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3844A -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23844A KR20010023844A KR1020007002521A KR20007002521A KR20010023844A KR 20010023844 A KR20010023844 A KR 20010023844A KR 1020007002521 A KR1020007002521 A KR 1020007002521A KR 20007002521 A KR20007002521 A KR 20007002521A KR 20010023844 A KR20010023844 A KR 200100238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panel
- hoistway
- passage
- landing
- elevat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카(12)가 정지하고 승객이 승강하는 승강장 통로(5)와 카가 승강하는 승강로(10)를 구비하고, 카의 승강정지를 제어하는 제어반(17)을 승강로내에 있고 카의 승강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설하는 동시에 제어반을 승강장 통로에 인출하는 기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이다.
따라서, 승강로내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하는 동시에 보수시에는 승객이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통로를 보수작업을 위하여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의 위쪽에 배치된 기계실내에 권양기 및 제어반등이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건물의 최상부에 기계실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고, 건물의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동시에 건물의 높이가 높게되어 버린다.
따라서, 권양기 및 제어반을 승강로내에 설치하고, 기계실을 필요로 하지않는 엘리베이터가 제안되어 있으나, 제어반의 조정 또는 보수에 있어서 승강로내에 작업원이 직접 들어가서 작업을 하는것은 작업성이 나쁘고,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가까이에 제어반을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국 출원 특개평 8 - 282933 호 공보에는 승강장 도어의 도어 포켓부에 제어반을 배치하고,이 도어 포켓부를 덮는 개폐가능한 도어를 설치하며 제어반의 보수시에는 이 도어를 개폐하여서 작업을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이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의 옆에 있는 이 제어반 보수용 도어의 앞은 반드시 작업 스페이스로 되는 공지로 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고,가구나 살림살이가 높여져 있는 경우도 있으며, 도어를 개폐할때마다. 이들을 이동 시킬 필요가 생긴다.
또한, 이 승강장에 면한 보수용 도어는 개폐구조를 실현하기 위하여 그 의장선을 희생하는 일이 있다.
또, 일본국 출원 특개평 7 - 33223 호 공보에서는 승강장을 둘러싸는 3방향틀인 잼(Jamb)의 뒤쪽에 제어반을 배치하고, 잼을 제거하여 승강장 통로에서 제어반의 보수작업을 하는것이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어반은 잼의 뒤쪽에 있고 승강장 벽과 사이의 좁은 공간에 저장되며 보수할때는 보수면을 인출할 수 있다고 하나, 소형의 엘리베이터용의 작은 제어반에 대하여만 적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제어반의 크기가 크게되면 적용이 될 수 없게 된다.
[발명의 개시]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하여 하게 된것이며 제어반의 보수를 할때에 승강장 옆의 가구나 살림살이를 이동 시키는 일 없이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잼 크기에 제한되지 않고 보다 큰 제어반에도 적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카가 정지되고, 승객이 승강하는 승강장 통로와, 카가 승강하는 승강로를 구비하고, 카의 승강정지를 제어하는 제어반을 승강로내에 있고, 카의 승강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설하는 동시에 제어반을 승강장 통로에 인출하는 기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이다.
이 발명은 승강로내에 배치되고,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의 대상으로 하는 승강장 통로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2의 승강장측에서 본 정면도,
도 4는 도 2의 보수작업시의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승강장측에서 본 정면도,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승강장측에서 본 정면도,
도 8은 도 6의 보수작업시의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승강장측에서 본 정면도,
도 10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보수작업시의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승강장측에서 본 정면도,
도 12는 본 실시의 형태4의 보수작업시의 제어반의 이동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3은 본 실시의 형태5의 보수작업시의 제어반의 이동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4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단면 A - A에서 본 측면도,
도 16은 도 14의 보수작업시의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17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평면도,
도 18은 도 17의 승강장에서 본 정면도,
도 19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승강장측에서 본 정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상태]
이하, 이 발명의 알맞는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대상으로 하는 승강장 통로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1)에는 승강장 도어(2)와 잼(3)으로 출입구(4)가 형성되고, 이 출입구(4)의 앞에 승객이 엘리베이터에 승강하기 위한 승강장 통로(5)가 구비되어 있다.
이 출입구(4)의 좌,우,옆이고 승강장 통로(5)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는 승강장 벽(6)에 따라서 가구(7)나 살림살이(8)가 놓여져 있다.
