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276B1 -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276B1
KR100351276B1 KR1019990030907A KR19990030907A KR100351276B1 KR 100351276 B1 KR100351276 B1 KR 100351276B1 KR 1019990030907 A KR1019990030907 A KR 1019990030907A KR 19990030907 A KR19990030907 A KR 19990030907A KR 100351276 B1 KR100351276 B1 KR 100351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ope
winding angle
car
si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1510A (ko
Inventor
조길희
Original Assignee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0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27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machine room

Abstract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는 일단부에 카(31)가 고정되고 타단부에 카운터 웨이트(33)가 로프(34)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로프(34)를 견인하기 위한 권상기(35)가 구비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서 권상기(35)의 시이브(73)에 권취되는 로프(34)의 권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보조풀리(75)를 설치하여, 시이브(73)에 권취되는 로프(34)의 권부각도(θ)가 크게 권취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동작시 로프의 견인마찰력을 증대시키게 되어 권상기(35)의 높이조정 없이도 권상능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WINDING ANGLE CONTROL APPARATUS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이브(SHEAVE)에 권취되는 로프(ROPE)의 권부각도(WRAP ANGLE)를 조절하여 견인력을 충분히 확보 함으로써, 시이브의 설치높이를 낮추는데 따른 기계실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층건물 또는 아파트에 설치되어 승객 및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일반적인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 권상능력의 확보는 권상기의 시이브와 로프 사이의 견인 마찰력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견인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재료의 개발과 홈형상의 개발 및 권상 메카니즘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락구조를 갖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한 형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에 설치된 승강로(1)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트렁크(TRUNK)(미도시)가 구비된 카(CAR)(2)가 설치되어 있고, 그 카(2)의 후방에는 카(2)와 균형의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 웨이트(CWT)(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2)와 카운터 웨이트(3)는 로프(4)의 양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그 로프(4)는 승강로(1)의 상부에 위치되는 기계실(5)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권상기(TRACTION M/C)(6)에 의하여 카(2) 또는 카운터 웨이트(3) 측으로 견인될 수 있도록 권취되어 있다.
상기 권상기(6)는 로프(4)가 감겨지는 시이브(7)와 카운터 웨이트(3)측의 로프(4)를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용풀리(8)가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시이브(7)는 모터(MOTOR)(9)에 의하여 정,역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모터(9)는 베이스 빔(BASE BEAM)(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수개의 높이조절용 플레이트(11)들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락구조로된 로프식 엘리베이터는 모터(9)의 정,역회전에 따라 로프(4)에 연결된 카(2)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승강하면서 승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엘리베이터에서 권상기(6)의 권상능력의 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러한 권상능력은 시이브(7)에 권취되는 로프(4)의 권부각도(θ)가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참고로, 시이브에 형성된 그루브의 형상에서 결정되는 형상계수를 K, 시이브와 로프 사이의 권부각도를 θ, 시이브와 로프의 마찰계수를 μ라고 하면,
T1/T2= eμkθ이고,
K가 결정되어 있고, μ가 결정되어 있다면 권부각도 θ는 설계시 견인용량의 합부를 판정하기 위한 중요한 설계인자이며, 엘리베이터에서 충분한 견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권부각도가 가장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는 카(2)의 후면에 설치되어 아파트에서 관을 실어 나르기 위한 트렁크(2a)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카운터 웨이트(3)를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용풀리(8)가 시이브(7)로부터 후방으로 필요이상 이동하게 되고, 그와 같은 이격용풀리(8)의 이동에 따라 로프(4)가 시이브(7)에 감기는 권부각도는 줄어들게 되어, 이를 보상하기 위한 일환으로 높이조절용 플레이트(11)들을 설치하여 시이브(7)를 상측으로 위치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는 결국에 기계실(5)의 높이가 높아지는 결과가 발생되어 건물의 외관상 좋지 못할뿐만 아니라, 카(2)의 주행시 심하게 흔들려서 엘리베이터 탑승자가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소개되고 있는 종래 횡락구조의 엘리베이터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로(21)의 내부에 트렁크(22a)가 구비된 카(22)가 설치되어 있고, 그 카(22)의 측면에 카운터 웨이트(23)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횡락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는 권상기의 권부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기계실의 높이를 높게 설계하지 않아도 되는 잇점이 있으나, 카운터 웨이트(23)의 위치가 아파트의 경우에 각세대의 내벽(24)과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시에 발생되는 진동소음이 내벽(24)을 통하여 각세대로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상기와 같은 여러 문제점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실의 높이를 높이지 않고도 권부각도를 조절하여 권상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적합한 엘리베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카운터 웨이트에서 발생되는 진동소음이 각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적합한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의 일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의 다른예를 보인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의 일실시예에서 권상기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 카 32 : 카 레일
