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004B1 -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 - Google Patents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004B1
KR101267004B1 KR1020110080679A KR20110080679A KR101267004B1 KR 101267004 B1 KR101267004 B1 KR 101267004B1 KR 1020110080679 A KR1020110080679 A KR 1020110080679A KR 20110080679 A KR20110080679 A KR 20110080679A KR 101267004 B1 KR101267004 B1 KR 101267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guide
braking
bracke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934A (ko
Inventor
이금기
Original Assignee
(주)금영제너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10080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00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금영제너럴 filed Critical (주)금영제너럴
Priority to CA2842807A priority patent/CA2842807C/en
Priority to RU2014101260/11A priority patent/RU2586799C2/ru
Priority to EP12824374.8A priority patent/EP2743224B1/en
Priority to JP2014525915A priority patent/JP5810218B2/ja
Priority to MYPI2014000056A priority patent/MY164110A/en
Priority to ES12824374T priority patent/ES2844107T3/es
Priority to CN201280038956.XA priority patent/CN103732521B/zh
Priority to SG10201501090TA priority patent/SG10201501090TA/en
Priority to PCT/KR2012/005264 priority patent/WO2013024969A1/ko
Priority to US14/235,299 priority patent/US9446930B2/en
Publication of KR20130017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는: 카의 양측에 구비되고, 가이드레일과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카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동부 및 제동부와 연결되어 제동부에 수동으로 제동력을 부여하는 조작부 및 제동부를 연동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EMRGENCY STOP DEVICE HAVING THE BREA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기의 설치시 조속기를 연결할 수 없는 상태에서 가이드레일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설치되는 승강기는 승객 또는 화물의 안전을 위해 위기 상황에서 카(car)를 비상정지하게 하는 비상정지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카의 상단에 연결된 메인로프가 절단되는 경우에 의한 승강기 사고는 기계설계상 예상하기 힘들다. 그 보다는 오히려 승강기의 권상기 이상 작동에 의한 경우가 예상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비상정지장치는 메인로프가 절단되는 경우에도 작동됨은 당연하다. 승강기의 비상정지 장치는 통상 조속기(調速機)를 이용하여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비상정지 장치에는 조속기의 신호를 받아 갑작스럽게 카(car)를 정지시키는 순간식과 어느 정도 슬립을 하는 점차식이 있다.
도 1은 후자의 방식이 채용되는 승강기의 개략적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카(2)의 둘레에는 체대(4)가 설치된다. 체대(4)는 상부체대(4a) 측부체대(4b) 및 하부체대(4c)로 구성된다.
그리고, 승강로의 양쪽 벽에는 단면이 대략 티(T)자 형태의 가이드레일(6)이 브래킷(14)을 매개로 설치되며, 카(2)는 시브(sheave, 미도시됨)로부터 연장되는 메인로프(8)에 의해 당겨지거나 이완되면서 가이드레일(6)을 따라 승하강된다.
규정된 속도 이상으로 카(2)가 하강하게 되면 조속기에 의하여 조속기 로프가 정지하므로, 카(2)와 조속기 로프간의 상대적 속도 차이가 발생하여 비상정지 장치(12)가 구동된다.
비상정지 장치(12)와 가이드레일(6) 사이의 틈새를 쐐기(wedge)방식으로 고정함으로써 카(2)로 하여금 물리적으로 가이드레일(6)을 따라 하강할 수 없도록 한다.
