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908B1 - 카운터웨이트와 복수열의 랙 및 피니언과 비상정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초대형 리프트 - Google Patents

카운터웨이트와 복수열의 랙 및 피니언과 비상정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초대형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908B1
KR102215908B1 KR1020200079360A KR20200079360A KR102215908B1 KR 102215908 B1 KR102215908 B1 KR 102215908B1 KR 1020200079360 A KR1020200079360 A KR 1020200079360A KR 20200079360 A KR20200079360 A KR 20200079360A KR 102215908 B1 KR102215908 B1 KR 102215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car
rack
lift
extra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200079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66B9/02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by rack and pinion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운터웨이트와 복수열의 랙 및 피니언과 비상정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초대형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랙과 피니언 구조를 채택하면서도 리프트의 적재용량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고, 초대형 리프트의 구동 동력을 감소시키며, 리프트의 추락 및 과속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화물을 적재하거나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탑승카(C)와, 상기 탑승카(C)에 구비되는 탑승카 도어(D)와, 건물의 외벽이나 건물 내부 승강로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마스트(Mast)(10)와, 상기 마스트에 구비되는 랙(Rack)(12)과, 상기 랙(12)과 치합되면서 상승하는 피니언(Pinion)(42)과, 상기 피니언(42)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40)와, 상기 탑승카(C)의 상부에 구비되는 정션 박스(50)와, 일단이 상기 정션 박스(50)와 연결되어 탑승카(C)와 함께 승강하는 테일 케이블(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10)와 랙(12(이 탑승카(C)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탑승카(C)의 하부에 비상정지 안전장치(20)가 구비되며, 상기 탑승카(C)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운터웨이트와 복수열의 랙 및 피니언과 비상정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초대형 리프트{SUPER-SIZE LIFT HAVING COUNTERWEIGHT AND PLURAL RACK AND PINION AND EMERGENCY STOP SAFETY APPARATUS}
본 발명은 카운터웨이트와 복수열의 랙 및 피니언과 비상정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초대형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을 신축하는 건설현장이나 각종 산업현장에서 각종 장비, 화물 또는 승객을 원하는 층으로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초대형 리프트에서, 탑승카가 안전하게 승강되도록 하고, 리프트에 카운터웨이트를 구비하여 구동 동력을 감소시키며, 별도의 기계실이 필요 없고, 건축물의 높이가 올라감에 따라 마스트와 랙을 간편하게 연장할 수 있으며, 탑승카의 추락 또는 과속시 탑승카를 확실하고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초대형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을 신축하는 건설현장이나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각종 장비, 화물 또는 승객을 원하는 층으로 운반하기 위해 건물의 외벽에 리프트(LIFT)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리프트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리프트는, 건물의 외벽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랙(Rack, 100)과, 상기 랙(100)에 치합되어 승강하는 피니언(Pinion, 110)과, 탑승카(C)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11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20)는, 구동모터, 감속기 등을 구비하고 있고, 탑승카(C) 내부에 구비된 제어반(도시 생략)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피니언(110)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피니언(110)이 수직으로 설치된 랙(100)과 치합되면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탑승카(C)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한 구조의 리프트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가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각종 건설현장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리프트는, 건물의 외벽에 단일의 랙(100)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탑승카(C)가 랙(100)에 대하여 외팔보(Cantilever) 형태로 조립된다.
이에 따라 탑승카(C)의 지지구조가 불안정하여 각종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리프트는, 그 구조상 적재하중을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보통 적재하중이 3,000kg 이하로 제작되고, 대용량일 경우에도 5,000kg을 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이에 따라 고중량의 화물을 운반할 때에는 별도의 대형 크레인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장비 사용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형의 크레인을 사용하여 고중량의 화물을 높은 위치까지 들어올릴 때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고, 특히 강풍이 불 경우에는 사고의 위험이 높아 작업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불가피하게 야간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안전사고 발생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리프트는 탑승카(C)와 함께 승강하면서 전원을 공급하는 테일 케이블(Tail Cable)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테일 케이블은, 수십 가닥의 전선이 내장된 직사각형 단면의 케이블로서, 탑승카(C)와 함께 "U"자형을 이루면서 승강한다.
