승강로프로 전달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승강로의 상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승강로프를 안내하는 상단풀리와, 상기 승강로의 하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승강로프를 안내하는 하단풀리와, 상기 균형추의 상단에 설치되어 승강로프의 동작에 의해 상기 균형추와 함께 승강되는 승강풀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구동풀리와 직결되고 상기 승강로 측벽면의 각각의 층에 해당되는 위치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상단풀리와 하단풀리중 어느 하나와 직결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는 별도의 기계실이 필요없어 그 설치 및 이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그 구성요소들의 점검,보수를 하나의 공간에서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물의 내부에 승강로(30)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로(30)는 건물의 높이방향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상기 승강로(30)에는 그 내부공간과 건물의 각 층을 선택적으로 연통하기 위한 외부도어(32)가 각층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로(30)의 내부에는 승강로(30)를 따라 상하로 승강되면서 승객과 화물을 실어나르는 탑승카(40)가 설치된다. 상기 탑승카(40)에는 상기 외부도어(32)와 연동되는 내부도어(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탑승카(40)의 하부 양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승강로프(60)의 안내를 위한 연동풀리(43,4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탑승카(40)는 상기 승강로(30)를 따라 승강됨에 있어서 탑승카레일(44)에 의해 안내된다.
다음으로 상기 탑승카(4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모터(50)는 상기 승강로(30)의 내벽에 설치된다. 즉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로(30)의 내벽 후면이나, 내벽 측면(50')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동모터(50)가 설치되는 높이는 승강로(30)를 따라 탑승카(40)의 승강행정 내라면 어디에라도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모터(50)로는 무기어식 가변전압가변주파수방식의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제 상기 구동모터(50)의 구동력으로 상기 탑승카(40)를 승강시키는 승강로프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승강로프(60)는 상기 구동모터(50)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탑승카(50)와 아래에서 설명될 균형추(70)를 연동시켜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승강로프(60)는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승강로(30)의 상단의 고정부(61,61')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로프(60)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풀리에 의해 안내된다. 먼저 일측 고정부(61)측의 승강로프(60)는 아래에서 설명될 균형추(70)의 승강풀리(72)에 걸어감아져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풀리(72)를 거쳐 나온 승강풀리(60)는 상기 구동모터(50)와 직결되는 구동풀리(63)에 걸어감아진다. 상기 구동풀리(63)를 통과한 승강로프(60)는 상기 승강로(30)의 하부측에 고정설치되는 하부풀리(65)에 걸어 감아져 안내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풀리(65)의 위치는 반드시 승강로(30)의 하부가 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구동풀리(63)의 하부라면 어디라도 상관없다.
상기 하부풀리(65)를 통과한 승강로프(60)는 상기 승강로(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풀리(67)에 걸어감아져 안내된다. 상기 상부풀리(67)의 위치는 상기 승강로(30)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탑승카(40)의 높이내에 해당되는 범위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풀리(67)와 고정부(61')의 사이에서 상기 승강로프(60)는 상기 탑승카(40)의 연동풀리(43,43')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탑승카(40)를 승강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탑승카(30)의 승강과 연동되면서 상기 풀리들과 승강로프(60) 사이의 마찰력을 유지시키고 상기 탑승카(30) 승강시에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한 균형추(70)가 구비된다. 상기 균형추(70)는 상기 승강로(30)의 후방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상단에 승강풀리(7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풀리(72)에 걸아 감아진 승강로프(60)가 구동됨에 의해 상기 균형추(70)는 상기 탑승카(40)와 반대방향으로 승강된다. 이와 같은 균형추(70)는 균형추레일(74)에 의해 그 승강이 안내된다.
한편, 상기 탑승카(30)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80,80')는 상기 외부도어(32)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즉 상기 외부도어(32)의 상부에 해당되는 승강로(30)의 외측 벽면 내에 설치되거나, 상기 외부도어(32)의 옆쪽에 해당되는 승강로(30)의 외측 벽면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80,80')는 각각 상기 외부도어(32)의 외부에서 점검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로(30)의 외측 벽면에 개폐도어(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기(80,80')가 설치되는 층은 설계조건에 따라 선택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0,92는 탑승카(40)와 균형추(70)의 하강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기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엘리베이터장치가 승강되는 것을 설명한다. 즉, 상기 탑승카(40)가 상승되는 것은 상기 구동모터(50)가 구동되면, 도 5에서 상기 구동풀리(63)가 회전되면서 상기 승강로프(60)를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승강로프(60)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상기 고정부(61')와 상부풀리(67) 사이에 있게 되는 승강로프(60)의 길이가 짧아지고, 대신 상기 고정부(61)와 구동풀리(63) 사이에 있게 되는 승강로프(60) 사이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상기 탑승카(40)는 상승하고 상기 균형추(70)는 하강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탑승카(40)가 하강하게 되는 것은 상기 구동모터(50)가 반대방향으로 구동되어 승강로프(60)가 화살표 A반대방향으로 이동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에는 상기 균형추(70)가 상기 균형추레일(74)을 따라 위로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탑승카(40)가 소정의 층에 정차하고 상승 및 하강하는 것은 상기 제어기(80,8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되는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에서는 특히 상기 구동모터(50)의 위치를 달리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구동모터(50)를 구동풀리(63)에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상부풀리(63)나 하부풀리(65)에 연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63)와 하부풀리(65)의 설치위치는 상대적으로 그 범위가 넓기 때문에 상기 승강로(30)의 벽면을 따라 원하는 위치에 구동모터(50)와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50)의 설치위치는 설계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는 구동모터와 제어기가 승강로를 따라 분리설치된다. 따라서 별도의 기계실이 없이도 엘리베이터장치의 설계가 가능하게 되어, 엘리베이터장치의 설치를 위한 설계가 용이하게 되고 그 이전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계실이 없으므로 시설공간이 그만큼 줄어들게 되고, 탑승카와 구동모터와 제어기가 동일공간내에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그 관리, 점검, 보수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특히 승강로의 상부나 하부에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할 수 없는 지하시설물 등에 적합하다.

