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202B1 -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4202B1 KR101794202B1 KR1020170003077A KR20170003077A KR101794202B1 KR 101794202 B1 KR101794202 B1 KR 101794202B1 KR 1020170003077 A KR1020170003077 A KR 1020170003077A KR 20170003077 A KR20170003077 A KR 20170003077A KR 101794202 B1 KR101794202 B1 KR 1017942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sheave
- rope
- fixed
- side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4—Vertically-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의 층고를 낮춰 용이하고 안전하게 다단형 수직개폐식 도어를 설치할 수 있고, 도어 개폐 구동수단의 유지 보수 편의 제공과 함께 관련 작업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 수단으로, 건물 각층의 승강장 출입구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2단 이상의 상단도어와 하단도어로 이루어진 다단형 수직개폐식 도어를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시켜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단도어의 상,하부 양측에는 각각 일정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브라켓과; 상기 승강장의 바닥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스프로킷이 일체로 축설된 구동모터와; 상기 승강장의 바닥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연동스프로킷이 일측단에 축설되고, 상기 연동스프로킷의 인접된 위치와 타측단에 각각 하부쉬브가 일체로 축설된 구동축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정부가 상기 프레임의 상단을 넘지 않게 설치되는 상부쉬브와;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상단도어와 하단도어의 무게를 상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균형추와; 상기 하단도어의 하부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브라켓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하부쉬브를 선회한 타단은 균형추 하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제1로프와; 상기 무게추의 상부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상부쉬브를 선회한 타단은 상기 하단도어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브라켓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제2로프와; 상기 승강장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로프의 긴장상태를 지속시키는 텐션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텐션수단은 상기 승강장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앵글과, 상기 고정앵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쉬브축과, 상기 쉬브축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로프의 긴장상태를 유지시키는 텐션쉬브와, 상기 쉬브축의 후단을 탄성에 의해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수단으로, 건물 각층의 승강장 출입구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2단 이상의 상단도어와 하단도어로 이루어진 다단형 수직개폐식 도어를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시켜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단도어의 상,하부 양측에는 각각 일정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브라켓과; 상기 승강장의 바닥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스프로킷이 일체로 축설된 구동모터와; 상기 승강장의 바닥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연동스프로킷이 일측단에 축설되고, 상기 연동스프로킷의 인접된 위치와 타측단에 각각 하부쉬브가 일체로 축설된 구동축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정부가 상기 프레임의 상단을 넘지 않게 설치되는 상부쉬브와;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상단도어와 하단도어의 무게를 상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균형추와; 상기 하단도어의 하부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브라켓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하부쉬브를 선회한 타단은 균형추 하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제1로프와; 상기 무게추의 상부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상부쉬브를 선회한 타단은 상기 하단도어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브라켓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제2로프와; 상기 승강장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로프의 긴장상태를 지속시키는 텐션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텐션수단은 상기 승강장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앵글과, 상기 고정앵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쉬브축과, 상기 쉬브축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로프의 긴장상태를 유지시키는 텐션쉬브와, 상기 쉬브축의 후단을 탄성에 의해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출입구의 층고를 낮춰 도어의 설치성 향상, 도어용 개폐 구동수단의 유지 및 보수 편의 향상, 및 도어 개폐 구동수단 관련 작업의 안전사고 위험 부담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게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층 물류창고나 빌딩 중에는 화물, 장비 등을 원하는 층으로 실어 나르거나 고층에 보관 중인 화물을 지상의 승강장으로 실어내리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다.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출입구를 여닫는 도어는 중량체여서 인력으로는 여닫기 곤란하기 때문에 통상 스위치 조작으로 여닫는 전동식 도어를 설치한다.
전동식 도어는 도어의 형태에 따라 셔터형과 스크린형, 수직개폐형으로 대별된다. 셔터형 도어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78596호와 같이, 케이지 프레임의 좌우측 문설주 상단을 가로지르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 상에 설치된 보빈과 회전축 구동용 모터, 및 문설주의 가이드 홈을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된 두루마리형 셔터와의 조합체다.