그런데 실내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상기한 테일 케이블이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지만, 실외에 설치되는 리프트의 경우에는 상기 테일 케이블이 바람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초속 15m/sec 이상의 강풍이 불 경우에는, 안전에 문제가 있어 리프트를 운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07540호(2011. 1. 14. 공고) 한국 공개특허 제10-2008-55037호(2008. 6. 19. 공개)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0489586호(2019. 7. 8. 공고)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233919호(2001. 9. 25.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랙과 피니언 구조를 채택하면서도 리프트의 적재용량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초대형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프트의 적재용량을 대폭 증가시키면서도 탑승카가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대형 리프트의 구동 동력을 감소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트의 추락 및 과속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프식 리프트와 같이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탑승카에 구동부와 제어반을 탑재하여 구조를 단순화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리프트의 높이를 간편하게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트의 운행 높이를 연장할 경우 와이어로프를 교체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옥외에 설치되는 리프트가 강풍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돌발적인 강풍으로 리프트의 케이블이 주변 장치에 걸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물을 적재하거나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탑승카와, 상기 탑승카에 구비되는 탑승카 도어와, 건물의 외벽이나 건물 내부 승강로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마스트와, 상기 마스트에 구비되는 랙과, 상기 랙과 치합되면서 승강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탑승카의 상부에 구비되는 정션 박스와, 일단이 상기 정션 박스와 연결되어 탑승카와 함께 승강하는 테일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와 랙이 탑승카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탑승카의 하부에 비상정지 안전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탑승카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트는, 탑승카의 좌측 및 우측에 복수의 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카의 상부에 구비되는 피니언은 좌우측에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피니언은 동기화 장치에 의해 동시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마스트에 2개의 랙이 나란하게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랙의 치형은 헬리컬 곡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은 더블 헬리컬 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정지 안전장치는, 탑승카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는 가버너와, 상기 가버너와 조립되어 수평으로 구비되어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좌우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세이프티 기어와, 상기 세이프티 기어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기어와, 상기 세이프티 기어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이프티 기어는 랙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기어 및 하부기어는 상기 세이프티 기어 및 랙과 맞물려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샤프트는 복수로 구성되고, 그 외주면에 체인 스프라켓이 각각 구비되며, 각 회전 샤프트에 구비된 체인 스프라켓은 고하중 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탑승카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카의 상부에 안전난간과 비상탈출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는 탑승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카와 카운터웨이트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의 단부에 여분의 와이어로프를 감은 릴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테일 케이블을 강풍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풍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방풍장치는, 탑승카의 한쪽 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테일 케이블과 함께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탑승 카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따라 승강하는 테일 케이블을 정션박스에 가이드하기 위한 수평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풍장치는, 중앙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테일 케이블이 감기도록 하는 시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네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상부 휠과,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네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하부 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는, 테일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커버본체의 일측에는, 테일 케이블이 인출되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랙과 피니언 구조를 채택하면서도 리프트의 적재용량을 수십톤에서 100톤 이상까지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랙이 설치되는 마스트를 복수의 열로 구성함으로써, 리프트의 적재용량을 수십톤에서 100톤 이상까지 증가시키면서도 탑승카가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프트에 카운터웨이트를 더 구비함으로써, 초대형 리프트의 구동 동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카의 하부에 안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리프트의 추락 및 과속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로프식 리프트와 같이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탑승카에 구동부와 제어반을 탑재함으로서 리프트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축물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마스트와 랙을 계속 조립해나감으로써, 리프트의 높이를 간편하게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카와 카운터웨이트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의 단부에 여분의 와이어로프를 감은 릴을 구비함으로써, 리프트의 운행 높이 변경시 와이어로프를 교체할 필요가 없이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카와 함께 승강하는 테일 케이블이 방풍부재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옥외에 설치되는 리프트가 강풍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 방풍부재의 설치에 의해 초속 30~50m/sec의 강풍이 불더라도 케이블이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발적인 돌풍에 의한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랙과 피니언 부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정지 