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558B1 -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558B1
KR100302558B1 KR1019990006611A KR19990006611A KR100302558B1 KR 100302558 B1 KR100302558 B1 KR 100302558B1 KR 1019990006611 A KR1019990006611 A KR 1019990006611A KR 19990006611 A KR19990006611 A KR 19990006611A KR 100302558 B1 KR100302558 B1 KR 100302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top
elevator
elevating
link mechanism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581A (ko
Inventor
사사끼히로따다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00022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5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시 등의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한다.
승강로 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함과, 승강함을 승강 동작시키는 구동 장치와, 승강함이 이상 속도 이상으로 강하하였을 때에 승강함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서, 비상 정지 장치는 승강함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가이드 레일과 계합하여 승강함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기구와, 승강함의 하단부에 비상 정지 기구와 근접하여 설치되어, 외부 입력을 받아서 비상 정지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링크 기구와, 승강함이 이상 속도로 하강한 것을 검출하고, 이에 의거하여 링크 기구에 외부 입력을 주는 속도 검출 장치를 갖는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ELEVATOR}
본 발명은 비상 정지 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빌딩 내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로와, 이 승강로의 바로 위에 설치되어 원동기 등을 수납하는 기계실을 갖는다. 또 이 엘리베이터 장치는 기계 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시브와,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시브에 감긴 로프의 한쪽의 하단에 접속된 승강함(moving cage)과, 상기 로프의 다른 쪽의 하단에 접속되어 상기 승강함과 평형을 이루는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기계 실내에서 상기 시브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승강함을 승강시키게 되어 있다. 상기 승강함 및 카운터 웨이트는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빌딩의 고층화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승강 속도도 고속화되고 있고, 이에 따라 충분한 안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어떤 원인으로 승강함이 정격 속도 이상으로 급강하한 경우에 이 승강함을 안전하고 또한 확실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비상 정지 장치는 조속기와, 조속기를 통하여 상기 승강함이 정격 속도 이상으로 강하한 경우에 이동을 규제하는 로프와, 상기 승강함에 설치되어 승강함에 브레이크를 걸어서 정지시키는 정지 기구와, 상기 로프와 상기 정지 기구를 연결하여 상기 로프의 이동이 규제되었을 때에 이 로프와 승강함의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정지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링크 기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상 정지 기구는 승강함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승강함의 하방을 향해서 서서히 개구폭이 증가하는 V자 형상의 슬릿을 갖춘 협지(挾持) 부재와, 슬릿 내에서 접동(摺動)이 ㅈ가능하게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비상 정지 장치는 스토퍼 부재가 상방으로 변위하여 협지 부재의 슬릿 내에 가이드 레일을 쐐기 작용으로 삽입함으로써 승강함에 브레이크를 걸게 되어 있다.
또 링크 기구는 승강함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속기로부터 뻗어나온 로프에 고정된 구동 레버와, 이 구동 레버와 상기 정지 기구의 슬릿 부재를 연결하는 리프트 로드를 갖는다. 이 리프트 로드는 승강함의 높이 방향에 걸쳐서 길다랗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함의 하단에 설치된 정지 기구의 슬릿 부재를 끌어올려 상기 정지 기구를 작동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링크 기구에는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링크 기구의 동작을 검출하여, 권상기의 정지 지령 신호를 발신하게 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는 동작 레버의 변위를 검출하여, 일단 상기 정지 지령 신호를 제어 장치를 향해 발신하면, 직접 작업원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되어 해제될 때까지 상기 정지 지령 신호를 계속 발신하게 되어 있다.
비상 정지 상태를 해제하여 엘리베이터 장치를 재운전할 때에는, 승강함을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등 해서 스토퍼 부재에 의한 가이드 레일의 슬릿 내에의 삽입을 해방하여 비상 정지 장치에 의한 승강함의 승강의 규제를 해제한다. 작업원이 승강함 위에 타고 직접 리미트 스위치를 초기 상태로 복귀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재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링크 기구를 승강함의 상단부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한 쌍이 비상 정지 장치의 스토퍼 부재와 상술한 레버를 서로 연결하는 리프트 로드 등의 길다란 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링크 기구를 공장 내에서 조립한 상태로 출하하기가 곤란해져서, 건조물에의 시공시에 조립할 필요가 있다.
