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576Y1 - 건축용 승강기에 구비되는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승강기에 구비되는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576Y1
KR200186576Y1 KR2019990024374U KR19990024374U KR200186576Y1 KR 200186576 Y1 KR200186576 Y1 KR 200186576Y1 KR 2019990024374 U KR2019990024374 U KR 2019990024374U KR 19990024374 U KR19990024374 U KR 19990024374U KR 200186576 Y1 KR200186576 Y1 KR 200186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elevator
wedge
guide block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숙
Original Assignee
정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숙 filed Critical 정인숙
Priority to KR2019990024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5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5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신축중인 고층 건축물등에서 상층 또는 하층으로 각종 자재등을 운반하는 승강차의 추락시 이를 비상 정지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승강차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각종 건축용 자재등을 운반하도록 기초면에 수직하게 설치된 원기둥 형태의 포스트상에 상기 포스트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차를 구비한 건축용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상에 상기 포스트를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판형의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포스트 외주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이격 설치되며 승강차의 추락시 쐐기가 그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는 안내블록과, 상기 안내블록 외측면에 체결되어 쐐기의 가이드부를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와, 상기 안내블록을 감싸도록 상기 안내블록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차의 추락시 상기 포스트와 안내블록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쐐기의 삽입거리에 비례하여 외측으로 확장되는 한편 확장시 축적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안내블록 및 쐐기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U자형 판스프링과, 상기 포스트의 라운드면과 대응되도록 내측면이 라운드면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포스트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차의 정상 운행시에는 상기 안내블록을 벗어난 하부에 위치하며 승강차의 추락시에는 관성에 의해 제자리에 머무름에 따라 상기 포스트와 안내블록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므로써 U자형 판스프링의 조임력을 받아 승강차를 포스트 상에서 정지시키도록 쐐기작용을 수행하는 안전차단용 쐐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승강기의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용 승강기에 구비되는 안전장치{The safety device of the cars getting on and off prepared with the building equipment.}
본 고안은 건축용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중인 고층 건물등에 있어 상층 또는 하층으로 각종 건축 자재등을 운반하는 승강차의 고장등으로 인한 추락시 승강차를 비상 정지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승강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승강기는 고층 건물 신축등의 각종 공사장에서 하층으로 부터 상층으로 또는, 상층에서 하층으로 각종 건축 자재를 운반하거나 작업자들을 실어나르는 작용을 하는 기기이다.
종래의 건축용 승강기에는 크게 콘크리트등으로 된 기초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원기둥 형태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의해 안내되어 포스트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차와, 상기 승강차를 승강하도록 구동하는 승강기 구동수단등이 구비된다.
한편, 종래 건축용 승강기의 일예는 한국 실용신안등록 공고 91-7858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건축용 승강기에는 고장등으로 인하여 승강기가 추락할 경우, 승강기를 비상 정지시켜주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해, 건축용 자재의 파손등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인명피해를 가져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기의 운행중 고장등으로 인해 승강차가 추락시 일정 속도 이상이 되면 쐐기의 작용에 의해 승강차가 자동적으로 비상 정지되도록 하여 승강차의 추락으로 인한 인명 사고 및 자재 파손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승강기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각종 건축용 자재등을 운반하도록 기초면에 수직하게 설치된 원기둥 형태의 포스트상에 상기 포스트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차를 구비한 건축용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상에 상기 포스트를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판형의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됨과 더블어 상기 포스트 외주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이격 설치되며 승강차의 추락시 쐐기가 그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는 안내블록과, 상기 안내블록 외측면에 체결되어 쐐기의 가이드부를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와, 상기 안내블록을 감싸도록 상기 안내블록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차의 추락시 상기 포스트와 안내블록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쐐기의 삽입거리에 비례하여 외측으로 확장되는 한편 확장시 축적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안내블록 및 쐐기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U자형 판스프링과, 상기 포스트의 라운드면과 대응되도록 내측면이 라운드면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포스트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차의 정상 운행시에는 상기 안내블록을 벗어난 하부에 위치하며 승강차의 추락시에는 관성에 의해 제자리에 머무름에 따라 상기 포스트와 안내블록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므로써 U자형 판스프링의 조임력을 받아 승강차를 포스트 상에서 정지시키도록 쐐기작용을 수행하는 안전차단용 쐐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승강기의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승강기를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가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A부 확대 단면도로서,
도 4a는 승강차의 정상 운행시의 상태도로서, 쐐기 작용이 이루어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승강차의 추락시 쐐기 작용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된 안전차단용 쐐기를 나타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전차단용 쐐기 2 : 안내블록
3 : U자형 판스프링 4 : 프레임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A부 확대 단면도로서, 도 4a는 승강차의 정상 운행시의 상태도로서, 쐐기 작용이 이루어지기 전의 상태도이고, 도 4b는 승강차의 추락시 쐐기 작용이 이루어진 상태도이다.