실시의 형태 1.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승강장측에서 본 정면도, 도 4는 도 1의 보수작업시의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도4의 승강장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장 도어(2) 또는 승강장 벽(6)을 사이에 두고 승강장(1)과는 반대측에 승강로(10)가 있으며 이 승강로(10)는 승강장 벽(6)과 승강로 벽(11)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이 승강로(10)내에는 승객이 탑승하고 승강하는 카(12)가 있고, 카(12)는 레일(13)에 의해 안내된다.
카(12)는 승강장 도어(2)와 대향하는 곳에 승객이 승강하는 카도어(14)를 갖는다. 개폐하는 승강장 도어(2) 및 카도어(14)는 각각 개폐를 안내하는 승강장 문턱(15) 및 카 문턱(16)을 구비한다.
또, 승강로(10)내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17)이 설치되고, 승강로(10)에 고정 설치된 지주(18)와 부착암(19)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제어반(17)은 케이블(20)로 전력 또는 신호를 보내거나 받는다.
이와같은 엘리베이터에서는 제어반(17)이 승강로(10)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어반을 설치할 특별한 방, 즉 기계실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작게할 수 있다.
또 제어반에 대하여 보수작업등에 의해 가까히 갈 필요가 있을때에는 승강장의 도어(2)를 개방한 후에 제어반(17)을 지주(18)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승강장 통로(5)로 이동 시킴으로써 승강장 벽(6)앞의 가구(7), 살림살이(8)을 이동하는 일 없이 작업원은 승강장 통로(5)에서 작업할 수 있다.
이때, 제어반(17) 및 그 제어반(17)를 보존하는 부착암(19)이 카(12) 또는 카문턱(16), 카도어(14)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 시킴으로써 이 층을 카(12)가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건물측으로서는 승강장 벽 또는 승강장 근처의 거실 또는 통로에 면하여 제어반을 저장하는 스페이스에 대한 보수용 도어를 설치하는 것은 건물의 의장성을 손상할 우려가 있으나 본원에서는 새로운 도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와같은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같은 이 발명에 의해 보수등의 작업을 위하여 제어반에 대하여 직접 조작점검이 필요한때에는 작업구역으로서 확보하기 쉬운 승강장 통로에 제어반을 용이하게 인출하고, 또 통상 운전중은 승강로내에 용이하게 저장하여 둘 수 있다.
또, 보수작업시에는 승강장의 도어를 열어서 카의 움직임을 감시하는 일이 있으나, 승강장 통로에 있는 제어반이 펜스로서 승강장의 개방된 출입구의 일부를 막고 작업원의 작업시의 안정성을 높이는데도 기여한다.
또, 도 4에는 상세하게 명시하고있지 않으나 본 발명에 의해 2개가 있는 승강장 도어(2)를 일단 제어반(17)과는 반대측으로 이동 시키고, 승강장의 일부를 개방하여 잼(jamb)(3)의 일부를 개방한 후에 그 곳으로부터 제어반(17)을 승강장 통로에 인출하고, 그후, 승강장 도어(2)를 재차 폐쇄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하여 승강장 도어을 개방한체로 하지않고 보수작업을 실시 가능하게하며 작업원의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도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승강장측에서 본 정면도, 도 8은 도 6의 보수작업시의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도 8을 승강장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앞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요소에는 같은 번호를 표시하고 있다. 제어반(17)은 승강장 벽(6)의 뒤쪽이 되는 승강로(10)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반에 대하여 보수작업을 실시할때에는 승강장의 도어(2)를 개방하고, 제어반(17)측의 잼(3)을 열어서 제어반(17)을 축 지지하는 지지축(21)을 중심으로 승강장 문턱에 따른 방향으로 제어반(17)을 회동하고, 승강장 통로(15)에 가로 놓은 것이다.
이와같은 엘리베이터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같이 승강로(10)내에 제어반(17)을 배설함으로써 기계실을 불요 또는 작게할 수 있는 동시에 보수작업시에는 승강장 통로(5)에서 작업할 수 있다.
또, 이때 제어반(17)을 승강장 문턱(15)으로 부터 카(12)측으로 튀어나오게 하는 일없이 승강장 통로(5)로 인출할 수 있으므로 보수작업중에 이 층을 카가 통과하여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로서는 상기와 같이 도어를 한쪽으로 후퇴하는 것으로 표시 하였으나 양측으로 후퇴하는 것이라도 같은 효과를 이룬다.