안전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정치 안전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전면 도어와 후면 도어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리프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리프트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이나 각종 장비를 적재하거나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탑승카(C)와, 상기 탑승카(C)에 구비되는 탑승카 도어(D)와, 건물의 외벽이나 건물 내벽 승강로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마스트(Mast)(10)와, 상기 마스트에 구비되는 랙(Rack)(12)과, 상기 랙(12)과 치합되면서 승강하는 피니언(Pinion)(42)과, 상기 피니언(42)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40)와, 상기 탑승카(C)의 상부에 구비되는 정션 박스(50)와, 일단이 상기 정션 박스(50)와 연결되어 탑승카(C)와 함께 승강하는 테일 케이블(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10)와 랙(12)이 탑승카(C)의 좌우 양측에 복수의 열로 구비되고, 상기 탑승카(C)의 하부에 비상정지 안전장치(20)가 구비되며, 상기 탑승카(C)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30)가 더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리프트는, 외팔보 형태로 구비되는 종래의 리프트와 달리, 탑승카(C)의 양쪽에 복수의 마스트(10) 및 랙(12)이 설치되어 탑승카(C)가 양쪽에 구비된 랙(12)을 타고 승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리프트는, 일반 승강기에서와 같이 카운터웨이트(3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초대형 리프트의 구동 동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카운터웨이트(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W) 및 시브(S)에 의해 탑승카(C)의 상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웨이트(30)는, 탑승카(C)의 자중에 적재하중의 50%를 더한 무게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방식에 의해, 중량물을 탑재하지 않았을 경우의 구동동력과, 최대 적재하중을 적재하였을 경우의 구동동력을 절반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웨이트(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카(C)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탑승카(C)와 카운터웨이트(30)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W)의 단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분의 와이어로프를 감은 릴(31)(32)이 더 구비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리프트의 운행 높이을 연장할 경우 와이어로프(W)를 교체할 필요가 없이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마스트(10)가 탑승카(C)의 좌측 및 우측에 3개씩 총 6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마스트(10)의 개수는 탑승카의 적재용량에 따라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마스트(10)는 4개, 8개, 10개, 12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스트가 좌우측에 각각 3개 구비되는 경우, 탑승카(C)의 상부에 구비되는 피니언(42)도 좌우측에 각각 3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피니언(42)은 동기화 장치에 의해 동시에 구동된다. 상기 동기화 장치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각 마스트(10)에 구비되는 랙(12)은, 2개의 랙(12)이 나란하게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랙(12)의 치형은 헬리컬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42)은 더블 헬리컬 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피니언(42)과 랙(12)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하중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카(C)의 하부에 비상정지 안전장치(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비상정지 안전장치(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카(C)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는 가버너(Governer)(21)와, 상기 가버너(21)와 조립되어 수평으로 구비되어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22)와, 상기 회전 샤프트(22)의 좌우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세이프티 기어(23)와, 상기 세이프티 기어(23)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기어(24a)와, 상기 세이프티 기어(23)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기어(2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이프티 기어(2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12)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기어(24a) 및 하부기어(24b)는 상기 세이프티 기어(23) 및 랙(12)과 맞물려 회전한다.
즉 상기 세이프티 기어(23)는, 탑승카(C)가 정상속도로 승강할 때에는 상부기어(24a) 및 하부기어(24b)와 맞물려 회전한다.
그리고 탑승카(C)의 추락 또는 과속시에는, 상기 세이프티 기어(23)의 회전이 정지되어, 상기 상부기어(24a) 및 하부기어(24b)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탑승카(C)를 정지시키게 된다(비상정지장치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 샤프트(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트(10)에 대응되도록 3개로 구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체인 스프라켓(25)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중앙의 회전 샤프프(22)에 구비된 체인 스프라켓(25)과 양측에 구비된 회전 샤프트(22)의 체인 스프라켓(25)은, 고하중 체인(2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3개의 회전 샤프트(22)는 서로 연동되면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카(C)의 상부에 안전난간(54)과 비상탈출구(5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안전난간(54)은, 탑승카(C)의 상부에 구비되는 정션박스(50) 등을 점검할 때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비상탈출구(56)는, 리프트가 비상 정지하였을 경우 탑승자가 외부로 탈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카(C)의 전방과 후방에 도어(D)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지게차나 운반 트럭 등을 탑승카(C)에 진입시킨 후 원하는 층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야외에 설치되는 리프트임을 감안하여 테일 케이블(60)을 강풍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풍장치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방풍장치는,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카(C)의 한쪽 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커버본체(61)와, 상기 커버본체(61)의 내측에 구비되어 테일 케이블(60)과 함께 승강하는 승강부재(70)와, 상기 탑승카(C)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70)를 따라 승강하는 테일 케이블(60)을 정션박스(50)에 가이드하기 위한 수평 가이드부재(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션박스(50)는, 탑승카(C)에 구비된 각종 스위치, 조명장치, 통신장치, 안전장치 등에 전원을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테일 케이블은, 탑승카(10)의 상부에 구비된 정션박스(50)와 리프트에 구비된 제어반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래블링 케이블(Travelling Cable)이라고도 한다.
