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919Y1 -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919Y1
KR200233919Y1 KR2020010000984U KR20010000984U KR200233919Y1 KR 200233919 Y1 KR200233919 Y1 KR 200233919Y1 KR 2020010000984 U KR2020010000984 U KR 2020010000984U KR 20010000984 U KR20010000984 U KR 20010000984U KR 200233919 Y1 KR200233919 Y1 KR 200233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guide
wedge
lif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숙
Original Assignee
정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숙 filed Critical 정인숙
Priority to KR2020010000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9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919Y1/ko

Links

Landscapes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신축중인 고층 건축물등에서 상층 또는 하층으로 각종 자재등을 운반하는 승강차의 추락시 이를 비상 정지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승강차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각종 건축용 자재등을 운반하도록 기초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원기둥 형태의 포스트(101)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대(1)와, 상기 포스트(101) 상에서 포스트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차(103)와, 상기 포스트와 나란히 기초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래크(104)와, 상기 래크(104)에 맞물리는 피니언(도시는 생략함)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켜 상기 승강차를 승강하도록 하는 리프트 구동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리프트에 있어서; 승강차(103) 상단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4)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 상에 설치되는 축지지프레임(400)과, 상기 축지지프레임(40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축(8)과, 양단부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포스트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는 안내롤러(80)와, 상기 가이드축(8) 상에 설치되어 리프트의 비상 추락시 원심력에 의해 클러칭 되는 클러칭 수단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클러칭 수단의 클러칭 작용시 포스트 외주면 상에 압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승강차(103)를 비상 정지시키는 쐐기수단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

Description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Safety device of lifter for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중인 고층 건물등에 있어 상층 또는 하층으로 각종 건축 자재등을 운반하는 승강차의 고장등으로 인한 추락시 승강차를 비상 정지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리프트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리프트는 고층 건물 신축등의 각종 공사장에서 하층으로부터 상층으로 또는, 상층에서 하층으로 각종 건축 자재를 운반하거나 작업자들을 실어나르는 작용을 하는 기기이다.
종래의 건축용 리프트에는 크게 콘크리트등으로 된 기초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원기둥 형태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의해 안내되어 포스트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차와, 상기 포스트와 나란히 설치되는 래크와 이에 맞물리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켜 상기 승강차를 승강하도록 하는 리프트 구동수단등이 구비된다.
한편, 종래 건축용 리프트의 일예는 한국 실용신안등록 공고 91-7858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건축용 리프트에는 고장등으로 인하여 리프트가 추락할 경우, 리프트를 비상 정지시켜주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해, 건축용 자재의 파손등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인명피해를 가져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축용 리프트의 운행중 고장등으로 인해 승강차가 추락시 쐐기 작용에 의해 승강차가 자동적으로 비상 정지되도록 하여 승강차의 추락으로 인한 인명 사고 및 자재 파손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리프트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안전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안전장치를 도 2의 'A'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리프트 안전장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도 4a는 승강차의 정상 운행시의 상태도로서, 원심추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도
도 4b는 승강차의 추락시 원심추가 작동된 후의 상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리프트 안전장치의 쐐기 작용을 도 3의 'B' 방향에서 바라보고 설명한 것으로서,
도 5a는 승강차의 정상 운행시의 상태도로서, 쐐기 작용이 이루어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승강차의 추락시 쐐기 작용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된 유동체와 몸체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100b : 안전차단용 쐐기 2 : 유동체
5 : U자형 판스프링 9: 원심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각종 건축용 자재등을 운반하도록 기초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원기둥 형태의 포스트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대와, 상기 포스트 상에서 포스트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차와, 상기 포스트와 나란히 기초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래크와, 상기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켜 상기 승강차를 승강하도록 하는 리프트 구동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리프트에 있어서; 승강차 상단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축지지프레임과, 상기 축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축과, 양단부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포스트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는 