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3117A -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3117A
KR20040013117A KR10-2004-7000169A KR20047000169A KR20040013117A KR 20040013117 A KR20040013117 A KR 20040013117A KR 20047000169 A KR20047000169 A KR 20047000169A KR 20040013117 A KR20040013117 A KR 20040013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way
drive
car
hoisting
sh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7941B1 (ko
Inventor
하시구치나오키
야마가와시게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8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a clutch or a coupling system between several motors, e.g. switching different speeds, progressive starting, torque limitation, fly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실을 생략할 수 있는 동시에 승강로의 정상부 치수를 감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다.
이 엘리베이터용 권양기는 구동모터부와 구동시브와의 쌍을 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배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권양기가 그 구동모터부와 구동시브와의 각 쌍을 카의 폭방향의 외측에 각각 위치시키도록 승강로 정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WINCH AND ELEVATOR DEVICE}
권양기를 승강로의 정상부에 설치한 기계실에 승강로의 연설방향에서 카와 겹치도록 배치하고, 로프의 양단을 머신 빔보다 아래 위치에 지지한 로프 엔드에 고정하도록 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1-4844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기계실에 로프 엔드를 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계실 공간을 승강로의 수평투영면 정도로 축소할 수가 있다. 그러나, 박형이 아닌 권양기가 권양기로 사용되므로 권양기가 대형의 것이 되고, 권양기를 설치하기 위한 기계실의 스페이스가 커지며, 기계실이 건물로부터 돌출해버린다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또, 한대의 박형 구동모터부와 하나의 구동시브로 구성된 권양기를 승강로 정상부측에서 카와 승강로 측벽과의 극간에 배치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7-1043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양기를 설치하는 기계실이 불필요하고, 건물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승강로 정상부를 건물에서 돌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한대의 구동모터부에서 구동하므로 엘리베이터의 용량이나 속도가 커지면 구동모터부가 대형화 한다. 또, 하나의 구동시브로 로프를 주행시키므로 엘리베이터의 용량이나 속도가 커지면 필요한 로프의 개수가 많아지므로 구동시브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이 결과, 권양기의 총두께가 두꺼워져버려 권양기를 카와 함께 승강로벽측과의 극간에 배치할 수 없다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한쌍의 구동시브를 구동축으로 연결하고, 또 박형(薄型)의 구동모터부를 구동축의 양단부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서 구동시브 및 구동모터부를 승강로 정상부에서의 카의 폭방향의 양 둘레벽과 승강로의 벽면과의 극간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해서 기계실을 생략할 수 있는 동시에 승강로의 정상부 치수를 감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양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한쌍의 구동시브를 구동축으로 연결하고, 또 박형의 구동모터부를 구동축의 양단부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한 권양기를 구동시브 및 구동모터부를 승강로 정상부에서의 카의 폭방향의 둘레벽과 승강로의 벽면과의 극간에 위치하도록 승강로 정상부에 설치해서 기계실을 생략하고, 승강로가 건물에서 돌출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양기는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를 구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양기는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제1 구동시브에 인접해서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배치된 구동모터부를 구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된 카와, 상기 카의 폭방향에서의 이 카와 상기 승강로와의 양극간에 각각 위치하도록 이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운터웨이트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된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카 및 상기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고 있는 권양로프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된 권양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양기는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를 갖고, 상기 권양기는 제1 구동시브 및 제1 구동모터부를,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가 인접하는 상기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또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에 겹치지않도록 위치를 정하는 동시에, 제2 구동시브 및 제2 구동모터부를,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가 인접하는 상기 승강로의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또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시켜서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된 