또, 승강장으로부터 보아서 우측에 제어반을 배설 하였으나 좌측이라도 같은 효과를 이루는 것은 명백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장 도어(2) 및 카도어(14)는 개방시에 승강장(4)에 대하여 한쪽의 승강장 벽(6)의 뒤쪽만으로 후퇴하는 것이다. 그 결과 그 도어의 후퇴하는 쪽의 반대측의 승강장 벽(6)의 뒤에 제어반(17)을 승강하는 카(12)와 간섭하지 않은 위치에 배설하는 것으로 승강장의 도어(2)의 두께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도어 2개분의 두께를 제어반(17)의 두께로 하여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앞의 실시예에서도 기술한바와 같이 보수시에 승강장 도어(2)를 폐쇄하여 작업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본 방식에서는 제어반을 인출할때에 승강장 도어의 열리는 방향이 통상시의 열리는 방향과 같으며 또 제어반의 두께를 확보하기 쉽고 편리하다.
실시의 형태 3.
이 발명은 실시의 형태 2에 표시하는 발명에 일부의 구성을 변경ㆍ부가한 것으로 도 10은 실시의 형태 3의 보수작업시의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도 10을 승강장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앞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요소에는 같은 번호를 표시하고 있다. 제어반(17)은 앞의 실시의 형태 2와 같이 승강장 벽(6)의 뒤쪽에서 승강로(10)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반(17)에 전력ㆍ신호를 보내거나 받는 케이블(20)이 제어반(17)을 회동 시키는 지지축(21)의 외측을 돌아서 제어반(17)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반(17)이 승강로(10)내에 저장되어있는 것을 검출하는 저장위치 검출기(22)와, 또, 제어반 (17)이 승강장 통로(5)에 인출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보수위치 검출기(23)가 제어반(17)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보수위치에있는 제어반(17a)를 2점쇄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와같은 엘리베이터에서는 제어반(17)이 승강로(10)내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저장위치 검출기(22)로 검출할 수 있다.
즉, 본 예에서는 저장위치 검출기(22)의 볼록부가 승강장 문턱(15)과 걸어맞춤으로써 도시하지않은 내장하는 스위치가 저장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또, 제어반(17)의 측부에 설치되고, 제어반(17)이 보수위치에 도달하고 있는 것을 보수위치 검출기(23)로 검출할 수 있다. 즉, 본 예에서는 보수위치 검출기 (23)와 승강장 문턱(15)이 걸어맞춤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내장하는 스위치가 보수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또, 이때 케이블(20)은 회동하는 제어반(17)의 지지축(21)의 근처를 통하여 제어반(17)내에 연결되므로 보수작업 위치에 제어반(17a)을 경사 시켜도 케이블 (20)을 끌어 당기는 일이 없다.
도 11에서는 지지축(21)의 외측을 감아서 제어반에 연결되어 있으나 내측이라도 약간의 여유를 가지고 지지축의 근처를 통하여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이들은 제어반 본체에 지지축을 가짐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고 상세하게는 표시하지 않으나 제어반(17)이 저장위치에 되돌려져 있는 것을 저장위치 검출기(22)가 검출할때만 일반승객이 제공하는 통상의 운전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 저장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지 않을때에는 통상 운전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보수위치 검출기(23)가 제어반(17)이 승강장 통로(5)의 정규의 보수위치에 있는것을 검출할때만 전문가에 의한 보수운전으로서 승강장 도어(2)를 개방한 대로에서의 카의 승강을 허가 하거나 또, 이 층을 통과하는 것을 허가하는 것이다.
각각의 검출 이후의 동작은 공지의 엘리베이터 운전조작으로 실현 가능하며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지 않다.
이와같이 이 발명에서는 승강로내의 승강과 간섭하지않는 위치에 배설한 제어반을 보수등을 위하여 승강장 통로로 인출하는 기구를 가지며 제어반이 승강로내의 정규의 위치에 있는지 또는 보수작업을 위한 정규의 위치에 있는가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운전방법을 변경하는 것으로 운전관리상의 안전성을 높이는 기능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복수로 되는 승강장의 도어(2) 또는 카의 도어(14)는 개방시 각각이 분리되어 승강장의 양측의 승강장 벽(6)의 뒤쪽으로 인입되는 형식의 것이다.
또, 제어반(17)측의 잼(jamb)(3)을 제거한 후 제어반(17)을 승강장 통로(5)로 인출하는 것이다. 저장위치 검출기(22) 또는 보수위치 검출기(23)는 본 예의 내장 스위치에 의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반(17)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 검출기의 위치도 도시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형상 구조도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의 형태 4.