또 건축물에의 시공시에 링크 기구의 조립을 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승강로가 비교적 좁기 때문에, 비교적 큰 노력이나 시간이 필요해지는 동시에, 리프트 로드가 비교적 길다란 부재이므로, 링크 기구를 정상적인 동작을 시키기 위해 조립 시에 링크 기구마다 미소한 조정을 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시공에 걸리는 코스트가 앙등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링크 기구를 승강함의 하단부에 설치하여 리프트 로드를 단축하고, 공장 출하시에 조립이 끝난 링크 기구를 출하할 수 있게 하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도 승강함의 하단부에 설치할 필요가 생긴다.
리미트 스위치를 승강함의 하단부에 설치하면, 일단 비상 정지 장치를 작동시켜서 승강함의 승강을 규제한 뒤에 엘리베이터 장치를 재운전할 때에, 작업원이 리미트 스위치를 직접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기가 곤란해진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장치의 재운전을 하기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시공시 등의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2 목적은 일차 비상 정지 장치가 작동하여 승강함의 승강을 규제한 뒤에, 용이하게 재운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b는 승강함의 하단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제 1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제 1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제 1 실시예의 리미트 스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제 1 실시예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5에 나타낸 비상 정지 장치의 작동 상황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제2 실시예의 변형례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은 승강로(1) 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5, 6)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함(2)과, 이 승강함(2)을 승강 동작시키는 구동 장치(9)와, 승강함(2)이 이상 속도 이상으로 강하하였을 때에 이 승강함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장치(20)를 갖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정지 장치(20)는
상기 승강함(2)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5, 6)과 계합하여 이 승강함(2)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기구(14)와,
상기 승강함(2)의 하단부에 상기 비상 정지 기구(14)와 근접하여 설치되어, 외부 입력을 받아서 상기 비상 정지 기구(14)를 작동시키기 위한 링크 기구(28)와,
상기 승강함(2)이 이상 속도로 하강한 것을 검출하고, 이것에 의거하여 상기 링크 기구에 외부 입력을 주는 속도 검출 장치(23)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개시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속도 검출 장치(23)는 상기 승강함(2)에 설치된 링크 기구(28)에 연결되어 통상 이 승강함(2)과 동일 속도로 이동하는 로프(24)와, 상기 승강함(2)이 이상 속도로 하강하였을 때에 이 로프(24)를 구속하는 로프 구속 기구(23)를 갖는다.
제 1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 장치(9)는 승강로(1) 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5, 6, 7, 8)에 고정되어 되고, 상기 속도 검출 장치(23)는 승강로(1) 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5, 6, 7, 8)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상 정지 장치(20)는
상기 링크 기구(28)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이 링크 기구(28)가 상기 승강함(2)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해 작동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기(29)와,
이 검출기(29)에 의한 검출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 장치(9)의 동작을 금지하는 구동 장치 동작 금지 수단(54, 55)과,
상기 구동 장치 동작 금지 수단에 의한 구동 장치의 동작 금지를 해제하기 위한 동작 금지 해제 수단(18)
을 더 갖는다.
이 경우, 상기 동작 금지 해제 수단(18)은 상기 승강함(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엘리베이터 홀로부터 접근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상 정지 장치(20)는
일단과 타단을 갖고, 일단을 상기 링크 기구(28)에, 타단을 로프(24)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60)를 더 가지며,
이 연결 부재(60)는
상기 로프(24)를 따라서 일단이 하방에, 타단이 상방에 뻗어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상 정지 기구(14)는 승강함(2)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링크 기구(28)는 한쪽의 비상 정지 기구(14)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레버(41)와,
상기 구동 레버(41)와 연결 로드(43)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다른 쪽의 비상 정지 기구(14)를 동작시키기 위한 종동 레버(42)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링크 기구(28)는 상기 연결 로드(28)의 이동을 그 축 방향으로만 규제하기 위한 안내 부재(45)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링크 기구(28)는 상기 연결 로드(43)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레버(41)와 종동 레버(42)를 비상 정지 기구(14)의 비상 정지 해제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46)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a에 의거하여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전체의 구성을 설명한다.