도 8에는 상기 커버본체(61)가 사각형 파이프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커버본체(61)는 원형파이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풍장치는, 중앙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71)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71) 사이에 구비되어 테일 케이블(60)이 감기도록 하는 시브(7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7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플레이트(71)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72)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72)의 네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상부 휠(74)과, 상기 수직 플레이트(71)의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73)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73)의 네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하부 휠(7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70)의 상부 플레이트(72)의 양 측면에는, 테일 케이블(60)이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77)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커버본체(61)의 일측에는, 테일 케이블(60)이 인출되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홈(62)이 구비된다.
상기한 방풍부재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테일 케이블(60)이 강풍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리프트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탑승자가 탑승카(C)에 탑승하여 제어반(도시 생략)을 조작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카(C)의 상부 양쪽에 구비된 복수의 피니언(42)이 회전하면서 양쪽에 구비된 마스트(10)의 랙(12)을 타고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탑승카(C)의 하부에 구비된 상부기어(42a)와 하부기어(42b)도 랙(12)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즉 탑승카(C)의 상부에서는 양쪽에 구비된 복수의 피니언(42)이 복수의 랙(12)을 타고 이동하고, 탑승카(C)의 하부에서는 양쪽에 구비된 복수의 상부기어(42a) 및 하부기어(42b)가 복수의 랙(12)을 타고 이동한다.
이에 따라 탑승카(C)를 초대형으로 구성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승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이프티 기어(23)는 랙(12)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부기어(24a) 및 하부기어(24b)와 맞물려 회전한다.
만일 탑승카(C)가 규정된 속도 이상으로 승강하거나 이상 작동에 의해 추락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기어(24a) 및 하부기어(24b)와 맞물려 있는 세이프티 기어(23)의 회전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 샤프트(22)의 회전도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그러면 비상정지 안전장치(20)가 작동하여 상기 회전 샤프트(22)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즉 가버너(21)가 원심력에 의한 트립(Trip) 작용에 의해 회전 샤프트(22)의 회전을 구속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 샤프트(22)의 양단에 구비된 세이프티 기어(23)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세이프티 기어(23)와 맞물린 상부기어(24a) 및 하부기어(24b)의 회전이 정지되고, 탑승카(C)는 더 이상 승강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트(10)와 랙(12)이 탑승카(C)의 양쪽에 복수의 열로 구비되어 탑승카(C)를 양쪽에서 잡아주게 되므로,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의 종래의 리프트에 비해 적재용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가 있다.
즉 소수의 인원만 탑승할 수 있었던 종래의 리프프의 구조에서 벗어나, 수십톤에서 백 톤이상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고, 대형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도 각종 장비와 트럭 등을 원하는 층으로 쉽게 운반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고층빌딩의 신축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작업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가 있고, 대형 크레인의 사용에 따른 장비 사용료를 절감할 수가 있다.
또한 탑승카(C)의 상부에서는 피니언(42)이 양쪽에서 랙(12)에 조립되어 탑승카(C)를 잡아주고, 탑승카(C)의 하부에서는 상부기어(42a) 및 하부기어(42b)가 양쪽에서 랙(12)에 조립되어 탑승카(C)를 잡아주게 된다.
이에 따라 초대형 리프트가 안전하게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초대형 리프트에 일반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카운터웨이트(30)를 구비함으로써, 최대 적재하중의 약 50%의 구동력에 의해서도 초대형 리프트를 승강시킬 수가 있다.
또한 탑승카(C)의 하부에 비상정지 안전장치(20)를 구비함으로써, 초대형 리프트의 추락 및 과속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로프식 리프트와 같이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탑승카에 구동부와 제어반이 탑재되므로 리프트의 크기는 대형이지만 그 구조는 간단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는 상부가 오픈된 구조이므로, 건축물의 높이에 따라 마스트와 랙을 계속 조립해나가면서 리프트의 높이를 간편하게 연장할 수가 있다.
