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583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583B1
KR100932583B1 KR1020097015324A KR20097015324A KR100932583B1 KR 100932583 B1 KR100932583 B1 KR 100932583B1 KR 1020097015324 A KR1020097015324 A KR 1020097015324A KR 20097015324 A KR20097015324 A KR 20097015324A KR 100932583 B1 KR100932583 B1 KR 100932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cage
compartment
compart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5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977A (ko
Inventor
다케노부 혼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4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66B11/0095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where multiple cars drive in the same hoist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66B11/0213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 B66B11/022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with changeable inter-deck di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승강체는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아져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된다. 제 1 승강체는, 각각 승객을 수용 가능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을 가지고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나란한 제 1 위치와 서로 상하 방향으로 나란한 제 2 위치에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다. 제 1 및 제 2 승강체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을 제 2 위치에 변위시킴으로써 마주 지나침이 가능해진다.
승강체, 메인 로프, 엘리베이터 칸실, 제 1 균형추, 제 2 균형추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아진 제 1 및 제 2 승강체가 승강로 내를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double deck elevator)에서는,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이 서스펜션 빔(suspension beam)으로부터 매달아져 있다. 또, 서스펜션 빔에 탑재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의 간격이 변화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에서는, 통상과 동일한 승강로 면적에 대해 약 2배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 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나, 상부의 엘리베이터 칸은 최하층에 정지할 수 없고, 하부의 엘리베이터 칸은 최상층에 정지할 수 없는 등의 제약이 있어 편리성이 불충분하였다.
특허문헌 1 : 특개2000-309482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충분한 엘리베이터 칸 바닥 면적을 확보하면서 승강로 스페이스를 삭감하고, 게다가 운행상의 편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 쉬브를 갖는 구동장치,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메인 로프 및,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아지고 구동 장치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되는 제 1 및 제 2 승강체를 구비하며, 제 1 승강체는 각각 승객을 수용 가능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을 갖고,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나란한 제 1 위치와 서로 상하 방향으로 나란한 제 2 위치에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는, 평면에 수직으로 투영하면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이 제 2 승강체와 겹쳐지고,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이 제 2 위치로 이동하면,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이 제 2 승강체와 겹쳐지는 영역으로부터 퇴피하여 제 1 및 제 2 승강체의 마주 지나침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제 1 구동 쉬브를 갖는 제 1 구동장치, 제 1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제 1 메인 로프, 제 1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아지고, 제 1 구동 장치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되는 제 1 및 제 2 승강체, 제 2 구동 쉬브를 갖는 제 2 구동 장치, 제 2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제 2 메인 로프, 및 제 2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아지고 제 2 구동 장치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되는 제 3 및 제 4 승강체를 구비하며, 제 1 승강체는 각각 승객을 수용 가능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을 갖으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나란한 제 1 위치와 서로 상하 방향으로 나란한 제 2 위치에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수직 투영면에서 제 1 승강체는 제 3 승강체와 겹치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제 1 승강체는 제 3 승강체와 마주 지나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제 1 엘리베이터 칸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제 1 엘리베이터 칸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을 제 2 위치에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구동장치(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2)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 구동장치 본체(3)와, 구동장치 본체(3)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4)를 갖고 있다. 구동장치(2)로서는, 축방향 치수가 축방향으로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박형 권상기가 사용되고 있다. 또, 구동장치(2)는, 구동 쉬브(4)의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장치(2)는, 승강로(1)의 상부에 고정된 복수개의 지지 대들보(support beam)(도시하 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구동장치(2)의 근방에는 디플렉터 풀리(deflector pulley)(5)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4)및 디플렉터 풀리(5)에는 복수개의 메인 로프(6)가 감겨져 있다.
메인 로프(6)의 제 1 단부에는, 제 1 승강체로서의 제 1 엘리베이터 칸(7)이 접속되어 있다. 메인 로프(6)의 제 2 단부에는, 제 2 승강체로서의 제 2 엘리베이터 칸(8)이 접속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7, 8)은, 메인 로프(6)에 의해 1: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아져 있으며, 구동장치(2)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된다.