안내롤러와, 상기 가이드축 상에 설치되어 리프트의 비상 추락시 원심력에 의해 클러칭 되는 클러칭 수단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클러칭 수단의 클러칭 작용시 포스트 외주면 상에 압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승강차를 비상 정지시키는 쐐기수단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리프트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안전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안전장치를 도 2의 'A'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각종 건축용 자재등을 운반하도록 기초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원기둥 형태의 포스트(101)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대(1)와, 상기 포스트(101) 상에서 포스트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차(103)와, 상기 포스트와 나란히 기초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래크(104)와, 상기 래크(104)에 맞물리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켜 상기 승강차(103)를 승강하도록 하는 리프트 구동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리프트에 있어서; 승강차(103) 상단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4)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 상에 설치되는 축지지프레임(400)과, 상기 축지지프레임(40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축(8)과, 양단부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포스트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는 안내롤러(80)와, 상기 가이드축(8) 상에 설치되어 리프트의 비상 추락시 원심력에 의해 클러칭 되는 클러칭 수단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클러칭 수단의 클러칭 작용시 포스트(101) 외주면 상에 압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승강차(103)를 비상 정지시키는 쐐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클러칭 수단은, 상기 가이드축(8) 상에 고정되는 원심추 고정체(900)와, 상기 원심추 고정체(900)에 힌지 결합되어 리프트의 추락에 따른 원심력 작용시 가이드축(8)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원심추(9)와, 상기 가이드축(8) 외주면상에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원심력 작용에 따른 원심추(9)의 회동시 원심추 고정체(900)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원심추(9) 반대측에 물림치차(910a)가 형성된 유동체(2)와, 상기 유동체(2) 외주면 일부 및 가이드축(8) 일부를 이격되어 감쌈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축(8)의 길이방향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이드축(8)상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유동체(2)의 물림치차(910a)가 치합하는 동일형태의 물림치차(910b)가 형성된 클러치하우징(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쐐기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4) 하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함과 더불어 좌우 양측 포스트(101)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좌우 양측 포스트(101) 상에 각각 설치되는 'ㄷ'자형의 지지프레임(7)과, 상기 각 지지프레임(7)의 상부 및 하부측에 각각 고정되는 판형의 상부 프레임(11a) 및 하부 프레임(11b)과, 상기 각 상부 프레임(11a) 및 하부프레임(11b) 사이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포스트(101) 외주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이격 설치되며 승강차(103)의 추락시 쐐기(100a)(100b)가 그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는 안내블록(3)과, 상기 안내블록(3) 외측면에 체결되어 쐐기(100a)(100b)의 가이드부(111b)를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3a)와, 상기 안내블록(3)을 감싸도록 상기 안내블록(3)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차(103)의 추락시 상기 포스트(101)와 안내블록(3)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쐐기(100a)(100b)의 삽입거리에 비례하여 외측으로 확장되는 한편 확장시 축적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안내블록(3) 및 쐐기(100a)(100b)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U자형 판스프링(5)과, 상기 라운드진 포스트(101)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내측면이 라운드면(111a)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포스트(101)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차(103)의 정상 운행시에는 상기 안내블록(3)을 벗어난 하부에 위치하며 승강차(103)의 추락시에는 상기 포스트(101)와 안내블록(3) 사이의 양측 공간으로 각각 삽입되므로써 U자형 판스프링(5)의 조임력을 받아 승강차(103)를 포스트(101) 상에서 정지시키도록 쐐기작용을 수행하는 안전차단용 쐐기(100a)(100b)와, 상기 각 지지프레임(7)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고정축(77)과, 상기 고정축(77) 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쐐기(100a)에 연결되어 회동시 상기 쐐기(100a)를 상기 포스트(101)와 안내블록(3)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시키게 되는 작동아암(770)과, 상기 클러치하우징(20)과 작동아암(770) 사이에 연결되며 승강차(103)의 비상추락에 따른 유동체(2)와 클러치하우징(20)과의 맞물림에 의한 클러치하우징(20)의 회전시 상기 클러치하우징(20) 외주면에 감기면서 상기 작동아암(770)을 고정축(77) 상에서 회동하도록 끌어당기게 되는 와이어(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전차단용 쐐기(100a)(100b)의 라운드면(111a) 반대쪽에는 안내 가이드(3a)의 안내홈(도 5a 및 도 5b에 점선으로 표시됨)에 형합되어 쐐기의 슬라이딩시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1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차(103)의 추락시 작동아암(770)에 의해 작동하는 쐐기(100a)와 쌍을 이루는 반대측의 쐐기(100b)에 대해 반력을 가하여 상기 쐐기(100b)가 쉽게 안내블록(3)과 포스트(10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들어가도록 보조하는 탄성부재인 압축스프링(700)이 상기 하부프레임(11b) 내측에 결합된 지지브라켓(99)에 상에 고정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쐐기(100a)(100b)와 안내블록(3) 및 U자형 판스프링(5)등으로 이루어진 어셈블리는 프레임(11a)(11b)상에 이탈이 방지되도록 조립된다.
