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320B1 - 기계실이 필요없는 플랫벨트식 탑승카 자체구동 승객용, 인화물용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기계실이 필요없는 플랫벨트식 탑승카 자체구동 승객용, 인화물용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320B1
KR102548320B1 KR1020230043380A KR20230043380A KR102548320B1 KR 102548320 B1 KR102548320 B1 KR 102548320B1 KR 1020230043380 A KR1020230043380 A KR 1020230043380A KR 20230043380 A KR20230043380 A KR 20230043380A KR 102548320 B1 KR102548320 B1 KR 102548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car
elevator
flat belt
counterweight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230043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실이 필요없는 플랫벨트식 탑승카 자체구동 승객용 및 인화물용 및 경사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승강통로(10)와, 상기 승강통로(10)상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탑승카(20)와, 상기 탑승카(2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와, 상기 탑승카(2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탑승카(20)와 카운터웨이트(40)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수단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객용 및 인화물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탑승카(20) 자체에 탑재되고, 상기 동력 전달수단은 플랫벨트(70)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반(32)이 어느 한 층의 홀 도어(10a)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계실이 필요없는 플랫벨트식 탑승카 자체구동 승객용, 인화물용 엘리베이터{FLAT BELT TYPE SELF-DRIVING ELEVATOR FOR PASSENGER AND FREIGHT WITHOUT MACHINE ROOM}
본 발명은 기계실이 필요없는 플랫벨트식 탑승카 자체구동 승객용, 인화물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 로프 대신 플랫벨트를 이용하여 탑승카를 승강시킴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구동부를 탑승카 자체에 탑재하여 별도의 기계실을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줄이고 시공비용을 절감하며, 제어반을 건물 임의의 층 홀 도어의 일측면에 배치함으로써 설치, 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건물 등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사람이나 화물을 원하는 층으로 운송시킨다.
도 1은 이러한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로프식 엘리베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탑승카(20)와, 상기 탑승카(2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와, 상기 탑승카(20)와 카운터웨이트(40)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50)와, 상기 와이어 로프(50)가 감긴 트랙션 시브(31a)를 구동하는 구동부(31)와, 상기 와이어 로프(50)를 안내하는 중간시브(33)와, 탑승카(20)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31), 중간시브(33) 및 제어반(32)는, 수직으로 형성된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기계실(30)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로프(50)의 일단은 탑승카(20)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카운터웨이트(40)의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한 구조의 엘리베이터에서 트랙션 시브(31a)를 정,역회전시키면, 탑승카(20)가 승강통로를 따라 승강하게 되고, 카운터웨이트(40)는 상기 탑승카(20)와 반대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승강통로의 상부에 구동부(31) 및 제어반(31)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기계실(30)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로써 공사비가 증가되고, 엘리베이터의 설치시간이 지연되며, 건물의 미관이 저하되고, 기계실로 인하여 건물의 층고가 제한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건축현장에서 작업자 및 장비의 운반을 위해 엘리베이터를 임시로 설치하는 경우,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된 기계실(30)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승강높이를 쉽게 높이거나 낮추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를 통상 머신룸리스(Machine Room Less) 엘리베이터라 부른다.
도 2는, 이러한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31)를 탑승카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의 상부 일측 또는 승강통로의 내측 벽면에 설치하고, 제어반(32)을 승강통로 벽체의 측면에 설치한다.