스크린 도어는 등록특허 제10-1102890호와 같이 레일형 윗인방 및 문지방에 수평으로 동시에 여닫히는 도어를 설치하고, 양방향 동시 구동수단(양방향 나사가 형성된 스크류. 또는 공압 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는 방식이다.
셔터형 도어와 스크린형 도어는 구조상 화물용 엘리베이터에는 부적합하기 때문에 대개는 수직개폐식 도어가 적용된다.
수직개폐식 도어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59635호와 같이 도어가 2 이상의 상하 문짝으로 이뤄진 중첩식 접이형 도어를 가이드 레일형 문설주의 상단에 설치된 모터로 풀리를 회전시켜 와이어 로우프를 감아 최하부 문짝을 끌어올리면 그 견인력에 의해 상부 문짝들이 문설주의 상단 쪽으로 밀려 상승하고, 계속되는 최하부 문짝의 견인력에 병풍처럼 차곡차곡 접히면서 문설주의 상단에 설치된 수납실에 수용되게 한 것이다.
또,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1821호와 같이 수직개폐식 도어가 다단식 문짝으로 이뤄지고, 최하부 문짝이 인상수단에 의해 인상되어 상부 문짝에 겹쳐진 후 계속되는 최하부 문짝의 추가 인상에 상부 문짝이 차례로 동반 중첩 견인되어 출입구를 개방하는 전동 수직개폐식 도어도 있다.
건물 출입구 개폐용 전동식 셔터형 도어는 물론 전동 수직개폐식 도어도 개폐문장치의 핵심 구성원인 모터와 회전축, 권취롤 또는 스프로켓이 문설주의 상단에 위치하므로 승강장 설계 시에는 이들이 수용될 최소한의 공간이 반영되어야 하며, 이런 설계조건에 따르자면 승강장의 층고가 자연스레 높아진다.
2단형 수직개폐식 도어의 경우 그 개폐수단용 수용공간은 적어도 30cm 이상이다. 이 정도의 높이가 확보되지 않으면 2단형 수직개폐식 도어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건물의 화물용 승강장은 성인이 손을 뻗어도 닿지 않을 정도로 층고가 높은 게 일반적인 데, 승강장의 층고가 높을수록 수직개폐식 도어의 설치작업 난이도가 높고, 도어 설치 후 모터와 권취롤, 스프로켓 등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수리, 보수, 파손된 구성요소를 교체하는 작업도 어려워진다. 안전사고의 위험부담도 크다. 사다리를 이용하지 않고는 그런 작업이 매우 곤란하기 때문이다.
셔터를 위로 감아올려서 개문하고 풀어 내려서 폐문하는 구동수단과 권취수단이 문설주의 상단에 설치할 수밖에 없는 셔터형 도어는 논외로 하고, 다단 수직개폐식 도어는 셔터형 도어와는 구동수단을 비롯한 도어 승강수단의 위치변경의 여지가 있는 점을 고려하면, 승강장의 층고를 낮춰 수직개폐식 도어를 보다 설치하기 쉽고, 도어 개폐 구동수단에 대한 유지 보수도 편하고 안전한 방향으로 개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발명은 승강장의 층고를 낮춰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직개폐식 도어를 설치할 수 있고, 도어 개폐 구동수단의 유지 보수 편의 제공과 함께 관련 작업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을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건물 각층의 승강장 출입구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2단 이상의 상단도어와 하단도어로 이루어진 다단형 수직개폐식 도어를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시켜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단도어의 상,하부 양측에는 각각 일정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브라켓과; 상기 승강장의 바닥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스프로킷이 일체로 축설된 구동모터와; 상기 승강장의 바닥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연동스프로킷이 일측단에 축설되고, 상기 연동스프로킷의 인접된 위치와 타측단에 각각 하부쉬브가 일체로 축설된 구동축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정부가 상기 프레임의 상단을 넘지 않게 설치되는 상부쉬브와;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상단도어와 하단도어의 무게를 상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균형추와; 상기 하단도어의 하부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브라켓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하부쉬브를 선회한 타단은 균형추 하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제1로프와; 상기 무게추의 상부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상부쉬브를 선회한 타단은 상기 하단도어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브라켓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제2로프와; 상기 승강장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로프의 긴장상태를 지속시키는 텐션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텐션수단은 상기 승강장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앵글과, 상기 고정앵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쉬브축과, 상기 쉬브축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로프의 긴장상태를 유지시키는 텐션쉬브와, 상기 쉬브축의 후단을 탄성에 의해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건물의 승강장을 여닫는 다단형 수직개폐식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동수단을 문설주의 하단으로 이설함에 따라 그 수용공간의 높이에 상당하는 만큼 출입구의 층고를 낮춰 설계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다단형 수직개폐식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동수단의 유지, 보수, 교체 등 관련작업을 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현저히 줄어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을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을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을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의 하단도어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의 구동모터의 설치상태를 확대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의 제3로프의 설치상태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의 요부인 텐션수단을 확대해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을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을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의 하단도어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의 구동모터의 설치상태를 확대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의 제3로프의 설치상태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의 요부인 텐션수단을 확대해 보인 측면도.