그러나, 가이드레일(6)을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설치하여 올라가는 승강기 설치공법 적용에 있어 조속기와 조속기 로프를 구성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카(2)를 윈치에 메달고 상하 이동하면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윈치 또는 체인블록이 끊어지게 되면 비상정지 장치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곧바로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조속기와 조속기 로프를 구성할 수 없는 상태에서 작업자의 의도에 의해 카를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어 승강기 설치 시 작업환경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는: 카의 양측에 구비되고, 가이드레일과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카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동부와, 제동부와 연결되어 제동부에 수동으로 제동력을 부여하는 조작부 및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카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동부가 연동되도록 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동부는 가이드레일을 수용하고, 내부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속홈부가 형성되는 수용블럭 및 수용블럭 내에 구비되어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구속홈부에서 이동되어 가이드레일과 간섭되는 마찰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작부는 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단부가 마찰블럭과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마찰블럭을 가이드레일과 간섭되게 하는 회동브라켓 및 회동브라켓을 회전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버부는 카에 힌지 연결되는 조작편과, 조작편에 구비되어 조작편을 회전시키는 조작레버 및 조작편의 회전을 회동브라켓에 전달하도록 조작편에 편심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버부는 조작편에 구비되어 카의 제동상태를 유지시키는 제동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동유지부는 조작편에 편심되게 연결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동유지부는 조작편에 편심되게 연결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동부는 회동브라켓의 각각에 편심되도록 구비되고, 상호 점대칭되는 연결편 및 연결편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는 조속기와 조속기 로프를 구성할 수 없는 상태에서 작업자의 의도에 의해 카를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어 승강기 설치 시 작업환경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추로 이루어진 제동유지부에 의해 조작레버가 비상정지하려는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잠재적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조작이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일반적인 승강기의 개략적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의 연동부를 보인 도면,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의 조작부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를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의 연동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의 조작부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100)는 제동부(130), 조작부(140) 및 연동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카(110)는 승강로에 구비되며, 베이스플레이트(112)와 베이스플레이트(112)의 둘레에 구비되는 체대(115)로 이루어진다.
체대(115)는 상부체대(미도시), 측부체대(116) 및 하부체대(118)로 구성된다.
상부체대는 윈치에 연결되어 카(110)를 승강로 내에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동부(130)는 카(110)의 양측에 구비되고, 가이드레일(120)과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카(110)의 이동을 구속한다.
제동부(130)는 카(110)의 양측에 구비되는 측부체대(116)에 구비되며, 가이드레일(120)을 수용하고, 내부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속홈부(133)가 형성되는 수용블럭(132) 및 수용블럭(132) 내에 구비되어 조작부(140)의 조작에 의해 구속홈부(133)에서 이동되어 가이드레일(120)과 간섭되는 마찰블럭(1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수용블럭(132)의 구속홈부(133)에 가이드레일(120)이 수용되고, 구속홈부(133)에 구비되는 마찰블럭(134)이 상부로 이동되게 되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속홈부(133)에 의해 마찰블럭(134)이 가이드레일(120)에 접촉되면서, 카(110)의 이동을 구속하는 것이다.
이때, 마찰블럭(134)의 외측면은 구속홈부(133)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조작부(140)는 제동부(130)와 연결되어 제동부(130)에 수동으로 제동력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수용블럭(132) 내에서 마찰블럭(134)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조작부(140)는 카(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단부가 마찰블럭(134)과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마찰블럭(134)을 가이드레일(120)과 간섭되게 하는 회동브라켓(142) 및 회동브라켓(142)을 회전시키는 레버부(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동브라켓(142)은 하부체대(1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측으로 연장되어 단부에 마찰블럭(134)이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마찰블럭(134)은 회동브라켓(142)의 단부에서 일정 간격 수평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회동브라켓(142)의 일측에는 편심되도록 연장되어 레버부(145)와 연결되는 작동편(143)이 일체로 형성된다.
레버부(145)는 카(110)에 힌지 연결되는 조작편(146)과 조작편(146)에 구비되어 조작편(146)을 회전시키는 조작레버(147) 및 조작편(146)의 회전을 회동브라켓(142)에 전달하도록 조작편(146)에 편심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1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카(110)의 측부체대(116)에는 별도의 고정브라켓(150)이 형성되고, 고정브라켓(150)에 조작편(146)이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조작편(146)의 중심을 기준으로 편심되도록 링크부재(148)가 연결되고, 링크부재(148)는 회동브라켓(142)의 작동편(143)에 힌지 연결되는 것이다.
레버부(145)는 조작편(146)의 구비되어 카(110)의 제동상태를 유지시키는 제동유지부(160)를 포함한다.
