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310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310B1
KR100934310B1 KR1020077029648A KR20077029648A KR100934310B1 KR 100934310 B1 KR100934310 B1 KR 100934310B1 KR 1020077029648 A KR1020077029648 A KR 1020077029648A KR 20077029648 A KR20077029648 A KR 20077029648A KR 100934310 B1 KR100934310 B1 KR 100934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age
basket
compartments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4054A (ko
Inventor
다케노부 혼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4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66B1/42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separate from the main drive
    • B66B1/425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separate from the main drive adapted for multi-deck cars in a single car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66B11/0213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 B66B11/022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with changeable inter-deck di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제1 엘리베이터 칸의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늘어선 제1 위치와 서로 상하 방향으로 늘어선 제2 위치로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엘리베이터 칸은 제2 엘리베이터 칸과 엇갈림 가능하게 된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실에는 제1 전출입구 및 제1 후출입구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에는 제2 전출입구 및 제2 후출입구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의 배면에는 구출용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이 공통의 승강로 내를 각각 독립하여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더블-덱(double-deck) 엘리베이터에서는 상하로 늘어서 배치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이 서스펜션 빔(suspension beam)으로부터 매달려 있다. 또, 서스펜션 빔에 탑재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의 간격이 변화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0-309482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더블-덱 엘리베이터에서는 통상과 같은 승강로 면적에 대해서 약 2배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 면적을 확보할 수 있지만, 상부의 엘리베이터 칸은 최하층에 정지할 수 없고, 하부의 엘리베이터 칸은 최상층에 정지할 수 없는 등의 제약이 있어, 편리성이 불충분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충분한 엘리베이터 칸 바닥 면적을 확보하면서, 승강로 스페이스를 삭감하고, 게다가 운행상의 편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제1 및 제2 구동 장치, 제1 구동 장치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및 제2 구동 장치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하고, 제1 엘리베이터 칸은 각각 승객을 수용 가능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을 가지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늘어선 제1 위치와 서로 상하 방향으로 늘어선 제2 위치와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고,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수직 투영면에서 제1 엘리베이터 칸은 제2 엘리베이터 칸과 겹치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엘리베이터 칸은 제2 엘리베이터 칸과 엇갈림이 가능하게 되고,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은, 제1 위치에서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실의 후방에 인접하고, 제1 엘리베이터 칸 실의 전면(前面) 및 배면에는 제1 전출입구 및 제1 후출입구가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의 전면 및 배면에는 제2 전출입구 및 제2 후출입구가 각각 마련되어 있고, 제2 엘리베이터 칸의 배면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후출입구 중 어느 한쪽과 대향 가능한 구출용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제1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이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이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1 엘리베이터 칸이 층간에 정지한 경우의 승객 구출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이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1 엘리베이터 칸이 층간에 정지한 경우의 승객 구출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제1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제1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제1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이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구동 장치(2, 3)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구동 장치(2)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 제1 구동 장치 본체와, 제1 구동 장치 본체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구동 쉬브(sheave)를 가지고 있다. 제2 구동 장치(3)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 제2 구동 장치 본체와, 제2 구동 장치 본체에 의해 회전되는 제2 구동 쉬브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구동 장치(2, 3)로서는, 예를 들면, 축 방향 치수가 축 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도 작은 박형(薄型) 권상기(卷上機)가 이용되고 있다. 또, 구동 장치(2, 3)는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구동 장치(2)의 근방에는 제1 디플렉터 풀리(deflector pulley)(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구동 쉬브 및 제1 디플렉터 풀리(4)에는 복수 개의 제1 메인 로프(5)가 감겨져 있다. 제2 구동 장치(3)의 근방에는 제2 디플렉터 풀리(6)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구동 쉬브 및 제2 디플렉터 풀리(6)에는 복수 개의 제2 메인 로프(7)가 감겨져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8) 및 제1 균형추(9)는 제1 메인 로프(5)에 의해 2 : 1 로핑(roping)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고, 제1 구동 장치(2)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제1 엘리베이터 칸(8)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suspending) 풀리(41)가 마련되어 있다. 