승강로(1) 내에는 제 1 엘리베이터 칸(7)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 레일(9a, 9b)과, 제 2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 2 가이드 레일(10a, 10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 빌딩에는, 제 1 엘리베이터 칸(7)을 이용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승강장(11)과, 제 2 엘리베이터 칸(8)을 이용하기 위한 복수의 제 2 승강장(12)이 설치되어 있다. 각 제 1 승강장(11)과 승강로(1)와의 사이에는, 제 1 승강장 출입구(11a)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제 2 승강장(12)과 승강로(1)와의 사이에는 제 2 승강장 출입구(12a)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승강장 출입구(11a)는, 제 1 엘리베이터 칸(7)의 전면에 대향하는 동시에 제 2 엘리베이터 칸(8)의 배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 2 승강장 출입구(12a)는, 제 2 엘리베이터 칸(8)의 전면에 대향하는 동시에 제 1 엘리베이터 칸(7)의 배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7)은, 메인 로프(6)가 접속된 제 1 엘리베이터 칸틀(13)과, 제 1 엘리베이터 칸틀(13)에 지지되며 각각 승객을 수용 가능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앞 엘리베이터 칸실 및 뒤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갖고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나란한 제 1 위치(도 1~도 4)와 서로 상하 방향으로 나란한 제 2 위치(도 5)에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은 제 1 위치에서는 제 1 엘리베이터 칸실(14)의 후방에 인접한다. 제 1 엘리베이터 칸실(14)은,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은 앞뒤로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은 제 2 위치에서는 제 1 엘리베이터 칸실(14)의 위쪽에 인접한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수직 투영면에서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은 제 2 엘리베이터 칸(8)과 겹쳐져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제 2 위치에 이동시킴으로써, 제 1 엘리베이터 칸(7)의 수직 투영 면적은,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절반 정도로 축소되어, 제 1 엘리베이터 칸(7)은 제 2 엘리베이터 칸(8)과의 마주 지나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엘리베이터 칸(7)에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의 변위가 완료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실 위치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틀(13)에는, 제 1 엘리베이터 칸실(14)의 상하 이동을 안 내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가이드 로드(guide rod)(16)가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로드(16)에는 나사부(16a)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실(14)에는, 나사부(16a)에 나사 맞춤하여 가이드 로드(16)를 따라 제 1 엘리베이터 칸실(14)을 상하 이동시키는 한 쌍의 나사식 승강장치(17)가 탑재되어 있다. 나사식 승강장치(17)는, 가이드 로드(16)를 회전시키는 타입이여도, 나사부(16a)에 나사 맞춤하는 너트부(nut portion)(도시하지 않음)를 회전시키는 타입이여도 된다.
또, 제 1 엘리베이터 칸틀(13)에는,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을 지지하는 동시에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지지 대들보(18)가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의 상부에는 한 쌍의 래크(19)가 고정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틀(13)에는,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을 전후 이동시키는 한 쌍의 톱니바퀴식 이송장치(20)가 탑재되어 있다. 각 톱니바퀴식 이송장치(20)는 래크(19)와 맞물리는 피니온(21)과, 피니온(21)을 회전시키는 모터(22)를 가지고 있다.
지지 대들보(18)는, 제 1 엘리베이터 칸(7)이 제 2 엘리베이터 칸(8)과 마주 지나칠 때에 제 2 엘리베이터 칸(8)과 간섭하지 않도록,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의 이동 범위 전체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의 앞쪽 단부만이 지지 대들보(18) 위에 위치하고, 이외의 부분은 지지 대들보(18)보다 뒤쪽으로 돌출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과 제 1 엘리베이터 칸틀(13)과의 사이에는,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의 수평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연결 부재(23)가 연결되어 있다.
