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350Y1 -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350Y1
KR200288350Y1 KR2020020017287U KR20020017287U KR200288350Y1 KR 200288350 Y1 KR200288350 Y1 KR 200288350Y1 KR 2020020017287 U KR2020020017287 U KR 2020020017287U KR 20020017287 U KR20020017287 U KR 20020017287U KR 200288350 Y1 KR200288350 Y1 KR 200288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uspension
pulley
pair
guide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호
Original Assignee
(주)수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림 filed Critical (주)수림
Priority to KR2020020017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3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35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승강차의 승강시 상기 승강차의 현수를 위한 구조가 승강차 가이드 레일과는 간섭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상기 승강차가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현수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쉬브 설치구조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구동활차 및 구동모터를 갖는 권상기와, 승객의 탑승 혹은, 화물의 탑재를 위한 승강차와, 상기 승강차와는 반대 방향을 향하여 승강되는 균형추와, 승강 통로의 내벽면 중 승강차의 양측면이 위치되는 벽면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승강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활차와는 와이어 로프로 연결된 한 쌍의 승강차용 현수활차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케이지 쉬브를 승강차의 하부에 설치하되 가이드 레일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여러 설치형태를 제시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쉬브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중 기계실이 없는 형태는 도 1과 같이 크게 권상기(traction machine)(10)와, 다수의 케이지 쉬브(21,22)(이하 "현수활차"라 함)와, 승강차(car)(30), 균형추(40) 그리고, 한 쌍의 승강차 가이드 레일(50) 및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60)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다. 권상기(10)는 승강차 가이드 레일(50)의 상부측에 고정된 프레임(70)에 설치되며, 와이어 로프(80)로 승강차용 현수 활차(21) 및 균형추용 현수활차(22)와 각각 연결되어 연동하는 구동활차(traction sheave)(11) 및 상기 구동활차(11)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프레임(70)은 벽면(승강 통로 내의 벽면)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80)는 그 일단이 승강차 로프 저지부(71)에 고정됨과 더불어 그 타단은 균형추 로프 저지부(72)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활차(11)와 한 쌍의 승강차용 현수활차(21) 및 하나의 균형추용 현수활차(22)에 순차적으로 감기어 설치된다. 승강차용 현수 활차(21)는 상기 승강차(30)의 상면 중앙부위에 서로 대응된 상태로써 각각 설치된다. 균형추(40)는 승강차(30)의 이동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상기 승강차(30)의 동작시 그 평형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승강차 가이드 레일(50)은 상기 승강차(3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균형추 가이드 레일(60)은 상기 균형추(4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구동모터(12)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구동활차(11)가 회전하면서 견인력을 발생시켜 각 현수활차(21,22)에 감겨진 와이어 로프(8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듯, 와이어 로프(80)의 이동이 이루어지면 승강차(30)와 균형추(40)는서로 역방향을 향하여 승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각 구성 부분 중 승강차(30)의 승강을 수행하는 한 쌍의 승강차용 현수활차(21)는 통상 승강차(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승강차(30)의 상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야만 한다.
하지만, 권상기(10)가 상기 승강차(30)의 상부에 장착되어 승강 통로 내벽면에 고정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는 상기 승강차(30)의 상부에 상기 승강차용 현수활차(21)를 적용하기가 상당히 불리하였다.
즉, 상기 승강차용 현수활차(21)가 승강차(30)의 상부에 설치된다면 상기 승강차(30)의 상승 높이가 최대한 권상기(10)의 위치에 비해서는 아래측일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건물의 최 상층에 까지 승강차(30)가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위해서는 승강 통로가 해당 건물의 옥상 외부로 노출되어야만 하였기에 시각적으로 좋지 못하였던 것이다.
특히, 권상기(10)의 설치 위치가 해당 건물의 구조에 따라 일정치 않음을 고려한다면 상기 승강차용 현수활차(21)를 설치하기에는 더욱 어려운 곤란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차용 현수활차(21)를 설치하는 형태는 통상 승강차(30)의 양측인 승강 통로 내벽면의 양측에 한 쌍의 승강차 가이드 레일(50)이 설치된 위치와 일치된 위치에 각각 설치된 상태로써 서로 대향하여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한 쌍의 승강차 가이드 레일(50)과 한 쌍의 승강차용 현수활차(21)간의 간섭으로 인한 고장 발생율이 높았던 문제점이 있다.
