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494B1 -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494B1
KR101464494B1 KR1020130103688A KR20130103688A KR101464494B1 KR 101464494 B1 KR101464494 B1 KR 101464494B1 KR 1020130103688 A KR1020130103688 A KR 1020130103688A KR 20130103688 A KR20130103688 A KR 20130103688A KR 101464494 B1 KR101464494 B1 KR 101464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chine room
base beam
eleva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근
박지영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3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machine r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에 설치된 베이스 빔을 접었다 펴지도록 회동시켜 상기 기계실의 폭을 최대한 줄여 상기 기계실의 이동 공간 폭을 최소화함은 물론 보다 원활하게 이동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시공 완료되기 전 건물에서 골조 완료된 구간에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시키도록 프레임과, 베이스 빔과, 메인로프를 감았다 풀었다 하는 메인시브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하부에는 프레임에 베이스 빔의 일측이 고정 및 분리가능함은 물론 프레임에 베이스 빔의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시공 완료된 골조의 상부 측에는 프레임에 연결된 고정로프가 결합되어 기계실 전체를 승,하강시키는 메인윈치가 설치되며, 프레임에는 베이스 빔의 일측에 연결된 연결로프가 결합되어 연결로프를 감았다 풀었다 하면서 베이스 빔을 회동시키는 보조윈치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이동장치{moving apparatus for machine room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에 설치된 베이스 빔을 접었다 펴지도록 회동시켜 상기 기계실의 폭을 최대한 줄여 상기 기계실의 이동 공간 폭을 최소화함은 물론 보다 원활하게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주거용도나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된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 설치되어 건물을 찾는 승객을 목적에 따른 소정 행선층으로 이동시키도록 승강로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여기서, 고층 건물을 시공할 때 건물의 시공이 완료되기 전 상기 건물의 시공 공정에 따라 골조 완료된 구간에서 작업자가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를 순차적으로 시공하여 수직 교통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의 엘리베이터로는 점프 엘리베이터(jump elevator)를 사용한다.
상기의 엘리베이터는 내부에 승객이나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카도어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방 측인 골조 완료된 구간의 승강로 상부 측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를 승, 하강시키도록 하는 기계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기계실은, 외곽 구조물인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기계실을 건물 즉, 시공 완료된 골조 부분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완료된 골조 부분에 형성된 지지홈 및 골조 상면에 그 양단이 각각 걸쳐져 지지되는 베이스 빔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 결합된 메인로프(main rope)를 감았다 풀었다 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 하강시키도록 회전하는 메인시브와, 상기 메인시브에 축 결합되어 소정 동력이 발생되는 모터와, 상기 메인로프의 일단은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로프의 타단은 엘리베이터 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균형추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의 메인시브에 축 결합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메인시브가 회전되고, 상기 회전하는 메인시브의 회전방향에 따라 메인로프가 메인시브에 감겨지거나 풀어지게 되며, 상기 감겨졌다 풀어지는 메인로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는 승, 하강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작업자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건물의 시공이 완료되기 전 상기 건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골조 시공이 완료될 때마다 상기 시공 완료된 골조 구간의 상측으로 기계실을 이동시켜야 하는데, 즉 기계실 내에 이송장치를 설치 및, 상기 기계실 구조 자체를 유압장치로 제작하여 상기 이송장치 및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기계실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에 이송장치 또는 유압장치가 구비되어 있음으로, 상기 기계실의 전체 사이즈가 커서 이동 공간의 제약 즉, 보다 넓은 공간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상기의 장치에 의하여 기계실 자체의 무게가 무거움에 따라 상기 기계실을 이동하기 위해 보다 많은 동력이나 전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등 상기 기계실 이동 시 많은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을 지지하는 베이스 빔을 회동시키면서 접었다 펴지도록 하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빔을 회동시켜 기계실에 맞닿도록 접히도록 함에 따라 시공 완료된 골조에 기계실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 빔을 회동시켜 기계실로부터 이격되어 수직상태로 펴지도록 하여 기계실의 폭을 최대한 줄임에 따라 상기 기계실의 이동 공간 폭을 최소화함은 물론 보다 원활하게 이동가능하도록 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공 완료되기 전 건물에서 골조 완료된 구간에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시키도록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시공된 골조에 형성된 지지홈 및 골조 상면에 그 양단이 각각 걸쳐져 지지되는 베이스 빔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시키도록 메인로프를 감았다 풀었다 하는 메인시브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에 베이스 빔의 일측이 고정 및 분리가능함은 물론 상기 프레임에 베이스 빔의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공 완료된 골조의 상부 측에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고정로프가 결합되어 상기 고정로프를 감았다 풀었다 하면서 기계실 전체를 승,하강시키도록 하는 메인윈치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베이스 빔의 일측에 연결된 연결로프가 결합되어 상기 연결로프를 감았다 풀었다 하면서 베이스 빔을 회동시키도록 하는 보조윈치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이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메인윈치와, 상기 기계실의 프레임 하부에서 베이스 빔을 회동시키도록 보조윈치와 연결링크 등이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이동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기계실의 