각 연결 부재(23)는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각 연결 부재(23)는,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연결 부재(23)는, 제 1 엘리베이터 칸틀(13)에 회동 가능하며 또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또, 각 연결 부재(23)에는, 제 1 엘리베이터 칸틀(13)과의 연결부로부터의 빠짐을 저지하는 스토퍼(stopper)(23a)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틀(13)의 하부에는 밸런스 조정장치(24)가 탑재되어 있다. 밸런스 조정장치(24)는, 제 1 엘리베이터 칸(7)의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밸런스 조정추(25)와,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의 위치에 대응하여 밸런스 조정추(25)를 전후 이동시키는 모터(26)를 가지고 있다. 밸런스 조정장치(24)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의 변위에 의한 제 1 엘리베이터 칸(7)의 무게중심 위치의 이동을 억제한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에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내부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엘리베이터 칸실(14)에는, 제 1 내부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 1 내부 도어(27)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에는, 제 2 내부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 2 내부 도어(28)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엘리베이터 칸(8)은 메인 로프(6)가 접속된 제 2 엘리베이터 칸틀(29)과, 제 2 엘리베이터 칸틀(29)에 지지되고 승객을 수용 가능한 제 3 엘리베이터 칸 실(30)을 가지고 있다. 제 2 엘리베이터 칸(8)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 1 엘리베이터 칸(7)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거리센서(31a, 31b)가 탑재되어 있다. 거리센서(31a, 31b)로서는, 예를 들면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이용한 센서가 사용된다.
제 1 엘리베이터 칸틀(13)에는, 제 1 가이드 레일(9a, 9b)에 걸어맞춤하는 복수의 제 1 가이드 슈(guide shoe)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엘리베이터 칸틀(29)에는, 제 2 가이드 레일(10a, 10b)에 걸어맞춤하는 복수의 제 2 가이드 슈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실(14)의 앞쪽면에는, 착상시에 제 1 승강장 출입구(11a)에 대향하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실(14)에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도어(32)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엘리베이터 칸실(30)의 앞쪽면에는, 착상시에 제 2 승강장 출입구(12a)에 대향하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엘리베이터 칸실(30)에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도어(33)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2), 나사식 승강장치(17), 톱니바퀴식 이송장치(20) 및 밸런스 조정장치(24)는 제어장치(34)에 의해 제어된다. 제 1 엘리베이터 칸(7)에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도어(32)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부(도시하지 않음), 제 1 및 제 2 내부 도어(27, 28)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 1 및 제 2 내부 도어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내부 도어(27, 28)는 각각 독립하여 개폐 제어된다. 제 2 엘리베이터 칸(8)에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도어(33)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부와 제 1 및 제 2 내부 도어 제어부는, 제어장치(34)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장치(34)에는, 각종 센서(엘리베이터 칸실 위치센서, 거리센서(31a, 31b),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 및 도어 센서 등)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7, 8)은 구동장치(2)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된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은, 통상은 제 1 위치에 위치하여 앞뒤로 나란히 있다. 이에 대해, 제 1 엘리베이터 칸(7)과 제 2 엘리베이터 칸(8)이 마주 지나칠 때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은 제 2 위치로 이동되어 상하로 인접한다.
예를 들면, 고층 빌딩에 있어서 셔틀 운전을 실시하는 경우라면,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의 변위를 비교적 완만하게 실시할 수 있어 승차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우선 나사식 승강장치(17)에 의해 제 1 엘리베이터 칸실(14)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톱니바퀴식 이송장치(20)에 의해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을 앞쪽으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우선 톱니바퀴식 이송장치(20)에 의해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을 뒤쪽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나사식 승강장치(17)에 의해 제 1 엘리베이터 칸실(14)을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의 동작중은, 내부 도어(27, 28)는 폐쇄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반대로, 내부 도어(27, 28)의 폐쇄가 도어 센서 등에 의해 확인될 때까지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의 이동은 금지된다. 내부 도어(27, 28)는, 승강장층으로의 정지시 이외는 원칙으로서 폐쇄하도록 해도,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는 개방하도록 해도 된다.