카와, 상기 카의 폭방향에서의 이 카와 상기 승강로와의 양극간에 각각 위치하도록 이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운터웨이트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된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카 및 상기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고 있는 권양로프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된 권양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양기는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제1 구동시브에 인접해서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배치된 구동모터부를 갖고, 상기 권양기는 제1 구동시브 및 구동모터부를,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가 인접하는 상기 승강로의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또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시켜서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계실이 생략된 엘리베이터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권양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양기의 구성을 설명하는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 화살표 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 화살표 방향 단면도,
도 7은 도 6의 D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의 로프장력 측정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양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XⅡ-XⅡ 화살표 방향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의 권양기의 제어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양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XVⅡ-XVⅡ 화살표 방향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양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의 (a)는 상면도, 도 1의 (b)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우선, 이 실시예 1에 의한 권양기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엘리베이터용 권양기(1)는 소위 기어리스의 권양기이고, 중간부로서의 구동축(2)과, 구동축(2)의 일단측에 배치된 제1 구동모터부(3A)와, 이 제1 구동모터부(3A)의 외측에서 구동축(2)의 일단부에 고착된 제1 구동시브(4A)와, 구동축(2)의 타단측에 배치된 제2 구동모터부(3B)와, 제2 구동모터부(3B)의 외측에서 구동축(2)의 타단부에 고착된 제2 구동시브(4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는 두께가 폭에 대해 평탄한 박형구조의 것으로, 그 두께를 후술하는 카운터웨이트의 두께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는 예를 들면 전기모터로 구성되고, 그 고정자가 프레임(3a)에 고착되며, 그 회전자가 구동축(2)에 고착되어 있다.
또, 구동축(2)의 지름은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 및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의 지름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작동 브레이크가 각 구동모터(3A),(3B)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승강로의 연설방향을 상하방향과 승강로의 연설방향과 직교하는 평면(평단면)에서의 승강로의 안쪽방향 및 폭방향을 각각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하는 것으로 한다. 또, 승차장 도어측이 승강로의 전부 (前部)에 대응하고 있다.
카(5)는 카바닥(6a), 둘레벽(6b) 및 천정(6c)에 의해 상자형태로 조립된 카실(6)과, 아래틀(7a), 좌우 한쌍의 세로틀(7b) 및 위틀(7c)에 의해 카실(6)의 전후방향의 중앙부를 상하좌우에서 둘러싸듯이 틀상으로 조립된 카틀(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카바닥(6a)이 아래틀(7a)에 고착되어서 카실(6)과 카틀(7)이 일체화 되어 있다. 또, 카도어(8)가 카실(6)의 전부의 둘레벽(6b)에 설치되고, 제1 및 제2 카용 매다는 활차(9A),(9B)가 카바닥(6a)의 좌우방향의 양단 하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제 1 및 제2 카운터웨이트(10A),(10B)는 각각 다수개의 중량편(10a)을 쌓아올려서 강제(鋼製)의 틀체(10b)에 배치하고, 관통 볼트(도시않음)로 고정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카운터웨이트용 매다는 활차(11B)가 제2 카운터웨이트 (10B)의 틀체(10b) 상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 도시는 하지 않았으나, 제1 카운터웨이트용 매다는 활차가 마찬가지로 제1 카운터웨이트(10A)의 틀체(10b) 상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기계대(12)가 승강로(15)의 평단면의 약 후반분을 덮도록 승강로(15)의 천정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카용 레일(16)이 승강로(15)의 좌우벽면 근방에서 전후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다. 또, 카운터웨이트용 레일(17)이 각 카용 레일(16)과 승강로(15)의 후벽면과의 사이에서 각각 전후방향으로 소정거리를 두고 쌍을 이루고 상하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다.
그리고, 카(5)가 카도어(8)를 전방향으로 향하게 해서 카용 레일(16)의 쌍에 안내되어 승강로(15)내에 상하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10A),(10B)가 카운터웨이트용 레일(17)의 각 쌍에 안내되어 각각 승강로 (15)내에 상하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10A), (10B)는 승강로(15)의 좌우 벽면에 인접해서 상하방향에 관해서 카(5)와 겹치지 않도록, 즉 카(5)의 수평투영면 밖에 위치하고 있다. 또, 카(5)의 수평투영면과는 카(5)를 승강로의 연설방향에서 본 면을 말한다.