이하, 첨부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은 건물 각층의 승강장(1) 출입구에 설치되는 프레임(3)에 형성된 레일(5)을 따라 승하강하는 2단 이상의 상단도어(10)와 하단도어(20)로 이루어진 다단형 수직개폐식 도어를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시켜 승강장(1)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구동모터(110), 구동축(120), 상부쉬브(130), 균형추(140), 제1로프(150), 제2로프(160), 제3로프(170) 및 텐션수단(2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상단도어(10)와 하단도어(20)는 상기 프레임(3)에 형성된 레일(5)과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복수의 가이드슈(14)(24)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단도어(10)의 하부 양측에는 각각 승강쉬브(16)가 설치되고, 상기 하단도어(20)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연결부재(26)가 설치된다. 이 연결부재(26)에는 상기 제3로프(170)의 타단이 경유 및 고정되는 다수의 로프고정부재(28)가 일체로 설치된다.
이때, 하단도어(20)의 상,하부 양측에는 각각 일정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브라켓(22)이 설치되는바, 상기 연결브라켓(22)은 상기 제1로프(150) 또는 제2로프(160)의 단부가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로프(150)(160)가 프레임(3)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구동모터(110)는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구동스프로킷(112)이 일체로 축설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승강장(1)의 바닥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120)은 상기 구동모터(110)의 동력을 양측으로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일정 길이의 금속봉을 구비하여 상기 승강장(1)의 바닥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하면 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120)의 일측단에는 상기 구동스프로킷(112)과 체인(114)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연동스프로킷(122)을 일체로 축설시키고, 상기 연동스프로킷(122)의 인접된 위치와 타측단에는 각각 한쌍의 하부쉬브(124)를 일체로 축설시켜 상기 제1로프(150)가 선회하도록 하는 동시에 제1로프(15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쉬브(130)는 상기 제2로프(160)가 안정적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3)의 상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면 된다.