이 발명은 실시의 형태 1의 일부의 구성을 변경한 것으로 도 12는 본 실시의 형태 4의 보수작업시의 제어반의 이동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앞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요소에는 같은 번호를 표시하고 있다. 본예에서는 지주(18)가 잼(3)의 세로틀(vertical frame)에 평행으로 고정설치되고, 제어반(17)의 지지축으로 되는 지주(18)로 부터 뻗은 부착암(19)의 선단에 제어반 (17)이 보존되며 통상시는 제어반(17) 및 부착암(19)은 승강장 벽(6)에 평행되게 승강로(10)내에 저장되어 있다.
이와같은 엘리베이터에서는 보수시에는 승강장 통로(6)의 일부를 형성하는 잼(3)에 근접하고 평행인 지주(18)(지지축)를 중심으로 부착암(19)으로 보존된 제어반(17)을 승강장 통로(5)까지 회동하여 작업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서도 승강장 잼 즉 승강장 통로를 형성하는 공간의 세로방향으로 평행 시켜서 지주를 설치하는 것으로 제어반의 부착암의 길이가 짧아도 되고 구조,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실시의 형태 5.
이 발명은 실시의 형태 4의 일부의 구성을 변경한 것으로 도 13은 본 실시의 형태 5의 보수작업시의 제어반의 이동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앞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요소에는 같은 번호를 표시하고 있다. 본예에서는 지주(18)가 승강장 문턱(15)에 평행하여 고정 설치되고, 제어반(17)의 지지축으로 되는 지주(18)로 부터 뻗은 부착암(19)의 선단에 제어반(17)이 보존되며, 통상시는 제어반(17) 및 부착암(19)은 승강로(10)내의 승강장 문턱(15)의 아래쪽에 저장되어 있다.
이와같은 엘리베이터에서는 보수시에는 승강장 통로(6)의 일부를 형성하는 승강장 문턱(15)의 아래쪽에 근접하고 평행인 지주(18)(지지축)을 중심으로 부착암 (19)으로 매달어 보존된 제어반(17)을 승강장 통로(5)까지 회동하여 들어 올리고 작업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서는 승강장 문턱 즉 승강장 통로를 형성하는 공간의 가로방향에 평행 시켜서 지주를 설치하는 것으로 제어반의 부착암의 길이가 짧아도 되고 구조.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또, 승강장 문턱은 승강로 내에 도출 설치되는 일이 많고 본 실시예는 문턱의 아래쪽의 승강로 공간을 유효 활용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문턱의 아래쪽으로 하였으나 승강장이 후술하는 행거 (25)에 평행하여 지주를 설치하고, 행거(25)의 위쪽의 승강로 공간에 제어반을 저장 하여도 같은 효과를 이룬다.
실시의 형태 6.
도 14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단면 A - A에서 본 측면도, 도 16은 도 14의 보수작업시의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앞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요소에는 같은 번호를 표시하고 있다.
승강장 벽(6)에 평행이고 승강로내에 설치된 제어반(17)을 보존하는 부착틀 (24)에 잼(3)의 일부이며 제어반(17)에 가까운 세로틀이 부착되고, 이 부착틀(24)는 하부를 승강장 문턱(15)의 홈(27)으로 안내하며 상부를 승강장 도어(2)용의 행거(25)에 의해 롤러(26)을 통하여 안내하고 매달려져 있다.
이와같은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장 도어(2)를 열어서 승강장 벽(6)의 뒤로 후퇴 시킨후 승강장 도어(2)용의 행거(25) 및 승강장 문턱(15)의 홈(27)으로 안내시켜서 부착틀(24)을 승강장 통로(5)에 인출함으로써 보수작업시에는 승강장 통로 (5)에서 작업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어반을 승강장 통로에 인출하는 안내로서 승강장 문턱(15)과 행거(25)를 이용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안내장치로서 제어반전용의 레일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라도 같은 효과를 이룬다.
또, 제어반의 승강장로내에서의 저장위치도 도 14와 같이 승강장 벽의 뒤쪽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카(12)용의 레일(13)에 가까운 승강로 벽(11)에 따른 위치에 저장하고, 승강장 통로(5)로 인출할때에는 곡선부를 갖는 안내장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승강장도어의 카측의 행거 및 문턱의 홈을 제어반의 안내장치로 하였으나, 도면중의 승강장 벽에 가까운쪽의 승강장 도어에 사용되는 행거 및 문턱의 홈을 안내장치로서 이용하는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반의 두께를 카측의 승강장 도어와 간섭하지않는 치수로 함으로써 승강장 도어를 열지 않고, 제어반을 인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실시의 형태 7.