즉, 기존의 구조에서는 상기 승강차용 현수활차(21)가 권상기(10) 및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50)과의 간섭됨을 동시에 유의하여 설치되어야만 하였기에 그 설치상의 많은 곤란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써, 승강차의 승강시 상기 승강차의 현수를 위한 구조가 승강차 가이드 레일과는 간섭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차가 어느 한 쪽으로의 기울어짐 없이 현수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현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강차용 현수활차(케이지 쉬브)가 설치된 상태의 제 1실시예를 승강차의 저면에서 본 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강차용 현수활차(케이지 쉬브)가 설치된 상태의 제 2실시예를 승강차의 저면에서 본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권상기 210. 승강차용 현수활차(케이지 쉬브)
300. 승강차 400. 균형추
500. 승강차 가이드 레일 600. 균형추 가이드 레일
800. 와이어 로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구동활차 및 구동모터를 갖는 권상기와, 승객의 탑승 혹은, 화물의 탑재를 위한 승강차와, 상기 승강차와는 반대 방향을 향하여 승강되는 균형추와, 승강 통로의 내벽면 중 승강차의 양측면이 위치되는 벽면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승강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활차와는 와이어 로프로 연결된 한 쌍의 승강차용 현수활차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가 제공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크게 권상기(100)와, 승강차(300)와, 균형추(400)와,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500) 및 균형추용 가이드 레일(600)과, 승강차용 현수활차(210) 및 균형추용 현수활차(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권상기(100)는 구동활차(110) 및 상기 구동활차(11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20)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승강차(300)는 승객의 탑승 혹은, 화물의 탑재를 수행하며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500)의 안내를 받아 승강 통로 내부를 상하 승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500)은 상기 승강 통로의 내벽면 중 승강차(300)의 양측면이 위치되는 벽면을 따라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균형추(400)는 상기 승강차(00)와는 반대 방향을 향하여 승강되도록 구성되며, 균형추용 가이드 레일(600)의 안내를 받아 승강 통로 내부를 상하 승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균형추용 가이드 레일(600)은 한 쌍의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500)이 대향되는 방향과는 수직된 방향을 향하여 마주보도록 상기 승강 통로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균형추용 현수 활차(220)는 상기 균형추(400)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승강차용 현수 활차(210)는 상기 승강차(300)의 저면에 설치된다.
이 때, 상기와 같은 승강차용 현수 활차(210)는 한 쌍의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500)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500)이 위치된 부위와는 일치하지 않은 상태로써 서로 대향된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특히,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승강차용 현수활차(210)는 도시한 도4와 같이 상기 승강차(300)를 그 저면에서 봤을 때 한 쌍의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500)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하여 와이어 로프(800)가 사선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승강차(300)의 저면 두 대각 부위에서 서로 대향된 위치에 각각 설치됨을 제시한다.
예컨대, 도면상 어느 하나의 승강차용 현수활차(210)는 승강 통로 내벽면 중 어느 한 벽면에 설치된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500)의 우측편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승강차용 현수활차(210)는 다른 한 벽면에 설치된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500)의 좌측편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와이어 로프(800)는 그 일단이 승강차 로프 저지부(710)에 고정됨과 더불어 그 타단은 균형추 로프 저지부(720)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활차(110)와 한 쌍의 승강차용 현수활차(210) 및 하나의 균형추용 현수활차(220)에 순차적으로 감기어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승강차(300)의 상부는 별도의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승강 통로의 상부에 위치되는 권상기(100)는 그 설치가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승강차용 현수활차(210)는 상기 승강차(300)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차(300) 상부의 공간 활용이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을 가지며, 각 승강차용 현수활차(210)가 승강차(300)의 저면에 서로 대각 방향을 향하여 마주보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승강차(300)의 무게 중심이 전방 및 후방측으로 쏠리게 됨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권상기(100)를 구성하는 구동모터(120)의 구동에 의해 구동활차(110)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활차(110)와 균형추 로프 저지부(720) 사이에 감겨진 와이어 로프(800)의 일단 길이가 점차 짧아지면서 상기 균형추(400)를 들어올리게 되고, 상기 구동활차(110)와 승강차 로프 저지부(710) 사이에 감겨진 와이어 로프(800)의 일단은 그 길이가 점차 길어지면서 승강차용 현수활차(210)를 끌어올리던 힘이 점차 해제되어 상기 승강차(300)를 점차 하향 이동시키게 된다.
이의 과정에서, 상기 한 쌍의 승강차용 현수활차(210)는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500)을 회피하여 사선 방향으로써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그 동작시 상기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500)과의 간섭이 방지된 상태로써 동작됨이 가능하다.
