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0969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0969A
KR20030020969A KR10-2003-7001615A KR20037001615A KR20030020969A KR 20030020969 A KR20030020969 A KR 20030020969A KR 20037001615 A KR20037001615 A KR 20037001615A KR 20030020969 A KR20030020969 A KR 20030020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hoistway
counterweight
hoisting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이도시아키
하마구치수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0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96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1)내의 설치된 카레일(4)을 따라서 승강하는 카(3)와, 승강로(1)내에 설치된 평형추레일(7)을 따라서 승강하는 평형추(6)와, 활차(10)와 그 활차(10)를 구동하는 모터부(11)를 가지며, 활차(10)의 회전면이 수평으로 되도록 승강로(1)내의 상부에 배치된 권상기(9)와,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된 제1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13, 14)와, 1단측에 카(3)가 접속됨과 동시에 타단측에 평형추(6)가 접속되어 제1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13,14)와 활차 (10)에 감기어 카(3)와 평형추(6)를 현수하는 메인로프(8)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도 11은 기계실의 없는 기계실무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일본국 특개평 10-139321호 공보에 나타내어진 것이다. 도면에서 1은 승강로, 3은 저면에 2개의 카밑 반송활차(26)를 가지며, 카밑 반송활차(26)를 경유하여 메인로프(8)에 의해 현수되며, 카레일(4)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승강로(1)내를 승강하는 카, 6은 상부에 평형추현수활차(27)를 가지며 평형추현수활차를 경유하여 메인로프(8)에 의해 현수되며, 평형추레일(7)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승강로(1)내를 승강하는 평형추, 9는 메인로프(8)를 감는 활차(10)와 활차(10)를 구동하는 모터부(11)로 구성되어 활차 (10)의 회전면이 수평으로 됨과 동시에 활차(10)가 모터부(11)보다 하측으로 되도록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된 권상기, 13은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된 제1의 방향전환풀리, 14는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한 제2의 방향전환풀리이다.
또, 메인로프(8)는 1단을 제1의 고정점(28)에 가지며, 타단을 제2의 고정점 (29)에 갖는다. 메인로프(8)는 제1의 고정점(28)에서 평형추(6)에 부착한 평형추현수활차(27)와,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한 제1의 방향전환풀리(13)와, 권상기 (9)의 활차(10)와,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한 제2의 방향전환풀리(14)와, 카(3)의 전면에 배치한 카밑반송활차(26)를 차례로 경유하여 제2의 고정점(29)에 이르도록 구성되었다.
도 12는 도 11에 있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로(1)의 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피벗암(Pivot arm)(30)에 상시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권상기(9)를 배치한 프레임(31)을 나타낸다. 피벗암(30)은 피벗축(32)에 의해,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되어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권상기(9)의 장착, 보수 및 수리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가 있는 점에서 유리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2:1 로핑(roping)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카(3)의 저면에 2개의 카밑반송활차(26)를 베치하고 또한 평형추(6)에 평형추현수활차(27)를 배치할 필요가 있으며, 그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승강로내의 레이아웃의 유연성이 저해되어 있었다.
또,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와 같이 승강로(1)의 상부에 권상기(9), 제1의 방향전환풀리(13)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14)를 배치하면은 승강로(1)의 높이방향의 폭은, 권상기(9)의 두께와 제1의 방향전환풀리(13) 또는 제2의 방향전환풀리
(14)의 직경이 합으로 되어 카(3)상부의 승강로(1)상부에 있는 갭의 크기가 크게 되었다.
또, 권상기(9)의 보수 또는 점검을 행할 경우, 피벗암(30)을 회동시킬 필요가 있어 용이하게 보수 또는 점검을 행할 수 가 없었다.