제1 균형추(9)의 상부에는 제1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42)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메인 로프(5)의 제1 단부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고정된 제1 엘리베이터 칸 측 클리트(cleat) 플레이트(43)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메인 로프(5)의 제2 단부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고정된 균형추 측 클리트 플레이트(44)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메인 로프(5)는 제1 단부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41), 제1 구동 쉬브, 제1 디플렉터 풀리(4) 및 제1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42)에 감겨져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10) 및 제2 균형추(11)는 제2 메인 로프(7)에 의해 2 : 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고, 제2 구동 장치(3)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제2 엘리베이터 칸(10)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45)가 마련되어 있다. 제2 균형추(11)의 상부에는 제2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4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스펜딩 풀리(41, 42, 45, 46)는 도 1만에서 나타내고, 다른 도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제2 메인 로프(7)의 제1 단부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고정된 제2 엘리베이터 칸 측 클리트 플레이트(47)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메인 로프(7)의 제2 단부는 균형추 측 클리트 플레이트(44)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메인 로프(7)는 제1 단부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45), 제2 구동 쉬브, 제2 디플렉터 풀리(6)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46)에 감겨져 있다.
제1 균형추(9)는 제1 엘리베이터 칸(8)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때에 제1 엘리베이터 칸(8)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제1 엘리베이터 칸(8)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균형추(11)는 제2 엘리베이터 칸(10)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때에 제2 엘리베이터 칸(10)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제2 엘리베이터 칸(10)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2)과, 제1 균형추(9)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13)과, 제2 엘리베이터 칸(10)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4)과, 제2 균형추(11)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2 균형추가이드 레일(1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 빌딩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8)을 이용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승강장(16)과, 제2 엘리베이터 칸(10)을 이용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승강장(17)이 마련되어 있다. 각 제1 승강장(16)과 승강로(1)와의 사이에는 제1 승강장 출입구(16a)가 마련되어 있다. 각 제2 승강장(17)과 승강로(1)와의 사이에는 제2 승강장 출입구(17a)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승강장 출입구(16a)는 제1 엘리베이터 칸(8)의 전면에 대향함과 동시에 제2 엘리베이터 칸(10)의 배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승강장 출입구(17a)는 제2 엘리베이터 칸(10)의 전면에 대향함과 동시에 제1 엘리베이터 칸(8)의 배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8)은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8)과,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8)에 지지되고, 각각 승객을 수용 가능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전 엘리베이터 칸 실 및 후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을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늘어선 제1 위치(도 1 ~ 도 5)와 서로 상하 방향으로 늘어선 제2 위치(도 6)와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은 제1 위치에서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실(19)의 후방에 인접한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실(19)은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에 대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은 전후로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은 제2 위치에서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실(19)의 위쪽에 인접한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수직 투영면에서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은 제2 엘리베이터 칸(10)과 겹쳐져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엘리베이터 칸(8)의 수직 투영면적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이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반(半) 정도로 축소된다.
제2 엘리베이터 칸(10)은 제1 엘리베이터 칸(8)과 마찬가지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변위 가능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을 가지고 있다. 즉, 제2 엘리베이터 칸(10)은 제1 엘리베이터 칸(8)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승강로(1) 내에 제1 엘리베이터 칸(8)과는 서로 등을 맞대어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10)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이 함께 제1 위치에 있을 때, 수직 투영면에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10)은 서로 겹쳐져 있다. 이것에 대해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10)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이 함께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10)은 엇갈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10)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의 변위가 완료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실 위치 센서(도시하 지 않음)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8)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실(19)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가이드 로드(rod)(21)가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로드(21)에는 나사부(21a)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실(19)에는 나사부(21a)에 나사 맞춤하여 가이드 로드(21)에 따라서 제1 엘리베이터 칸 실(19)을 상하 이동시키는 한 쌍의 나사식 승강 장치(22)가 탑재되어 있다. 나사식 승강 장치(22)는 가이드 로드(21)를 회전시키는 타입으로도 나사부(21a)에 나사 맞춤하는 너트부(도시하지 않음)를 회전시키는 타입으로도 좋다.