또, 권양기(1)가 구동축(2)을 좌우방향으로 일치시켜서 프레임(3a)을 기계대(12)의 하면에 고착해서, 또 구동축(2)을 기계대(12)의 하면에 고착된 한쌍의 부착구(13)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부착되어 있다. 이때, 부착구(13)의 기계대(12)로부터의 돌출높이는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 및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의 기계대(12)로부터의 돌출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다. 또, 구동축 (2)은 카(5)의 수평투영면상에서 카틀(7)의 위틀(7c)과 거의 평행하고, 전후방향의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 구동모터부(3A) 및 제1 구동시브(4A)는 제1 카운터웨이트(10A)가 인접하는 승강로(15)의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카(5)의 수평투영면 밖에서, 또, 제1 카운터웨이트(10A)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구동모터부(3B) 및 제2 구동시브(4B)는 제2 카운터웨이트(10B)가 인접하는 승강로 (15)의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카(5)의 수평투영면 밖에서 제2 카운터웨이트(10B)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 권양로프(18)의 일단이 승강로(15)의 정상측에서 제1 카운터웨이트(10A)의 위쪽의 제1 로프고정(19A)에 고정되어 있다. 이 권양로프(18)는 제1 로프고정 (19A)으로부터 내려지고, 제1 카운터웨이트(10A)의 상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제1 카운터웨이터용 매다는 활차에 통과된 후, 제1 구동시브(4A)까지 올려진다. 그리고, 권양로프(18)는 제1 구동시브(4A)의 로프홈을 따라 통과된 후, 카(5)의 하부까지 내려진다. 계속해서 권양로프(18)는 카(5)의 좌우 하부에 부착된 제1 및 제2 카용 매다는 활차(9A),(9B)에 통과된 후, 제2 구동시브(4B)까지 올려진다. 그리고, 권양로프(18)는 제2 구동시브(4B)의 로프홈을 따라 통과된 후, 제2 카운터웨이트 (10B)까지 내려진다. 또, 권양로프(18)는 카(5)의 좌우 하부에 부착된 제1 및 제2 카용 매다는 활차(9A),(9B)에 통과된 후, 제2 구동시브(4B)까지 올려진다. 그리고, 권양로프(18)는 제2 구동시브(4B)의 로프홈을 따라 통과된 후, 제2 카운터웨이트 (10B)까지 내려진다. 또, 권양로프(18)는 제2 카운터웨이트(10B)의 상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제2 카운터웨이트용 매다는 활차(11B)에 통과된 후 올려진다. 그리고, 권양로프(18)의 타단이 승강로(15)의 정상측에서 제2 카운터웨이트(10B)의위쪽에 고정되어 있는 제2 로프고정(19B)에 고정되어 있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어장치,조속기, 위치검출장치 등의 각 기기가 도 2에서의 스페이스(A),(B),(C)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양기(1)의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가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제어되고,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가 구동축(2)과 함께 회전된다. 그래서, 권양로프(18)가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에 의해 주행되고,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10A),(10B)가 카용 레일(16) 및 카운터웨이트용 레일(17)에 안내되어 승강로(15)내를 승강한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 1에 의한 권양기(1)는 구동축(2)의 양단에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에서 분담구동이 되므로, 엘리베이터의 용량이나 속도가 커져도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를 대형화하지 않고 대응할 수 있다. 그래서, 대용량이나 고속도의 엘리베이터에 적용해도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 (3B)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없이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 및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를 카실의 좌우 둘레벽(6b)과 승강로(15)의 내벽면과의 극간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승강로(15)의 정상부의 높이치수를 감축할 수가 있는 권양기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 이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제1 구동모터부(3A) 및 제1 구동시브(4A)를 카실(6)의 좌측 둘레벽(6b)과 승강로(15)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또 제2 구동모터부(3B) 및 제2 구동시브(4B)를 카실(6)의 우측 둘레벽(6b)과 승강로(15)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권양기(1)를 승강로(15)의 천정에부착된 기계대(12)의 하면에 부착하고 있다. 