본 발명은 기계실이 없는 기계실무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 1에서의 Ⅱ-Ⅱ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단면도에서의 권선기조립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단면도에서의 권상기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권상기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활차와 제1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와의 사이의 로프의 설치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며, (a)는 승강로의 상부에서 본 도면, (b)는 수평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7에서의 Ⅵ-Ⅵ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 6에서의 Ⅶ-Ⅶ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단면도에서의 권상기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권상기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10에서의 Ⅸ-Ⅸ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 9에서의 Ⅹ-Ⅹ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의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로의 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주요부분의 대한 부호의 설명>
1. 승강로(hoistway),2. 승강로벽,
3. 카(car),4. 카레일(car rail),
5. 카프레임,6. 평형추(counterweight),
7. 평형추레일,8. 메인로프,
9. 권상기(hoisting machine),10. 활차(sheave),
11. 모터,12. 브레이크,
13. 제1의 방향전환풀리,14. 제2의 방향전환풀리,
15. 권상기 조립체,16. 평면상기판,
17. 에지부(edge portion),18. 권상기보조지지대,
19. 브레이크부 점검구,20. 플리이트각,
21. 제1의 개구부, 22. 제2의 개구부,
23. 승강구문,24. 최상층현관마루.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 본 발명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1은 승강로, 2는 승강로 벽, 3은 카레일(4)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승강로(1)내를 승강하는 카, 5는 카(3)의 주위를 구성하고 있는 카프레임, 6은 평형추레일(7)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승강로(1)내를 승강하는 평형추, 8은 카(3)및 평형추(6)를 현수하는 메인로프, 9는 메인로프(8)을 감는 활차(10)와 활차(10)를 구동하는 모터부(11)로 구성되어 활차(10)의 회전면이 수평으로 됨과 동시에 활차 (10)가 모터부(11)보다 상측으로 되도록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된 권상기이며, 모터부(11)의 내부에는 브레이크부(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때문에, 브레이크부(12)도 모터부(11)와 마찬가지로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13은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된 제1의 방향전환풀리, 14는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된 제2의 방향전환풀리, 15는 저면으로서의 평면상의 기판(16)과 양단의 변이 "ㄷ"자상으로 형성된 에지부(17)로 구성됨과 동시에 카 레일(4)및 평형추레일 (7)에 지지되어 있으며, 권상기(9), 제1의 방향전환풀리(13)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 (4)를 부착시키기 위한 권상기조립체, 18은 기판(16)의 면상의 코너에 권상기조립체(15)의 에지부(17)에 평행으로 되도록 위치된 권상기보조지지대, 19는 기판 (16)중에서 권상기보조지지대(18)와 권상기조립체(15)의 에지부(17)사이의 영역에 개구하여 설치된 권상기의 브레이크부 점검구이다.
21은 기판(16)에 개구하여 설치된 제1의 개구부, 22는 기판(16)에 개구하여 설치된 제2의 개구부, 23은 승강구문, 24는 최상층 현관마루이다.
메인포르(8)는 그의 1단을 카프레임(5)에서 승강로평면도에 있는 카(3)의 중심위치로 되는 점에 고정되고, 타단을 평형추(6)의 상부에서 승강로평면도에 있는 평형추(6)의 대략 중심위치로 되는 점에 고정되어 있다. 메인로프(8)는 카 프레임 (5)과의 고정점에서 수직으로 상승하여, 제1의 방향전환풀리(13)를 경유하여 수평방향으로 전환하여 권상기(9)활차(10)에서 되돌려지고, 제2의 방향전환풀리 (14)를 경유하여 수직하방으로 전환하여, 평형추(6)와의 고정점에 도달한다.
권상기(9)는 권상기조립체(15)의 에지부(17)와 권상기 보조지지대(18)에 걸치게 되도록 설치되어 기판(16)에 대한 권상기(9)의 수직투형면에 브레이크부 점검구(19)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권상기(9)는 활차(10)의 회전면이 수평으로 됨과동시에 활차(10)가 승강로(1)의 천장측을 향하여 모터부(11)및 브레이크부(12)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9)는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승강구문(23)측의 코너에 배치되어 있다.