제동유지부(160)는 조작편(146)의 편심되게 연결되는 무게추를 포함한다.
즉, 조작편(146)의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링크부재(148)가 연결되며, 링크부재(148)의 반대편에 일정 하중을 갖는 제동유지부(160)가 구비되어 조작레버(147)의 작동이 없을 때에는 항상 회동브라켓(142)이 회동되어 마찰블럭(134)과 가이드레일(120)이 간섭되게 하는 것이다.
이는 제동유지부(160)에 의해 카(110)의 정지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잠재적 실수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마찰블럭(134)과 가이드레일(120)의 간섭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무게추의 하중을 들수 있는 힘으로 조작레버(147)를 당겨야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동유지부(160)로 무게추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조작레버(147)의 움직임을 구속하여 카(110)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별도의 로킹부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카(110)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동부(130)는 조작부(140)의 작동 시 연동부(170)에 의해 동시에 작동된다.
연동부(170)는 회동브라켓(142)의 각각에 편심되도록 구비되고, 상호 점대칭되는 연결편(172) 및 연결편(172)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1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바(174)는 점대칭되는 각각 연결편(172)에 연결되므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조작레버(147)와 연결된 일측의 회동브라켓(142)의 회동 시 그 회전을 타측 회동브라켓(142)의 반대 회전으로 전달하여 동시에 제동작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카(110)에는 연결바(174)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80)가 구비된다.
가이드부(180)는 연결바(174)가 관통되고, 카(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브라켓(182) 및 가이드브라켓(182)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부재(185)는 카(110)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86)와, 가이드돌기(186)가 삽입되도록 가이드브라켓(182)에 형성되는 원호형상의 가이드홀(18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85)는 작업자가 조작레버(147)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연결바(174)를 원위치시켜 양측 회동브라켓(142)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복원부재(189)를 포함한다.
복원부재(189)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은 가이드브라켓(182)에 지지되고, 타단은 연결바(174)에 지지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100)의 조작부(140)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플레이트(112)의 측면에 조작편(146)이 힌지연결되며, 'T'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에는 조작레버(147)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회동브라켓(142)과 연결되는 링크부재(148)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무게추로 이루어진 제동유지부(160)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플레이트(112)의 하부에 조작편(146)이 힌지 연결되고, 회동브라켓(142)에 직접 무게추로 이루어진 제동유지부(160)가 편심되게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112)에는 조작편(146)에 구비되는 조작레버(147)가 베이스플레이트(112)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개구홀(112a)이 형성된다.
이는 조작레버(147)를 제외한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구조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플레이트(112)의 측면에 'T'자 형상의 조작편(146)이 힌지 연결되고, 중앙에는 조작레버(147)가 형성되며, 일측에 편심되게 링크부재(148)가 형성되는데, 링크부재(148)가 복수개의 관절로 이루어지고, 무게추로 이루어진 제동유지부(160)가 링크부재(148)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상기한 변형예들은 조작레버(147)의 위치 변경을 위한 일 실시예이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제동유지부(160)의 변형예로서, 무게추가 아닌 탄성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는 일측이 조작편(146)에 편심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카(110)의 측부체대(116)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조작레버(147)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제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링크부재(148)은 턴버클이 적용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승강기가 설치되기 위해서는 승강로가 형성되고, 승강로에 카(110)가 구비되며, 카(110)는 윈치에 의해 승강로에서 상하 이동되면서 승강기를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카(110)에 오른 상태에서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가이드레일(120)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는 조속기와 조속기 로프를 구성할 수 없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100)가 요구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최초에는 무게추로 이루어진 제동유지부(160)에 의해 조작편(146)과 조작레버(147)가 제동유지부(160)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제동유지부(160)의 반대편에 연결되는 링크부재(148)가 회동브라켓(142)과 연결되어 회동브라켓(142)이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마찰블럭(134)은 상부로 이동된 상태로 가이드레일(120)과 간섭되어 카(110)의 움직임을 구속한 상태이다.