또,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8)에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지지 빔(23)이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의 상부에는 한 쌍의 랙(rack)(24)이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8)에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을 전후 이동시키는 한 쌍의 기어식 이송 장치(25)가 탑재되어 있다. 각 기어식 이송 장치(25)는 랙(24)과 치합하는 피니언(26)과, 피니언(26)을 회전시키는 모터(27)를 가지고 있다.
지지 빔(23)은 제1 엘리베이터 칸(8)이 제2 엘리베이터 칸(10)과 엇갈릴 때에 제2 엘리베이터 칸(10)과 간섭하지 않도록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의 이동범위 전체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이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의 전단부만이 지지 빔(23) 위에 위치하고, 다른 부분은 지지 빔(23)보다도 후방으로 돌출해 있다. 이 때문에,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과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8과의 사이에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의 수평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연결 부재(28)가 연결되어 있다.
각 연결 부재(28)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각 연결 부재(28)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연결 부재(28)는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8)에 회동 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또, 각 연결 부재(28)에는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18)과의 연결부로부터의 빠짐을 봉쇄하는 스토퍼(28a)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실(19)의 전면에는 제1 전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실(19)의 배면에는 제1 후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엘리베이터 칸 실(19)에는 제1 전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실 프런트 도어(31)와, 제1 후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실 백(back) 도어(32)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의 전면에는 제2 전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의 배면에는 제2 후출입구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에는 제2 전출입구를 개폐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실 프런트 도어(33)와, 제2 후출입구를 개폐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실 백 도어(34)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10)의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엘리베이터 칸(8)의 제1 및 제2 후출입구는 제2 엘리베이 터 칸(10)의 제1 및 제2 후출입구와 대향 가능하다. 즉, 제1 엘리베이터 칸(8)이 고장에 의해 정지한 경우, 제2 엘리베이터 칸(10)의 제1 및 제2 후출입구는 구출용 출입구로서 기능한다. 또, 제2 엘리베이터 칸(10)이 고장에 의해 정지한 경우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8)의 제1 및 제2 후출입구가 구출용 출입구로서 기능한다.
제1 엘리베이터 칸(8)의 상부 및 하부와 제2 엘리베이터 칸(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10)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거리 센서(35)가 마련되어 있다. 거리 센서(35)로서는, 예를 들면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이용한 센서가 사용된다.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의 천장부에는 천장 구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또,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의 상부에는 천장 구출구를 개폐하는 상부 뚜껑(36)이 마련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의 바닥부에는 바닥 구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또,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의 하부에는 바닥 구출구를 개폐하는 하부 뚜껑(37)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10)은 구동 장치(2, 3)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각각 독립하여 승강한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은, 통상은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전후로 늘어서 있다. 이것에 대해, 제1 엘리베이터 칸(8)과 제2 엘리베이터 칸(10)이 엇갈릴 때 ,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은 제2 위치에 이동되어 상하에 인접한다.
예를 들면, 고층빌딩에 있어서 셔틀(shettle) 운전을 실시하는 경우이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의 변위를 비교적 완만하게 실시할 수 있어, 승 차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을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우선 나사식 승강 장치(22)에 의해 제1 엘리베이터 칸 실(19)을 아래로 이동시킨다. 그 후, 기어식 이송 장치(25)에 의해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을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우선 기어식 이송 장치(25)에 의해 제2 엘리베이터 칸 실(20)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나사식 승강 장치(22)에 의해 제1 엘리베이터 칸 실(19)을 위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의 동작중은 모든 도어(31 ~ 34)가 폐쇄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반대로, 모든 도어(31 ~ 34)의 폐쇄가 도어 센서 등에 의해 확인될 때까지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의 이동은 억제된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실 백 도어(32)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 프런트 도어(33)는 승강장 층으로의 정지시 이외는 원칙적으로 폐쇄하도록 하여도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이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개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거리 센서(35)에 의해 검출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10)의 거리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이 제2 위치로 이동하지 않은 경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10)은 긴급정지(또는 가능하면 근처층 정지)된다.