또, 권상기(9)는 회전축의 방향으로 얇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소위 박형권상기이다. 박형권상기라는 것은 회전축방향의 두께가 회전축방향과 수직방향의 두께보다도 얇은 권상기, 또는 최상층 위치의 카(3)와 승강로(1)의 전장면과의 틈새에 수용할 수 있는 얇은 권상기를 지적하고 있다. 박형권상기는 예로써, 일본국 특개평 12-289954호 공보에 소개되어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3에 나타낸 것 같이, 승강로(1)의 높이방향에서, 제1의 방향전환풀리 (13)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14)의 높이(도중에 있는 높이 A)내에 권상기(9)의 높이(도중에 있는 높이 B)의 대부분이 수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권상기(9)를 상측에 배치함으로써 제1의 방향전환풀리(13)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14)의 높이 A내에 권상기(9)의 모터부를 배치하고, 제1의 방향전환풀리(13)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14)의 높이 A와 권상기(9)의 높이 B와를 합한 높이를 최소한으로 하는 구성을 하고 있다.
또, 승강로(1)의 높이방향에서, 권상기조립체(15)의 높이(도중에 있는 높이 C)는, 권상기조립체(15)에 직접 답재되어 있는 기기의 높이 즉, 제1의 방향전환풀리(13)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14)의 높이(도중에 있는 높이 A)내에 수용되어 있다.
평형추(6)는 승강구문(23)에 대향하는 측의 승강로벽(2)을 따라서 승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평형추(6)를 승강구문(23)에 대하여 향한측에 배치한다. 즉 "평형추 백드롭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제1의 방향전환풀리(13)는 제1의 개구부(21)의 대향하는 2개의 측면에 의해 회전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제1의 방향전환풀리(13)의 일부가 기판(16)보다도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의 방향전환풀리(14)의 일부가 기판 (16)보다도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 권상기의 보수 및 점검에 대하여 상술하며, 설명에는 도 4를 이용한다.
상기와 같이, 권상기(9)는 권상기 조립체(15)의 에지부(17)와 권상기 보조지지대(18)에 걸치게 되도록 설치되어 기판(16)면상의 권상기(9)의 수직투형면에 브레이크부 점검구(19)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권상기(9)는 모터부(11)및 브레이크부(12)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때문에, 제 4도에 나타난 활살표(D)의 방향으로부터 모터부(11)및 브레이크부(12)를 육안검사할 수 있으며, 또한, 화살(D)의 방향으로 부터 보수작업을 행할 수 가 있다.
다음, 메인로프(8)와 제1의 방향전환풀리(13)와의 로프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상술하며 설명에는 도 5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메인로프(8)에는 복수개가 사용되어 있으므로 제1의 방향전환풀리(13)와 권상기(9)의 활차(10)간에는 로프는 도와 같이 제1의 방향전환풀리(13)또는 활차(10)의 각각의 로프홈(rope groove)에 대해서 플리이트각(fleet angle)(20)의 각도를 가지고 감겨져 있다. 그 플리이트각 (20)이 크면은 로프홈의 측면과 메인로프(8)가 강하게 접촉하여 메인로프(8)의 수명이 짧게 된다. 따라서, 플리이트각(20)을 작게하기 위해 제1의 방향전환풀리 (13)와 활차(10)와는 될 수 있는 대로 이격시켜서 설치하는 것이 좋다.
그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권상기(9)를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승강구문(23)측의 코너에 배치하여 있다. 또한, 승강구문(23)측과 대향하는 측에 평형추 (6)를 배치하고 있어 권상기(9)와 제2의 방향전환풀리(14)와의 거리를 최대크기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제2의 방향전환풀리(14)와 활차(10)와의 관계는 제1의 방향전환풀리 (13)와 활차(10)와의 관계는 동일함으로, 설명은 생락한다.
상기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1:1로핑(roping)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카(3)의 저면에 2개의 차밑반송활차(26)및 평형추(6)의 평형추현수활차(27)가 불피료하여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가 있어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그때문에, 승강로내의 레이아웃의 유연성을 향상할 수 가 있다.
