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824B1 -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824B1
KR100458824B1 KR10-2002-0009320A KR20020009320A KR100458824B1 KR 100458824 B1 KR100458824 B1 KR 100458824B1 KR 20020009320 A KR20020009320 A KR 20020009320A KR 100458824 B1 KR100458824 B1 KR 100458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emergency
stop device
cam shaft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9512A (ko
Inventor
정인숙
Original Assignee
신승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승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9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824B1/ko
Priority to PCT/KR2003/000355 priority patent/WO2003070615A1/en
Publication of KR20030069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8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설치 공간내에 엘리베이터의 이상 발생시 엘리베이터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로프를 구비한 별도의 조속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엘리베이터의 과속낙하시 이를 완벽하게 비상정지시킬 수 있는 특수한 구성의 비상낙하정지장치를 구비한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첫째 목적이 있는 것임은 물론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과속낙하시에는 물론 과속승강시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엘리베이터를 비상정지시킬 수 있도록 비상낙하정지장치와 비상상승정지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하여 승객 또는 화물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안심하고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첫번째 목적으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하측에 고정설치되는 장치본체(100)내부 양측에 상협하광한 경사각을 가지며 상측이 U형 판스프링(11)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가이드판(10)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판(10) 내면으로 각각 장치본체(100)에 횡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 스프링을 설치한 구동축에 연결설치되어 승하강하도록 한쌍의 쐐기(20)를 설치하되,
상기 쐐기가 연결설치된 각각의 구동축을 연결암으로 연결설치하여 서로 동시에 동작되도록 하고, 일측의 구동축(30)에는 래칫(31)을 형성하고 이를 돌려서 스프링(32)에 의해 쐐기(20)들이 가이드판(10) 상측으로 상승탄발력을 받도록 설치하여서 비상낙하정지장치(200)를 구성하여서,
상기 비상낙하정지장치(200)의 구동축(30) 일측에 형성된 래칫(31)을, 하측에 캠샤프트회전레버(41)를 구비한 캠샤프트(40)의 상측에 형성되고 해지홈(42a)이 구비된 캠(42)과 복귀스프링(51)이 구비된 록크레버(50)에 의하여 회전이 단속되도록 설치한다음,
상기 캠샤프트(40)에 구비된 캠샤프트회전레버(41)를 캠샤프트회전장치(300)로 동작시켜 캠샤프트(40)를 회전시킴으로서 캠(42)의 해지홈(42a)을 록크레버(50)의 일측단과 일치되도록 하여 록크레버(50)를 해지시켜서 래칫(31)이 구동축(30)에 설치된 스프링(32)의 상승탄발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구동축(30)에 연결설치된 쐐기(20)가 가이드판(10) 상측으로 상승하여 가이드레일(510)을 협지하여 엘리베이터(500)의 낙하를 제동하도록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의 경우에는 상기 엘리베이터(500) 하측에 고정설치되는 장치본체(100)내부를 상,하측설치부(110(120)를 구성하고 상측설치부(110)에는 상기 비상낙하정지장치(200)를 설치하고,
상기 하측설치부에는 비상낙하정지장치(200)와 동일한 구조의 비상상승정지장치(400)를 비상낙하정지장치(200)와 서로 반대로 마주보도록 설치하며,
이들을 동시에 캠샤프트회전장치(300)에 의해 동시 동작하도록 설치구성하여서,
엘리베이터(500)의 고장으로 엘리베이터(500)가 규정속도 이상으로 낙하되는것 뿐만이아니라 규정속도 이상으로 상승할시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엘리베이터(500)가 제동되도록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Device that stop elevator in emergency}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이상발생으로 인한 규정속도이상으로 엘리베이터가 과속으로 승,하강할시 엘리베이터에 설치한 비상정지장치가 가동함으로서 순간적으로 엘리베이터를 비상정지 시켜주어 승객이나 화물의 안전을 확보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로프가 끊어졌을 때뿐만 아니라 어떠한 이상이 있어 엘리베이터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하강하는 경우에 이를 저지하는 조속기가 설치되는 바, 이와 같은 조속기는 통상 기계실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에 연결된 조속기 로프(이하 '로프'라 함)가 조속기 주륜에 권취되어 상기 주륜을 회전시키다가 엘리베이터의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되면조속기 주륜의 진자가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며 과속스위치를 동작시켜 권상기의 전동기 전원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권상기의 브레이크를 동작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가 정지하게 된다.