또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10)이 다른 층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이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10)의 거리에 의하지 않고 제1 및 제2 엘리베이 터 칸 실(19, 20)을 제1 위치로 이동시켜도 좋지만,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10)의 거리가 소정의 범위 내일 때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킬 때까지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10)의 주행이 억제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을 제1 위치로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수직 투영면에서 제1 엘리베이터 칸(8)이 제2 엘리베이터 칸(10)에 겹치도록 배치할 수 있고, 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을 제2 위치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제2 엘리베이터 칸(10)과의 엇갈림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엘리베이터 칸 바닥 면적을 확보하면서, 승강로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을 제1 위치에 위치시키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을 최상층 및 최하층의 양쪽에 정지시킬 수 있어, 운행상의 편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엘리베이터 칸 실 백 도어(32)와 제2 엘리베이터 칸 실 프런트 도어(33)를 각각 독립하여 개폐 제어 가능하게 하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을 제2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더블-덱 엘리베이터로서 운전할 수도 있다. 즉,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이 제1 및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승객의 승강이 가능하여, 운행 방법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을 제2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착상(着床)하는 경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의 간격을 층간 치수에 따라 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어떠한 고장에 의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이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로 제1 엘리베이터 칸(8)이 층간에 정지한 경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엘리베이터 칸(10)을 이동시켜 제1 엘리베이터 칸 실 백 도어(32)끼리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 백 도어(34)끼리를 대향시켜, 백 도어(32, 34)를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엘리베이터 칸(8) 내의 승객을 제2 엘리베이터 칸(10)으로 이동시켜, 제2 엘리베이터 칸(10)에 의해 구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엘리베이터 칸(10)이 층간에 정지한 경우도 제1 엘리베이터 칸(8)에 의해 제2 엘리베이터 칸(10) 내의 승객을 구출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10)이 정상적으로 동일한 승강장 층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 백 도어(32, 34)를 개방하여, 엘리베이터 칸(8, 10) 사이를 승강장(16, 17) 사이를 승객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후출입구 사이에서 승객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후출입구 사이의 거리를 가능한 한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어떠한 고장에 의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이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로 제1 엘리베이터 칸(8)이 층간에 정지한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이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로 제2 엘리베이터 칸(10)을 제1 엘리베이터 칸(8)에 근접시켜, 제1 엘리베이터 칸(8)의 하부 뚜껑(37)을 여는 것과 동시에, 제2 엘리베이터 칸(10)의 상부 뚜껑(36)을 연다. 이것에 의해, 제1 엘리베이터 칸(8) 내의 승객을 제2 엘리베이터 칸(10)으로 이동시켜, 제2 엘리베이터 칸(10)에 의해 구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엘리베이터 칸(10)이 층간에 정지한 경우도 제1 엘리베이터 칸(8)에 의해 제2 엘리베이터 칸(10) 내의 승객을 구출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는 구동 장치(2, 3), 메인 로프(5, 7), 디플렉터 풀리(4, 6) 및 균형추(9,11)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지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8, 10)에 정상적인 엘리베이터 칸(8, 10)을 가깝게 하는 경우, 거리 센서(35)로부터의 정보를 감시하면서 극히 저속으로 최접근시키도록 한 자동 동작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이 각각 독립하여 변위하도록 하였으나,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은 서로 연동하여 변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의 변위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8, 10)이 주행을 개시하기 전에 완료하도록 제어하여도, 주행중에 실시하도록 제어하여도 좋다.
또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의 변위는 승강장 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19, 20) 내에서의 부름(call) 등록에 따라 실시하여도 좋다.