또, 1:1 로핑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메인로프(8)의 길이를 짧게할 수 가 있어 비용삭감을 달성할 수 있다.
또, 권상기(9)는 활차(10)를 모터부(11)및 브레이크부(12)보다도 상측으로 되도록 설치하였으므로 승강로(1)의 높이방향에서 제1의 방향전환풀리(13)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14)의 높이내에 권상기(9)의 높이의 대부분을 수용할 수 가 있다. 그때문에, 오버헤드치수(도 1에 있는 OH크기)를 작게할 수 가 있어 승강로 (1)의 공간절약을 도모할 수 가 있다.
또, 권상기(9)의 활차(10)의 회전면을 수평으로 하였으므로 오버헤드치수(도1에 있는 OH크기)를 작게할 수 가 있어 승강로(1)의 공간절약을 도모할 수 가 있다.
또, 권상기(9)의 얇은 구조를 한 박형권상기이므로 오버헤드치수(도 1에 있는 OH크기)를 작게할 수 있으므로 승강로(1)의 공간절약을 도모할 수 가 있다.
또, 권상기(9)는 모터부(11)및 브레이크부(12)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권상기(9)의 수직투형면에 브레이크부 점검구(19)를 설치하여 있으므로 용이하게 권상기(9)의 보수작업 및 점검작업을 행할 수 가 있다.
또, 기판(16)은 카레일(4) 또는 평형추레일(7)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별도 기판(16)을 지지하는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삭감을 기할 수 가 있다.
또, 기판(16)은 승강로(1)의 벽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별도기 판(16)을 지지하는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삭감을 기할 수 가 있다.
또, 권상기(9)는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승강구문(23)측의 코너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의 방향전환풀리(13)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14)와 활차(10)와의 간격을 최대한으로 설치할 수 가 있어 플리이트각(20)을 크게할 수 가 있다. 그때문에, 메인로프(8)의 수명을 길게할 수 가 있다.
또, 권상기(9)는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카(3)의 수직투형면에서 뻗어나오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의 방향전환풀리(13)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14)와 활차(10)와의 간격을 최대한으로 설치할 수가 있어 플리이트각(20)을 크게할 수가 있다. 그때문에, 메인로프의 수명을 길게할 수 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에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하여 도 6~도 9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1과 동일부호를 붙인 개소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낸다.
각 도면에서, 15는 저면으로서의 평면상의 기판(16)과 양단의 변이 "ㄷ" 자상으로 형성된 에지부(17)와 한측의 긴 변에서 돌출하여 설치된 권상기보조부(25)로 구성됨과 동시에 짧은 변의 양측에서 승강로벽(2)에 지지되어 있고, 제1의 방향전환풀리(13)을 기판(16)에 결합하기 위한 권상기조립체이다. 권상기조립체(5)는 그의 양단변이 승강로벽(2)의 승강구문(23)의 설치측과 승강구문(23)의 설치측의 대향하는 측에서 고정되어 있다.
18은 권상기보조부(25)와 대향하는 승강로벽(2)측에서 권상기조립체(15)의 에지부(17)에 평행으로 되도록 승강로벽(2)에 고정되어 있는 권상기보조지지대이다.
권상기(9)는, 권상기조립체(15)의 에지부(17)와 권상기보조지지대(18)에 걸쳐있음과 동시에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승강구문(23)측의 코너에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9)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게 활차(10)의 회전면이 수평으로 됨과 동시에 활차(10)가 승강로(1)의 천장축을 향하고, 모터부(11)및 브레이크부(12)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9)는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승강구문 (23)측의 코너에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평형추레일(7)은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권상기 보조지지대(18)설치되어 있는 측의 승강로벽(2)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즉, 평형추(6)가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권상기 보조지지대(18)에 설치되어 있는 측의 승강로벽(2)을 따라서 승강하도록 되어 소위 "평형추 사이드 드롭방식"으로 되어 있다. 또한, 평형추레일(7)의 한측이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승강구문(23)과 대향하는 측의 코너에 배치됨으로서 제2의 방향전환풀리(14)와 권상기(9)의 활차(10)간의 간격을 최대한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유는, 실시에 1에서 설명한 것 같이 플리트각(20)을 작게 하기 때문이다.