도 17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평면도, 도 18은 도 17의 승강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앞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요소에는 같은 번호를 표시하고 있다.
제어반(17)을 승강장 벽(6)의 뒤쪽의 승강로(10)내에 배설되고, 지주(28)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링크(28)와 하부링크(29)에 의해 도 17,18의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제어반(17a)과 같이 승강장 통로(5)로 인출 시키는 기구로 되어 있다.
제어반(17)는 서스펜션 로프(30)의 일단에 의해 위쪽으로 끌리고, 서스펜션로프(30)가 회전시브(31)을 감은 후 아래쪽으로 향하여 뻗어가며 서스펜션 로프 (30)의 타단에 추(32)가 매달려져 있다.
추(32)는 추 가이드(33)로 승강이 안내되어 있다.
이와같은 엘리베이터에서는 추(32)의 중량은 제어반의 중량보다 가볍게 설정되어 있다. 통상시에는 제어반(17)은 상부링크(28) 및 하부링크(29)에 의해 승강로내에 인입된 위치에서 또한 추(32)의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그차분의 자중을 가지고 안정적으로 도시하지않은 스토퍼에서 받아내고 있다.
보수작업시에는 잼(3)의 제어반(17)측의 세로틀을 떼어낸 후에 제어반(17)을 상부링크(28) 및 하부링크(29)를 통하여 승강장 통로(5)로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반(17)에는 평형을 취하는 밸런서로서 추(32)가 서스펜션 로프 (30)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인출시의 조작력은 제어반의 실중량에 비해 경감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10)내에 저장 할때도 같다.
이와같이 이 발명에서는 승강로내에 저장된 제어반을 링크기구에 의해 용이하게 승강장 통로에 인출하는 것이다.
이때, 밸런서 즉, 본 실시예에서는 서스펜션 로프와 추로되는 밸런서로 카중량을 평형 시키고 조작력을 경감 시킬 수 있다.
또, 밸런서도 본 실시예의 기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스프링의 견인력을 발생 시키는 견인기구로 구성 하여도 된다.
실시의 형태 8.
도 19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승강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앞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요소에는 같은 번호를 표시하고 있다. 앞의 실시의 형태 7에서의 하부링크(29)는 본 실시의 형태의 경우에 제어반(17)을 지지하고 있는 링크의 일단과는 링크를 회동시켜 지지하고 있는 지주(27)로부터 뻗어서 타단으로 되는 위치에 서스펜션 추(35)를 매달아서 제어반 중량의 일부와 평형 시키고있다.
따라서, 제어반(17)을 승강로(10)에서 인출, 또는 승강로(10)내에 저장할때에 제어반 중량 보다도 가벼운 힘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와같이 이 발명은 밸런서로서 링크에 직접 매달은 추를 이용하는 것이다.
제어반을 통상시에는 승강로내에서 카의 승강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저장하여두고, 필요에 따라서 승강장 통로에 인출하며 보수 조정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종래의 기계실과 같이 제어반을 저장하는 특별한 방을 필요로 하지않고, 스페이스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승강장으로의 인출기구에 의해 간단하게 승강장 통로로 인출하며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승강장 통로는 평상시 부터 승객의 승강을 위하여 통행 가능한 상태로 개방되어 있고, 또 보수시는 당연 하지만 승객의 통행에는 필요로하지 않는 공간이기 때문에 이 위치에 제어반을 인출하여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보수작업원도 용이하게 제어반에 접근할 수 있고, 또 보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의 조정시에는 승강로내의 카의 움직임을 보면서 실시하는 일도 있으나, 승강장 통로에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열어 놓음으로써 용이하게 그 움직임을 볼수 있고, 또 인출한 제어반이 승강장 통로의 일부를 막고 승강장 통로로의 침입자 또는 보수작업자에 대해 안전 펜스(safety fence)로서의 효과가 생긴다.