제동유지부(160)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레일(120)과 마찰블럭(134)의 간섭은 수용블럭(132) 내에 형성되는 구속홈부(133)와 이동되는 마찰블럭(134)의 접촉에 의해 마찰블럭(134)이 구속홈부(133)와 가이드레일(120) 사이 틈에 끼이게 됨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카(110)의 움직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카(110)에 탑승한 작업자는 승강기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카(110)의 정지된 위치의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조작레버(147)를 제동유지부(160)의 반대측으로 잡아당기고, 마찰블럭(134)과 가이드레일(120)의 간섭이 해제시켜, 카(110)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를 만든다.
작업자의 당기는 힘은 제동유지부(160)의 하중 또는 탄성력 보다 큰 힘이며, 이로 인해 링크부재(148)가 하부로 이동되고, 회동브라켓(142)을 반대편으로 회동됨으로써, 마찰블럭(134)이 구속홈부(133)와 가이드레일(120) 사이에서 빠지게 되어 카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후, 윈치를 작동시켜 원하는 위치까지 카(110)를 이동시킨 후 조작레버(147)를 놓아주게 되면, 제동유지부(160)의 하중에 의해 상기한 최초상태로 복귀하여 카(110)를 현위치에 정지시킨다.
작업자가 조작레버(147)를 놓는 동작에 의해 카(110)의 움직임이 구속할 수 있어, 윈치가 끊어지는 등의 사고에도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제동부(130)는 카(110)의 양측에 구비되게 되는데, 연동부(170)에 의해 동시에 작동됨으로, 카(110)는 기울어짐 없이 정확하게 정지된다.
연동부(170)는 회동브라켓(142)의 각각에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연결편(172)과, 이를 연결하는 연결바(174)로 이루어진다.
즉, 상호 점대칭되는 연결편(172)이 연결바(174)에 의해 연결되고, 일측의 회동브라켓(142)의 회전을 타측 회동브라켓(142)의 반대회전으로 전달되어 카(110)의 양측의 제동부(130)가 동시에 작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바(174)의 이동은 가이드부(180)에 의해 정확하게 이동되며, 복원부재(189)에 의해 연결바(174)의 원위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제동유지부(160)를 도와 제동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레버(147)의 위치에 따라 링크부재(148)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게추로 이루어진 제동유지부(160)의 위치 또한 변경 가능하다.
따라서, 조작레버(147)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여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기의 설치시 조속기를 연결할 수 없는 상태에서 승강로 바닥에서 상부로 가이드레일을 설치하면서 수동으로 카를 정지시킬 수 있어 작업환경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조작레버를 놓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제동이 가능하므로, 사고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승강기의 설치가 완료되면, 레버부를 제거하고, 조속기의 로프와 작동편을 연결하여 비상정지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수동제동장치 110 : 카
112 : 베이스플레이트 115 : 체대
116 : 측부체대 118 : 하부체대
120 : 가이드레일 130 : 제동부
132 : 수용블럭 133 : 구속홈부
134 : 마찰블럭 140 : 조작부
142 : 회동브라켓 145 : 레버부
146 : 조작편 147 : 조작레버
148 : 링크부재 150 : 고정브라켓
160 : 제동유지부 170 : 연동부
172 : 연결편 174 : 연결바
180 : 가이드부 182 : 가이드브라켓
185 : 가이드부재 186 : 가이드돌기
187 : 가이드홀 189 : 복원부재

Claims (8)

  1. 카의 양측에 구비되고, 가이드레일과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카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동부;
    상기 제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동부에 수동으로 제동력을 부여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카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동부가 연동되도록 하는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수용하고, 내부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속홈부가 형성되는 수용블럭; 및
    상기 수용블럭 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속홈부에서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레일과 간섭되는 마찰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단부가 상기 마찰블럭과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마찰블럭을 상기 가이드레일과 간섭되게 하는 회동브라켓; 및
    상기 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브라켓을 회전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카에 힌지 연결되는 조작편;
    상기 조작편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편을 회전시키며, 상기 카 내부로 연장되는 조작레버; 및