빌딩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로(1) 내에는 승강함(2)과 카운터 웨이트(3)가 도면에 4로 나타내는 로프에 의해 현가되어 평형을 이루고 있다. 승강로(1)의 좌우 양 사이드에는 승강함(2)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5, 6)이 설치되고, 좌측의 가이드 레일(6)의 후방에는 카운터 웨이트(3)를 승강 안내하는 카운터 웨이트용 가이드 레일(7, 8)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내부의 상부 왼쪽 사이드에는 승강로(1)의 내벽과 승강함(2)의 측벽 사이의 좁은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구동 장치(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 장치(9)는 가이드 레일(6, 7)에 고정되어 있어서, 로프(4)를 감아올려서 승강함(2)과 카운터 웨이트(3)를 상대적으로 승강시키게 되어 있다. 구동 장치(9)는 가이드 레일(7, 8)의 어느 하나에 고정할 수도 있다.
즉 구동 장치(9)에 의해 감아올려지는 로프(4)의 일단부는 가이드 레일(5)의 상단부에 설치된 로프히치(1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카운터 웨이트용 가이드 레일(8)의 상단부에 설치된 로프히치(11)에 고정되어 있다. 로프(4)의 중도부는승강함(2)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시브(12)에 건너질려 있고, 구동 장치(9)를 경유하여 카운터 웨이트(3)의 상부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 시부(13)에 건너질려 있다.
또 승강함(2)의 하부에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상 정지 기구(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비상 정지 기구(14)는 어떤 원인으로 승강함이 정격 속도 이상으로 급강하한 경우에, 상기 승강함을 안전하고 또한 확실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를 승강함(2)과 가이드 레일(6) 사이에 쐐기와 같이 밀어넣어서 승강함(2)에 브레이크를 걸어 강제 정지시키게 되어 있다.
다음에 도2을 참조해서 상기 비상 정지 기구(14)를 포함한 비상 정지 장치(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비상 정지 장치(20)는 상기 승강함(2) 용의 가이드 레일(5, 6)에 브라킷 등을 개재해서 승강로(1) 내에 지지된 조속기(23)와, 이 조속기(23)의 시브(22)에 건저지른 무단부 형상의 로프(24)와, 이 로프(24)의 하단에 설치되어 로프(24)에 소정의 장력을 주는 텐셔너(25)와, 상기 승강함(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24)와 상기 비상 정지 기구(14)를 연결하는 링크 기구(28)와, 이 링크 기구(28)의 동작에 의해 정지 상태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2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승강함(2)이 승강할 때, 로프(24)는 상기 링크 기구(28)에 의해 승강함(2)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 승강함(2)과 동일 속도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조속기(23)의 시브(22)가 회전한다. 그런데 어떤 원인에 의해, 승강함(2)이 이상속도로 하강한 경우에는 상기 조속기(23)가 동작함으로써 로프(24)의 이동이 구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링크 기구(28)의 일단부가 상대적으로 끌어올려지고, 이에 따라 상기 비상 정지 기구(14)가 작동하게 되어 있다.
도5 및 도6은 이 비상 정지 기구(14)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 비상 정지 기구(14)는 상기 승강함(2)의 하단에 설치된 지지 베이스(31)에 부착되어 하방으로 개방하는 V자 형상의 슬릿(33a)을 갖는 협지 부재(33)를 갖는다. 이 협지 부재의 V자 슬릿(33a)에는 가이드 레일(5, 6)이 삽통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34로 나타내는 스토퍼 부재가 이 V자 슬릿(33a)과 가이드 레일(5, 6)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쐐기작용에 의해 가이드 레일(5)에 대하여 승강함(2)에 브레이크를 걸게 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부재(34)는 도5에 나타내는 지지 부재(35)에 의해 지지되고, 이 지지 부재(35)가 상기 링크 기구(28)에 의해 상방향으로 끌어올려짐으로써 브레이크 작용을 일으키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링크 기구(28)는 도2 및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프(24)에 고정된 한쪽의 비상 정지 기구(14)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작 레버(41)와, 이 동작 레버(41)와 연결 로드(43)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다른 쪽의 비상 정지 기구(14)를 작동시키는 종동 레버(42)와, 동작 레버(41) 및 종동 레버(42)와 상기 한 쌍의 비상 정지 기구(14)의 지지 부재(35)를 연결하기 위한 비교적 짧다란 연결 부재(44, 44)를 구비하고 있다.