또, 제어반이 승강로내의 정규의 위치에 없을때에는 저장위치 검출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으나 그와같은 경우에는 승강로내에서 카와 제어반이 간섭하고 충돌할 우려가 있으므로 제어반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까지의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저지함으로써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제어반이 승강장 통로의 정규의 위치에 있을때에는 보수위치 검출스위치가 동작하나 그와같은 경우에는 승강로내에서 카와 제어반이 간섭하여 충돌할 우려가 없으므로 제어반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까지의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가능하게 하 는 동시에 제어반의 조정을 위하여 이 승강장 도어를 열고 엘리베이터의 움직임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승강장 벽은 다른 승강로 벽과 다르고 승강장 잼 또는 승강장의 도어기구를 설치하기 위하여 통상 얇은 벽으로 형성된다. 또 이들 승강장 기기는 승강장 벽 전면에 배설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승강로내의 카와 간섭하지않고 제어반을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은 그다지 곤란하지 않다.
여기에서는 승강로내의 승강장 벽에 따라서 설치한 제어반을 승강장 통로에 평행으로 설치한 지지축 또는 지주를 중심으로 회전 시켜서 승강장 통로에 인출하는 것이다.
즉, 승강장 벽의 승강로측의 승강장 통로를 둘러싸는 4방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하고 간단한 제어반 인출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제어반은 승강장 통로측으로서 그 하단부에서 지지축에 의해 축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승강장 통로에 인출할때는 회전 시키면서 끌어 내리는 조작으로 되고 용이하게 작업이 될 수 있다.
또 제어반을 인출할때에 케이블의 길이가 저장시와 그다지 길이가 변화하지 않은 형태이고 제어반의 이동에 따라 케이블을 끌어 당기는 일이 없다.
또 제어반 안내장치로 제어반의 이동을 스므스하게 하는 동시에 제어반 중량의 대부분을 부담하므로 승강장 통로로의 제어반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 도어의 행거와 문턱을 이용하여 제어반 안내장치도 하는 것으로 승강장 통로의 주변에 새롭게 전용의 제어반 안내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간결한 구성으로 된다.
또, 제어반의 중량을 상쇄하는 밸런서를 설치한 링크기구로 하였으므로 제어반의 승강장 통로로의 인출 또는 승강장로 내로의 저장에 있어서 작업자는 제어반의 전 중량을 취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취급이 간편하게 된다.
Claims (10)
- 승객을 태워서 승강하는 카와, 카가 정지하고 승객이 승강하는 승강장 통로와, 적어도 한면은 상기 승강장 통로를 포함하는 승강장 벽에 의해 폐쇄되고, 다른면은 승강로 벽으로 폐쇄되여 상기 카가 내부를 승강하는 승강로를 구비하며, 카의 승강정지를 제어하는 제어반을 상기 승강로내에 있고, 카의 승강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설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반을 승강장 통로로 인출하는 기구를 설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제어반이 승강로내의 카의 승강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것을 검출하는 저장위치 검출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저장위치 검출스위치가 카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제어반이 있는것을 검출할 수 없을때 제어반이 어느 위치까지 엘리베이터의운전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1항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제어반이 승강장 통로에 인출된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보수위치 검출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보수위치 검출스위치가 제어반을 검출할때 제어반을 인출한 승강장 통로의 어느층만 승강장의 도어를 연체로 카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고 또는 상기 제어반을 인출한 층까지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1항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승강장 통로를 포함하는 승강장 벽의 승강로측에 승강장 벽과 거의 평행으로 제어반이 배설되고,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어반을 축지지 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장 통로에 평행한 적어도 일부를 고정한 지지축을 구비하고,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하여 상기 제어반을 회전시켜 승강장 통로로 인출하는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1항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제어반의 승강장 통로측의 하단 근방에 축지지 하는 지지축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4항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제어반에 전력. 신호를 송수하는 케이블이 상기 제어반을 회동 시키는 지지축의 근방을 통하여 상기 제어반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4항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승강로내의 제어반 설치부에서 승강장 통로에 걸쳐서 제어반을 지지하는 제어반 안내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반을 상기 제어반 안내장치에 따라서 승강장 통로에 인출하는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1항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승강장 통로는 승강장 도어로 승강로와 구획되고, 상기 승강장 통로의 위쪽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 도어를 매달고 있는 행거와 상기 승강장 통로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도어를 안내하는 홈을 갖는 문턱을 구비하며, 상기 행거와 상기 문턱을 제어반 안내장치로서 사용하여 제어반을 승강장 통로에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청구항 제7항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승강장 통로를 포함하는 승강장 벽의 승강로 측에 승강장 벽과 거의 평행으로 제어반이 배설되고, 승강장 통로에 상기 제어반을 인출할 수 있는 링크기구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1항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제어반을 지지하는 링크기구에는 제어반의 중량과 평형시킨 밸런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9항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1998/003211 WO2000003941A1 (fr) | 1998-07-16 | 1998-07-16 | Organe de commande pour ascenseur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23844A true KR20010023844A (ko) | 2001-03-26 |