또한 탑승카와 카운터웨이트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의 단부에 여분의 와이어로프를 감은 릴을 구비함으로써, 리프트의 운행 높이 연장시 와이어로프를 교체할 필요가 없이 간편하게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테일 케이블을 강풍으로부터 보호하는 방풍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강풍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특히 대형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도 중량물을 고층까지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으므로, 대형 크레인 작업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마스트(Mast) 12: 랙(Rack)
20: 비상정지 안전장치 21: 가버너(Governer)
22: 회전 샤프트(Shaft) 23: 세이프티 기어(Safety Gear)
24a: 상부기어 24b: 하부기어
25: 체인 스프라켓(Chain Sprocket) 26: 고하중 체인
30: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31: 탑승카측 와이어로프 릴(Reel)
32: 카운터웨이트측 와이어로프 릴 40: 피니언 구동부
42: 피니언(Pinion) 50: 정션 박스(Junction Box)
52: 수평 가이드 부재 54: 안전 난간
56: 비상탈출구 60: 테일 케이블(Tail Cable)
61: 방풍커버 62: 수직홈
70: 승강부재 71: 수직 플레이트(Plate)
72: 상부 플레이트 73; 하부 플레이트
74: 상부 휠(Wheel) 75: 하부 휠
76: 케이블 시브(Cable Sheave)
C: 탑승카 D: 탑승카 도어(Door)
S: 시브(Sheave) W: 와이어 로프(Wire Rope)

Claims (15)

  1. 화물을 적재하거나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탑승카(C)와, 상기 탑승카(C)에 구비되는 탑승카 도어(D)와, 건물의 외벽이나 건물 내부 승강로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마스트(Mast)(10)와, 상기 마스트에 구비되는 랙(Rack)(12)과, 상기 랙(12)과 치합되면서 승강하는 피니언(Pinion)(42)과, 상기 피니언(42)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40)와, 상기 탑승카(C)의 상부에 구비되는 정션 박스(50)와, 일단이 상기 정션 박스(50)와 연결되어 탑승카(C)와 함께 승강하는 테일 케이블(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10)와 랙(12)이 탑승카(C)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탑승카(C)의 하부에 비상정지 안전장치(20)가 구비되며,
    상기 탑승카(C)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비상정지 안전장치(20)는,
    탑승카(C)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는 가버너(Governer)(21)와,
    상기 가버너(21)와 조립되어 수평으로 구비되어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22)와,
    상기 회전 샤프트(22)의 좌우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세이프티 기어(23)와,
    상기 세이프티 기어(23)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기어(24a)와,
    상기 세이프티 기어(23)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기어(24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22)는 복수로 구성되고, 그 외주면에 체인 스프라켓(25)이 각각 구비되며,
    각 회전 샤프트에 구비된 체인 스프라켓(25)은 고하중 체인(26)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리프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10) 및 랙(12)은, 탑승카(C)의 좌측 및 우측에 복수의 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리프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C)의 상부에 구비되는 피니언(42)은 좌우측에 복수의 열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피니언(42)은 동기화 장치에 의해 동시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리프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마스트(10)에 2개의 랙(12)이 나란하게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랙(12)의 치형은 헬리컬 곡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42)은 더블 헬리컬 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리프트.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기어(23)는 랙(12)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기어(24a) 및 하부기어(24b)는 세이프티 기어(23) 및 랙(12)과 맞물려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리프트.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30)는 탑승카(C)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리프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C)의 상부에 안전난간(54)과 비상탈출구(5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리프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D)는 탑승카(C)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리프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C)와 카운터웨이트(30)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W)의 단부에 여분의 와이어로프를 감은 릴(31)(32)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리프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 케이블(60)을 강풍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풍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방풍장치는,
    탑승카(C)의 한쪽 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커버본체(61)와,
    상기 커버본체(61)의 내측에 구비되어 테일 케이블(60)과 함께 승강하는 승강부재(70)와,
    상기 탑승 카(C)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70)를 따라 승강하는 테일 케이블(60)을 정션박스(50)에 가이드하기 위한 수평 가이드부재(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리프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장치는,
    중앙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71)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71) 사이에 구비되어 테일 케이블(60)이 감기도록 하는 시브(7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리프트.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70)는,
    수직 플레이트(71)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72)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72)의 네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상부 휠(74)과,
    상기 수직 플레이트(71)의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73)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73)의 네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하부 휠(7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리프트.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70)의 상부 플레이트(72)의 양 측면에는, 테일 케이블(60)이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77)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커버본체(61)의 일측에는, 테일 케이블(60)이 인출되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홈(6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리프트.