또, 거리센서(31a, 31b)에 의해 검출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7, 8)의 거리가 소정의 범위 내일 때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이 제 2 위치로 이동하지 않은 경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7, 8)은 긴급 정지(또는 가능하면 가장 가까운 층 정지)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7, 8)이 다른 층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라면,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7, 8)의 거리에 상관없이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제 1 위치에 이동시켜도 되지만,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7, 8)의 거리가 소정의 범위 내일 때에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제 2 위치에 이동시킬 때까지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7, 8)의 주행이 금지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제 1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수직 투영면에서 제 1 엘리베이터 칸이 제 2 엘리베 이터 칸(8)에 겹쳐지도록 배치할 수 있고, 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제 2 위치에 변위시킴으로써, 제 2 엘리베이터 칸(8)과의 마주 지나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엘리베이터 칸 바닥 면적을 확보하면서 승강로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다. 게다가,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제 1 위치에 위치시키면,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최상층 및 최하층의 양쪽에 정지시킬 수 있어 운행상의 편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은,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내부 출입구와, 제 1 및 제 2 내부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 1 및 제 2 내부 도어(27, 28)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간의 이동 여부를 적당히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내부 도어(27, 28)는 각각 독립하여 개폐 제어되므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제 2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와 마찬가지로 제 1 승강장(11)과의 사이에서의 승객의 승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이 제 1 및 제 2 위치의 어느 것이라도 승객의 승강이 가능하며, 운행 방법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제 2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착상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의 간격을 층간 치수에 따라 조정할 수도 있다.
게다가 또, 메인 로프(6)의 제 2 단부에는, 제 3 엘리베이터 칸실(30)을 갖 는 제 2 엘리베이터 칸(8)이 매달아져 있으므로 수송 능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일반적인 구조의 엘리베이터에 비해, 약 1.5배의 승강로 스페이스에서 2배의 수송 능력을 얻을 수 있다.
또, 제 1 엘리베이터 칸(7)에는 가동식의 밸런스 조정장치(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의 변위에 의한 밸런스의 붕괴를 억제할 수 있다. 밸런스 조정장치(24)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의 위치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 내의 부하를 검출하여, 보다 최적인 밸런스 조정을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이 각각 독립하여 변위하도록 하였으나,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은 서로 연동하여 변위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의 변위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7, 8)이 주행을 개시하기 전에 완료하도록 제어하더라도, 주행중에 실시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의 변위는, 승강장 또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 내에서의 호출 등록에 따라 실시해도 된다. 또, 내부 도어(27, 28)의 개폐에 대해서도, 승강장 또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 내에서의 호출 등록에 따라 판단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2.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 한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메인 로프(6)의 제 2 단부에는, 제 2 승강체로서의 제 2 엘리베이터 칸(35)이 매달아져 있다. 제 2 엘리베이터 칸(35)은, 제 1 엘리베이터 칸(7)과 마찬가지로,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에 변위 가능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가지고 있다. 즉, 제 2 엘리베이터 칸(35)은, 제 1 엘리베이터 칸(7)과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승강로(1) 내에 제 1 엘리베이터 칸(7)과는 등을 맞대고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7, 35)의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수직 투영면에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7, 35)의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은 서로 겹쳐져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7, 35)의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제 2 위치에 이동시킴으로써, 제 1 엘리베이터 칸(7)은 제 2 엘리베이터 칸(35)과의 마주 지나침이 가능해진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2 엘리베이터 칸(35)에 대해서도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갖는 구조로 했으므로, 일반적인 구조의 엘리베이터와 대략 동일한 승강로 스페이스에서 약 2배의 수송 능력을 얻을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메인 