상기한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승강통로(10)의 상부에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제어반(32)이 승강통로 벽체에 구비되므로, 제어반을 설치하기가 쉽지 않고, 승강통로의 면적이 증가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권상기 및 제어반의 점검 및 유지보수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31)를 승강통로(10)의 하부 바닥에 설치한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도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는, 승강통로(10)의 하부에 구동부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설치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승강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와이어 로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시브의 원주면에 와이어 로프가 권취도록 하기 위한 그루브를 가공해야 한다. 이로써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로써 제조비용이 상승 탑승카를 승강시키기 때문에, 시브의 원주면에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도록 하기 위한 홈을 가공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 한국 등록특허 제10-2480892호(2022. 12. 26. 공고) : 한국 공개특허 제10-2006-0124845호(2006. 12. 06. 공개) : 한국 공개특허 제10-2001-0094686호(2001. 11. 01.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플랫벨트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통로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동부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의 주변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엘리베이터의 승강높이를 비교적 간단하게 높이거나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브의 원주면에 와이어 로프의 권취를 위한 그루브 가공이 필요 없도록 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반을 쉽게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점검 및 유지보수가 간편해지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승강통로와, 상기 승강통로상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탑승카와, 상기 탑승카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탑승카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탑승카와 카운터웨이트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수단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탑승카 자체에 탑재되고, 상기 동력 전달수단은 플랫벨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반이 어느 한 층의 홀 도어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탑승카의 상면에 구비되는 방음방진 패드와, 상기 방음방진 패드의 상면에 장착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탑승카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플랫벨트는, 일단이 승강통로의 상부 일측에서 고정되고, 타단이 승강통로의 상부 타측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랫벨트의 일단은, 승강통로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제1 상부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플랫벨트의 타단은,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구비된 카운터웨이트 풀리, 승강통로의 상부에 구비된 제1 아이들 풀리, 탑승카의 상면에 구비된 구동풀리에 차례로 감긴 후, 승강통로의 상부 타측에 구비된 제2 상부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동부는, 상기 탑승카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플랫벨트는, 일단이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탑승카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랫벨트의 일단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 카운터웨이트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플랫벨트의 타단은, 승강통로의 상부에 구비된 제2 아이들 풀리,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구비된 카운터웨이트 풀리, 승강통로의 상부에 구비된 제3 아이들 풀리, 탑승카의 상면에 구비된 구동풀리, 탑승카의 상부에 구비된 제4 아이들 풀리에 차례로 감긴 후, 탑승카의 상면에 구비된 탑승카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상기 플랫벨트의 일단이, 승강통로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제1 상부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플랫벨트의 타단이, 카운터웨이트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 제1 카운터웨이트 풀리, 승강통로의 상부에 구비된 제5 아이들 풀리, 카운터웨이트의 상면 타측에 구비된 제2 카운터웨이트 풀리, 승강통로의 상부에 구비된 제6 아이들 풀리, 탑승카의 상면에 구비된 구동풀리, 탑승카의 상부에 구비된 제7 아이들 풀리, 탑승카의 상면에 구비된 제8 아이들 풀리에 차례로 감긴 후, 승강통로의 상부 타측에 구비된 제2 상부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탑승카의 하면에 구비되는 방음방진 패드와, 상기 방음방진 패드의 하면에 장착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탑승카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플랫벨트는, 일단이 승강통로의 상부 일측에서 고정되고, 타단이 승강통로의 상부 타측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랫벨트의 일단은, 승강통로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제1 상부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플랫벨트의 타단은,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구비된 카운터웨이트 풀리, 승강통로의 상부에 구비된 제1 아이들 풀리, 탑승카의 하면 일측에 구비된 제9 아이들 풀리, 탑승카의 하면에 구비된 구동풀리, 탑승카의 하면 타측에 구비된 제10 아이들 풀리에 차례로 감긴 후, 승강통로의 상면 타측에 구비된 제2 상부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엘리베이터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승강통로와, 상기 승강통로상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탑승카와, 상기 탑승카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탑승카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탑승카와 카운터웨이트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수단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객용 및 인화물용 경사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탑승카 자체에 탑재되고, 상기 동력 전달수단은 플랫벨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반이 탑승카 출입구 벽체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가 탑승카의 하부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반이 탑승카)의 상면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가 탑승카의 상면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반이 탑승카의 상면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구동부를 탑승카 자체에 탑재함으로써, 승강통로에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통로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동부를 설치하기 어려운 현장에서도,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장의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엘리베이터의 승강높이를 간단하게 높이거나 낮출 수 있고, 이설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 로프 대신 플랫 벨트를 사용함으로써, 시브의 원주면에 와이어 로프 권취용 그루브를 가공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반이 승강통로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승강장 홀 도어의 측면에 구비되므로, 제어반 설치를 위해 승강통로를 확장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반이 승강장 홀 도어의 측면에 구비되므로, 제어반을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점검 및 유지보수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반을 탑승카 상부에 탑재하는 경우, 설치 및 유지보수가 더욱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로프식 머신룸리스 엘리베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랫벨트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의 설치위치를 나타낸 평단면도 및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를 위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승강통로(10)와, 상기 승강통로(10)상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탑승카(20)와, 상기 탑승카(2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와, 상기 탑승카(2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탑승카(20)와 카운터웨이트(40)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수단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별도의 기계실 또는 승강통로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탑승카(2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직접 탑재된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수단은, 통상의 와이어 로프 대신에 플랫벨트(70)로 구성된다.