그러나, 권상기 브레이크의 고장이라든가 로프가 끊어진 경우는 엘리베이터를 멈출 수 없게 되므로 정격속도의 1.3배를 넘는 경우에는 조속기 주륜의 진자가 다시 벌어져 로프캐쳐를 당겨지게 하여 이 로프캐쳐에 결합된 슈우에 의해 로프가 고정되므로서 비상정지가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조속기는 엘리베이터가 로프의 절단 등의 이유로 하강방향으로 자유낙하하거나 하강방향으로규정된 속도 이상으로 과속할 경우에 한해 조속기가 동작하여 엘리베이터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나, 상승방향의 과속시에는 주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가 동작하는 것 이외에는 별도의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승시의 승객안전에 문제가 발생되고, 또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브레이크 이상이나 권상기의 도르래에서 로프가 미끄러질 경우 또는 안전회로의 이상 등으로 엘리베이터가 승강장에서 문을 연 채로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이를 감지하여 엘리베이터를 멈추도록 하는 기능이 없어 안전사고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설치 공간내에 엘리베이터의 이상 발생시 엘리베이터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로프를 구비한 별도의 조속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엘리베이터의 과속낙하시 이를 완벽하게 비상정지시킬 수 있는 특수한 구성의 비상낙하정지장치를 구비한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첫째 목적이 있는 것임은 물론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과속낙하시에는 물론 과속승강시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엘리베이터를 비상정지시킬 수 있도록 비상낙하정지장치와 비상상승정지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하여 승객 또는 화물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안심하고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 비상정지장치의 일 구성상태도.
도2는 본 발명 비상정지장치의 측면도.
도3은 본 발명 비상정지장치의 구동축과 쐐기의 결합을 나타낸 요부구성상
태도.
도4는 본 발명 비상정지장치의 래칫과 캠샤프트와의 결합을 나타낸 요부구
성상태도.
도5는 본 발명 비상정지장치의 캠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캠샤프트회전장치의
결합을 나타낸 요부구성상태도.
도6은 본 발명 비상정지장치의 다른 구성상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7은 본 발명 비상정지장치의 다른 구성상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8은 본 발명 비상정지장치의 다른 구성에서의 래칫과 캠샤프트와의 결합
을 나타낸 요부구성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가이드판 11:판스프링
20:쐐기 30:구동축
31:래칫 32:스프링
33:회동암 35:연결암
40:캠샤프트 41:캠샤프트회전레버
42:캠 42a:해지홈
50:록크레버 51:복귀스프링
60:롤러 70:연결조인트
80:회전축 81:고정구
82:슬라이드구 82a:단턱
82:회전체 84:링크
100:장치본체 110:상측설치부
120:하측설치부 200:비상낙하정지장치
300:캠샤프트회전장치 400:비상상승정지장치