그래서, 승강로(15)의 정상부에서 카(5)와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 및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와의 간섭이 없으므로 카(5)의 구동축(2) 및 부착구(13)와 간섭하는 직전까지 상승시킬 수가 있고, 승강로(15)의 정상부의 높이치수를 감축할 수가 있다. 또, 도 2에서의 스페이스(A),(B),(C)가 공 스페이스가 되므로 엘리베이터 장치에 필요한 제어장치, 조속기, 위치검출장치 등의 각 기기를 스페이스(A),(B),(C)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설치가능한 동시에, 각 기기의 설치에 부수하는 승강로(15)의 평단면적의 증대를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10A),(10B)가 카(5)의 좌우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실(6)의 후부 둘레벽(6b)과 승강로(15)의 내벽면과의 극간 S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15)의 평단면적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 이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15)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권양기(1)의 구동축(2)(중간부)을 카(5)의 카틀(7)(카실(6)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철(凸)부)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하고 있으므로 카(5)의 카틀(7)과 구동축(2)과의 간섭이 없고, 그만큼 승강로(15)의 정상부의 높이치수를 감축할 수가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 화살표 방향 단면도, 도 7은 도 6의 D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의 로프장력 측정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 2에서는 권양로프가 제1 카운터웨이트(10A)를 현가하는 제1 권양로프(18A)와, 제2 카운터웨이트(10B)를 현가하는 제2 권양로프(18B)로 구성되어 있다. 또, 권양기(1), 카(5),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10A),(10B), 카용 레일(16), 카운터웨이트용 레일(17) 등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권양로프의 건너 매는 방법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1 권양로프(18A)는 그 일단이 제1 카운터웨이트(10A)의 틀체(10b) 상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 제1 권양로프(18A)는 틀체(10b)로부터 제1 구동시브 (4A)까지 올려지고, 제1 구동시브(4A)의 로프홈을 따라 통과된 후, 카(5)의 하부까지 내려진다. 여기서, 제1 권양로프(18A)는 카(5)의 좌측 하부에 부착된 제1 카측 로프고정판(20A)에 고정된다.
한편, 제2 권양로프(18B)는 그 일단이 제2 카운터웨이트(10B)의 틀체(10b) 상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 제2 권양로프(18B)는 틀체(10b)로부터 제2 구동시브 (4B)까지 올려지고, 제2 구동시브(4B)의 로프홈을 따라 통과된 후, 카(5)의 하부까지 내려진다. 그래서, 제2 권양로프(18B)는 카(5)의 우측 하부에 부착된 제2 카측 로프고정판(20B)에 고정된다.
이들의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단말은 도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한 개마다에 로프소켓(21)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로프소켓(21)의 로드(21a)가 제1 및 제2 카측 로프고정판(20A),(20B)의 관통공(20a)에 삽통되고, 장력검출수단으로서의 압전소자(22) 및 압축스프링(23)이 로드(21a)의 연출부에 장착되고, 또장력조정용 너트(24)가 로드(21a)에 나사고정되어 장력 조정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는 각각 장력 조정기구를 통해서 제1 및 제2 카측 로프고정판(20A),(20B)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이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카측 로프고정판(20A),(20B)과 압축스프링(23)에 협지되어 있는 압전소자(22)에 인가되는 압력을 장력계측기(25)에 의해 계측함으로써 얻어진다. 그래서, 미리 장력계측기(25)를 사용해서 장력조정용 너트(24)의 결착력을 조정하여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이 소정치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권양기(1)의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가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제어되고,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가 구동축(2)과 함께 회전된다. 그래서,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가 각각 제1 및 제2 구동시브(4A), (4B)에 의해 주향되고, 카(5) 및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10A),(10B)가 카용 레일(16) 및 카운터웨이트용 레일(17)에 안내되어 승강로(15)내를 승강한다.