상기 플랫벨트(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 등의 고무재질 내부에 복수의 와이어 로프(71)가 내장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반(32)이 별도의 기계실 또는 승강통로(10)상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건물의 어느 한 층의 홀 도어(10a) 일측에 구비된다.
이로써 제어반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도 매우 간편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카(20)의 상면에 구비되는 방음방진 패드(60)와, 상기 방음방진 패드(60)의 상면에 장착되는 구동풀리(21)와, 상기 구동풀리(2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1a)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탑승카(20)의 천장 외부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플랫벨트(70)는, 일단이 승강통로(10)의 상부 일측에서 고정되고, 타단이 승강통로(10)의 상부 타측에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플랫벨트(70)의 일단은, 승강통로(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제1 상부 고정부(51)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플랫벨트(70)의 타단은, 카운터웨이트(40)의 상면에 구비된 카운터웨이트 풀리(41) →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된 제1 아이들 풀리(42) → 탑승카(20)의 상면에 구비된 구동풀리(21)에 차례로 감긴 후, 승강통로(10)의 상부 타측에 구비된 제2 상부 고정부(52)에 고정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21)를 정,역회전시키면, 탑승카(20)가 승강통로(10)의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부를 설치하기 위해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엘리베이터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고, 시공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승강통로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동부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현장에서도,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쉽게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별도의 기계실이 없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승강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증축 및 이설도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반(32)이 별도의 기계실 또는 승강통로(10)상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의 임의의 층 홀 도어(10a)의 측면에 설치된다. 예컨대 건물의 최상층 홀 도어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이로써 제어반(32)을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제어반의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도 간편해진다.
또한 통상의 와이어 로프 대신 플랫벨트를 사용함으로써, 와이어 로프 시브에 그루브 가공을 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이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에 비해 두께가 얇은 플랫벨트를 사용함으로써, 구동시브 및 풀리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또한 구동풀리(21)가 방음방진 패드(60)를 개재하여 탑승카(20)에 설치되므로, 구동풀리(21)의 작동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이 탑승카(20)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플랫벨트(70)의 고정위치를 변경한 것이다.
즉, 탑승카(2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풀리(21)가 탑승카(20)의 상면에 장착되는 구조에서, 플랫벨트(70)의 일단이 카운터웨이트(40)의 상면에 고정되고, 플랫벨트(70)의 타단이 탑승카(20)의 상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플랫벨트(70)의 일단은, 상기 카운터웨이트(4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 카운터웨이트 고정부(53)에 고정된다.
그리고 플랫벨트(70)의 타단은,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된 제2 아이들 풀리(43) → 상기 카운터웨이트(40)의 상면에 구비된 카운터웨이트 풀리(41) →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된 제3 아이들 풀리(44) → 탑승카(20)의 상면에 구비된 구동풀리(21) → 탑승카(20)의 상부에 구비된 제4 아이들 풀리(45)에 차례로 감긴 후, 탑승카(20)의 상면에 구비된 탑승카 고정부(54)에 고정된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플랫벨트의 권취방식을 변경한 것이다.
즉 상기 플랫벨트(70)의 일단은, 승강통로(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제1 상부 고정부(51)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플랫벨트(70)의 타단은, 카운터웨이트(4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 제1 카운터웨이트 풀리(41a) →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된 제5 아이들 풀리(46) → 카운터웨이트(40)의 상면 타측에 구비된 제2 카운터웨이트 풀리(41b) →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된 제6 아이들 풀리(47) → 탑승카(20)의 상면에 구비된 구동풀리(21) → 탑승카의 상부에 구비된 제7 아이들 풀리(48) → 탑승카(20)의 상면에 구비된 제8 아이들 풀리(49)에 차례로 감긴 후, 승강통로(10)의 상부 타측에 구비된 제2 상부 고정부(52)에 고정된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4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탑승카(2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풀리(21)를 탑승카(20)의 천장 외부면이 아닌 하면에 배치한 것이다.