33 : 카운터 웨이트 34,85 : 로프
35 : 권상기 43 : 카 도어
44 : 도어개폐장치 73,83 : 시이브
75,86 : 보조풀리 81,81' : 고정부재
82 : 지지부재 91 : 수직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승강로 상부에 베이스 빔이 고정되어 있고, 그 베이스 빔에 시이브가 구비된 권상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시이브에 권취되는 일정 길이의 로프가 구비되고, 그 로프의 일단부에 승강로를 따라 수직 이송됨과 아울러 승객 또는 화물이 탑승되는 카가 고정되며, 타 단부에는 상기 카의 주행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 웨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시이브이 일측면에 접하는 수직선 상에서 시이브의 중심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되어 시브에 권취되는 로프의 권부각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플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의 일실시예에서 권상기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승강로의 내부에 승객 또는 화물이 탑승되는 카(31)가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카(31)의 양측에는 카(31)가 상,하로 승강시 가이드하기 위한 한쌍의 레일(3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31)의 후방에는 카(31)의 승강시 카(31)와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 웨이트(3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31)와 카운터 웨이트(33)에는 4가닥의 로프(34) 양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로프(34)는 승강로의 상측에 설치된 기계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권상기(35)에 로핑되어 있다.
상기 카(31)는 상단부 중앙에 상기 로프(34)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사각틀체상의 카 프레임(41)과, 그 카 프레임(41)의 내측에 설치되며 후면에 관을 실기 위한 트렁크(42a)가 구비되어 있는 박스체로된 케이지(42)와, 그 케이지(42)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카 도어(43) 및 그 카 도어(43)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케이지(42)의 상측 전단부에 설치되는 도어개폐장치(4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31)가 이동되는 건물의 각층 출입구에는 개폐가능하도록 한쌍의 승장도어(51)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승장도어(51)는 상기 카 도어(43)가 각 층에 도달하여 개폐시 개폐동작이 연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카(31)와 로프(34)로 연결되어 있는 카운터 웨이트(33)는 건물 외벽의 내부 양측에 고정되어 있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61)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프(34)를 견인하기 위한 권상기(35)는 기계실에 고정된 베이스 빔(71)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용 모터(72)와, 그 모터(72)에 의하여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이브(73)와, 그 시이브(73)의 후방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이격풀리(74)와, 상기 시이브(73)의 전방에 설치되어 시이브(73)에 권취되는 로프(34)의 권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보조풀리(7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빔(71)은 기계실의 내벽에 고정되는 H형강으로된 한쌍의 고정부재(81)(81')와, 그 고정부재(81)(81')들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지지고정되어 있는 수개의 지지부재(82)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풀리(75)는 시이브(73)의 일측면에 접하는 수직선(91) 상에서 시이브(73)의 중심방향으로 일정거리(L) 위치이동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모터(72)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시이브(73)가 정,역회전을 하고, 그와 같이 시이브(73)가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시이브(73)에 권취되어 있는 로프(34)가 견인되게 되어 로프(34)의 일단부에 매달려 있는 카(31)를 승강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카(31)가 매달려 있는 로프(34)는 도 4에서와 같이 시이브(73)의 전방에 시이브(73)의 중심방향으로 일정거리(L) 위치이동하여 설치되어 있는 보조풀리(75)에 의하여 로프(34)의 슬립이 발생되지 않도록 충분한 권부각도(θ)가 확보되어 있어서, 로프(34)의 견인마찰력을 증대시키게 되어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즉, 상기 권상기(35)가 베이스 빔(71)에 직접고정된 상태에서 보조풀리(75)에 의하여 권부각도(θ)가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기계실의 전체높이를 낮추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카(31)가 승강시에 지정된 각층에서 카도어(43)를 개폐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도어개폐장치(44)가 종래와 같이 카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대에 설치되어있지 않고, 케이지(42)의 전면 상단부에 직접 설치되어 있어서 고정대를 배제하는데 따른 카(31)의 전체중량을 감소시키게 되어 상대적으로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 향상을 얻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카(31)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될때는 로프(34)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카운터 웨이트(33)도 카(31)와 균형을 유지하며 가이드 