로프(6)의 제 2 단부에는, 제 2 승강체로서의 균형추(36)가 매달아져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수직 투영면에서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5)은 균형추(36)와 겹쳐 져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제 2 위치에 이동시킴으로써, 제 1 엘리베이터 칸(7)은 균형추(36)와의 마주 지나침이 가능해진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7)에 대한 호출 등록에만 따라 운행 제어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7)을 이용하는 승객에 대해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 1 엘리베이터 칸(7)의 하부에는, 복수의 제 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37a)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엘리베이터 칸(35)의 하부에는, 복수의 제 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37b)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 로프(6)의 제 1 및 제 2 단부는, 승강로(1)의 상부에 고정된 로프 고정 대들보(38)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 로프(6)는, 제 1 단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37a), 구동 쉬브(4), 디플렉터 풀리(5)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37b)에 감겨져 있다. 즉,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7, 35)은, 메인 로프(6)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아져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라도, 제 1 및 제 2 위치에 변위 가능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엘리베이터 칸 바닥 면적을 확보하면서 승강로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1 및 실시의 형태 3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2:1 로핑 방식을 적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로핑 방식은 1:1 및 2:1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의 형태 5.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7, 35)을 승강시키는 제 1 및 제 2 구동장치(40, 41)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구동장치(40, 41)는, 각각 박형 권상기에 의해 구성되고, 엘리베이터 칸(7, 35)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 1 구동장치(40)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 제 1 구동장치 본체(42)와, 제 1 구동장치 본체(42)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구동 쉬브(43)를 가지고 있다. 제 2 구동장치(41)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 제 2 구동장치 본체(44)와, 제 2 구동장치 본체(44)에 의해 회전되는 제 2 구동 쉬브(45)를 가지고 있다. 제 1 및 제 2 구동장치(40, 41)는 구동 쉬브(43, 45)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되며, 또한 구동장치 본체(42, 44)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구동 쉬브(43)에는, 제 1 메인 로프(46)가 감겨져 있다. 제 2 구동 쉬브(45)에는, 제 2 메인 로프(47)가 감겨져 있다.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46, 47) 의 제 1 단부는, 제 1 엘리베이터 칸(7)의 양측을 거쳐 제 1 엘리베이터 칸(7)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46, 47)의 제 2 단부는, 제 2 엘리베이터 칸(35)의 양측을 거쳐 제 2 엘리베이터 칸(35)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7, 35)은,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46, 47)에 의해 1:1 로핑 방식으로 매달아져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7)의 상부에는, 제 1 엘리베이터 칸(7)이 만일 승강로 꼭대기부에 충돌했을 경우의 충격을 완화하는 제 1 상부 완충기(48)가 탑재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7)의 하부에는, 제 1 엘리베이터 칸(7)이 만일 제 2 엘리베이터 칸(35)에 충돌했을 경우의 충격을 완화하는 제 1 하부 완충기(49)가 탑재되어 있다.
제 2 엘리베이터 칸(35)의 상부에는, 제 2 엘리베이터 칸(35)이 만일 제 1 엘리베이터 칸(7)에 충돌했을 경우의 충격을 완화하는 제 2 상부 완충기(50)가 탑재되어 있다. 제 2 엘리베이터 칸(35)의 하부에는, 제 2 엘리베이터 칸(35)이 만일 승강로 바닥부에 충돌했을 경우의 충격을 완화하는 제 2 하부 완충기(51)가 탑재되어 있다. 이들 완충기(48~51)로서는, 예를 들면 스프링식 완충기, 공기식 완충기 또는 유압 완충기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구동장치(40, 41)를 사용한 트윈 드라이브 방식(twin-drive type)의 엘리베이터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라도, 제 1 및 제 2 위치에 변위 가능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엘리베이터 칸 바닥 면적을 확보하면서 승강로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7, 35)간의 충돌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기(49, 50)를 사용했으므로, 어떠한 원인에 의해 만일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7, 35)이 충돌했을 경우의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6.
다음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의 제 1 및 제 2 구동장치(52, 53)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구동장치(52)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 제 1 구동장치 본체와, 제 1 구동장치 본체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구동 쉬브를 가지고 있다. 제 2 구동장치(53)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 제 2 구동장치 본체와, 제 2 구동장치 본체에 의해 회전되는 제 2 구동 쉬브를 갖고 있다.