프레임 하부에 베이스 빔이 접촉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의 베이스 빔은 시공 완료된 골조에 걸쳐짐에 따라 상기 기계실을 보다 견고하면서도 안전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 빔을 회동시켜 기계실의 하부로부터 이격 즉, 프레임의 하부와 분리되어 상기 프레임의 측방에 세로방향으로 위치인 수직상태로 펴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기계실의 폭(사이즈)을 최대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메인윈치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기계실의 이동 공간 폭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계실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기계실의 프레임 하부에서 베이스 빔이 회동되는 구조를 구비함으로, 상기 기계실의 전체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기계실의 사이즈를 최소화함은 물론 전체 무게를 줄임에 따라 동력이나 전기의 소모를 줄이면서도 상기의 기계실을 원활하면서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승하강 즉, 이동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이 회동되는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확대상세도.
도 3은 도 2를 저면에서 확대해서 나타낸 확대상세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이 이동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이동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을 시공할 때 건물의 시공이 완료되기 전 상기 건물의 시공 공정에 따라 골조 완료된 구간에서 엘리베이터를 순차적으로 시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카(2)를 이동 즉, 승,하강시키도록 하는 기계실(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는 도 1과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에 승객이나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개폐되는 카도어를 포함한 엘리베이터 카(2)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2)의 상방 측인 골조(3) 시공이 완료된 구간의 승강로 상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2)를 승,하강시키도록 하는 기계실(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기계실(1)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기계실(1)의 외곽 구조물인 프레임(1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는 시공 완료된 골조(3) 부분에 형성된 지지홈(3a) 및 골조(3)의 상면에 그 양단이 각각 걸쳐져 지지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베이스 빔(base beam, 2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베이스 빔(20)의 타측 즉, 후술할 연결링크(70)가 위치하는 측에는 연결링크(70)의 타단이 삽입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삽입공(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링크삽입공(21)은 연결링크(70)와 베이스 빔(20) 간에 여유로운 결합공간을 갖도록 함은 물론 연결링크(70)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빔(20)이 원활하게 회동가능하도록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에는 엘리베이터 카(2)를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2)에 일단이 연결된 메인로프(main rope, 40)를 감았다 풀었다 메인시브(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로프(40)의 타단에는 엘리베이터 카(2)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균형추가 연결 결합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1)의 상방 측인 상기 시공 완료된 골조(3)의 상부 측에는 상기 기계실(1)을 승,하강시키도록 하는 메인윈치(5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메인윈치(50)에는 상기 프레임(10)에 연결됨은 물론 상기 메인윈치(50)에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고정로프(51)가 감겨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메인윈치(5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메인윈치(50)에 고정로프(51)가 감겨지거나 풀어지면서 상기 베이스 빔(20)을 포함한 기계실(1) 전체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기계실(1)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10)에 베이스 빔(20)의 일측이 고정 및 분리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상기 베이스 빔(20)의 타측은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베이스 빔(20)의 일측은 볼트 체결 즉, 고정볼트(73)의 체결 및 체결상태의 해제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에 베이스 빔(20)의 일측이 고정 및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빔(20)의 타측은 상기 프레임(10)에서 베이스 빔(20)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링크(70)에 의하여 연결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결링크(70)의 일단에는 프레임(10)의 하부에서 연결링크(7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링크(70)의 일단을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 체결되는 회동체결부재(71)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결링크(70)의 타단에는 베이스 빔(20)의 링크삽입공(21)으로 삽입된 상태의 연결링크(70)의 타단이 상기 베이스 빔(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재(72)가 결합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 빔(20)의 타단에는 링크삽입공(21)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링크삽입공(21)에는 상기 링크삽입공(21)으로 삽입되어 회동되는 연결링크(70)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연결링크(70)의 일단은 회동체결부재(71)에 의해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은 물론 상기 각 연결링크(70)의 타단에는 연결링크(70)에서 베이스 빔(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72)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서 기계실(1)의 하방 측으로 회동되는 베이스 빔(20)이 급격하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 즉, 상기 베이스 빔(20)을 서서히 회동시키도록 하는 보조윈치(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조윈치(60)에는 상기 베이스 빔(20)의 일측에 연결 결합되어 베이스 빔(20)을 안전하게 서서히 회동시키도록 상기 보조윈치(60)에 감겨지거나 풀어지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연결로프(61)가 감겨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건물의 시공이 완료되기 전 골조(3) 완료된 구간에 평상시 및 엘리베이터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2)를 이동 즉, 승,하강시키는 기계실(1)은 도 4에서와 같이, 골조(3)에 지지 고정된다.