    상기 조작편의 회전을 상기 회동브라켓에 전달하도록 상기 조작편에 편심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조작편에 구비되어 상기 카의 제동상태를 유지시키는 제동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유지부는 상기 조작편에 편심되게 연결되는 무게추 또는 일측이 상기 조작편에 편심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조작레버가 비상정지하려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회동브라켓의 각각에 편심되도록 구비되고, 상호 점대칭되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는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바가 관통되고, 상기 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브라켓; 및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형성되는 원호형상의 가이드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연결바 사이에는 복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복원부재는 양단이 상기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연결바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조작레버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연결바를 원위치로 복원시켜 상기 회동브라켓을 최초위치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10080679A 2011-08-12 2011-08-12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 KR101267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679A KR101267004B1 (ko) 2011-08-12 2011-08-12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
RU2014101260/11A RU2586799C2 (ru) 2011-08-12 2012-07-03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арийной остановки с прикрепленной системой ручного тормоза
EP12824374.8A EP2743224B1 (en) 2011-08-12 2012-07-03 Emergency stop device with attached hand brake system
JP2014525915A JP5810218B2 (ja) 2011-08-12 2012-07-03 手動制動装置が付着された非常停止装置
CA2842807A CA2842807C (en) 2011-08-12 2012-07-03 Emergency stop device with attached hand brake system
MYPI2014000056A MY164110A (en) 2011-08-12 2012-07-03 Emergency stop device with attached hand brake system
ES12824374T ES2844107T3 (es) 2011-08-12 2012-07-03 Dispositivo de parada de emergencia con sistema de freno manual acoplado
CN201280038956.XA CN103732521B (zh) 2011-08-12 2012-07-03 附有手制动系统的紧急停止装置
SG10201501090TA SG10201501090TA (en) 2011-08-12 2012-07-03 Emergency stop device with attached hand brake system
PCT/KR2012/005264 WO2013024969A1 (ko) 2011-08-12 2012-07-03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
US14/235,299 US9446930B2 (en) 2011-08-12 2012-07-03 Emergency stop device with attached hand brak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679A KR101267004B1 (ko) 2011-08-12 2011-08-12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934A KR20130017934A (ko) 2013-02-20
KR101267004B1 true KR101267004B1 (ko) 2013-05-30

Family

ID=47715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679A KR101267004B1 (ko) 2011-08-12 2011-08-12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446930B2 (ko)
EP (1) EP2743224B1 (ko)
JP (1) JP5810218B2 (ko)
KR (1) KR101267004B1 (ko)
CN (1) CN103732521B (ko)
CA (1) CA2842807C (ko)
ES (1) ES2844107T3 (ko)
MY (1) MY164110A (ko)
RU (1) RU2586799C2 (ko)
SG (1) SG10201501090TA (ko)
WO (1) WO2013024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44454B (zh) * 2016-07-28 2019-03-19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电梯轿厢系统及其电梯轿厢坠落自动检测与制动装置
CN106395561A (zh) * 2016-12-08 2017-02-15 宁波永良电梯技术发展有限公司 螺杆电梯及其控制方法
JP7449782B2 (ja) * 2020-06-12 2024-03-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
CN111927075B (zh) * 2020-08-10 2021-10-08 厦门安科科技有限公司 一种附着式升降脚手架设备
CN113401765A (zh) * 2021-07-06 2021-09-17 亚洲富士长林电梯(新余)有限公司 一种气压式电梯
CN117902437B (zh) * 2024-03-15 2024-07-09 浙江飞亚电梯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电梯对重平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824B1 (ko) 2002-02-21 2004-12-04 신승기계공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JP2007045587A (ja) 2005-08-10 2007-02-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60653A (en) * 1919-11-08 1920-11-30 Liddicoat Caleb Safety attachment for elevators
US2150373A (en) * 1937-07-02 1939-03-14 Otis Elevator Co Elevator safety device
US2897920A (en) * 1958-01-28 1959-08-04 Dresser Ind Emergency brake for elevator cars