만일, 권상기(100)를 구성하는 구동모터(120)의 구동에 의해 구동활차(110)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활차(110)와 승강차 로프 저지부(710) 사이에 감겨진 와이어 로프(800)의 일단은 그 길이가 점차 짧아지면서 상기 승강차용 현수활차(210)를 들어올리게 되고, 상기 구동활차(110)와 균형추 로프 저지부(720) 사이에 감겨진 와이어 로프(800)의 일단 길이는 점차 길어지면서 균형추용 현수활차(220)를 끌어올리던 힘이 점차 해제되어 상기 균형추(400)를 점차 하향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승강차용 현수활차(210)는 반드시 승강차(300)를 저면에서 봤을 때 사선(혹은, 대각선)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도시한 도 4와 같이 승강차(300)를 그 저면에서 봤을 때 한 쌍의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500)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와이어 로프(800)가 직선 방향을 향하도록 서로 대향된 위치에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이의 경우에는 승강차(300)의 무게 중심이 상기 승강차의 전방측 혹은,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음을 고려한다면 한 쌍의 승강차용 현수활차를 별도로 더 구비하여 상기 승강차(300)의 무게 중심이 어느 한 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구성할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승강차의 저면에 승강차용 현수활차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승강차의 상부 공간을 폭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상기 승강차의 최대 상승 높이가 권상기의 설치 위치를 초과할 수 있게 되어 승강 통로가 해당 건물의 옥상 외부로 노출될 필요없이 건물의 최 상층에 까지 승강차가 상승함이 가능하게 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차용 현수활차의 설치 구조는 단순히 승강차 가이드 레일과 일치되지 않도록만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그 설치가 편리함과 더불어 승강차의 저면 각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승강차가 전방 혹은, 후방 등과 같이 어느 한 측으로 쏠리게 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구동활차 및 구동모터를 갖는 권상기와,
    승객의 탑승 혹은, 화물의 탑재를 위한 승강차와,
    상기 승강차와는 반대 방향을 향하여 승강되는 균형추와,
    승강 통로의 내벽면 중 승강차의 양측면이 위치되는 벽면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승강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활차와는 와이어 로프로 연결된 한 쌍의 승강차용 현수활차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승강차용 현수활차는
    상기 한 쌍의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이 위치된 부위와는 일치하지 않은 상태로써 서로 대향된 위치에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각 승강차용 현수활차는
    승강차를 그 저면에서 봤을 때 한 쌍의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와이어 로프가 사선 방향을 향하도록 서로 대향된 위치에 각각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4. 제 2 항에 있어서,
    각 승강차용 현수활차는
    승강차를 그 저면에서 봤을 때 한 쌍의 승강차용 가이드 레일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와이어 로프가 직선 방향을 향하도록 서로 대향된 위치에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KR2020020017287U 2002-06-05 2002-06-05 엘리베이터 KR200288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287U KR200288350Y1 (ko) 2002-06-05 2002-06-05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287U KR200288350Y1 (ko) 2002-06-05 2002-06-05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350Y1 true KR200288350Y1 (ko) 2002-09-11

Family

ID=7307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287U KR200288350Y1 (ko) 2002-06-05 2002-06-05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3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1568B2 (en) Method of installing an elevator
JP5577275B2 (ja) 床高さ調節機構付きエレベーター
KR102308534B1 (ko)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엘리베이터
JPWO2002072461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H11106159A (ja) エレベーター
JP2004504239A (ja) 最小のビル空間を使用するエレベータ装置
JPH1160117A (ja) エレベーター
KR102308532B1 (ko) 기계실이 필요없는 로프식 자체구동 경사형 엘리베이터
CN110709344B (zh) 电梯
JP426028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2003146555A (ja) エレベータ
JP2012056773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410786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09132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288350Y1 (ko) 엘리베이터
JP4658067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566304B1 (ko) 구동 권상기가 균형추에 구비된 기계실이 필요없는 승객용, 인화물용, 화물용, 건설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KR102548320B1 (ko) 기계실이 필요없는 플랫벨트식 탑승카 자체구동 승객용, 인화물용 엘리베이터
CN217867588U (zh) 井道爬升驱动轨道式升降装置
KR10123152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22230140A1 (ja) エレベーターおよび昇降行程延伸方法
KR10079209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8043819A (ja) 複数の釣合い錘を備えるエレベータ
CN108883897B (zh) 电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