500:엘리베이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엘리베이터 하측에 고정설치되는 장치본체(100)내부 양측에 상협하광한 경사각을 가지며 상측이 U형 판스프링(11)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가이드판(10)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판(10) 내면으로 각각 장치본체(100)에 횡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 스프링(32)을 설치한 구동축(30)에 연결설치되어 승하강하도록 한쌍의 쐐기(20)를 설치하되, 상기 쐐기(20)가 연결설치된 각각의 구동축(30)을 연결암(35)으로 연결설치하여 서로 동시에 동작되도록 하고, 일측의 구동축(30)에는 래칫(31)을 형성하고 이를 돌려서 스프링(32)에 의해 쐐기(20)들이 가이드판(10) 상측으로 상승탄발력을 받도록 설치하여서 비상낙하정지장치(200)를 구성하고,
상기 비상낙하정지장치(200)의 구동축(30) 일측에 형성된 래칫(31)을, 하측에 캠샤프트회전레버(41)를 구비한 캠샤프트(40)의 상측에 형성되고 해지홈(42a)이 구비된 캠(42)과 복귀스프링(51)이 구비된 록크레버(50)에 의하여 회전이 단속되도록 설치한다음,
상기 캠샤프트(40)에 구비된 캠샤프트회전레버(41)를 캠샤프트회전장치(300)로 동작시켜 캠샤프트(40)를 회전시킴으로서 캠(42)의 해지홈(42a)을 록크레버(50)의 일측단과 일치되도록 하여 록크레버(50)를 해지시켜서 래칫(31)이 구동축(30)에 설치된 스프링(32)의 상승탄발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구동축(30)에 연결설치된 쐐기(20)가 가이드판(10) 상측으로 상승하여 가이드레일(510)을 협지하여 엘리베이터(500)의 낙하를 방지토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판(10) 내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드되는 쐐기(20)는,
장치본체(100)에 일측단을 결합한 스프링(32)의 타측단과 상향탄지되도록 결합한 구동축(30)에 형성된 회동암(33)의 선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래칫(31)에 형성된 공구삽입홈(31a)에 삽입되는 별도의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래칫(31)을 돌려서 구동축(30)을 하향회전시켜서 구동축(30)의 회동암(33)에 힌지결합된 쐐기(20)를 가이드판(10) 하측으로 강제위치토록 함으로서 래칫(31)의 회전단속이 해지되면 스프링의 상승탄발력에 의해 쐐기(20)가 가이드판(10)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레일(510)을 협지하여 엘리베이터(500)의 낙하를 제동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캠샤프트회전장치(300)는 장치본체(100)의 저면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500)의 가이드레일(510)에 밀착되도록 설치한 롤러(60)중 일측롤러(61)와 연결조인트(70)로 회전축(80)을 연결설치하고,
상기 회전축(80)에 축설된 고정구(81)와 단턱(82a)을 구비한 슬라이드구(82)를 서로 회전체(83)를 이용하여 링크(84)결합하되, 상기 슬라이드구(82)의 단턱(82a) 사이에 캠샤프트회전레버(41)를 위치시켜서 엘리베이터(500) 이상시 규정속도 이상으로 낙하되면 일측롤러(61)의 회전이 순간적으로 빨라져 이와 연결조인트(70)로 연결된 회전축(80)의 회전체(83)가 회전가속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벌어지면서 이와 링크(84)결합된 슬라이드구(82)의 단턱(82a)이 캠샤프트회전레버(41)를 동작시켜서 캠샤프트(4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81)와 회전축(80)사이에 결합된 스프링(85)은 회전체(83)가 원심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고정구(81)쪽으로 이동된 슬라이드구(82)를 원위치시키는 원위치 복귀용 압축스프링이다.