SU473658A1 (ru) * 1973-12-18 1975-06-14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3789 Клиновый захват ловител грузоподъемного механизма
SU640948A1 (ru) * 1977-06-06 1979-01-05 Центральное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о Лифтам Министерства Строительного, Дорожного И Коммуналь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Ловитель кабины лифта
JPS56140570U (ko) * 1980-03-26 1981-10-23
JPS6439370U (ko) * 1987-09-02 1989-03-09
US5301773A (en) * 1992-10-23 1994-04-12 Otis Elevator Company Positive terminal overspeed protection by rail grabbing
JP3532349B2 (ja) * 1996-06-11 2004-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4107728B2 (ja) * 1998-09-07 2008-06-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WO2001087755A1 (de) * 2000-05-19 2001-11-22 Inventio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den notbetrieb einer getrieblosen antriebsmaschine eines aufzuges
JP4369156B2 (ja) * 2002-05-02 2009-11-18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かご用の安全制動装置を係合するための機器
FI118850B (fi) * 2003-11-24 2008-04-15 Kone Corp Hissi ja menetelmä hissikorin lukitsemiseksi
EP2125592B1 (de) * 2007-01-05 2018-07-04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einer aufzugskabine mit einer im bereiche der aufzugskabine angeordneten bremseinrichtung zum halten und bremsen der aufzugskabine und ein verfahren zum halten und bremsen einer solchen aufzugskabine.
KR100903469B1 (ko) * 2007-05-21 2009-06-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KR20100000908U (ko) 2008-07-18 2010-01-27 신원기전(주) 승강기의 비상정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824B1 (ko) 2002-02-21 2004-12-04 신승기계공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JP2007045587A (ja) 2005-08-10 2007-02-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86799C2 (ru) 2016-06-10
KR20130017934A (ko) 2013-02-20
CN103732521A (zh) 2014-04-16
CA2842807A1 (en) 2013-02-21
US9446930B2 (en) 2016-09-20
EP2743224B1 (en) 2020-12-09
JP2014525884A (ja) 2014-10-02
CN103732521B (zh) 2016-03-23
EP2743224A1 (en) 2014-06-18
JP5810218B2 (ja) 2015-11-11
WO2013024969A1 (ko) 2013-02-21
MY164110A (en) 2017-11-30
US20140158471A1 (en) 2014-06-12
EP2743224A4 (en) 2015-03-11
CA2842807C (en) 2016-12-06
SG10201501090TA (en) 2015-04-29
ES2844107T3 (es) 2021-07-21
RU2014101260A (ru) 2015-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004B1 (ko)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
JP2014511812A (ja) ブレーキ解放特性を有した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
KR20170037849A (ko) 승강형 구조체용 제동 시스템 및 승강형 구조체 제동 제어 방법
JP2004523441A (ja) リフトまたは吊り下げ荷物用の非常ブレーキ装置および緩衝装置
EP3328772B1 (en) Safety block for elevator
JP4209393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6834022B2 (ja) 安全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
JP5609268B2 (ja) 巻胴式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システム
KR100889280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
JP2018030654A (ja) 調速機、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試験装置
JP2009012963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4937038B2 (ja) 乗客コンベアの停止装置
JP5040667B2 (ja) エレベータかご救出装置
JP2008094606A (ja)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
JP2009091098A (ja) エレベータ用ホールドア
JP2015009899A (ja) エレベータ調速機
KR102341995B1 (ko) 승강기용 시브제동장치
KR102341994B1 (ko) 승강기용 시브제동장치
JP6580275B2 (ja)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20210084924A (ko)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조속기 작동 장치
CN114364627B (zh) 施工用升降机
KR101607163B1 (ko)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감지 장치
JP2016216189A (ja) エレベータのかご移動制止装置
JP2016222430A (ja) エレベータのかご移動制止装置
JP2008273676A (ja) エレベーターの閉じ込め救出装置及び閉じ込め救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