제 1 구동장치(52)의 근방에는 제 1 디플렉터 풀리(54)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구동 쉬브 및 제 1 디플렉터 풀리(54)에는, 복수개의 제 1 메인 로프( 55)가 감겨져 있다. 제 2 구동장치(53)의 근방에는 제 2 디플렉터 풀리(56)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구동 쉬브 및 제 2 디플렉터 풀리(56)에는 복수개의 제 2 메인 로프(57)가 감겨져 있다.
제 1 메인 로프(55)의 제 1 단부에는, 제 1 승강체로서의 제 1 엘리베이터 칸(58)이 접속되어 있다. 제 1 메인 로프(55)의 제 2 단부에는, 제 2 승강체로서의 제 1 균형추(59)가 접속되어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칸(58) 및 제 1 균형추(59)는, 제 1 메인 로프(55)에 의해 1: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내에 매달아져 있으며, 제 1 구동장치(52)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된다.
제 2 메인 로프(57)의 제 1 단부에는, 제 3 승강체로서의 제 2 엘리베이터 칸(60)이 접속되어 있다. 제 2 메인 로프(57)의 제 2 단부에는 제 4 승강체로서의 제 2 균형추(61)가 접속되어 있다. 제 2 엘리베이터 칸(60) 및 제 2 의 균형추(61)는, 제 2 메인 로프(57)에 의해 1: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내에 매달아져 있으며, 제 2 구동장치(53)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된다.
제 1 균형추(59)는, 제 1 엘리베이터 칸(58)과 동일 높이에 위치할 때에 제 1 엘리베이터 칸(58)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제 1 엘리베이터 칸(58)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2 균형추(61)는, 제 2 엘리베이터 칸(60)과 동일 높이에 위치할 때에 제 2 엘리베이터 칸(60)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제 2 엘리베이터 칸(60)의 옆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58, 60)의 구조는, 실시의 형태 1의 제 1 엘리베이터 칸(7)과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58, 60)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이 모두 제 1 위치에 있을 때, 수직 투영면에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58, 60)은 서로 겹쳐져 있다. 이에 대해,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58, 60)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이 모두 제 2 위치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58, 60)은 마주 지나침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제 1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수직 투영면에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58, 60)이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또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제 2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58, 60)의 마주 지나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엘리베이터 칸 바닥 면적을 확보하면서, 승강로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다. 게다가,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제 1 위치에 위치시키면,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14, 15)을 최상층 및 최하층의 양쪽에 정지시킬 수 있어 운행상의 편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엘리베이터 칸(58)의 운행은, 제 1 엘리베이터 칸(58)에 대한 호출 등록에만 따라 제어할 수 있고, 제 2 엘리베이터 칸(60)의 운행은 제 2 엘리베이터 칸(60)에 대한 호출 등록에만 따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58, 60)을 이용하는 승객에 대해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엘리베이터 칸은, 실시의 형태 1의 제 2 엘리베이터 칸(8)과 마찬가지로 1개의 엘리베이터 칸실만을 가지는 구조여도 된다.