또, 예를 들면 정기정검시에 장력계측기(25)를 사용해서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을 측정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각 로프의 장력이 소정치로부터 어긋난 경우 마찬가지로 장력조정작업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 2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효과에 더해서 권양로프가 제1 카운터웨이트(10A)를 현가하는 제1 권양로프(18A)와, 제2 카운터웨이트(10B)를 현가하는 제2 권양로프(18B)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실시예 1에서 필요했던 각 매다는 활차가 불필요해지고, 구성이 간소화되어 저가격화가 도모된다.
또, 이 실시예 2에서는 압전소자(22), 압축스프링(23) 및 장력조정용 너트 (24)로 된 로프장력 조정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 (18B)의 각 로프의 장력을 소정치로 수시조정가능하다. 그래서,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이 불균등하게 되고, 카(5)가 기울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장력계측기(25)를 사용해서 제1 및 제2 권양로프 (18A),(18B)의 장력을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장력계측기(25)를 사용하지 않고, 타격법에 의해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을 측정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예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양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의 (a)는 상면도, 도 9의 (b)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XⅡ-XⅡ 화살표 방향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의 권양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 3에 의한 권양기(1A)는 도 9에 표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로서의 제1 및 제2 구동축(2A),(2B)와, 제1 구동축(2A)의 일단측에 배치된 제1 구동모터부 (3A)와, 제1 구동모터부(2A)의 외측에서 제1 구동축(2A)의 일단부에 고착된 제1 구동시브(4A)와, 제2 구동축(2B)의 타단측에 배치된 제2 구동모터부(3B)와, 제2 구동모터부(3B)의 외측에서 재2 구동축(2B)의 타단부에 고착된 제2 구동시브(4B)와, 제1 구동축(2A)의 타단과 제2 구동축(2B)의 일단을 연결하는 클러치(2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도 10 내지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권양기 1 대신에 권양기 1A를 사용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미리 장력계측기(25)를 사용해서 장력조정용 너트(24)의 체결력을 조정하고,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이 소정치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권양기(1)의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 (3B)가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제어되고,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가 구동축(2)과 함께 회전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가 각각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에 의해 주향되고, 카(5) 및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10A),(10B)가 카용 레일(16) 및 카운터웨이트용 레일(17)에 안내되어서 승강로(15)내를 승강한다.
그리고, 제어장치(30)가 도 1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압전소자(22)의 출력신호 (로프장력신호)를 모니터하고, 이 출력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 (18B)간의 장력차를 연산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30)는 장력차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클러치(26)를 작동시켜서 제1 및 제2 구동축(2A),(2B)의 연결을 해제하고, 장력차가 설정치내에 수납되도록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의 회전각을 제어한다. 그리고, 장력차가 설정치내에 수납되면, 클러치(26)를 작동시켜서 제1 및 제2 구동축(2A),(2B)을 연결하고,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를 동일 회전각으로 구동한다.
또, 예를 들면 정기점검시에 장력계측기(25)를 사용해서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을 측정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각 로프의 장력이 소정치로부터 어긋난 경우, 마찬가지로 장력조정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 3에 의하면,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에 차이가 발생하면, 양 장력이 균등하게 되도록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3A),(3B)의 회전각이 제어장치(13)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그래서, 카(5)가 경사된 상태에서 승강동작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고, 안전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얻어진다.