동작 레버(41)는 점(A)을 시점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종동 레버(42)는 점(B)을 시점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동작 레버(41)와 종동 레버(42)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43)는 지지 베이스(31)에 고정된 안내 부재(45)에 의해 그 축방향으로만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 이 연결 로드(43)의 축 방향 중도부에는 상기 레버(41, 42)를 상기 연결 부재(44)를 끌어 내리는 방향(비상 정지 기구(14)를 작용시키지 않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46)이 삽입되어 있다.
또 이 링크 기구(28)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29)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51)와, 이 스위치 본체(51)에 대하여 돌출·몰입이 가능한 접촉자(52)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자(52)는 초기 상태에서 스위치 본체(51)로부터 돌출한 상태가 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29)는 상기 지지 베이스(31)에 그 초기 상태에서 접촉자(52)가 동작 레버(41)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미트 스위치(29)는 동작 레버(41)가 회동함에 따라 접촉자(52)가 스위치 본체(51)에 대하여 돌출·몰입하게 되어 있다.
이 리미트 스위치(29)는 도 2에 21로 나타내는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어서, 접촉자(52)가 소정의 변위 이상 몰입한 경우, 제어 장치(21)를 향해서 구동 장치(9)의 정지 지령 신호를 발신하게 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29)가 정지 지령 신호를 발신하는 접촉자(52)의 소정의 변위는 상기 스토퍼 부재(34)가 협지 부재(33)의 슬릿(33a)의 내면에 접하기 직전의 변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리미트 스위치(29)는 동작 레버(41)의 변위에 의해, 일단 상기 정지 지령 신호를 제어 장치(21)를 향해 발신한 뒤, 스토퍼 부재(34)가 슬릿(33a)의 내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승강함(2)의 하방을 향해 변위되면, 상기 정지 지령 신호를 발신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리미트 스위치(29)는 상기 정지 지령 신호를 발신하고 있는 사이에 발광하는 발광체(53) 등의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작업원 등이 육안으로 리미트 스위치(29)가 정지 지령 신호의 발신 여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제어 장치(2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갖춘 연산 처리 장치로서,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제어를 맡게 되어 있다. 제어 장치(21)는 구동 장치(9)를 정지시키는 구동 장치 정지 지령부(54)와, 구동 장치(9)의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구동 장치 동작 금지부(55)를 구비하고 있다.
지령부(54)는 리미트 스위치(29)로부터 입력된 정지 지령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 장치(9)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끊게 되어 있다. 금지부(55)는 지령부(54)가 일단 구동 장치(9)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끊으면 이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즉 금지부(55)는 리미트 스위치(29)가 상기 정지 지령 신호를 발신하지 않게 되어도, 리세트 스위치(18)가 조작될 때까지 구동 장치(9)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끊은 상태를 유지하여, 구동 장치(9)를 정지한 채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21)는 작업자가 리세트 스위치(18)(구동 장치 동작 금지 해제 수단)를 조작하여 해제 지령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 장치(9)에 전력을 공급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재운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장치를 재운전할 때의 순서를 종합하면, 먼저 승강함(2)을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등 하여 스토퍼 부재(34)와 슬릿(33a)에 의한 가이드 레일(5)의 삽입을 해방하여, 비상 정지 기구(14)에 의한 승강함(2)의 승강의 규제를 해제한다. 이 비상 정지 기구(14)를 해제함으로써, 리미트 스위치(29)의 접촉자(52)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므로, 정지 지령 신호를 발신하지 않게 된다. 단 이 상태에서는 금지부(55)의 작용에 의해 구동 장치(9)는 동작 불능이다.
그래서 작업원은 각종의 점검을 실시한 뒤에 리세트 스위치(18)를 조작하여 구동 장치(9)의 재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리세트 스위치는 예를 들면 최상층의 홀도아(47)의 도어 박스 내에 설치된 제어반에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이점은 리미트 스위치(29)가 승강함(2)을 상방으로 끌어 당겨 올리는 등 해서 비상 정지 상태를 해제할 때에 비상 정지 신호를 발신하지 않게 되므로, 비상 정지 기구(14)와 링크 기구(28)를 승강함(2)의 하단부에 설치하여도 용이하게 재운전을 할 수 있는 점에 있다.