한편,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엘리베이터(500) 하측에 고정설치되는 장치본체(100)내부를 상,하측설치부(110)(120)로 분리 구성하고 상측설치부(110)에는 상기 비상낙하정지장치(200)를 설치하고,
상기 하측설치부(120)에는 비상낙하정지장치(200)와 동일한 구조의 비상상승정지장치(400)를 비상낙하정지장치(200)와 서로 반대로 마주보도록 설치하며,
이들을 동시에 캠샤프트회전장치(300)에 의해 동시 동작하도록 설치구성하여서,
엘리베이터(500)의 고장으로 엘리베이터(500)가 규정속도 이상으로 낙하되는 것 뿐만이아니라 규정속도 이상으로 상승할시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엘리베이터(500)가 제동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더욱 구체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500) 하측에 고정설치되는 장치본체(100)내부를 상,하측설치부(120)()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상,하측설치부(110)(120) 양측에 각각 비상낙하정지장치(200)와 비상상승정지장치(4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비상낙하정지장치(200)는 양측에 상협하광한 경사각을 가지며 상측이 U형 판스프링(11)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설치한 가이드판(10) 내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드 되는 한쌍의 쐐기(20)를 형성하되, 상기 쐐기(20)는 일측에는래칫(3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장치본체(100)에 일측단이 결합된 스프링(32)의 타측단과 결합된 구동축(30)에 연결설치되어서, 상기 래칫(31)에 형성된 공구삽입홈(31a)에 별도의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고 수동으로 래칫(31)을 돌려서 가이드판(10) 하측으로 쐐기(20)가 오도록 함으로서 쐐기(20)가 가이드판(10) 상측으로 상승탄발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상승정지장치(400)는 상기 비상낙하정지장치(200)와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비상상승정지장치(400)는 양측에 상광하협한 경사각을 가지며 하측이 U형 판스프링(11)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설치한 가이드판(10) 내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드 되는 한쌍의 쐐기(20)를 형성하되, 상기 쐐기(20)는 일측에는 래칫(3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장치본체(100)에 일측단이 결합된 스프링(32)의 타측단과 결합된 구동축(30)에 연결설치되어서, 상기 래칫(31)에 형성된 공구삽입홈(31a)에 공구를 삽입하고 수동으로 래칫(31)을 돌려서 가이드판(10) 상측으로 쐐기(20)가 오도록 함으로서 쐐기(20)가 가이드판(10) 하측으로 하강탄발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비상상승정지장치(400)와 비상낙하정지장치(200)에 형성된 각각의 래칫(31)은 하측에 캠샤프트회전레버(41)를 구비한 캠샤프트(40)의 상측에 형성되고 해지홈(42a)이 구비된 캠(42)과 복귀스프링(51)이 구비된 록크레버(50)에 의하여 회전이 단속되도록 설치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캠샤프트(40)의 하측으로는 캠샤프트(40)의 하단에 구비된 캠샤프트회전레버(41)를 동작하여 캠샤프트(40)를 회전시킴으로써 캠(42)으로부터 록크레버(50)를 해지시켜서 래칫(31)을 회전시키는 캠샤프트회전장치(30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캠샤프트회전장치(300)는 장치본체(100)의 저면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레일(510)에 밀착되도록 설치한 롤러(60)중 일측롤러(61)와 연결조인트(70)로 축결합되어지고 회전축(80)에 고정된 고정구(81)와 회전체(83)가 링크(84)결합되어진 슬라이드구(82)의 단턱(82a) 사이에 캠샤프트회전레버(41)를 위치시켜서 엘리베이터(500) 이상시 규정속도 이상으로 상승 또는 낙하되면 일측롤러(61)의 회전이 순간적으로 빨라져 이와 연결조인트(70)로 축 결합된 회전체(83)가 회전가속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벌어지면서 이와 링크(84)결합된 슬라이드구(82)의 단턱(82a)이 캠샤프트회전레버(41)를 동작시켜서 캠샤프트(4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엘리베이터(500) 하측에 설치완료한 상태에서 스프링(32)에 의해 상측으로 올라간 상태의 쐐기(20)를 상기 래칫(31)에 