한편, 도 5은 본 고안에 적용된 안전차단용 쐐기를 나타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각종 건축용 자재등을 운반하도록 기초면에 수직하게 설치된 원기둥 형태의 포스트(101)상에 상기 포스트(101)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차(103)를 구비한 건축용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01)의 외주면상에 상기 포스트(101)를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판형의 상부 프레임(11a) 및 하부 프레임(11b)과, 상기 상부 프레임(11a) 및 하부프레임(11b) 사이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포스트(101) 외주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이격 설치되며 승강차(103)의 추락시 쐐기(1)가 그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는 안내블록(3)과, 상기 안내블록(3) 외측면에 체결되어 쐐기(1)의 가이드부(1b)를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3a)와, 상기 안내블록(3)을 감싸도록 상기 안내블록(3)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차(103)의 추락시 상기 포스트(101)와 안내블록(3)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쐐기(1)의 삽입거리에 비례하여 외측으로 확장되는 한편 확장시 축적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안내블록(3) 및 쐐기(1)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U자형 판스프링(5)과, 상기 포스트(101)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내측면이 라운드면(1a)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포스트(1O1)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차(103)의 정상 운행시에는 상기 안내블록(3)을 벗어난 하부에 위치하며 승강차(103)의 추락시에는 상기 포스트(101)와 안내블록(3)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므로써 U자형 판스프링(5)의 조임력을 받아 승강차(103)를 포스트(101) 상에서 정지시키도록 쐐기(1)작용을 수행하는 안전차단용 쐐기(1)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때, 일측면에 라운드면(1a)이 형성된 상기 안전차단용 쐐기(1)의 상기 라운드면(1a) 반대쪽에는 안내 가이드(3a)의 안내홈에 형합되어 쐐기의 슬라이딩시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차의 추락시 쐐기(1)에 대해 반력을 가하여 상기 쐐기가 쉽게 안내블록(3)과 포스트(10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들어가도록 보조하는 탄성부재인 압축스프링(7)이 상기 하부프레임(11b) 내측에 결합된 지지브라켓(9)에 상에 고정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쐐기(1)와 안내블록(3) 및 U자형 판스프링(5)등으로 이루어진 어셈블리는 프레임(11)상에 이탈이 방지되도록 조립된다.
한편, 상기 안내블록(3)은 승강차(103)의 추락(즉, 자유 낙하)시, 상기 쐐기(1)가 포스트(101)를 따라 슬라이딩 될 때, 상기 쐐기가 상기 안내블록(3)의 경사면을 따라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쐐기 외측면과 안내블록 경사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포스트(103)로부터 대향되게 형성된 상기 안내블록(3)중 한쪽에는 롤러케이지(300)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케이지(300)에는 다수개 롤러(300a)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등으로 된 기초면(107)에 수직하게 설치된 포스트(101)는 별도의 고정각(102)에 의해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건축물(도시는 생략함)과 연결되며, 상기 포스트(101)에는 승강차(103)가 상기 포스트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됨은 일반적인 종래 승강기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승강차(10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차주프레임(113)에 설치된 구동모터(119)로부터 나와 감속기어박스(211)에서 감속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포스트(101)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포스트(101)를 따라 정상적으로 승강하는 도중 고장등으로 인해 승강차(103)가 추락할 경우, 본 고안이 적용된 승강기에는 승강차의 추락시 이를 비상 정지시켜 승강기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장치(13)가 설치되므로 인해 승강차는 추락하지 않고 곧 바로 포스트 상에서 안전하게 정지하게 되며, 이 과정을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차(103)가 정상적으로 운전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안전차단용 쐐기(1)가 상기 포스트(101)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즉, 정상 운전시에는 승강차의 하강시, 승강차(103)의 하강 속도가 느리므로 쐐기(1)가 항상 상·하부 프레임(11a)(11b)과 함께 하강하게 되므로써 쐐기가 안내블록(3)과 포스트(10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들어가지 않음에 따라 쐐기(1)의 쐐기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요컨대, 정상 운전시에는 안전장치(13)를 구성하는 쐐기(1)의 쐐기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되어 있어, 승강차(103)의 비상 정지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 한편, 승강기의 전기적/기계적 고장으로 인해 상기 승강차(103)가 추락할 경우에는 승강차는 고속으로 추락하게 된다. 이 경우, 승강차(103)에 결합된 상·하부 프레임(11a)(11b)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안내블록(3), 안내, U자형 판스프링(5)은 승강차와 함께 고속으로 추락하는데 반해, 쐐기(1)는 관성 및 압축스프링의 반력에 의해 제자리에 머물려는 경향을 띠게 된다. 이에 따라, 쐐기(1)는 안내블록(3)과 포스트(101)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블록(3)과 포스트(101) 사이의 공간은 하부측이 넓고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쐐기(1)의 가이드부(1b)는 상기 안내블록 외면에 체결된 안내의 안내를 받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블록(3)과 포스트(101)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는 쐐기는 승강차 추락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안내블록(3)과 포스트(101) 사이의 공간 내측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쐐기(1)의 내면은 일단 상기 포스트(101) 외주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쐐기(1)가 상기 안내블록(3)과 포스트(101)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쐐기(1) 외측에 위치하는 안내블록(3)은 쐐기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안내블록(3) 외측에 설치된 U자형 판스프링(5)은 탄성 변형을 일으키며 도 4b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으로 확장된다. 