제2의 방향전환풀리(14)는 권상기조립체(15)의 권상보조부(25)와 권상기보조지지대(18)에 걸침과 동시에 평형추(6)의 승강방향내의 승강로(1)의 상1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의 방향전환풀리(13)의 기판(16)에의 설치의 방법은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 권상기의 보수 및 점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설명에는 도 8을 이용한다.
상기와 같이 권상기(9)는 권상기 조립체(15)의 에지부(17)와 권상기보조지지대(18)에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권상기(9)는 모터부(11)및 브레이크부(12)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8에 나타낸 화실(E)의 방향에서 모터부(11)및 브레이크부 (12)를 육안검사할 수 있으며, 또한 화살(E)의 방향에서 보수작업을 행할 수 가 있다.
상기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평형추사이드드롭방식, 또한 1:1로핑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평형추사이드 드롭방식에서도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 권상기(9)는 모터부(11) 및 브레이크부(12)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권상기(9)를 권상기조립체(15)의 에지부(17)와 권상기보조지지대(18)에 걸치도록 설치하였으므로 실시예에 있는 브레이크부점검구(19)를 설치하지 않고 용이하게 권상기(9)의 보수작업 및 점검작업을 행할 수 가 있다.
실시의 형태 3.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 특히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보다도 메인로프의 활차에 대한 권양각(winding angle)이 큰 평형추 사이드드록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도 9 및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1과 동일부호를 붙인 개소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실시의 형태 1과 비교하여 평형추(6)및 평형추레일(7)의 배치가 다를뿐이며, 그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이상,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승강로벽(2)중 승강구문(23)의 설치측에 접하는 2면을 측면으로 칭한다.
각 도에 있어서, 권상기(9)는 승강로벽(2)의 1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평형추(6)및 평형추레일(7)은 승강로벽(2)의 다른 측면에 접하도록 또한 카레일(4)과 승강로벽(2)의 승강구문(23)의 설치측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에 따라서, 제2의 방향전환풀리(14)의 위치도 실시의 형태 1과 다르며, 승강로(1)의 상부에 있는 평형추(6)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조립체(15)는 카레일(4)과 평형추레일(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권상기조립체(15)에 설치되어 있는 권상기(9), 제1의 방향전환풀리(13)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14)는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승강구문(23)측의 거의 절반면에 집약되어 있으므로 권상기조립체(15)는 크기가 실시의 형태 1에 비하여 거의 반으로 되어 있다. 또한, 권상기(9), 제1의 방향전환풀리(13) 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14)의 권상조립체(15)에의 설치의 방법은 실시에 1과 동일하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것 같이 메인로프(8)의 활차(10)에의 권양각은 실시의 형태 1에 비하여 크게 되어 있어, 활차(10)의 견인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가 있다.
또한, 메인로프(8)의 활차(10)에의 권양각은 카(3) 및 승강로(1)의 평면도의 형상에 의해 변화함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하는 조건에 의해 실시의 형태 2이거나 볼 실시예에서 권양조건이 좋은 것을 선택하면 된다.
상기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의 효과를 얻을 수 가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메인로프(8)의 활차(10)에 대해 권양각이 크게 될 수가 있어 활차(10)의 견인능력을 향상할 수 가 있다.
또, 기판(16)의 면적을 작게할 수 가 있어 비용삭감을 도모할 수 가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내에 설치된 카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카와 승강로내에 설치된 평형추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평형추와, 활차, 활차를 구동하는 모터부, 모터부를 제어하는 브레이크부를 가지며 활차의 회전면이 수평으로 되도록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된 권상기와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1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와 1단축에 차가 접속됨과 동시에 타단측에 평형추가 접속되어 제1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와 활차에 감겨져 카와 평형추를 현수하는 메인로프를 구비하여 있으므로 승강로내의 공간절약을 도모할 수 가 있다.