실시예 4.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양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4의 (a)는 상면도, 도 14의 (b)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평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XVⅡ-XVⅡ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 4에 의한 권양기(1B)는 도 1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로서의 구동축(2)과, 구동축(2)의 일단측에 배치된 제1 구동모터부(3A)와, 제1 구동모터부(3A)의 외측에서 구동축(2)의 일단부에 고착된 제1 구동시브(4A)와, 구동축(2)의 타단부에 고착된 제2 구동시브(4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도 15 내지 도 17에 표시된 바와 같이 권양기 1 대신에 권양기 1B를 사용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미리 장력계측기(25)를 사용해서 장력조정용 너트(24)의 체결력을 조정하고,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이 소정치에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권양기(1B)의 제1 구동모터부(3A)가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제어되고,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가 구동축(2)과 함께 회전된다. 그래서,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가 각각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에 의해 주향되고, 카(5) 및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 (10A),(10B)가 카용 레일(16) 및 카운터웨이트용 레일(17)에 안내되어 승강로(15)내를 승강한다.
또, 예를 들면 정기점검시에 장력계측기(25)를 사용해서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장력을 측정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권양로프(18A),(18B)의 각 로프의 장력이 소정치로부터 어긋난 경우, 마찬가지로 장력조정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 실시예 4에 의한 권양기(1B)에서는 구동시브가 구동축(2)의 양단에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로프개수를 제1 및 제2 구동시브(4A),(4B)로 분담해서 주향시킬 수가 있다. 그래서, 엘리베이터의 용량, 속도가 커지고, 필요한 로프개수가 증가해도 제1 및 제2 구동시브(4A), (4B)의 두께의 증가가 억제되므로 제1 구동모터부(3A) 및 제1 및 제2 구동시브 (4A),(4B)를 카(5)의 좌우 둘레벽(6b)과 승강로(15)의 벽면과의 극간에 배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 실시예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 이 실시예 4에 의한 권양기(1B)는 구동모터부가 제1 구동모터부(3A)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저가격화가 도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승강로 정상부의 높이를 감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양기가 얻어진다.
또, 상기 구동축은 제1 및 제2 구동축으로 분할구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축이 클러치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권양로프의 장력차를 해소할 수가 있다.
또,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제1 구동시브에 인접해서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배치된 구동모터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승강로 정상부의 높이를 감축할 수 있는 저가격의 엘리베이터용권양기가 얻어진다.
또,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된 카와, 상기 카의 폭방향에서의 이 카와 상기 승강로와의 양극간에 각각 위치하도록 이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운터웨이터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된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카 및 상기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고 있는 권양로프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된 권양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양기는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를 갖고, 상기 권양기는 제1 구동시브 및 제1 구동모터부를,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가 인접하는 상기 승강로의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또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시키는 동시에, 제2 구동시브 및 제2 구동모터부를,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가 인접하는 상기 승강로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또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시켜서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 정상부 높이를 감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얻어진다.
또, 상기 권양로프가 상기 제1 구동시브에 가교되어 상기 카와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에 고정된 제1 권양로프와, 상기 제2 구동시브에 가교되어 상기 카와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에 고정된 제2 권양로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매다는 활차의 개수가 삭감되고, 저가격화가 도모된다.
또, 상기 구동축은 제1 및 제2 구동축을 클러치를 통해서 연결해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권양로프의 장력을 각각 검출하는 장력검출수단과, 상기 장력검출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의 권양로프의 장력을 모니터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권양로프에 장력차가 생겼을 때에 상기 클러치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구동축의 연결을 해제하고, 이 장력차가 허용범위내에 수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의 회전각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1 및 제2 권양로프간의 장력차를 자동적으로 해소할 수가 있다.
또,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된 카와, 상기 카의 폭방향에서의 이 카와 상기 승강로와의 양극간에 각각 위치하도록 이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운터웨이터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된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카 및 상기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고 있는 권양로프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된 권양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양기는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제1 구동시브에 인접해서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배치된 구동모터부를 갖고, 상기 권양기는 제1 구동시브 및 구동모터부를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가 인접하는 상기 승강로의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또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시키는 동시에, 제2 구동시브를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가 인접하는 상기 승강로의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또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에 겹치지 않도록위치시켜서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 정상부 높이를 감축할 수 있는 저가격화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얻어진다.
또, 상기 권양기는 상기 구동축을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의 상부 철(凸)부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시켜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 정상부 높이를 한층 감축할 수 있다.