또, 제 2 승강체 및 제 4 승강체는 균형추가 아니며, 엘리베이터 칸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을 변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는, 나사식 승강장치나 톱니바퀴식 이송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로프식(rope-type), 팬터그래프식(pantograph-type), 유압식 등, 여러 가지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 1 엘리베이터 칸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 1 엘리베이터 칸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이 제 2 위치에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Claims (9)

  1. 구동 쉬브를 갖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 시브에 감겨져 있는 메인 로프, 및
    상기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아지고,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되는 제 1 및 제 2 승강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승강체는, 각각 승객을 수용 가능한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나란한 제 1 위치와 서로 상하 방향으로 나란한 제 2 위치에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는, 평면에 수직으로 투영하면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이 상기 제 2 승강체와 겹쳐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이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이 상기 제 2 승강체와 겹쳐지는 영역으로부터 퇴피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승강체의 마주 지나침이 가능해지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은, 상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내부 출입구와,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 1 및 제 2 내부 도어를 갖고 있는 엘리베 이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은, 상기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실의 뒤쪽에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실은,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은 앞뒤로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은, 상기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칸실의 위쪽에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승강체는, 승객을 수용 가능한 제 3 엘리베이터 칸실을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승강체는, 상기 제 1 승강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위치와 상 기 제 2 위치에 변위 가능한 상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실을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승강체는 균형추인 엘리베이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승강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승강체간의 충돌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기가 탑재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97015324A 2005-08-11 2005-08-11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32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14722 WO2007020674A1 (ja) 2005-08-11 2005-08-11 エレベータ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569A Division KR100923607B1 (ko) 2005-08-11 2005-08-11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977A KR20090084977A (ko) 2009-08-05
KR100932583B1 true KR100932583B1 (ko) 2009-12-17

Family

ID=3775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324A KR100932583B1 (ko) 2005-08-11 2005-08-11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14188B1 (ko)
JP (1) JPWO2007020674A1 (ko)
KR (1) KR100932583B1 (ko)
CN (1) CN101035733B (ko)
WO (1) WO2007020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75063B (zh) * 2009-03-31 2011-05-04 赵长飞 民用高层建筑无源势能控速逃生电梯
WO2015086251A1 (de) * 2013-12-09 2015-06-18 Inventio Ag Aufzuganlage
DE102017113571A1 (de) * 2017-06-20 2018-12-20 Thyssenkrupp Ag Aufzugsystem
CN111252647B (zh) * 2020-03-11 2021-09-03 天津优视津阳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三厢双层停靠式电梯
EP4219379A1 (en) * 2022-01-28 2023-08-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unterweight having a variable mas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9219A (ko) * 1995-01-28 1996-08-17 이종수 단독 권상기를 이용한 병렬 승강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0080A (ja) * 1982-06-14 1983-12-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カゴ
JPS59153773A (ja) * 1983-02-04 1984-09-01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
JPS63110468U (ko) * 1987-01-08 1988-07-15
JPH03147691A (ja) * 1989-11-02 1991-06-24 Hitachi Ltd 複数乗りかご方式昇降設備
JP2904670B2 (ja) * 1993-03-04 1999-06-14 株式会社東芝 自走式エレベータ運行システム
US5419414A (en) * 1993-11-18 1995-05-30 Sakita; Masami Elevator system with multiple cars in the same hoistway
US5660249A (en) * 1995-11-29 1997-08-2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bs transferred horizontally between double deck elevators
JP4270642B2 (ja) 1999-04-23 2009-06-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9219A (ko) * 1995-01-28 1996-08-17 이종수 단독 권상기를 이용한 병렬 승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35733A (zh) 2007-09-12
EP1914188B1 (en) 2014-01-08
WO2007020674A1 (ja) 2007-02-22
EP1914188A4 (en) 2012-10-24
EP1914188A1 (en) 2008-04-23
JPWO2007020674A1 (ja) 2009-02-19
CN101035733B (zh) 2012-05-23
KR20090084977A (ko)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5254B2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おもり装置
CN105384039B (zh) 用于关闭电梯的门的方法和配置
CN110914183B (zh) 电梯系统
KR10093431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3258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20080289907A1 (en) Elevator system
JP427064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27250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3991657B2 (ja) エレベータ
EP3907168A1 (en) Elevator roping sway damper assembly
KR10092360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10786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528592B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50145702A (ko) 엘리베이터의 구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
WO2005105652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4361977A (ja) 縦横走行エレベータ装置
JP6223234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5695024A (en) Car operated safety gate for horizontally transferrable elevator cab
JP2004142853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75001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207427Y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528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710191B1 (en) Elevator system
KR100351276B1 (ko)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
JP202404129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