한편, 상기 안내블록(3)은 승강차(103)의 추락(즉, 자유 낙하)시, 상기 쐐기(100a)(100b)가 포스트(101)를 따라 슬라이딩 될 때, 쐐기(100a)(100b) 외측면과 안내블록(3) 경사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포스트(103)로부터 대향되게 형성된 상기 안내블록(3)중 한쪽에는 롤러케이지(300)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케이지(300)에는 다수개 롤러(300a)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등으로 된 기초면(107)에 수직하게 설치된 포스트(101)는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건축물(도시는 생략함)과 연결되며, 상기 포스트(101)에는 승강차(103)가 상기 포스트(101)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됨은 일반적인 종래 리프트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승강차(10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차 주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피니언이 래크(104)에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 포스트(101)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포스트(101)를 따라 정상적으로 승강하는 도중 고장등으로 인해 승강차(103)가 추락할 경우, 본 고안이 적용된 리프트에는 승강차의 추락시 이를 비상 정지시켜 리프트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설치되므로 인해 승강차(103)는 추락하지 않고 곧 바로 포스트(101) 상에서 안전하게 정지하게 되며, 이 과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상기 승강차(103)가 정상적으로 운전되고 있는 경우에는 원심추(9)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약하므로 가이드축(8)상에 설치된 원심추(9)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 때에는 가이드축(8)상에 결합된 유동체(2)의 움직임이 없어 유동체(2)의 물림치차(910a)와 클러치하우징(20)의 물림치차(910b)가 치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가이드축(8)이 회전하더라도 클러치하우징(20)은 회전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클러치하우징(20)에 고정된 와이어(66)는 클러치하우징(20) 외주면에 감기지 않는다.
그리고, 이 때에는 상기와 같이 와이어(66)의 감김이 없으므로 안전차단용 쐐기(100a)(100b)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101) 외주면에 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즉, 정상 운전시에는 승강차(103)의 하강시, 승강차(103)의 하강 속도가 느리므로 쐐기(100a)(100b)가 항상 상·하부 프레임(11a)(11b)과 함께 하강하게 되므로써 쐐기가 안내블록(3)과 포스트(10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들어가지 않음에 따라 쐐기(100a)(100b)의 쐐기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요컨대, 정상 운전시에는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쐐기(100a)(100b)의 쐐기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되어 있어, 승강차(103)의 비상 정지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
한편, 리프트의 전기적/기계적 고장으로 인해 상기 승강차(103)가 추락할 경우에는 승강차(103)는 고속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가이드축(8)이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원심추 고정체(900)에 설치된 원심추(9)는 원심력에 의해 도 4a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축(8)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펼쳐지게 되며, 이에 따라 원심추(9)에 결합된 유동체(2)는 가이드축(8)을 따라 도 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원심추(9)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펼쳐지면 유동체(2)의 끝단에 형성된 물림치차(910a)는 가이드축(8)상에 설치된 클러치하우징(20) 내부에 형성된 물림치차(910b)에 물리게 되며, 치합된 클러치하우징(20)도 가이드축(8)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하우징(20)에 고정된 와이어(66)는 클러치하우징(20) 외주면에 감기게 되고, 상기 와이어(66)의 감김에 의해 와이어(66)에 결합된 작동아암(770)이 위로 당겨지게 되며, 상기 작동아암(770)은 연결핀(6)에 의해 쐐기(100a)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가이드축(8)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쐐기(100a)를상승시키게 된다.