레일(61)(6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33)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될때 발생되는 진동소음은 카운터 웨이트(33)가 승강로의 내부 후방 즉, 건물의 외벽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세대로는 전달되지 않아서, 건물 또는 아파트에 입주하여 있는 입주자들이 엘리베이터의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소음을 느끼지 않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빔(8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 모터(82)에 의하여 정,역회전이 가능토록 시이브(83)가 설치되어 있고, 그 시이브(83)의 후방에는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풀리(8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시이브(83)와 이격풀리(84)의 사이에는 시이브(83)에 권취되는 로프(85)의 권부각도(θ)를 조절하기 위한 보조풀리(8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에 따른 권상기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에서는 회전 모터(82)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시이브(83)가 정,역회전되면서 로프(85)를 견인하고, 그와 같이 견인되는 로프(85)는 시이브(83)의 후방에 위치해 있는 보조풀리(86)에 의하여 충분히 권취됨으로써 권부각도(θ)가 커지게 되어 견인마찰력을 증대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견인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엘리베이터는 일단부에 카가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에 카운터 웨이트가 고정되어 있는 로프를 견인하기 위한 권상기가 구비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서 권상기의 시이브에 권취되는 로프의 권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보조풀리를 설치하고, 시이브에 권취되는 로프의 권부각도가 크게 권취되도록 하여, 로프의 견인마찰력의 증대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뿐 아니라, 종래와 같이 권부각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시이브를 높게 설치하면서 기계실의 높이가 커져서 외관상 양호하지 못하였던 것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승강로 상부에 베이스 빔이 고정되어 있고, 그 베이스 빔에 시이브가 구비된 권상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시이브에 권취되는 일정 길이의 로프가 구비되고, 그 로프의 일단부에 승강로를 따라 수직 이송됨과 아울러 승객 또는 화물이 탑승되는 카가 고정되며, 타 단부에는 상기 카의 주행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 웨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시이브이 일측면에 접하는 수직선 상에서 시이브의 중심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되어 시브에 권취되는 로프의 권부각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플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풀리는 권상기의 시이브 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풀리는 권상기의 시이브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빔은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고정부재와, 그 고정부재들을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개의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풀리는 베이스 빔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
KR1019990030907A 1999-07-28 1999-07-28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 KR100351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907A KR100351276B1 (ko) 1999-07-28 1999-07-28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907A KR100351276B1 (ko) 1999-07-28 1999-07-28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510A KR20010011510A (ko) 2001-02-15
KR100351276B1 true KR100351276B1 (ko) 2002-09-10

Family

ID=19605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907A KR100351276B1 (ko) 1999-07-28 1999-07-28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2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494B1 (ko) * 2013-08-30 2014-11-25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510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13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7293631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EP1016614A1 (en) Controller for elevators
JP2000255933A5 (ko)
KR100351275B1 (ko) 머신룸 레스 엘리베이터
US6305499B1 (en) Drum drive elevator using flat belt
JP4339578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070175707A1 (en) Elevator
CA2316478C (en) Elevator installation with a drive unit located in an elevator hoistway
JP426028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2001063935A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712559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H1081463A (ja) サイドフォーク型エレベーター
KR100351276B1 (ko) 엘리베이터의 권부각도 조절장치
EP1053969B1 (en) Elevator
JP4253394B2 (ja) 巻胴式エレベーター
JP250562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タ
JPH05178564A (ja) エレベータ制御用ケーブルの制振装置
JP2001048445A (ja) エレベータ
JP4091218B2 (ja) エレベータ
JP3454042B2 (ja) 小形エレベーター装置
JP4914030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ー
KR101998869B1 (ko) 기계실이 없는 고하중용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528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2360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