또, 권상기는 회전축방향의 두께가 회전축방향과 수직방향의 두께보다도 얇은 것이므로 승강로내의 공간저략을 도모할 수 가 있다.
또,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권상기 및 제1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를 답재하는 권상기조립체를 구비한 것이므로 승강로내의 공간절약을 도모할 수 가 있다. 또, 권상기조립체는 카레일 또는 평형추레일에 의해 지지된 것이므로 권상기조립체를 지지하는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권상기 조립체는 승강로의 벽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권상기조립체를 지지하는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권상기조립체는 승강로의 높이방향에 있어서 그 높이가 제1의 방향전환풀리 또는 제2의 방향전환풀리의 높이내에 위치하여 있는 것이므로 승강로내의 공간절약을 도모할 수 가 있다.
또, 권상기는 승강로의 평면도에 있는 코너에 배치된 것이므로 제1의 방향전환풀리 또는 제2의 방향전환풀리와 활차간을 크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권상기는 승강로의 평면도에 있는 코너에 배치됨과 동시에 승강로의 평면도에 있는 카의 수직투형도에서 뻗어나오도록 배치된 것이므로 제1의 방향전환풀리 또는 제2의 방향전환풀리와 활차간을 크게 유지할 수 가 있다.
또, 권상기는 브레이크부가 승강로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이므로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가 있다.
또, 권상기는 브레이크부가 승강로의 하측을 향하도록 권상기조립체의 상면에 배치되며 권상기 조립체는 권상기의 수직투형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점검구를 구비한 것이므로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승강로내의 공간절약을 도모할 수가 있는 동시에,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가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내에 설치된 카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카와, 승강로내에 설치된 평형추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평형추와 활차, 활차를 구동하는 모터부, 모터부를 제어하는 브레이크부를 가지며, 활차의 회전면이 수평으로 되도록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된 권상부와,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1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와, 1단측에 카가 접속됨과 동시에 타단측에 평형추가 접속되고, 제1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와 활차에 감겨져 카와 평형추를 현수하는 메인루프를 구비한 것이다.
또, 권상기는 회전축방향의 두께가 회전축방향과 수직방향의 두께보다도 얇은 것이다.
또,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권상기 및 제1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를 답재하는 권상기 조립체를 구비한 것이다.
또, 권상기조립체는 카레일 또는 평형추레일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또, 권상기조립체는 승강로의 벽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또, 권상기 조립체는 승강로의 높이방향에서의 그 높이가 제1의 방향전환풀리 또는 제2의 방향전환풀리의 높이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권상기는 승강로의 평면도에 있는 코너에 배치된 것이다.
또, 권상기는 승강로의 평면도에 있는 코너에 있음과 동시에 승강로의 평면도에 있는 카의 수직투형면에서 뻗어 나오도록 배치된 것이다.
또, 권상기는 브레이크부가 승강로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배치한 것이다.