즉, 승강차(103)에 결합된 상·하부 프레임(11a)(11b) 및,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 설치된 안내블록(3), U자형 판스프링(5)은 승강차(103)와 함께 고속으로 추락하는데 반해, 일측의 쐐기(100a)는 원심추(9)의 작용 및 이에 따른 와이어(66)의 감김작용, 그리고 작동아암(770)의 연동작용에 의해 상승하여 안내블록(3)과 포스트(101)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블록(3)과 포스트(101) 사이의 공간은 하부측이 넓고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쐐기(100a)의 가이드부(111b)는 상기 안내블록(3) 외면에 체결된 안내 가이드(3a)의 안내를 받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블록(3)과 포스트(101)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간 쐐기(100a)는 승강차(103) 추락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안내블록(3)과 포스트(101) 사이의 공간 내측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쐐기(100a)의 내면은 상기 포스트(101) 외주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작동아암(770)에 연결된 쐐기(100a)의 쐐기 작용시, 그 반대편에 쌍을 이루도록 설치된 쐐기(100b)에는 관성력에 기인한 압축스프링(700)의 반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쐐기(100b)도 안내블록(3)과 포스트(101)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쐐기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쐐기(100a)(100b)가 상기 안내블록(3)과 포스트(101)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쐐기(100a)(100b) 외측에 위치하는 안내블록(3)은 쐐기(100a)(100b)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안내블록(3) 외측에 설치된 U자형 판스프링(5)은 탄성 변형을 일으키며 도 5b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으로 확장된다.
이 때, 상기 U자형 판스프링(5)은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안내블록(3)을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안내블록(3) 내측의 쐐기(100a)(100b) 또한 내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상기 쐐기(100a)(100b)는 U자형 판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 그 내측에 형성된 라운드면(111a)이 상기 포스트(101) 외측면에 압착되게 되고, 이때 상기 쐐기의 라운드면(111a)과 포스트(101)의 외주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하부 프레임(11a)(11b) 및 안내블록(3)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승강차(103) 또한 포스트(101) 상에서 정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은 리프트의 추락시 짧은 시간내에 이루어지므로 승강차(103)는 극히 짧은 거리만 낙하한 후에 포스트(101) 상의 소정위치에 정지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정상상태에서 안내블록 하부에 위치하고 있던 쐐기(100a)(100b)가 승강차(103)의 추락시 안내블록(3)과 포스트(101) 사이의 상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공간 내부로 삽입되면서 포스트(101)에 접촉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U자형 판스프링(5)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된 제동면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쐐기(100a)(100b)를 포스트(101)상에 록킹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므로써 상기 승강차(103)를 비상 정지시켜 승강차의 추락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승강차에 구비된 안전장치에 의해 승강차가 기계적 전기적 고장등으로 인해 추락시, 상기 안전장치의 제동 작용에 의해 승강차를 안전하게 멈추게 하므로써,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 및 자재 파손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일반적인 승객 탑승 전용 리프트의 비상정지 장치에 비해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각종 건축용 자재등을 운반하도록 기초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원기둥 형태의 포스트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대와, 상기 포스트 상에서 포스트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차와, 상기 포스트와 나란히 기초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래크와, 상기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켜 상기 승강차를 승강하도록 하는 리프트 구동수단을 구비한 건축용 리프트에 있어서;
    승강차 상단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설치되는 축지지프레임과,
    상기 축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축과,
    양단부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포스트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는 안내롤러와,
    상기 가이드축상에 설치되어 리프트의 비상 추락시 원심력에 의해 클러칭 되는 클러칭 수단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클러칭 수단의 클러칭 작용시 포스트 외주면 상에 압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승강차를 비상 정지시키는 쐐기수단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칭 수단은,
    상기 가이드축 상에 고정되는 원심추 고정체와,
    상기 원심추 고정체에 힌지 결합되어 리프트의 추락에 따른 원심력 작용시 가이드축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원심추와,
    상기 가이드축 외주면상에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원심력 작용에 따른 원심추의 회동시 원심추 고정체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원심추 반대측에 물림치차가 형성된 유동체와,