형성된 공구삽입홈(31a)에 삽입되는 공구를 이용하여 래칫(31)을 돌려서 구동축(30)을 하향회전시켜서 구동축(30)의 회동암(33)에 힌지결합된 쐐기(20)를 가이드판(10) 하측으로 강제위치토록 함으로써 쐐기(20)가 가이드레일(510)의 제동에서 벗어나고 스프링(32)의 상승반탄력을 받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면 래칫(31)이 결합된 구동축(30)과 연결암(35)으로 연결설치된 타측의 구동축(30)도 역시 스프링(32)의 상승반탄력을 받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구동축(30)의 타측단에 형성된 래칫(31)이 스프링(32)의상승반탄력에 의해 원위치되지 않도록 록크레버(50)를 이용하여 캠샤프트(40)에 형성된 캠(42)에 걸어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500)가 작동하면 레일(510)에 밀착되도록 설치한 롤러(60)들이 동시에 회전되는데 이때 일측롤러(61)와 연결조인트(70)로 축결합되어진 캠샤프트회전장치(300)의 회전체(83)가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같이 엘리베이터(5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가 엘리베이터(500) 권상기의 브레이크 이상이나 권상기의 도르래에서 로프가 미끄러질 경우 또는 구동회로의 이상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500)가 규정속도 이상으로 상승 또는 낙하되면 일측롤러(61)의 회전이 순간적으로 빨라지므로 이와 연결조인트(70)로 축 결합된 회전체(83)가 회전가속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벌어지면서 이와 링크(84)결합된 슬라이드구(82)의 단턱(82a)이 캠샤프트회전레버(41)를 동작시켜서 캠샤프트(40)를 회전시킨다.
이와같이 캠샤프트(40)가 회전하면 캠샤프트(40)에 형성된 캠(42)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해지홈(42a)이 록크레버(50)의 선단과 일치하게 되면 록크레버(50)에 의해 회전이 단속되어있던 래칫(31)이 자유단상태로 단속이 해지되므로 스프링(32)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구동축(30)이 회전하면서 하측으로 억지로 하향이동시켰었던 쐐기(20)가 가이드판(10)의 협소부로 이송하면서 가이드레일(510)을 밀착하여 엘리베이터(500)의 고속 낙하 및 고속 승강을 급제동한다.
이와같이 제동이 완료되면 엘리베이터(500)의 이상진단 및 수리를 완료한 후 래칫(31)을 하향회전시키면 비상낙하정지장치(200)가 곧바로 초기상태와 같이 되므로 엘리베이터(500)의 수리후 정상 가동이 용이하다.
한편, 비상상승정지장치(400)는 상기한 비상낙하정지장치(200)의 작동과는 반대로 엘리베이터(500)가 규정속도이상으로 상승할 경우에 억지로 상향이동시켰었던 쐐기(20)가 가이드판(10)의 협소부로 하향이동하면서 가이드레일(510)을 밀착하여 엘리베이터(500)의 고속 승강을 급제동하는데, 만약 장치본체(100)내에 비상상승정지장치(400)와 비상낙하정지장치(200)를 동시에 설치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500)가 규정속도이상으로 고속낙하하거나 또는 고속상승할때 동시에 작동하면서 엘리베이터(500)의 고속낙하는 물론 고속상승하는 것까지도 안전하게 비상정지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설치 공간내에 엘리베이터의 이상 발생시 엘리베이터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로프를 구비한 별도의 조속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간활용이 용이하다.
그리고 안전장치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안전장치몸체의 저면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레일에 밀착되도록 설치한 롤러중 일측롤러와 연결조인트로 연결설치되어 회전구동되는 캠샤프트회전장치의 원심력에 의해 비상낙하정지장치 및 상승비상정치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없으며, 비상감지가 정확하고 이에 따른 제동 또한 신속하고 완벽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제동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진단 및 수리가 완료후에는 래칫을 하향회전하면 안전장치가 곧바로 초기상태와 같이 되므로 엘리베이터의 수리후 정상 가동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과속낙하는 물론 과속승강시 이를 신속하고 완벽하게 제동하여 엘리베이터를 비상정지시킬 수 있어서 승객 또는 화물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안심하고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발명이다.