즉, 상기 기계실(1)의 프레임(10) 하부에 설치된 베이스 빔(20)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면에 맞닿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고정볼트(73)에 의해 프레임(10)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베이스 빔(20)의 양단부는 골조(3)에 형성된 지지홈(3a) 및 상기 골조(3)의 상면에 그 양단이 각각 걸쳐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1)을 지지한다.
그러다가, 상기 골조(3) 완료된 구간의 상부 측에 또 다른 골조(3)의 시공이 완료되면 상기의 기계실(1)은 또 다른 골조(3)의 상부로 이동시켜야 하며, 상기 기계실(1)을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 4 내지 도 7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프레임(10)의 일측과 베이스 빔(20)의 일측을 연결 결합하는 고정볼트(73)의 체결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일측과 베이스 빔(20)의 일측이 분리가능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또 다른 골조(3)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기계실(1)의 프레임(10)에 연결된 고정로프(51)가 감겨진 메인윈치(50)를 작동시켜 상기 고정로프(51)를 감으면, 상기 감겨지는 고정로프(51)에 의해 기계실(1)은 상방 측으로 들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기계실(1)에 설치되어 베이스 빔(20)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로프(61)가 감겨진 보조윈치(60)가 같이 작동하게 되는데, 즉 베이스 빔(20)이 급격하게 회동되는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빔(20)이 서서히 회동되도록 상기 보조윈치(60)에서 연결로프(61)가 서서히 풀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메인윈치(50)에 의해 고정로프(51)가 감기면서 상기 기계실(1) 전체가 상방 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보조윈치(60)에 의해 연결로프(61)가 서서히 풀리면서 상기의 베이스 빔(20)은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프레임(10)의 타측에서 서서히 회동 즉, 상기 베이스 빔(20)의 타측은 연결링크(70)에 의해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연결링크(70)에 의해 베이스 빔(20)의 일측은 프레임(10)의 하방 측으로 서서히 회동된다.
상기 메인윈치(50)에 의해 베이스 빔(20)을 포함한 기계실(1)은 계속해서 상방으로 이동하다 보면 상기 베이스 빔(20)의 일단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골조(3)의 지지홈(3a)으로부터 빠져나와 자유단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보조윈치(60)에서 연결로프(61)가 더 풀리게 되면 상기 베이스 빔(20)의 타측이 프레임(10)에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의 베이스 빔(20)은 프레임(10)과 직교 즉, 수직상태로 펴지면서 상기 기계실(1)의 폭(사이즈)를 최소화한다.
상기 베이스 빔(20)이 수직상태로 펴진 상태에서 메인윈치(50)의 작동에 따라 고정로프(51)가 감겨짐에 따라 상기 베이스 빔(20)을 포함한 기계실(1) 전체는 또 다른 골조(3)의 상부 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또 다른 골조(3)의 상부 측으로 기계실(1)이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메인윈치(50)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보조윈치(60)를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작동시켜 연결로프(61)을 감음에 따라 상기 프레임(10)에 수직상태로 펴져 있던 베이스 빔(20)은 프레임(10)의 하부면 측으로 회동된다.