또 링크 기구(28)를 승강함(2)의 하단부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공장 출하시에 조립이 끝난 링크 기구(28)를 출하할 수 있어서, 시공시의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29)가, 비상 정지 기구(14)에 의해 승강함(2)의 승강을 규제하기 직전에 정지 지령 신호를 발신하므로, 예를 들면 승강함(2)이 승강할 때의 진동 등에 의해 비상 정지 기구(14)가 오작동하였을 때에, 구동 장치(9)가 구동하여 승강함(2)을 현가하는 로프(24) 등이 처진다든지, 구동 장치(9)의 트랙션시브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비상 정지 기구(14, 14)를 서로 연결한 연결 로드(43)가 안내 부재(45)에 의해 축선 방향을 따른 접동이 안내되므로, 확실하게 한 쌍의 비상 정지 기구(14, 14)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한다.
도7 및 도8은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 1실시예와 동일 구성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작 레버(41)는 연장 레버(60)를 개재해서 조속기 로프(24)에 연결하고 있다. 연장 레버(60)는 띠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60a)가 동작 레버(41)에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부(50b)는 이 일단부(60a)보다도 높게 뻗어나와 동작 레버(41)와의 연결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조속기 로프(14)에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 레버(60)는 상기 타단부(60b)에 설치된 제 1 연결부(61)와, 중앙부에 설치된 제 2 연결부(62)에 의해서 조속기 로프(24)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연결부(61, 62)는 연장 레버(60)와 조속기 로프(24)를 서로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링크 기구(28)의 동작 레버(41)로부터 상방으로 뻗은 레버(60)를 개재해서 조속기 로프(14)에 연결하고 있으므로, 하부사점에서의 승강함(2)과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49)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승강로(1)을 구축할 때의 수직갱의 깊이 등을 억제할 수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를 시공할 때의 코스트의 앙등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 레버(60)와 조속기 로프(24)을 서로 회동이 가능한 제 1 및 제 2접속 부(61, 62)에 의해 접속한 경우에는, 조속기 로프(14)에 주어진 장력과 연장 레버(60)의 질량 등에 의해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 레버(60)가 전도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이 연장 레버(60)의 전도 등을 억제할 수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14)의 오작동 등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공시 등의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차 비상 정지 장치가 작동하고 승강함의 승강을 규제한 뒤에 용이하게 재운전할 수 있다.

Claims (12)

  1. 승강로(1) 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5, 6)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함(2)과, 상기 승강함(2)을 승강 동작시키는 구동 장치(9)와, 승강함(2)이 이상 속도 이상으로 강하하였을 때에 상기 승강함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장치(20)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정지 장치(20)는 상기 승강함(2)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5, 6)과 맞걸려 상기 승강함(2)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기구(14)와,
    상기 승강함(2)의 하단부에 상기 비상 정지 기구(14)와 근접하여 설치되고, 외부 입력을 받아 상기 비상 정지 기구(14)를 작동시키기 위한 링크 기구(28)와,
    상기 승강함(2)이 이상 속도로 하강한 것을 검출하고, 이에 의거하여 상기 링크 기구에 외부 입력을 주는 속도 검출 장치(23)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검출 장치(23)는
    상기 승강함에 설치된 링크 기구(28)에 연결되고 통상 상기 승강함(2)과 동일 속도로 이동하는 로프(24)와,
    상기 승강함(2)이 이상 속도로 하강하였을 때에 상기 로프(24)를 구속하는로프 구속 기구(2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9)는 승강로(1) 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검출 장치(23)는 승강로(1) 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정지 장치(20)는 상기 링크 기구(28)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링크 기구(28)가 상기 승강함(2)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해 작동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기(29)와,
    상기 검출기(29)에 의한 검출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 장치(9)의 동작을 금지하는 구동 장치 동작 금지 수단(54, 55)과,
    상기 구동 장치 동작 금지 수단에 의한 구동 장치의 동작 금지를 해제하기 위한 동작 금지 해제 수단(18)
    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금지 해제 수단(18)은 상기 승강함(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금지 해제 수단(18)은 승강함 상부, 또는 케이지 도어(cage door) 상부로서, 엘리베이터홀로부터 접근(access)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29)는 상기 비상 정지 기구(14)에 의한 비상 정지 상태인 것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5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정지 장치(20)는 일단과 타단을 갖고, 일단을 상기 링크 기구(28)에, 타단을 로프(24)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60)를 더 갖고,
    상기 연결 부재(60)는 상기 로프(24)를 따라 일단이 하방, 타단이 상방으로 뻗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정지 기구(14)는 승강함(2)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링크기구(28)는 한쪽의 비상 정지 기구(14)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레버(41)와,