더욱이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2 : 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지만, 로핑 방식은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1 : 1 로핑 방식으로 하여도 좋다.
또, 제2 엘리베이터 칸은 1개의 엘리베이터 칸 실만을 가지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을 변위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는 나사식 승강 장치나 기어식 이송 장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로프식, 팬터그래프(pantograph)식, 유압식 등 여러 가지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이 공통의 승강로 내를 각각 독립하여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6)

  1. 제1 및 제2 구동 장치,
    상기 제1 구동 장치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제2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은 각각 승객을 수용 가능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늘어선 제1 위치와 서로 상하 방향으로 늘어선 제2 위치로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수직 투영면에서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은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과 겹치며,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은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과 엇갈림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은,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실의 후방에 인접하며,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실의 전면(前面) 및 배면(背面)에는 제1 전출입구 및 제1 후출입구가 각각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의 전면 및 배면에는 제2 전출입구 및 제2 후출입구가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의 배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후출입구 중 어느 한쪽과 대향 가능한 구출용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실은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에 대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은 전후로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은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실의 위쪽에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은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로 변위 가능한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실을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의 천장부에는 천장 구출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의 바닥부에는 바닥 구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의 바닥부에는 바닥 구출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의 천장부에는 천장 구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77029648A 2006-04-28 2006-04-28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34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08990 WO2007125595A1 (ja) 2006-04-28 2006-04-28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054A KR20080014054A (ko) 2008-02-13
KR100934310B1 true KR100934310B1 (ko) 2009-12-29

Family

ID=3865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648A KR100934310B1 (ko) 2006-04-28 2006-04-28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14599A1 (ko)
JP (1) JPWO2007125595A1 (ko)
KR (1) KR100934310B1 (ko)
CN (1) CN101203450B (ko)
WO (1) WO20071255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8748A1 (en) * 2010-10-14 2012-04-19 Kone Corporation Extending roller guides
CN102050368B (zh) * 2010-11-30 2013-09-11 江苏佛斯特电梯有限公司 在同一井道中安装的两台以上电梯的电梯侧面救出口装置
PL3080029T3 (pl) * 2013-12-09 2018-07-31 Inventio Ag Instalacja dźwigowa
CN106395568B (zh) * 2015-07-31 2020-05-05 奥的斯电梯公司 电梯恢复轿厢
CN105253743B (zh) * 2015-10-29 2018-11-23 浙江西子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可并联运行的电梯
EP4038004B1 (de) * 2019-09-30 2023-08-02 Inventio Ag Fahrkorb für einen doppelstockaufzug
JP7055834B2 (ja) * 2020-05-25 2022-04-1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7691A (ja) * 1989-11-02 1991-06-24 Hitachi Ltd 複数乗りかご方式昇降設備
JPH06340387A (ja) * 1993-06-01 1994-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3147691B2 (ja) * 1994-12-28 2001-03-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ブレーキ制御装置
JP4270642B2 (ja) 1999-04-23 2009-06-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054A (ko) 2008-02-13
EP2014599A1 (en) 2009-01-14
CN101203450B (zh) 2010-05-19
WO2007125595A1 (ja) 2007-11-08
CN101203450A (zh) 2008-06-18
JPWO2007125595A1 (ja)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31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5384039B (zh) 用于关闭电梯的门的方法和配置
CN110914183B (zh) 电梯系统
KR20020042489A (ko) 엘리베이터
WO2000003941A1 (fr) Organe de commande pour ascenseurs
US75816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dvance opening of doors in an elevator
KR10093258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80097150A (ko)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CN109455586B (zh) 多厢电梯
JP2003146555A (ja) エレベータ
JP2004010174A (ja) 相互間隔可変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JP2010047401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4190910B2 (ja) エレベータ及びその故障時運転方法
KR10092360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5105652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7505625B1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7449501B1 (ja) エレベータ
JP5829869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JP200414285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5077804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6018314A (zh) 电梯系统
KR10075001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710191B1 (en) Elevator system
KR1007528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2240760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