Claims (4)

  1. 엘리베이터 하측에 고정설치되는 장치본체(100)내부 양측에 상협하광한 경사각을 가지며 상측이 U형 판스프링(11)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가이드판(10)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판(10) 내면으로 각각 장치본체(100)에 횡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 스프링(32)을 설치한 구동축(30)에 연결설치되어 승하강하도록 한쌍의 쐐기(20)를 설치하되, 상기 쐐기(20)가 연결설치된 각각의 구동축(30)을 연결암(35)으로 연결설치하여 서로 동시에 동작되도록 하고, 일측의 구동축(30)에는 래칫(31)을 형성하고 이를 돌려서 스프링(32)에 의해 쐐기(20)들이 가이드판(10) 상측으로 상승탄발력을 받도록 설치하여서 비상낙하정지장치(200)를 구성하고,
    상기 비상낙하정지장치(200)의 구동축(30) 일측에 형성된 래칫(31)을, 하측에 캠샤프트회전레버(41)를 구비한 캠샤프트(40)의 상측에 형성되고 해지홈(42a)이 구비된 캠(42)과 복귀스프링(51)이 구비된 록크레버(50)에 의하여 회전이 단속되도록 설치한다음,
    상기 캠샤프트(40)에 구비된 캠샤프트회전레버(41)를 캠샤프트회전장치(300)로 동작시켜 캠샤프트(40)를 회전시킴으로서 캠(42)의 해지홈(42a)을 록크레버(50)의 일측단과 일치되도록 하여 록크레버(50)를 해지시켜서 래칫(31)이 구동축(30)에 설치된 스프링(32)의 상승탄발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구동축(30)에 연결설치된쐐기(20)가 가이드판(10) 상측으로 상승하여 가이드레일(510)을 협지하여 엘리베이터(500)의 낙하를 제동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10) 내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드 되는 쐐기(20)는,
    장치본체(100)에 일측단을 결합한 스프링(32)의 타측단과 상향탄지되도록 결합한 구동축(30)에 형성된 회동암(33)의 선단에 힌지결합되어 스프링(32)의 상승탄발력에 의해 쐐기(20)가 가이드판(10)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레일(510)을 협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샤프트회전장치(300)는 장치본체(100)의 저면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500)의 가이드레일(510)에 밀착되도록 설치한 롤러(60)중 일측롤러(61)와 연결조인트(70)로 회전축(80)을 연결설치하고,
    상기 회전축(80)에 축설된 고정구(81)와 단턱(82a)을 구비한 슬라이드구(82)를 서로 회전체(83)를 이용하여 링크(84)결합하되, 상기 슬라이드구(82)의 단턱(82a) 사이에 캠샤프트회전레버(41)를 위치시켜서 엘리베이터(500)의 고장시 규정속도 이상으로 낙하되면 일측롤러(61)의 회전이 순간적으로 빨라져 이와 연결조인트(70)로 연결된 회전축(80)의 회전체(83)가 회전의 가속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벌어지면서 이와 링크(84)결합된 슬라이드구(82)의 단턱(82a)이 캠샤프트회전레버(41)를 동작시켜서 캠샤프트(40)를 회전시키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500) 하측에 고정설치되는 장치본체(100)내부를 상,하측설치부(110)(120)로 분리 구성하고 상측설치부(110)에는 상기 비상낙하정지장치(200)를 설치하고,
    상기 하측설치부에는 비상낙하정지장치(200)와 동일한 구조의 비상상승정지장치(400)를 비상낙하정지장치(200)와 서로 반대로 마주보도록 설치하여,
    이들을 동시에 캠샤프트회전장치(300)에 의해 동시 동작하도록 설치구성함을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KR10-2002-0009320A 2002-02-21 2002-02-21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KR100458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320A KR100458824B1 (ko) 2002-02-21 2002-02-21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PCT/KR2003/000355 WO2003070615A1 (en) 2002-02-21 2003-02-20 Device that stop elevator in emerg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320A KR100458824B1 (ko) 2002-02-21 2002-02-21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314U Division KR200278377Y1 (ko) 2002-02-22 2002-02-22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512A KR20030069512A (ko) 2003-08-27
KR100458824B1 true KR100458824B1 (ko) 2004-12-04

Family

ID=2775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320A KR100458824B1 (ko) 2002-02-21 2002-02-21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58824B1 (ko)
WO (1) WO200307061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4969A1 (ko) * 2011-08-12 2013-02-21 ㈜금영제너럴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
KR102508124B1 (ko) * 2022-07-29 2023-03-09 (주)덕성기업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원심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5115905A1 (ja) * 2004-05-27 2008-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S2264897B1 (es) 2005-07-08 2007-11-01 Orona, S. Coop. Mecanismo detector de sobrevelocidad en aparatos elevadores, dispositivo de seguridad de actuacion contra sobrevelocidad y aparato elevador.