    상기 구동 레버(41)와 연결 로드(43)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다른 쪽의 비상 정지 기구(14)를 동작시키기 위한 종동 레버(4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28)는 상기 연결 로드(28)의 이동을 그축 방향으로만 규제하기 위한 안내 부재(4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28)는 상기 연결 로드(43)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레버(41)와 종동 레버(42)를 비상 정지 기구(14)의 비상 정지 해제 방향으로 가압(urge)하는 가압 부재(4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KR1019990006611A 1998-09-07 1999-02-27 엘리베이터 KR100302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268198A JP4107728B2 (ja) 1998-09-07 1998-09-07 エレベータ装置
JP98-252681 1998-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581A KR20000022581A (ko) 2000-04-25
KR100302558B1 true KR100302558B1 (ko) 2001-09-22

Family

ID=1724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611A KR100302558B1 (ko) 1998-09-07 1999-02-27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64907B1 (ko)
EP (1) EP0985623B1 (ko)
JP (1) JP4107728B2 (ko)
KR (1) KR100302558B1 (ko)
CN (1) CN1093499C (ko)
DE (1) DE69917548T2 (ko)
MY (1) MY1360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35853A (en) * 2003-02-04 2008-07-31 Inventio Ag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FI118333B (fi) * 2004-01-09 2007-10-15 Kone Corp Laitteisto hississä korin hallitsemattoman liikkeen havaitsemiseksi ja pysäyttämiseksi
CN1918061B (zh) * 2004-03-26 2011-07-2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控制装置
CN102126656B (zh) * 2004-03-26 2012-09-0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控制装置
US7222540B2 (en) * 2004-05-07 2007-05-29 Call & Nicholas Instruments, Inc. Wireline extensometer
CN101027239A (zh) * 2004-09-29 2007-08-29 奥蒂斯电梯公司 用于电梯轿厢安全停止的装置
ES2537756T3 (es) 2004-12-03 2015-06-11 Otis Elevator Company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uso en un sistema de elevador
US7316297B2 (en) * 2005-05-27 2008-01-08 Chiu Nan Wang Elevator escape device
EP1957391B1 (de) * 2005-12-05 2010-08-11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slösen einer fangvorrichtung
WO2007149079A1 (en) * 2006-06-21 2007-12-27 Otis Elevator Company Governor for an elevator system
KR100904945B1 (ko) * 2007-03-28 2009-06-2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조립체
JPWO2008149413A1 (ja) * 2007-06-04 2010-08-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4646153B2 (ja) * 2008-06-11 2011-03-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US8869946B2 (en) * 2009-10-28 2014-10-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s
CN102020167A (zh) * 2010-11-30 2011-04-20 江苏佛斯特电梯有限公司 一种壁挂式电梯
JP5782138B2 (ja) 2011-02-07 2015-09-24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個別のシーブ上の2つのトリッピングメカニズムを有したエレベータガバナ
JP5325904B2 (ja) * 2011-02-09 2013-10-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常止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
US8720262B2 (en) * 2011-03-09 2014-05-13 Inventio Ag Testing a speed limiting system of an elevator installation
KR101267004B1 (ko) * 2011-08-12 2013-05-30 (주)금영제너럴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
JP2013193845A (ja) * 2012-03-21 2013-09-3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5899450B (zh) * 2014-02-07 2018-06-2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及电梯装置的改装方法
EP3194317B1 (en) * 2014-08-01 2019-03-27 Otis Elevator Company Car mounted governor for an elevator system
US10427908B2 (en) 2016-04-15 2019-10-01 Otis Elevator Company Emergency mode operation of elevator system having linear propulsion system
WO2017199329A1 (ja) * 2016-05-17 2017-11-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3342740B1 (en) * 2016-12-29 2020-02-05 KONE Corporation A method for avoiding unwanted safety gear tripping in a safety stopping system of an elevator system and a safety stopping system
CN109353914B (zh) * 2018-11-22 2023-10-24 迈格钠磁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永磁缓速器的回位装置
JP7223142B2 (ja) * 2019-07-22 2023-0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並びに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の点検装置
EP4005960A4 (en) 2019-07-23 2023-03-29 Hitachi, Ltd. LIFT DEVICE
JP7157718B2 (ja) * 2019-09-06 2022-10-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JP7319878B2 (ja) * 2019-09-18 2023-08-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及び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JP7449782B2 (ja) * 2020-06-12 2024-03-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58127A (en) * 1915-09-09 1918-03-05 Alonzo B See Safety-stop for elevators.