이때, 상기 상부쉬브(130)는 정부가 상기 프레임(3)의 상단을 넘지 않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균형추(140)는 상기 상단도어(10)와 하단도어(20)의 무게를 상쇄할 수 있도록 프레임(3)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1로프(150)는 일정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통상적인 와이어로프가 한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그 일단을 상기 하단도어(20)의 하부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브라켓(22)에 각각 고정하고, 상기 하부쉬브(124)를 선회시킨 다음 상기 균형추(140) 하부에 타단을 각각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2로프(160)는 일정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통상적인 와이어로프가 한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그 일단을 상기 무게추(140)의 상부에 각각 고정하고, 상기 상부쉬브(130)를 선회시킨 다음 상기 하단도어(20)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브라켓(22)에 타단을 각각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3로프(170)는 일정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통상적인 와이어로프가 한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그 일단을 승강장 천정에 설치 고정된 고정앵커(18)에 고정시키고, 타단은 하향되어 상기 승강쉬브(16)를 선회한 후 상기 하단도어(2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연결부재(26)에 설치되어 있는 로프고정부재(28)에 각각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텐션수단(200)은 상기 제1로프(150)의 긴장상태를 지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장(1)의 하부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제1로프(150)를 항상 전방으로 밀고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텐션수단(200)은 상기 승강장(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앵글(210)과, 상기 고정앵글(21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쉬브축(220)과, 상기 쉬브축(220)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로프(150)의 긴장상태를 유지시키는 텐션쉬브(230)와, 상기 쉬브축(220)의 후단을 탄성에 의해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구성 부품이 각각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의 작용은 먼저, 상기 구동모터(110)의 구동시켜 구동스프로킷(11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스프로킷(112)과 체인(114)으로 연결된 연동스프로킷(122)이 회전하면서 구동축(120)이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구동축(120)의 양측에 축설된 하부쉬브(124)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하부쉬브(124)가 회전하여 선회되어 있던 제1로프(15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로프(150)의 타단이 고정된 균형추(140)가 하강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균형추(140)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된 제2로프(160)가 상기 상부쉬브(130)를 회전시키면서 안정적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2로프(160)의 타단이 고정된 연결브라켓(22)이 형성된 하단도어(20)를 먼저 상승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하단도어(20)가 프레임(3)에 형성된 레일(5)을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로프고정부재(28)에 고정된 제3로프(170)를 끌고 상승하게 되며, 상기 제3로프(170)가 선회되어 있는 승강쉬브(16)가 회전하면서 상기 상단도어(10)도 연동 상승하여 승강장(1)의 출입구가 완전하게 개방되는 것이며, 출입구의 폐쇄시 상기 구동모터(110)를 역으로 회전시켜 상기 상단도어(10)와 하단도어(20)를 연동 하강시키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상단도어(10)와 하단도어(20)를 연동하여 승하강시키는 로프연결방식은 2:1 로핑방식으로서, 승강장(1) 천정에 설치된 고정앵커(18)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인 상기 제3로프(170)의 타단을 하단도어(20)가 일정 속도로 끌고 상승하게 되면 상기 상단도어(10)도 동시에 상승하게 되는데, 상기 하단도어(20)의 상승속도에 비해 상단도어(10)의 상승속도는 절반으로 감속되어 상승하기 때문에 상단도어(10)와 하단도어(20)의 높이차에 따른 상승높이를 극복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텐션수단(200)의 스프링(240) 탄성에 의해 쉬브축(220)의 선단에 설치된 텐션쉬브(230)가 상기 제1로프(150)를 전방으로 항상 밀고 있으므로 상기 제1로프(150)의 긴장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제1 및 제2로프(150)(160)에 연결된 하단도어(20) 및 균형추(140) 무게에 따른 처짐으로 상기 제1로프(150)가 하부쉬브(124)에서 이완되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1 및 제2로프(150)(160)의 슬립현상을 방지하여 회전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은 건물의 승강장을 여닫는 다단형 수직개폐식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동수단을 문설주의 하단으로 이설함에 따라 그 수용공간의 높이에 상당하는 만큼 출입구의 층고를 낮춰 설계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다단형 수직개폐식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동수단의 유지, 보수, 교체 등 관련작업을 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인 것이다.