즉 탑승카 구동부는, 상기 탑승카(20)의 하면에 구비되는 방음방진 패드(60)와, 상기 방음방진 패드(60)의 하면에 장착되는 구동풀리(21)와, 상기 구동풀리(2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1a)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탑승카(20)의 하면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플랫벨트(70)는, 일단이 승강통로(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제1 상부 고정부(51)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플랫벨트(70)의 타단은, 카운터웨이트(40)의 상면에 구비된 카운터웨이트 풀리(41) →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된 제1 아이들 풀리(42) → 탑승카(20)의 하면 일측에 구비된 제9 아이들 풀리(49a) → 탑승카(20)의 하면에 구비된 구동풀리(21) → 탑승카(20)의 하면 타측에 구비된 제10 아이들 풀리(49b)에 차례로 감긴 후, 승강통로(10)의 상면 타측에 구비된 제2 상부 고정부(52)에 고정된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3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5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플랫벨트를 경사형 엘리베이터에 적용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승강통로(10)와, 상기 승강통로(10)의 양측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경사지게 이동하는 탑승카(20)와, 상기 탑승카(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와이어 로프(50)와, 상기 와이어 로프(50)에 의해 탑승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탑승카(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프식 경사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상기 탑승카(20) 자체에 탑재되고, 동력전달수단이 플랫벨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반(32)이 상기 탑승카(20)의 상부에 탑재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탑승카(20)의 하면에 구비되는 방음방진 패드와, 상기 방음방진 패드의 하면에 장착되는 구동풀리(21)와, 상기 구동풀리(2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탑승카(20)의 하면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플랫벨트는, 일단이 승강통로(10)의 상부 일측에서 고정되고, 타단이 승강통로(10)의 상부 타측에서 고정된다.
즉 본 발명은, 구동부와 제어반이 탑승카 자체에 직접 탑재되므로, 별도의 기계실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상기 제어반(32)은, 외부도어 출입구의 측면 벽체에 매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와 제어반(32)을 모두 탑승카(20)의 천장 외부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탑승카(2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 시브(41)를 구비한다.
여기서 플랫벨트의 일단은, 경사로 상부에 구비된 제1 고정부(53a)에 고정되고, 플랫벨트의 타단은, 구동풀리(21) → 종동풀리(22) → 구동풀리(21) → 종동풀리(22) → 제3시브(35) → 카운터웨이트 시브(41)에 차례로 감긴 후, 경사로 상부에 구비된 제2 고정부(53b)에 고정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탑승카 도어와 외부 도어는, 탑승카의 진행방향에 배치될 수도 있고, 승강통로(10)의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하면, 경사형 엘리베이터에서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설치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특히 주변 여건상 기계실을 설치하기 어려운 현장에서도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경사로의 상부에 기계실이 없으므로, 비교적 간단하게 엘리베이터의 승강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경사형 엘리베이터에서 2:1 로핑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탑승카의 구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승강통로 10a: 홀 도어(Hall Door)
20: 탑승카 20a: 탑승카 풀리
21: 구동풀리(Pulley) 21a: 구동모터
22: 종동풀리 30: 기계실
31: 구동부 31a: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
32: 제어반 33: 중간시브
35: 중간시브 40: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41: 카운터웨이트 풀리(Counterweight Pulley)
41a: 제1 카운터웨이트 풀리 41b: 제2 카운터웨이트 풀리
42: 제1 아이들 풀리(Idle Pulley) 43: 제2 아이들 풀리
44: 제3 아이들 풀리 45: 제4 아이들 풀리
46: 제5 아이들 풀리 47: 제6 아이들 풀리
48: 제7 아이들 풀리 49: 제8 아이들 풀리
49a: 제9 아이들 풀리 49b: 제9 아이들 풀리
50: 와이어 로프(Wire Rope) 51: 제1 상부 고정부
52: 제2 상부 고정부 53: 카운터웨이트 고정부
53a: 제1 고정부 53b: 제2 고정부
54: 탑승카 고정부 60: 방음방진 패드(Pad)
70: 플랫 벨트(Flat Belt) 71: 와이어 로프(Wire Rope)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승강통로(10)와, 상기 승강통로(10)상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탑승카(20)와, 상기 탑승카(2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와, 상기 탑승카(2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탑승카(20)와 카운터웨이트(40)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수단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객용 및 인화물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수단은 플랫벨트(70)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반(32)이 건물 어느 한 층의 홀 도어(10a)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탑승카(20)의 하면에 구비되는 방음방진 패드(60)와,
    상기 방음방진 패드(60)의 하면에 장착되는 구동풀리(21)와,
    상기 구동풀리(2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1a)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탑승카(20)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플랫벨트(70)의 일단은,