또, 권상기는 브레이크부가 승강로의 하측을 향하도록 권상기조립체의 상면에 배치되며, 권상기조립체는 권상기의 수직투형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점검구를 구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기계실이 없는 기계실무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3)

  1. 승강로내에 설치된 카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카와, 상기 승강로내에 설치된 평형추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평형추와, 활차, 그 활차를 구동하는 모터부, 그 모터부를 제어하는 브레이크부를 가지며, 상기 활차의 회전면이 수평으로 되도록 상기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된 권상기와,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1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와, 1단측에 상기 카가 접속됨과 동시에 타단측에 상기 평형추가 접속되며 상기 제1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와 상기 활차에 감겨져 상기 카와 상기 평형추를 현수하는 메인로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는 회전축방향의 두께가 회전축방향과 수직방향의 두께보다도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권상기 및 상기 제1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를 답재하는 권상기조립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3-7001615A 2001-06-04 2001-06-04 엘리베이터 장치 KR200300209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4685 WO2002098782A1 (fr) 2001-06-04 2001-06-04 Dispositif ascenseu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194A Division KR100617383B1 (ko) 2005-07-15 2001-06-04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969A true KR20030020969A (ko) 2003-03-10

Family

ID=1173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615A KR20030020969A (ko) 2001-06-04 2001-06-04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396457B1 (ko)
JP (1) JP4934941B2 (ko)
KR (1) KR20030020969A (ko)
CN (1) CN1302979C (ko)
WO (1) WO20020987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035B1 (ko) * 2008-12-05 2013-01-2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에 지지된 제어 전자기기를 포함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92712A (zh) * 2002-12-04 2005-03-0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EP1597182B1 (en) 2003-01-31 2012-02-22 Otis Elevator Company Integrated support for elevator machine, sheaves and terminations
PT1678209E (pt) * 2003-10-07 2011-06-30 Yeda Res & Dev Anticorpos para a nik, a sua preparação e a sua utilização
US7316296B2 (en) * 2003-12-09 2008-01-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US20060201750A1 (en) * 2004-01-27 2006-09-14 Naoki Hashiguchi Elevator apparatus drive unit, elevator apparatus, elevator apparatus installation method, and elevator apparatus maintenance inspection method
CN101143677B (zh) * 2004-04-14 2010-06-0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WO2007039926A1 (ja) * 2005-09-30 2009-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WO2008146403A1 (ja) * 2007-06-01 2008-12-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エレベータ装置
CA2775153A1 (en) * 2009-12-09 2011-06-16 Thyssenkrupp Elevator Capital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yielding no reverse rope bend
FI125130B (fi) * 2012-01-27 2015-06-15 Kone Corp Laitteisto hissin nostokoneiston kiinnittämiseksi ja kiinnitysjärjestely
CN104058316A (zh) * 2014-06-30 2014-09-24 苏州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贯通门电梯布置结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6302C (fi) * 1992-04-14 1996-06-10 Kone Oy Vetopyörähissi
JP3148610B2 (ja) * 1995-12-11 2001-03-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ATE273916T1 (de) * 1996-11-11 2004-09-15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im aufzugsschacht angeordneter antriebseinheit
JP4191331B2 (ja) 1999-01-08 2008-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JP3961718B2 (ja) * 1999-06-09 2007-08-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4404999B2 (ja) * 1999-08-16 2010-01-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4191333B2 (ja) * 1999-08-26 2008-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巻上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035B1 (ko) * 2008-12-05 2013-01-2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에 지지된 제어 전자기기를 포함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96457A4 (en) 2010-02-17
WO2002098782A1 (fr) 2002-12-12
CN1302979C (zh) 2007-03-07
EP1396457A1 (en) 2004-03-10
EP1396457B1 (en) 2012-07-25
JP4934941B2 (ja) 2012-05-23
CN1457315A (zh) 2003-11-19
JPWO2002098782A1 (ja)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13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374658B1 (ko) 견인형 승강기 장치
EP0710618B2 (en) Traction sheave elevator
KR100444936B1 (ko) 엘리베이터장치
KR20030020969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40052478A (ko) 기계실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US6619433B1 (en) Elevator system using minimal building space
JPH1160117A (ja) エレベーター
JP2003146555A (ja) エレベータ
KR100474152B1 (ko) 엘리베이터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030051900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855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30048162A (ko) 기계실 리스 엘리베이터
KR100617383B1 (ko)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장치
JP200109764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034445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72841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091218B2 (ja) エレベータ
KR19990027217A (ko) 승강로의 피트 내에 권상기 및 제어반이 배치된 엘리베이터
JP2001019316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47042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48095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52436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9526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288350Y1 (ko) 엘리베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615

Effective date: 2006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