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766B1 -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 - Google Patents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766B1
KR102649766B1 KR1020230140470A KR20230140470A KR102649766B1 KR 102649766 B1 KR102649766 B1 KR 102649766B1 KR 1020230140470 A KR1020230140470 A KR 1020230140470A KR 20230140470 A KR20230140470 A KR 20230140470A KR 102649766 B1 KR102649766 B1 KR 102649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elevator car
connecting belt
fixed fram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주
Original Assignee
동양에레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에레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에레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4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56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2Belts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카의 하부에 장착된 롤러 등의 구동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카와; 승강카의 상부에서 고정 배치되는 모터와; 승강카의 하부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와;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동부재와; 승강로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평형추와; 일단이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 결합된 후 상기 승강카의 하부로 연장되고, 승강카의 하부에서 상기 롤러에 의해 상방향으로 방향전환되어 연장되며, 상기 모터에 연결된 풀리를 거쳐 상기 평형추에 결합되는 연결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벨트는 상기 승강카의 하부에서 상기 롤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 사이를 통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동부재는 상기 롤러 및 연결벨트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동부재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 및 연결벨트는 상기 지지프레임 및 제동부재에 의해 하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충청북도 및 (재)충북과학기술혁신원의 지원을 통해 수행하고 있는 [2023년도 스마트 승강기 첨단기술 개발 지원사업]과제의 연구결과입니다.

Description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 { CAR LOWER DRIVING ELEVATOR }
본 발명은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강카의 하부에 장착된 롤러 등의 구동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아파트 또는 사무실용 고층건물 등을 건축할 시에는 건물에 필연적으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승강작동할 수 있는 통로로서 승강로가 시공되는데, 이러한 엘리베이터 승강로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건물의 각 층에는 상기 승강로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승강로에는 통상적으로 승강카와, 평형추 및 상기 승강카와 평형추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카를 움직이는 권상기에 권취되는 로프와, 승강카나 평형추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한편, 승강카와 제어반을 연결하는 제어케이블, 승강카의 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류 등이 설치되고, 또한 승강로의 각층 개구부에는 도어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승강로 하부에는 승강카가 최하층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카 하부면과 상기 승강로 바닥면 사이에는 피트가 제공되는 바, 그 피트형상은 승강로의 유효면적이 그대로 규정되어 있는 깊이까지 내려가 있도록 설계되며, 이와 같은 피트내에는 상기 피트가 극단적으로 깊은 경우에 엘리베이터 보수·점검을 위한 사다리 또는 도어 스위치가 달린 점검구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승강로 구조는 그 승강로 상부 또는 하부 일정위치에 승강카를 구동하기 위한 권상기(모터 등)가 설치된다.
승강카는 승강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승강로의 상부에는 모터에 연결된 풀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구동형의 경우, 승강카의 하부에 롤러가 장착되어 있다.
와이어로프는 일단이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평형추에 결합되어 있으며, 일단과 타단 사이의 구간은 상기 승강카의 상부에 장착되는 롤러를 거쳐 배치된다.