CN102471012B (zh) 2009-07-20 2015-10-07 奥的斯电梯公司 电梯调速器系统
ES2874760T3 (es) * 2010-05-18 2021-11-05 Otis Elevator Co Sistema de seguridad integrado de ascensor
KR20160085532A (ko) 2015-01-08 2016-07-1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
CN105439046B (zh) * 2015-12-16 2017-10-20 云南昆船设计研究院 一种有效防止升降台坠落的止动装置
CA3024838C (en) * 2016-05-03 2023-10-17 Wabi Iron & Steel Corp.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mine shaft conveyance
CN106274964B (zh) * 2016-08-31 2018-02-27 徐州工程学院 一种单向带制动轨安全钳超速制动式矿车
CN106274965B (zh) * 2016-08-31 2018-02-27 徐州工程学院 一种单向安全钳超速制动式矿车
CN106428094B (zh) * 2016-08-31 2018-04-10 徐州工程学院 一种带齿型制动轨的单向挂钩超速制动式矿车
CN109353914B (zh) * 2018-11-22 2023-10-24 迈格钠磁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永磁缓速器的回位装置
CN109516335B (zh) * 2018-12-07 2024-04-26 中山职业技术学院 一种无机房限速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0809B2 (ja) * 1993-03-05 2000-09-25 株式会社東芝 自走式エレベータ
US5979615A (en) * 1997-11-06 1999-11-09 Otis Elevator Company Carbon--carbon composite elevator safety brakes
KR200186576Y1 (ko) * 1999-11-09 2000-06-15 정인숙 건축용 승강기에 구비되는 안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4969A1 (ko) * 2011-08-12 2013-02-21 ㈜금영제너럴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
KR101267004B1 (ko) 2011-08-12 2013-05-30 (주)금영제너럴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
KR102508124B1 (ko) * 2022-07-29 2023-03-09 (주)덕성기업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원심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512A (ko) 2003-08-27
WO2003070615A1 (en) 200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824B1 (ko)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JP4745332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KR101537846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
US5183979A (en) Elevator governor rope restraint when elevator car moves with car doors open
US7819229B2 (en) Elevator safety system
EP2380840B1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US8720262B2 (en) Testing a speed limiting system of an elevator installation
EP3569547B1 (en) Safety assembly for braking an elevator car and corresponding method
EP0748758A1 (en) Bi-directional elevator governor
CN112125106A (zh) 一种基于电梯轿厢门联动的防剪切保护装置
WO2004050525A1 (ja) エレベータの制動装置
CN107473045A (zh) 新型无机房双向限速器
US6296080B1 (en) Variable traction mechanism for rotary actuated overspeed safety device
CN213326262U (zh) 一种基于电梯轿厢门联动的防剪切保护装置
JP4209393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KR200278377Y1 (ko)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JP4276036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KR101967590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16863B1 (ko) 상하 양방향 비상정지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JPH01122893A (ja) マンコンベアの制動装置
KR100490331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200200007Y1 (ko) 상하 양방향 비상정지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KR20110059804A (ko)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
JP200225546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の非常停止装置
CN210313071U (zh) 一种电梯门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