KR100415746B1 KR100415746B1 (ko) | 2004-01-24 |
Family
ID=14208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02521A KR100415746B1 (ko) | 1998-07-16 | 1998-07-16 |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6230845B1 (ko) |
EP (1) | EP1016614B1 (ko) |
KR (1) | KR100415746B1 (ko) |
CN (1) | CN1128754C (ko) |
WO (1) | WO200000394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78117B2 (en) * | 1998-10-30 | 2002-11-12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system having governor positioned under controller in hoistway at top floor level |
CN1313345C (zh) | 1999-10-07 | 2007-05-02 | 三菱电机株式会社 | 电梯的维修运转装置 |
DE60043438D1 (de) * | 2000-01-17 | 2010-01-14 | Mitsubishi Electric Corp | Aufzugssystem |
JP4541499B2 (ja) * | 2000-05-15 | 2010-09-08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かごドア装置 |
US6357553B1 (en) * | 2000-09-07 | 2002-03-19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car access key switch |
DE10106378C2 (de) * | 2001-02-12 | 2003-03-06 | Knorr Bremse Systeme | Elektromechanische Bremszuspanneinrichtung |
JP2003104634A (ja) * | 2001-09-28 | 2003-04-09 | Toshiba Elevator Co Ltd | エレベータ |
ITMI20012558A1 (it) * | 2001-12-04 | 2003-06-04 | L A Consulting S A S Di Sara F | Ascensore con cabina guidata in un vano corsa, senza locale del macchinario |
CN1309649C (zh) * | 2002-06-20 | 2007-04-11 | 奥蒂斯电梯公司 | 用于无机房电梯的轿厢的顶部安全扶栏 |
CN100335399C (zh) * | 2002-07-18 | 2007-09-05 | 奥蒂斯电梯公司 | 用于具有可拆卸盖的提升机系统的屋顶控制单元 |
US20060175136A1 (en) * | 2002-07-18 | 2006-08-10 | Otis Elevator Company | Rooftop control unit for an elevator system having a removable cover |
JP2004083146A (ja) * | 2002-08-23 | 2004-03-18 | Otis Elevator Co | エレベータのかご |
CN1684894A (zh) * | 2003-02-20 | 2005-10-19 | 三菱电机株式会社 | 电梯装置 |
JP2004262578A (ja) * | 2003-02-28 | 2004-09-24 | Toshiba Elevator Co Ltd | エレベータの制振制御装置 |
ZA200406979B (en) | 2003-09-29 | 2005-09-28 | Inventio Ag | Door frame of a shaft door with a control arrangement for a lift shaft and method for access to a control unit |
EP1680346A4 (en) * | 2003-11-04 | 2009-04-29 | Otis Elevator Co | DEVICE FOR CONTROLLING AND INTERLOCKING ELEVATOR DOORS |
CN101784470B (zh) * | 2007-08-31 | 2012-07-04 | 三菱电机株式会社 | 电梯的控制装置 |
WO2010070378A1 (en) | 2008-12-19 | 2010-06-24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door frame with electronics housing |
EP2530043A1 (de) * | 2011-05-30 | 2012-12-05 | Inventio AG | Aufzugschachtabschluss mit einer Aufzugkontrollanordnung |
EP2530044A1 (de) * | 2011-05-30 | 2012-12-05 | Inventio AG | Aufzugschachtabschluss mit einer Aufzugkontrollanordnung |
DE112012006976B4 (de) * | 2012-10-03 | 2019-08-14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Aufzugssteuerungstafel und Aufzugsvorrichtung, die diese verwendet |
US9573791B2 (en) * | 2013-02-13 | 2017-02-21 | Kone Corporation | Elevators and elevator arrangements with maintenance cabinet in landing wall |
EP3060509B1 (de) * | 2013-10-23 | 2020-12-16 | Inventio AG | Sicherheitssystem für einen aufzug, aufzug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sicherheitssystems |
ES2774946T3 (es) * | 2014-04-02 | 2020-07-23 | Otis Elevator Co | Panel de operación de cabina extraíble |
ES2842325T3 (es) | 2015-03-12 | 2021-07-13 | Otis Elevator Co | Limitador de velocidad de ascensor |
WO2017013764A1 (ja) * | 2015-07-22 | 2017-01-26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ー昇降路上部の機械室における制御盤の取付固定構造および取付固定方法 |