즉, 상기 와이어로프는 승강카의 일측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승강카의 하부로 방향전환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승강카의 하부에 장착된 롤러와 접하고, 상방향으로 방향전환되어 상기 승강카의 타측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위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에는, 상기 승강카의 하부에 롤러 및 와이어로프가 배치되고, 더불어 비상시 승강카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장치가 상기 승강카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때,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5358호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롤러 및 와이어로프는 상기 승강카의 하부에서 상기 제동장치(비상정지장치 등)의 측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승강카의 하부에 장착된 상기 롤러 및 와이어로프는 하방향으로 그대로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승강카의 하부를 점검하기 위해 작업자가 승강카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승강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승강카의 하부에 장착된 상기 롤러 및 와이어로프는 하방향으로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복, 장갑 등이 상기 롤러 또는 와이어로프의 구동에 의해 상기 롤러 및 와이어로프로 빨려 들어가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535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카의 하부 점검 작업시 작업자가 롤러 및 로프 등의 구동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는, 승강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카와; 상기 승강카의 상부에서 고정 배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풀리와; 상기 승강카의 하부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동부재와; 상기 승강로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평형추와; 일단이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 결합된 후, 상기 승강카의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승강카의 하부에서 상기 롤러에 의해 상방향으로 방향전환되어 연장되며, 상기 풀리를 거쳐 상기 평형추에 결합되는 연결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벨트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두께보다 폭이 넓은 형상의 벨트본체와; 상기 벨트본체의 내부에 상기 벨트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길게 내장되는 다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풀리의 직경은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40~60배 크고, 상기 연결벨트가 상기 풀리와 접촉하는 각도는 140~170도이며, 상기 롤러의 직경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하길이보다 작고, 상기 연결벨트는 상기 승강카의 하부에서 상기 롤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 사이를 통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동부재는 상기 롤러 및 연결벨트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동부재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 및 연결벨트는 상기 지지프레임 및 제동부재에 의해 하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한 쌍이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롤러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프레임과 같은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면서 한 쌍의 상기 고정프레임에 모두 결합되어 상기 롤러의 하부를 덮고, 상기 연결벨트가 하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프레임 및 제동부재는 상기 승강카의 하부에서 상기 연결벨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벨트가 하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 쌍의 상기 고정프레임은 일면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타면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면에는 측방향으로 개방된 개방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와 외부를 수평방향으로 개방 연통시키며,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이격방향으로 회전축이 수평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은 외부로 개방된 상기 개방공을 통해 수평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롤러가 장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승강카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롤러 및 연결벨트가 상기 지지프레임 및 제동부재에 의해 하방향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승강카의 하부에서 점검 작업 등을 할 경우 구동되는 상기 롤러 및 연결벨트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의 정단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의 측단면구조도.
본 발명의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0)와, 모터(20)와, 풀리(30)와, 고정프레임(40)과, 롤러(50)와, 지지프레임(60)과, 제동부재(70)와, 평형추(80)와, 연결벨트(9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카(10)는 건물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모터(20)는 상기 승강카(10)의 상부에서 고정 배치된다.
상기 풀리(30)는 상기 모터(20)에 결합되어 회전한다.
상기 고정프레임(40)은 상기 승강카(10)의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롤러(50)는 상기 고정프레임(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지지프레임(60)은 상기 고정프레임(40)의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제동부재(70)는 비상시 상기 승강카(10)가 정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프레임(6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평형추(80)는 상기 승강로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연결벨트(90)는 일단이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 결합된 후, 상기 승강카(10)의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승강카(10)의 하부에서 상기 롤러(50)에 의해 상방향으로 방향전환되어 연장되며, 상기 풀리(30)를 거쳐 상기 평형추(8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연결벨트(90)의 일단은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평형추(80)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벨트(9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부위는 상기 승강카(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롤러(50)를 거치게 된다.
상기 모터(20)에 의한 상기 풀리(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카(10)와 상기 평형추(8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벨트(90)는, 벨트본체와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본체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두께보다 폭이 넓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와이어는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본체의 내부에 상기 벨트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길게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벨트(90) 중 벨트본체가 상기 롤러(50)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풀리(30)의 직경은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40~60배 크도록 한다.
관련규정(행정안전부 고시 제2019-32호 「승강기안전부품 안전기준 및 승강기 안전기준」 전부개정 별표22 "엘리베이터 안전기준" 등)에 의하면 풀리(30)의 직경은 와이어로프의 직경보다 40배 이상 크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승강카(10)와 평형추(80)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종래의 단순한 와이어로프가 아닌 상기 연결벨트(90)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벨트(90)에 내장된 와이어의 직경은 종래의 와이어로프의 직경보다 매우 작다.