KR1020200079360A 2020-06-29 2020-06-29 카운터웨이트와 복수열의 랙 및 피니언과 비상정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초대형 리프트 KR102215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360A KR102215908B1 (ko) 2020-06-29 2020-06-29 카운터웨이트와 복수열의 랙 및 피니언과 비상정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초대형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360A KR102215908B1 (ko) 2020-06-29 2020-06-29 카운터웨이트와 복수열의 랙 및 피니언과 비상정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초대형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908B1 true KR102215908B1 (ko) 2021-02-16

Family

ID=7468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360A KR102215908B1 (ko) 2020-06-29 2020-06-29 카운터웨이트와 복수열의 랙 및 피니언과 비상정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초대형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9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1693A (zh) * 2021-12-14 2022-04-08 南通吉程机械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底部自适应平衡结构
CN115259029A (zh) * 2022-06-23 2022-11-01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建筑施工现场升降装置
CN115288502A (zh) * 2022-08-02 2022-11-04 广东正合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的提升桥箱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7079A (ja) * 1995-04-06 1996-10-22 Etsuhara Yoshitada 工事用エレベータ
KR200233919Y1 (ko) 2001-01-13 2001-09-25 정인숙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KR20080055037A (ko) 2006-12-14 2008-06-19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건설/산업용 중고속 리프트의 안전장치
KR101007540B1 (ko) 2009-11-24 2011-01-14 유명철 건설공사용 리프트의 비상안전장치
CN102849573A (zh) * 2012-08-22 2013-01-02 中国建筑科学研究院建筑机械化研究分院 双导柱大载重量起重升降设备
KR101923924B1 (ko) * 2018-02-02 2018-11-30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JP2019014567A (ja) * 2017-07-06 2019-01-31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工事用エレベータ
KR200489586Y1 (ko) 2018-03-05 2019-07-08 덕성산업 주식회사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7079A (ja) * 1995-04-06 1996-10-22 Etsuhara Yoshitada 工事用エレベータ
KR200233919Y1 (ko) 2001-01-13 2001-09-25 정인숙 건축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KR20080055037A (ko) 2006-12-14 2008-06-19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건설/산업용 중고속 리프트의 안전장치
KR101007540B1 (ko) 2009-11-24 2011-01-14 유명철 건설공사용 리프트의 비상안전장치
CN102849573A (zh) * 2012-08-22 2013-01-02 中国建筑科学研究院建筑机械化研究分院 双导柱大载重量起重升降设备
JP2019014567A (ja) * 2017-07-06 2019-01-31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工事用エレベータ
KR101923924B1 (ko) * 2018-02-02 2018-11-30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KR200489586Y1 (ko) 2018-03-05 2019-07-08 덕성산업 주식회사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1693A (zh) * 2021-12-14 2022-04-08 南通吉程机械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底部自适应平衡结构
CN114291693B (zh) * 2021-12-14 2024-02-09 南通吉程机械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底部自适应平衡结构
CN115259029A (zh) * 2022-06-23 2022-11-01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建筑施工现场升降装置
CN115259029B (zh) * 2022-06-23 2024-02-27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建筑施工现场升降装置
CN115288502A (zh) * 2022-08-02 2022-11-04 广东正合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的提升桥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908B1 (ko) 카운터웨이트와 복수열의 랙 및 피니언과 비상정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초대형 리프트
KR101923924B1 (ko)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JPH09165106A (ja) 自動倉庫用貨物入出庫装置
JP2017077967A (ja) 大型船舶と海洋プラント建造用超大型エレベーター
CN111874780B (zh) 一种高速电梯降压导流罩
KR20090075475A (ko) 주차설비
WO2018139924A2 (en) Construction elevator
KR102378202B1 (ko) 기계실 및 승강로 구조물이 필요없는 싱글 마스트 구조의 로프식 트윈형 탑승카 자체구동 승강기
KR102494569B1 (ko)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는 4방향 입출형 로프식 고속 엘리베이터
KR101923925B1 (ko) 크레인 장착형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
JP4316514B2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KR101945205B1 (ko) 안전성·고하중적재가 우수한 모듈조립 적층식 고하중형 타워리프트장치
JP2620123B2 (ja) 建築工事用仮設揚重装置
JPH11217950A (ja) 駐車設備のターンテーブル装置
CN215924101U (zh) 一种港口双提升电梯
EP2457863B1 (en) Lifting device
KR102471610B1 (ko)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
CN114314263A (zh) 链轮曳引式别墅电梯
JPH0530758B2 (ko)
KR102402799B1 (ko) 기계실 및 승강로 구조물이 필요없는 트윈 마스트 구조의 로프식 탑승카 자체구동 고하중용 승강기
KR102443566B1 (ko) 수직개폐형 도어패널의 추락을 방지하고 도어 개폐시간을 단축시킨 대형 및 초대형 엘리베이터
JP4994949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の昇降装置
KR200167348Y1 (ko) 승강 구동부를 분리한 스태커 타입 주차설비
CN217732371U (zh) 链轮曳引式别墅电梯
KR102402802B1 (ko) 기계실이 운반가능하게 모듈화된 로프식 복수구동 고하중용 엘리베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