EP3560878B1 (en) * | 2018-04-27 | 2020-10-21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display systems |
WO2021191138A1 (de) * | 2020-03-27 | 2021-09-30 | Inventio Ag |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aufzugsanlage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75552A (en) * | 1986-07-29 | 1989-10-24 | Montgomery Elevator Company | Modular elevator cab construction |
JPH075248B2 (ja) * | 1987-07-09 | 1995-01-25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タ制御装置 |
JPH0733223B2 (ja) * | 1988-05-19 | 1995-04-12 | 三菱電機株式会社 | 小形エレベータの制御盤装置 |
JPH0737308B2 (ja) * | 1989-06-13 | 1995-04-26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制御盤 |
JPH04361974A (ja) | 1991-06-07 | 1992-12-15 | Toshiba Corp | エレベータの制御盤 |
FI98210C (fi) | 1993-06-28 | 1997-05-12 | Kone Oy | Järjestely hissikoneiston liittämiseksi rakennukseen |
FI94123C (fi) * | 1993-06-28 | 1995-07-25 | Kone Oy | Vetopyörähissi |
US6148962A (en) * | 1993-06-28 | 2000-11-21 | Kone Oy | Traction sheave elevator, hoisting unit and machine space |
FI98209C (fi) | 1994-05-04 | 1997-05-12 | Kone Oy | Vetopyörähissi, nostoyksikkö ja koneistotila |
FI95456C (fi) * | 1994-05-04 | 1996-02-12 | Kone Oy | Järjestely hissikuilun seinän aukossa ja kojetaulu |
FI98296C (fi) * | 1994-12-28 | 1997-05-26 | Kone Oy | Vetopyörähissi ja vetopyörähissin koneistotila |
JPH08282933A (ja) | 1995-04-13 | 1996-10-29 | Otis Elevator Co | ホームエレベーターの乗場 |
JPH08324937A (ja) * | 1995-05-22 | 1996-12-10 | Otis Elevator Co | エレベーターのドア開閉幅可変装置 |
US6006866A (en) * | 1995-08-08 | 1999-12-28 | Advanced Microcontrols, Inc. | Elevator door restrictor |
JPH1036023A (ja) | 1996-07-11 | 1998-02-10 | Otis Elevator Co | ホームエレベーター |
-
1998
- 1998-07-16 EP EP98932560A patent/EP101661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7-16 WO PCT/JP1998/003211 patent/WO2000003941A1/ja active IP Right Grant
- 1998-07-16 CN CN98809060A patent/CN1128754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7-16 US US09/463,429 patent/US623084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7-16 KR KR10-2000-7002521A patent/KR10041574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28754C (zh) | 2003-11-26 |
CN1270568A (zh) | 2000-10-18 |
WO2000003941A1 (fr) | 2000-01-27 |
EP1016614B1 (en) | 2004-09-22 |
US6230845B1 (en) | 2001-05-15 |
EP1016614A4 (en) | 2002-09-04 |
EP1016614A1 (en) | 2000-07-05 |
KR100415746B1 (ko) | 2004-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15746B1 (ko) |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
US6691833B1 (en) |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 |
KR100679443B1 (ko) | 승강기 차량에서의 검사 개구 | |
KR100326109B1 (ko) |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 |
CN109476456B (zh) | 电梯装置和电梯 | |
CN109476460B (zh) | 用于安全维护工作的电梯装置 | |
CN109476458B (zh) | 用以打开电梯轿厢的轿厢顶的电梯装置 | |
WO2004020322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EP2014599A1 (en) | Elevator device | |
JP2004010174A (ja) | 相互間隔可変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 |
JP3603606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20040071325A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4303830B2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CN114599598B (zh) | 电梯装置以及电梯装置的门位置检测装置 | |
JP2001080834A (ja) |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エレベータ制御装置の保守点検方法 | |
WO2023144921A1 (ja) | エレベーター | |
JPH06278963A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JP6440862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EP1329410B1 (en) | Elevator and car position confirmation device for the elevator | |
EP1710191B1 (en) | Elevator system | |
JP2859811B2 (ja) | 設備機器運搬方法及び運搬用カゴ付エレベータ | |
KR100750010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100336352B1 (ko) |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장착장치 | |
JP2727890B2 (ja) | 小形エレベーター装置 | |
JP2005206386A (ja) | エレベー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