위와 같이 상기 연결벨트(90)에 내장된 와이어의 직경이 기존 와이어로프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와이어 직경의 40배 이상이 되어야 하는 풀리(30)의 직경을 기존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와이어로프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12mm, 14mm, 16mm 등을 사용하였고, 이때 풀리 직경은 와이어로프 직경의 40배인 480mm, 560mm, 640mm를 사용하여야 하였는바, 풀리의 직경이 커서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연결벨트(90)를 이용하고, 연결벨트(90)에 내장된 와이어는 1개의 직경이 약 3~4mm이기 때문에, 풀리(30)의 직경은 와이어 직경의 40배인 120mm~160mm를 사용하면 충분한 바, 종래의 풀리보다 더 작은 직경의 풀리(30)를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풀리(30)의 직경을 기존보다 작게 할 수 있어,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벨트(90)가 상기 풀리(30)와 접촉하는 각도는 140~170도가 되도록 한다.
이 또한 관련규정에서 위와 같은 접촉각도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승강카(10)의 하부에 장착되는 상기 고정프레임(40)은 한 쌍이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롤러(50)는 상기 고정프레임(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러(50)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상기 고정프레임(4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롤러(50)의 직경은 상기 고정프레임(40)의 상하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프레임(40)의 하부에 장착되는 상기 지지프레임(60)은 상기 롤러(50)와 접하지 않고 이격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상기 고정프레임(40)은 일면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타면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고정프레임(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프레임(40)의 타면에는 측방향으로 개방된 개방공(4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40)의 내부와 외부를 수평방향으로 개방 연통시킨다.
즉, 상기 고정프레임(40)의 내부는 상기 개방공(41)을 통해 측방향으로 외부와 연통되게 된다.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상기 고정프레임(40)에는 상기 고정프레임(40)의 이격방향으로 회전축(55)이 수평 장착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55)은 외부로 개방된 상기 개방공(41)을 통해 상기 고정프레임(40)에 수평 장착된다.
상기 회전축(55)은 양단이 상기 고정프레임(40)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위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40)에 개방공(41)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회전축(55)을 상기 고정프레임(40)에 보다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카(10)의 하부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 상기 개방공(4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회전축(55)을 통해 상기 롤러(50)가 회전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5)에는 한 쌍의 상기 고정프레임(40) 사이에서 상기 롤러(50)가 장착된다.
상기 연결벨트(90)는 상기 승강카(10)의 하부에서 상기 롤러(50)와 상기 지지프레임(60)의 상부 사이를 통과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동부재(70)는 상기 롤러(50) 및 연결벨트(90)보다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60)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동부재(70)가 상기 지지프레임(60)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50) 및 연결벨트(90)는 상기 지지프레임(60) 및 제동부재(70)에 의해 하방향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60)은 상기 고정프레임(40)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프레임(40)과 같은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면서 한 쌍의 상기 고정프레임(40)에 모두 결합되어 상기 롤러(50)의 하부를 덮고, 상기 연결벨트(90)가 하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60) 및 제동부재(70)는 상기 승강카(10)의 하부에서 상기 연결벨트(9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벨트(90)가 하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롤러(50) 및 연결벨트(90)가 상기 제동부재(70)의 측방향이 아닌 상기 제동부재(7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프레임(60) 및 제동부재(70)에 의해 상기 롤러(50) 및 연결벨트(90)가 하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상기 승강카(10) 하부의 점검시 상기 롤러(50) 및 연결벨트(90)가 구동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승강카(10)의 하부를 점검하고자 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승강카(1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승강카(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점검 작업 등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50) 및 연결벨트(90)가 하방향으로 그대로 노출되게 되면, 작업자가 상기 승강카(10)의 하부에서 작업을 할 때 작업복, 장갑 등이 빨려 들어갈 수도 있어 매우 위험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승강카(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롤러(50) 및 연결벨트(90)가 상기 지지프레임(60) 및 제동부재(70)에 의해 하방향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승강카(10)의 하부에서 점검 작업 등을 할 경우 구동되는 상기 롤러(50) 및 연결벨트(90)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승강카, 20 : 모터, 30 : 풀리, 40 : 고정프레임, 41 : 개방공, 50 : 롤러, 55 : 회전축, 60 : 지지프레임, 70 : 제동부재, 80 : 평형추, 90 : 연결벨트.