Claims (3)

  1.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2.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된 카와, 상기 카의 폭방향에서의 이 카와 상기 승강로와의 양극간에 각각 위치하도록 이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운터웨이터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된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카 및 상기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고 있는 권양로프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된 권양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양기는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모터부를 갖고, 상기 권양기는 제1 구동시브 및 제1 구동모터부를,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가 인접하는 상기 승강로의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또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시키는 동시에, 제2 구동시브 및 제2 구동모터부를,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가 인접하는 상기 승강로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또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시켜서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된 카와, 상기 카의 폭방향에서의 이 카와 상기 승강로와의 양극간에 각각 위치하도록 이 승강로의 연설방향으로 설치된 카운터웨이터용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된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카 및 상기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고 있는 권양로프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된 권양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양기는 상대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구동시브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시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구동축과, 상기 제1 구동시브에 인접해서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배치된 구동모터부를 갖고, 상기 권양기는 제1 구동시브 및 구동모터부를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가 인접하는 상기 승강로의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또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시키는 동시에, 제2 구동시브를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가 인접하는 상기 승강로의 벽면으로 접근시켜서, 또 상기 승강로의 연설방향에 관해서 상기 카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시켜서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47000169A 2002-03-15 2002-03-15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0597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2507 WO2003078290A1 (fr) 2002-03-15 2002-03-15 Treuil de levage et dispositif de levag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757A Division KR20060026486A (ko) 2006-03-08 2002-03-15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117A true KR20040013117A (ko) 2004-02-11
KR100597941B1 KR100597941B1 (ko) 2006-07-06

Family

ID=2785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169A KR100597941B1 (ko) 2002-03-15 2002-03-15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86451A4 (ko)
JP (1) JPWO2003078290A1 (ko)
KR (1) KR100597941B1 (ko)
CN (1) CN1261343C (ko)
WO (1) WO2003078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72752C (zh) * 2002-09-11 2008-03-0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控制装置
JPWO2005056457A1 (ja) * 2003-12-11 2007-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2130792A4 (en) * 2007-03-23 2013-10-23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CONTROL SYSTEM
US9994425B1 (en) 2016-12-12 2018-06-12 Thyssenkrupp Elevator Ag Compact motor arrangement with integrated brakes and shaft bearings
CN115159301B (zh) * 2022-07-19 2023-08-15 南京高立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升降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14781Y1 (ko) * 1966-05-31 1971-05-24
CA1036080A (en) * 1976-02-13 1978-08-08 Canadian General Electric Company Limited Unit hoist
JPH0570057A (ja) * 1991-09-17 1993-03-23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DE9205254U1 (ko) * 1992-04-15 1992-06-17 C. Haushahn Gmbh & Co, 7000 Stuttgart, De
JP3152034B2 (ja) * 1993-10-28 2001-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トラクションシーブ式エレベータ装置
JP4771586B2 (ja) * 2000-12-08 2011-09-1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JP2002179358A (ja) * 2000-12-19 2002-06-26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86451A1 (en) 2004-12-15
KR100597941B1 (ko) 2006-07-06
EP1486451A4 (en) 2010-12-22
WO2003078290A1 (fr) 2003-09-25
CN1261343C (zh) 2006-06-28
JPWO2003078290A1 (ja) 2005-07-14
CN1527792A (zh) 200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1913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577275B2 (ja) 床高さ調節機構付きエレベーター
US20140231180A1 (en) Elevator system
JP3991657B2 (ja) エレベータ
KR100597941B1 (ko)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2011006218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客救出装置
EP1602614A1 (en) Elevator equipment
KR1006855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216252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8198232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6040813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310412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1051736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60026486A (ko)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9748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224107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350876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206864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06018868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4213581A (ja) リニアモータ式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WO2023195166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KR20150001635U (ko)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KR20040068178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288350Y1 (ko) 엘리베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