3 : 프레임 5 : 레일
10 : 상단도어 20 : 하단도어
22 : 연결브라켓 110 : 구동모터
120 : 구동축 124 : 하부쉬브
130 : 상부쉬브 140 : 균형추
150 : 제1로프 160 : 제2로프
170 : 제3로프 200 : 텐션수단
210 : 고정앵글 220 : 쉬브축
230 : 텐션쉬브 240 : 스프링
10 : 상단도어 20 : 하단도어
22 : 연결브라켓 110 : 구동모터
120 : 구동축 124 : 하부쉬브
130 : 상부쉬브 140 : 균형추
150 : 제1로프 160 : 제2로프
170 : 제3로프 200 : 텐션수단
210 : 고정앵글 220 : 쉬브축
230 : 텐션쉬브 240 : 스프링
Claims (4)
- 건물 각층의 승강장 출입구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2단 이상의 상단도어와 하단도어로 이루어진 다단형 수직개폐식 도어를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시켜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엘리베이터용 수직개폐식 도어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단도어의 상,하부 양측에는 각각 일정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브라켓과;
상기 승강장의 바닥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스프로킷이 일체로 축설된 구동모터와;
상기 승강장의 바닥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연동스프로킷이 일측단에 축설되고, 상기 연동스프로킷의 인접된 위치와 타측단에 각각 하부쉬브가 일체로 축설된 구동축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정부가 상기 프레임의 상단을 넘지 않게 설치되는 상부쉬브와;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상단도어와 하단도어의 무게를 상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균형추와;
상기 하단도어의 하부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브라켓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하부쉬브를 선회한 타단은 균형추 하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제1로프와;
상기 균형추의 상부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상부쉬브를 선회한 타단은 상기 하단도어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브라켓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제2로프와;
상기 승강장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로프의 긴장상태를 지속시키는 텐션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텐션수단은 상기 승강장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앵글과, 상기 고정앵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쉬브축과, 상기 쉬브축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로프의 긴장상태를 유지시키는 텐션쉬브와, 상기 쉬브축의 후단을 탄성에 의해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도어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다수의 로프고정부재가 소정의 위치에 일체로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상단도어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승강쉬브와,
일단은 승강장 천정에 설치되는 고정앵커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향되어 상기 승강쉬브를 선회한 후 상기 로프고정부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제3로프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3077A KR101794202B1 (ko) | 2017-01-09 | 2017-01-09 |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3077A KR101794202B1 (ko) | 2017-01-09 | 2017-01-09 |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4202B1 true KR101794202B1 (ko) | 2017-12-01 |
Family
ID=60922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3077A KR101794202B1 (ko) | 2017-01-09 | 2017-01-09 |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420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8239B1 (ko) * | 2022-10-18 | 2023-07-24 |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 마스트용 도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32891A (ja) * | 2005-05-13 | 2008-08-21 | ジェゼック,ジョルジオ | リフトケーブルの伸びを補償する装置 |
-
2017
- 2017-01-09 KR KR1020170003077A patent/KR1017942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32891A (ja) * | 2005-05-13 | 2008-08-21 | ジェゼック,ジョルジオ | リフトケーブルの伸びを補償する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8239B1 (ko) * | 2022-10-18 | 2023-07-24 |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 마스트용 도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275984B2 (ja) | プラットホームの簡易可動柵 | |
JP5827347B2 (ja) |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 |
EP2349902B1 (en) | Method of installing an elevator | |
KR101766914B1 (ko) |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상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 |
EP2081863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during construction of a building, and use of a hoisting machine | |
JP2007063021A (ja) | 保守プラットフォームを有するエレベータケージ、およびエレベータ設備の保守のための方法 | |
CN109476456B (zh) | 电梯装置和电梯 | |
KR100572349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20150013411A (ko) |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 |
KR20140134887A (ko) |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 |
KR20130064954A (ko) |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 |
KR100930021B1 (ko) |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장치 | |
KR101794202B1 (ko) |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 |
KR200406013Y1 (ko) | 수직이동장치 | |
KR20040071325A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20090099036A (ko) | 캔버스 도어 안전 개폐장치 | |
KR20070046996A (ko) | 수직이동장치 | |
WO2018073896A1 (ja) |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 |
EP3656720B1 (en) | Elevator car apron | |
CN107265255B (zh) | 一种张紧柔性导轨式家用简易电梯 | |
CN108584637B (zh) | 电梯装置 | |
KR101471545B1 (ko) | 이종 로프체결방식의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 |
JP2003201074A (ja) | エレベータの閉じ込め救出方法および装置 | |
CN206751130U (zh) | 卡槽式电梯防护网 | |
JP6251367B1 (ja) |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の非常用駆動装置および非常用駆動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