상기 베이스 빔(20)의 프레임(10)의 하부면에 맞닿도록 접음과 함께 상기 베이스 빔(20)의 양단부가 각각 또 다른 골조(3)의 지지홈(3a) 및 또 다른 골조(3)의 상면에 걸쳐지게 되면 상기 고정볼트(73)를 체결하여 상기 프레임(10)의 타측과 상기 베이스 빔(20)의 타측을 결합 고정함에 따라 상기 또 다른 골조(3)에 지지되는 베이스 빔(20)에 의해 도 1에서와 같은 형태로 상기의 기계실(1)은 지지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이동장치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1: 기계실 2: 엘리베이터 카
3: 골조 10: 프레임
20: 베이스 빔 21: 링크삽입공
30: 메인시브 40: 메인로프
50: 메인윈치 51: 고정로프
60: 보조윈치 61: 연결로프
70: 연결링크 71: 회동체결부재
72: 이탈방지부재 73: 고정볼트

Claims (3)

  1. 시공 완료되기 전 건물에서 골조 완료된 구간에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시키도록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골조가 시공되고 상기 골조에 형성된 지지홈 및 골조 상면에 그 양단이 각각 걸쳐져 지지되는 베이스 빔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시키도록 메인로프를 감았다 풀었다 하는 메인시브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에 베이스 빔의 일측이 고정 및 분리가능함은 물론 상기 프레임에 베이스 빔의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공 완료된 골조의 상부 측에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고정로프가 결합되어 상기 고정로프를 감았다 풀었다 하면서 기계실 전체를 승,하강시키도록 하는 메인윈치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베이스 빔의 일측에 연결된 연결로프가 결합되어 상기 연결로프를 감았다 풀었다 하면서 베이스 빔을 회동시키도록 하는 보조윈치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 빔의 일측은 볼트 체결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 및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빔의 타측은 연결링크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연결링크의 일단은 회동체결부재에 의해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은 베이스 빔의 링크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방지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빔이 연결링크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이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연결링크의 링크삽입공은 상기 연결링크를 중심으로 베이스 빔이 회동가능하도록 장공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이동장치.
KR1020130103688A 2013-08-30 2013-08-30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이동장치 KR101464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688A KR101464494B1 (ko) 2013-08-30 2013-08-30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688A KR101464494B1 (ko) 2013-08-30 2013-08-30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494B1 true KR101464494B1 (ko) 2014-11-25

Family

ID=5229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688A KR101464494B1 (ko) 2013-08-30 2013-08-30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4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510A (ko) * 1999-07-28 2001-02-15 장병우 엘리베이터
JP2004262580A (ja) * 2003-02-28 2004-09-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巻上機の支持構造
JP2007514622A (ja) * 2003-06-30 2007-06-07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レベータの巻上機能の最新化方法よび最新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510A (ko) * 1999-07-28 2001-02-15 장병우 엘리베이터
JP2004262580A (ja) * 2003-02-28 2004-09-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巻上機の支持構造
JP2007514622A (ja) * 2003-06-30 2007-06-07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レベータの巻上機能の最新化方法よび最新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5982B2 (en) Crane and boom hoisting device thereof
CN110104522B (zh) 一种折叠天梁曳引式施工升降机及其施工方法
RU2538742C2 (ru) Лифт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лифта
KR101923924B1 (ko)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JP2018523052A (ja) 風力タービンコンポーネントを移動させる方法、及び風力タービンコンポーネントを移動させる搬送システム
KR20120131710A (ko) 케이지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CN210048319U (zh) 一种折叠天梁曳引式施工升降机
JP4753932B2 (ja) ゴンドラ装置
JP2008222382A (ja) 据付用昇降装置移動方法
CN219409064U (zh) 一种建筑幕墙安装起吊装置
JP4316514B2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JP6698900B1 (ja) 昇降装置
CN111039130A (zh) 承重梁自升式井道施工升降机
KR101464494B1 (ko)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이동장치
KR101923925B1 (ko) 크레인 장착형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
CN211769642U (zh) 承重梁自升式井道施工升降机
KR101794202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JP2008214062A (ja) リフト装置および構造材取り付け方法
CN210065083U (zh) 一种升降装置
CN220926156U (zh) 一种施工吊具
JP3740215B2 (ja) 建築物の最上階に設置するジブクレーンの設置方法
JPH0328066Y2 (ko)
JP2001140474A (ja) 養生装置
CN211769676U (zh) 可折叠承重梁式自升井道施工升降机
KR102457959B1 (ko)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