Claims (4)

  1. 승강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카와; 상기 승강카의 상부에서 고정 배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풀리와; 상기 승강카의 하부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동부재와; 상기 승강로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평형추와; 일단이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 결합된 후, 상기 승강카의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승강카의 하부에서 상기 롤러에 의해 상방향으로 방향전환되어 연장되며, 상기 풀리를 거쳐 상기 평형추에 결합되는 연결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벨트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두께보다 폭이 넓은 형상의 벨트본체와; 상기 벨트본체의 내부에 상기 벨트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길게 내장되는 다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풀리의 직경은 상기 연결벨트를 구성하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40~60배 크고, 상기 연결벨트가 상기 풀리와 접촉하는 각도는 140~170도이며,
    상기 롤러의 직경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하길이보다 작고,
    상기 연결벨트는 상기 승강카의 하부에서 상기 롤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 사이를 통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동부재는 상기 롤러 및 연결벨트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및 제동부재는 상기 승강카의 하부에서 상기 연결벨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상기 제동부재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 및 연결벨트는 상기 지지프레임 및 제동부재에 의해 하방향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한 쌍이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롤러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프레임과 같은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면서 한 쌍의 상기 고정프레임에 모두 결합되어 상기 롤러의 하부를 덮고, 상기 연결벨트가 하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한 쌍의 상기 고정프레임은 일면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타면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면에는 측방향으로 개방된 개방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와 외부를 수평방향으로 개방 연통시키며,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이격방향으로 회전축이 수평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은 외부로 개방된 상기 개방공을 통해 수평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은 양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롤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140470A 2023-10-19 2023-10-19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 KR102649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0470A KR102649766B1 (ko) 2023-10-19 2023-10-19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0470A KR102649766B1 (ko) 2023-10-19 2023-10-19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766B1 true KR102649766B1 (ko) 2024-03-21

Family

ID=90472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0470A KR102649766B1 (ko) 2023-10-19 2023-10-19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7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2091A (ja) * 2004-08-09 2006-02-23 Inventio Ag エレベータ
KR20170075358A (ko) 2015-12-23 2017-07-03 (주)모든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용 하부체대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2091A (ja) * 2004-08-09 2006-02-23 Inventio Ag エレベータ
KR20170075358A (ko) 2015-12-23 2017-07-03 (주)모든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용 하부체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49691B (zh) 具有安全配置的升降机和用于在升降机井道的上部部分中建立安全工作空间的方法
KR101975775B1 (ko)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KR102480892B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KR20040052478A (ko) 기계실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JPWO2002102701A1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ー
JP2011230920A (ja) エレベータの点検作業用安全装置
JP3991657B2 (ja) エレベータ
KR102649766B1 (ko) 연결벨트식 승강카 하부 구동형 승강기
CN104030116A (zh) 一种电梯
JP3603606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555987B1 (ko) 업다운 도어의 급락 방지장치
KR101715330B1 (ko) 엘리베이터의 피트 전용 수동 운전리모컨
CN114599598B (zh) 电梯装置以及电梯装置的门位置检测装置
JP2015155338A (ja) エレベータかご上作業時の安全装置
EP1266859B1 (en) Elevator device
KR101791857B1 (ko) 엘리베이터용 하부체대구조
KR102484427B1 (ko)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
KR102443566B1 (ko) 수직개폐형 도어패널의 추락을 방지하고 도어 개폐시간을 단축시킨 대형 및 초대형 엘리베이터
CN203212170U (zh) 电梯
CN212769271U (zh) 一种矿用电梯钢丝绳检测装置
KR20150001635U (ko)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JP4914030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ー
JP2018039629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その駆動方法
CN117533907A (zh) 一种电梯井道数据人工智能检验检测装置
KR101548487B1 (ko) 승강기의 추락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