    승강통로(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제1 상부 고정부(51)에 고정되고,
    상기 플랫벨트(70)의 타단은,
    카운터웨이트(40)의 상면에 구비된 카운터웨이트 풀리(41), 승강통로(10)의 상부에 구비된 제1 아이들 풀리(42), 탑승카(20)의 하면 일측에 구비된 제9 아이들 풀리(49a), 탑승카(20)의 하면에 구비된 구동풀리(21), 탑승카(20)의 하면 타측에 구비된 제10 아이들 풀리(49b)에 차례로 감긴 후, 승강통로(10)의 상면 타측에 구비된 제2 상부 고정부(5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필요없는 플랫벨트식 탑승카 자체구동 승객용 및 인화물용 엘리베이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30043380A 2023-04-03 2023-04-03 기계실이 필요없는 플랫벨트식 탑승카 자체구동 승객용, 인화물용 엘리베이터 KR102548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380A KR102548320B1 (ko) 2023-04-03 2023-04-03 기계실이 필요없는 플랫벨트식 탑승카 자체구동 승객용, 인화물용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380A KR102548320B1 (ko) 2023-04-03 2023-04-03 기계실이 필요없는 플랫벨트식 탑승카 자체구동 승객용, 인화물용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320B1 true KR102548320B1 (ko) 2023-06-28

Family

ID=8699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380A KR102548320B1 (ko) 2023-04-03 2023-04-03 기계실이 필요없는 플랫벨트식 탑승카 자체구동 승객용, 인화물용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32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1020A1 (en) * 1995-09-21 1997-03-27 Kone Oy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JPH11209017A (ja) * 1998-01-23 1999-08-03 Toshiba Fa Syst Eng Corp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KR20010094686A (ko) 2000-04-01 2001-11-01 백영문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설치방법
JP2004250210A (ja) * 2003-02-21 2004-09-09 Toshiba Elevator Co Ltd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20060124845A (ko) 2005-05-26 2006-12-06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JP2012153493A (ja) * 2011-01-27 2012-08-16 Hitachi Ltd エレベータ
KR102308532B1 (ko) * 2021-06-01 2021-10-05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경사형 엘리베이터
KR102480892B1 (ko) 2022-10-19 2022-12-26 삼안엘리베이터(주)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1020A1 (en) * 1995-09-21 1997-03-27 Kone Oy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JPH11209017A (ja) * 1998-01-23 1999-08-03 Toshiba Fa Syst Eng Corp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KR20010094686A (ko) 2000-04-01 2001-11-01 백영문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설치방법
JP2004250210A (ja) * 2003-02-21 2004-09-09 Toshiba Elevator Co Ltd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20060124845A (ko) 2005-05-26 2006-12-06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JP2012153493A (ja) * 2011-01-27 2012-08-16 Hitachi Ltd エレベータ
KR102308532B1 (ko) * 2021-06-01 2021-10-05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경사형 엘리베이터
KR102480892B1 (ko) 2022-10-19 2022-12-26 삼안엘리베이터(주)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2953B2 (ja) エレベータ
KR102308534B1 (ko)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
KR100499660B1 (ko)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US6619433B1 (en) Elevator system using minimal building space
JPWO2002072461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882195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204157B1 (ko) 자체 구동식 4방향 출입구 관통형 엘리베이터
JP3991657B2 (ja) エレベータ
WO2003091141A1 (fr) Ascenseur
KR102308532B1 (ko)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경사형 엘리베이터
EP1602614A1 (en) Elevator equipment
EP1568644B1 (en) Elevator equipment
KR102548320B1 (ko) 기계실이 필요없는 플랫벨트식 탑승카 자체구동 승객용, 인화물용 엘리베이터
JP5516512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41660A1 (en) Elevator apparatus
KR102566304B1 (ko) 구동 권상기가 균형추에 구비된 기계실이 필요없는 승객용, 인화물용, 화물용, 건설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US20060260878A1 (en) Elevator apparatus
JP200224107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1314680B1 (en) Elevator device
KR100455502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EP1516844A1 (en) Elevator equipment
JPWO2004101419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4028948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288350Y1 (ko) 엘리베이터
KR200207427Y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