    상기 유동체 외주면 일부 및 가이드축 일부를 이격되어 감쌈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축의 길이방향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이드축상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유동체의 물림치차가 치합하는 동일형태의 물림치차가 형성된 클러치하우징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함과 더불어 좌우 양측 포스트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좌우 양측 포스트 상에 각각 설치되는 'ㄷ'자형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각 지지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측에 각각 고정되는 판형의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상기 각 상부 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포스트 외주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이격 설치되며 승강차의 추락시 쐐기가 그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는 안내블록과,
    상기 안내블록 외측면에 체결되어 쐐기의 가이드부를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와,
    상기 안내블록을 감싸도록 상기 안내블록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차의 추락시 상기 포스트와 안내블록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쐐기의 삽입거리에 비례하여 외측으로 확장되는 한편 확장시 축적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안내블록 및 쐐기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U자형 판스프링과,
    상기 라운드진 포스트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내측면이 라운드면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포스트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차의 정상 운행시에는 상기 안내블록을 벗어난 하부에 위치하며 승강차의 추락시에는 상기 포스트와 안내블록 사이의 양측 공간으로 각각 삽입되므로써 U자형 판스프링의 조임력을 받아 승강차를 포스트 상에서 정지시키도록 쐐기작용을 수행하는 안전차단용 쐐기와,
    상기 각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 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쐐기에 연결되어 회동시 상기 쐐기를 상기 포스트와 안내블록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시키게 되는 작동아암과,
    상기 클러치하우징과 작동아암 사이에 연결되며 승강차의 비상추락에 따른 유동체와 클러치하우징과의 맞물림에 의한 클러치하우징의 회전시 상기 클러치하우징 외주면에 감기면서 상기 작동아암을 고정축 상에서 회동하도록 끌어당기게 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KR2020010000984U 2001-01-13 2001-01-13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KR200233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984U KR200233919Y1 (ko) 2001-01-13 2001-01-13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984U KR200233919Y1 (ko) 2001-01-13 2001-01-13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080A Division KR20020060916A (ko) 2001-01-13 2001-01-13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919Y1 true KR200233919Y1 (ko) 2001-09-25

Family

ID=7309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984U KR200233919Y1 (ko) 2001-01-13 2001-01-13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91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911B1 (ko) 2008-02-20 2008-07-09 이재호 리프트용 거리계 안전장치
CN108910764A (zh) * 2018-09-28 2018-11-30 深圳市中科利亨车库设备股份有限公司 升降机断链防坠装置
KR102215908B1 (ko) 2020-06-29 2021-02-16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카운터웨이트와 복수열의 랙 및 피니언과 비상정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초대형 리프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911B1 (ko) 2008-02-20 2008-07-09 이재호 리프트용 거리계 안전장치
CN108910764A (zh) * 2018-09-28 2018-11-30 深圳市中科利亨车库设备股份有限公司 升降机断链防坠装置
CN108910764B (zh) * 2018-09-28 2024-05-07 深圳市中科利亨车库设备股份有限公司 升降机断链防坠装置
KR102215908B1 (ko) 2020-06-29 2021-02-16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카운터웨이트와 복수열의 랙 및 피니언과 비상정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초대형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00645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evacuation of lift passengers
KR101036020B1 (ko) 산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KR200233919Y1 (ko)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KR20020060916A (ko)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JPH0825702B2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の支持構造
KR100646813B1 (ko)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KR100889280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
CN112357717B (zh) 无底坑家用电梯的制动安全钳及工作方法
KR102169896B1 (ko) 안전 대피장치
KR102169897B1 (ko) 재난 대피장치
KR102169895B1 (ko) 안전 피난장치
KR200186576Y1 (ko) 건축용 승강기에 구비되는 안전장치
KR100772203B1 (ko) 타워크레인의 승강장치
JP7340025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
CN217516469U (zh) 一体式家用电梯的轿底安全钳装置
KR100879314B1 (ko) 탈출용 윈치
JP3419306B2 (ja) リフト装置の安全装置
CN112125087B (zh) 破坏平衡救援装置及电梯
KR102169898B1 (ko) 안전 비상탈출장치
US3848706A (en) Lift apparatus
KR102237673B1 (ko) 안전 대피장치
JPH058964A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2374319B (zh) 无底坑家用电梯的导轨制动装置
JPH0524698Y2 (ko)
CN112357719B (zh) 无底坑家用电梯的安全钳触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