Claims (4)

  1. 건물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로의 내부를 따라 승강되며 화물이나 사람이 탑승하는 탑승카와,
    상기 탑승카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탑승카와 탑승카의 균형을 위한 균형추를 연동하여 승강시키는 승강로프시스템과,
    상기 탑승카의 승강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구성되고,
    상기 구동원은 상기 승강로의 내벽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승강로
    도어 주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프시스템은
    그 양단이 승강로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탑승카 및 균형추와 연결되어 이들을 승강시키는 승강로프와,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승강로프로 전달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승강로의 상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승강로프를 안내하는 상단풀리와,
    상기 승강로의 하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승강로프를 안내하는 하단풀리와,
    상기 균형추의 상단에 설치되어 승강로프의 동작에 의해 상기 균형추와 함께 승강되는 승강풀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구동풀리와 직결되고 상기 승강로 측벽면의 각각의 층에 해당되는 위치중 어느 하나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상단풀리와 하단풀리중 어느 하나와 직결 설치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KR2020000010460U 2000-04-12 2000-04-12 엘리베이터 장치 KR200207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460U KR200207427Y1 (ko) 2000-04-12 2000-04-12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460U KR200207427Y1 (ko) 2000-04-12 2000-04-12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427Y1 true KR200207427Y1 (ko) 2000-12-15

Family

ID=1965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460U KR200207427Y1 (ko) 2000-04-12 2000-04-12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4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152B1 (ko) * 2000-02-29 2005-03-0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엘리베이터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0688362B1 (ko) * 2005-11-23 2007-03-02 한진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152B1 (ko) * 2000-02-29 2005-03-0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엘리베이터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0688362B1 (ko) * 2005-11-23 2007-03-02 한진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2591B2 (ja) エレベータの終端安全装置
KR100415746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US11192754B2 (en) Elevator arrangement and elevator
CA2310184C (en) Traction sheave elevator, hoisting unit and machine space
US11560291B2 (en) Elevator arrangement to open the roof of an elevator car
WO2018011461A1 (en) Elevator arrangement with low headroom
US20090081010A1 (en) Inclined Conveyance for Multi-storied Automotive Parking
EP0415218B1 (en) Placement of a drive unit for an elevator
WO2018011459A1 (en) Elevator arrangement for safe maintenance work
JP557113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56736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80097150A (ko)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JP2003146555A (ja) エレベータ
KR100438994B1 (ko) 엘리베이터장치
KR101766914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상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KR100930021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장치
KR20010096838A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 방법
KR200207427Y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40071325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0095461A (ja) トラクションエレベータ
JP4637603B2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
KR102548320B1 (ko) 기계실이 필요없는 플랫벨트식 탑승카 자체구동 승객용, 인화물용 엘리베이터
KR100351279B1 (ko) 엘리베이터
KR102566304B1 (ko) 구동 권상기가 균형추에 구비된 기계실이 필요없는 승객용, 인화물용, 화물용, 건설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KR200199478Y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