이 때, 상기 U자형 판스프링(5)은 외측으로 확장됨과 동시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안내블록(3)을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안내블록 내측의 쐐기(1) 또한 내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상기 쐐기(1)는 U자형 판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 그 내측에 형성된 라운드면(1a)이 상기 포스트(101) 외측면에 압착되게 되고, 이때 상기 쐐기의 라운드면(1a)과 포스트(1O1)의 외주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하부 프레임(11a)(11b) 및 안내블록(3)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승강차(103) 또한 포스트(101) 상에서 정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은 승강기의 추락시 짧은 시간내에 이루어지므로 승강차(103)는 극히 짧은 거리만 낙하한 후에 포스트(101) 상의 소정위치에 정지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정상상태에서 안내블록 하부에 위치하고 있던 쐐기(1)가 승강차(103)의 추락시 안내블록(3)과 포스트(101) 사이의 상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공간 내부로 삽입되면서 포스트(101)에 접촉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U자형 판스프링(5)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된 제동면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쐐기(1)를 포스트(101)상에 록킹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므로써 상기 승강차(103)를 비상 정지시켜 승강차의 추락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승강차에 구비된 안전장치(13)에 의해 승강차가 기계적 전기적 고장등으로 인해 추락시, 상기 안전장치(13)의 제동 작용에 의해 승강차를 안전하게 멈추게 하므로써,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 및 자재 파손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일반적인 승객 탑승 전용 승강기의 비상정지 장치에 비해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각종 건축용 자재등을 운반하도록 기초면에 수직하게 설치된 원기둥 형태의 포스트(101)상에 상기 포스트(101)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차(103)를 구비한 건축용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01)의 외주면상에 상기 포스트(101)를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판형의 상부 프레임(11a) 및 하부 프레임(11b)과,
    상기 상부 프레임(1la) 및 하부프레임(11b) 사이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포스트(101) 외주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이격 설치되며 승강차(103)의 추락시 쐐기(1)가 그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는 안내블록(3)과,
    상기 안내블록(3) 외측면에 체결되어 쐐기(1)의 가이드부(1b)를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3a)와,
    상기 안내블록(3)을 감싸도록 상기 안내블록(3)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차(103)의 추락시 상기 포스트(101)와 안내블록(3)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쐐기(1)의 삽입거리에 비례하여 외측으로 확장되는 한편 확장시 축적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안내블록(3) 및 쐐기(1)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U자형 판스프링(5)과,
    상기 포스트(1O1)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내측면이 라운드면(1a)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포스트(101)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차(103)의 정상 운행시에는 상기 안내블록(3)을 벗어난 하부에 위치하며 승강차(103)의 추락시에는 상기 포스트(101)와 안내블록(3)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므로써 U자형 판스프링(5)의 조임력을 받아 승강차(103)를 포스트(101) 상에서 정지시키도록 쐐기(1)작용을 수행하는 안전차단용 쐐기(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KR2019990024374U 1999-11-09 1999-11-09 건축용 승강기에 구비되는 안전장치 KR200186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374U KR200186576Y1 (ko) 1999-11-09 1999-11-09 건축용 승강기에 구비되는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374U KR200186576Y1 (ko) 1999-11-09 1999-11-09 건축용 승강기에 구비되는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576Y1 true KR200186576Y1 (ko) 2000-06-15

Family

ID=1959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374U KR200186576Y1 (ko) 1999-11-09 1999-11-09 건축용 승강기에 구비되는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5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0615A1 (en) * 2002-02-21 2003-08-28 Insook Jung Device that stop elevator in emergenc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0615A1 (en) * 2002-02-21 2003-08-28 Insook Jung Device that stop elevator in emergenc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02430B1 (en) Elevator device
JP4777770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扉装置
KR200186576Y1 (ko) 건축용 승강기에 구비되는 안전장치
US6026937A (en) Elevator cab
KR100889280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
JPH0825702B2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の支持構造
KR20020060916A (ko)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KR200233919Y1 (ko)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KR100646813B1 (ko)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JP3340395B2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
US5307904A (en) Stopping of elevators in the up direction
JP4406273B2 (ja) エレベータの作業保護装置
KR20010040374A (ko) 건축용 호이스트를 위한 안전 장치
KR100351274B1 (ko) 엘리베이터의비상정지장치
JPS63288885A (ja) エレベ−タの安全装置
JP316201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00009934A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US6981575B2 (en) Concrete rail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car
CN113242837A (zh) 具有脱轨保护件的电梯设备
JP7409546B1 (ja) 乗客コンベア及び安全装置
JPH04153179A (ja) エレベータの非常用減速装置
KR102247622B1 (ko) 초대형 고하중용 엘리베이터의 멀티 비상정지 안전장치
KR102486567B1 (ko) 엘리베이터 카
EP3154893B1 (en) Elevator system
CN217516469U (zh) 一体式家用电梯的轿底安全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