US1987719A (en) * 1928-10-10 1935-01-15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Safety mechanism for elevators
US1977452A (en) * 1930-12-09 1934-10-16 Neuschotz Robert Safety apparatus for elevators
US2031043A (en) * 1935-06-15 1936-02-18 Otis Elevator Co Elevator safety device
US2326046A (en) * 1942-05-02 1943-08-03 Westinghouse Elec Elevator Co Elevator safety apparatus
US2581297A (en) * 1949-07-20 1952-01-01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afety device
US3346074A (en) * 1966-02-07 1967-10-10 Toledo Scale Corp Flexible guide clamp safety
US4537286A (en) * 1983-10-07 1985-08-27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US5020640A (en) * 1988-09-10 1991-06-04 Bongers & Deimann Elevator brake
US5080201A (en) * 1990-04-02 1992-01-14 Otis Elevator Company Diversion of airflow around an elevator counterweight
JPH06256279A (ja) * 1993-03-09 1994-09-13 Suntory Ltd 新規含臭素化合物
US5353893A (en) * 1993-07-12 1994-10-1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b and/or counterweight compensation rope hitch assembly
US5899301A (en) * 1993-12-30 1999-05-04 Kone Oy Elevator machinery mounted on a guide rail and its installation
FI94948C (fi) * 1994-01-05 1995-11-27 Kone Oy Laitteisto hissin nopeudenrajoittimessa
US5490577A (en) * 1994-06-22 1996-02-13 Otis Elevator Company Flexible elevator hitch
FI100516B (fi) * 1994-09-27 1997-12-31 Kone Oy Järjestelyt hissiköyden kiinnittämiseksi ja johteen käyttämiseksi hiss in kannatuselimenä
US5611412A (en) * 1995-07-07 1997-03-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hitch
FI103498B1 (fi) * 1996-09-05 1999-07-15 Kone Corp Järjestely hissikoneiston jarrun avaamiseen
US5899300A (en) * 1996-12-20 1999-05-04 Otis Elevator Company Mounting for an elevator traction machine
FI101783B1 (fi) * 1997-03-07 1998-08-31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asennuksess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17548D1 (de) 2004-07-01
CN1247151A (zh) 2000-03-15
EP0985623B1 (en) 2004-05-26
JP2000086110A (ja) 2000-03-28
EP0985623A3 (en) 2002-03-06
MY136028A (en) 2008-07-31
JP4107728B2 (ja) 2008-06-25
US6564907B1 (en) 2003-05-20
DE69917548T2 (de) 2005-06-02
KR20000022581A (ko) 2000-04-25
EP0985623A2 (en) 2000-03-15
CN1093499C (zh) 200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2558B1 (ko) 엘리베이터
EP1739046B1 (en) Emergency stop system of elevator
US10294073B2 (en) Elevator provided with a safety apparatus arrangement, and a safety apparatus
JP663320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326109B1 (ko)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JP2009096561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保持システム
JP200625676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9007098A (ja) エレベータのガバナロープ状態検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US20180244494A1 (en) Safety system for a service space within an elevator shaft
EP1454867B1 (en) Elevator speed governor
KR102504093B1 (ko)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JP2007217154A (ja) エレベーター試験方法、その補助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JP6751373B2 (ja) 非常停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JP4809971B2 (ja) エレベータの調速装置
EP1748017A1 (en)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
JP200225546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の非常停止装置
EP1538122B1 (en) Device for securing cage of elevator
KR20110059804A (ko)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
KR100813767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1447399B1 (ko)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
KR1008982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23126047A1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of operating elevator
JP2004067295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引上げ装置
KR100429303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EP1663837A1 (en) Elevator safety gear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