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586Y1 -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586Y1
KR200489586Y1 KR2020180000937U KR20180000937U KR200489586Y1 KR 200489586 Y1 KR200489586 Y1 KR 200489586Y1 KR 2020180000937 U KR2020180000937 U KR 2020180000937U KR 20180000937 U KR20180000937 U KR 20180000937U KR 200489586 Y1 KR200489586 Y1 KR 200489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vertical frame
building
side support
guide p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건수
Original Assignee
덕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0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프트의 측면에 건물외벽과 밀착되는 측면안전대를 설치하여 작업자나 화물의 출입시 추락위험을 줄이되, 상기 리프트의 승하강시 상기 측면안전대가 건물외벽에서 자동으로 떨어져서 외벽의 파손이 방지되고 리프트의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서로 떨어진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한쌍의 수평프레임으로 출입구가 형성되는 리프트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과 건물외벽 사이 틈새를 막아주는 측면안전대가 구비된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안전대는 다수의 가이드핀을 통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에 탄성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이동식으로 설치되어서 상기 틈새의 최소안전간격이 유지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Side safety device of construction lift}
본 고안은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트의 측면에 건물외벽과 밀착되는 측면안전대를 설치하여 작업자나 화물의 출입시 추락위험을 줄이되, 상기 리프트의 승하강시 상기 측면안전대가 건물외벽에서 자동으로 떨어져서 외벽의 파손이 방지되고 리프트의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리프트는 신축 아파트 현장에 주로 사용되는데, 각 층별로 인,화물을 실어 나를 때 사용된다. 이러한 건설리프트는 건물의 외벽에 수직으로 설치된 마스터를 타고 이동되면서 각 층에 정차하여 출입문을 여닫는 구조인데, 상기 리프트를 이용할 때 건물의 외벽과 리프트의 출입구 사이에 공간이 없어야 추락사고를 막을 수 있다. 산업안전보건관리법규에는 리프트와 건물 외벽이 40mm 이내로 되어 있다.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리프트는 건물과 충돌을 피하기 위해 건물외벽과 최대 150mm 이상 떨어지게 되므로, 각 층에 정차된 리프트에서 안전한 출입을 위하여 리프트에 회동식 발판이 설치된다.
또는 국내실용등록 제460307호 처럼 리프트의 출입구 하단에 발판을 마련하여 건물 바닥과 연결하되 상기 리프트의 승하강 및 보행자의 출입에 지장을 주지 않고 상기 건물과 리프트의 최소 안전간격(40mm 이내)이 유지되도록 상기 발판을 상기 출입구 하단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상기 리프트를 출입할 때 발판을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용이 편리하고, 또한 각 층마다 발판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건설리프트의 발판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리프트의 측면과 건물외벽은 최소 안전간격 이상 떨어진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리프트에서 건물 실내로 출입하는 과정에서 부주의할 경우 측면에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끼거나 또는 화물이 걸려 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리프트의 측면에 건물외벽과 밀착되는 측면안전대를 설치하여 작업자나 화물의 출입시 추락위험을 줄이되, 상기 리프트의 승하강시 상기 측면안전대가 건물외벽에서 자동으로 떨어져서 외벽의 파손이 방지되고 리프트의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리프트의 측면에 건물외벽과 최소안전간격을 유지하는 측면안전대를 설치하여 작업자나 화물의 출입시 추락위험을 줄이되, 상기 측면안전대가 탄성적으로 설치되어서 외벽의 장애물에 추돌 되더라도 파손이 방지되고 리프트의 운행에 지장을 주지않는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서로 떨어진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한쌍의 수평프레임으로 출입구가 형성되는 리프트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과 건물외벽 사이 틈새를 막아주는 측면안전대가 구비된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안전대는 다수의 가이드핀을 통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에 탄성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이동식으로 설치되어서 상기 틈새의 최소안전간격이 유지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리프트의 측면에 건물외벽과 밀착되거나 또는 최소안전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측면안전대가 설치된다. 상기 리프트는 건물 외벽에 고정되는 마스터를 따라 승강되는데, 리프트와 외벽은 추돌을 막기 위하여 약 150mm정도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리프트가 건물의 각 층에 도착되면 건물 외벽과 리프트 사이의 공간이 많이 벌어져서 작업자나 화물의 출입시 추락위험이 항상 존재하게 되는데, 본 고안은 측면안전대를 통하여 이를 해소한 것이다.
상기 측면안전대는 리프트의 승하강시 건물외벽에서 자동으로 떨어졌다가 리프트가 해당 층에 도착되면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게 하거나 또는 측면안전대가 최소안전간격 범위내에서 반자동식의 탄성적으로 설치되게 할 수 있다. 자동식의 경우 측면안전대가 외벽과 밀착되므로 안전사고를 확실하게 막을 수 있으며, 반자동식의 경우 구조가 간단하므로 가격이 저렴한 이점이 있으며, 건물 외벽과 리프트의 출입구 사이 간격이 산업안전보건관리법규를 만족하는 조건이 되므로 리프트의 안전운행이 보장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한 실시예의 리프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한 실시예의 리프트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한 실시예의 리프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리프트의 단면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본 고안 한 실시예의 리프트(10)는 양쪽의 수직프레임(11)과 상하측의 수평프레임(12)에 의해 출입구(10a)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10a)의 하단에는 건물의 실내로 출입하기 위한 발판(14)이 구비된다. 발판(14)은 건물외벽(40)과 리프트(10) 사이 공간을 좁혀서 작업자나 화물의 추락을 막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각 수직프레임(11)에 건물외벽(40)과의 사이 공간을 좁히는 측면안전대(20)가 구비된다. 상기 측면안전대(20)는 리프트(10)의 운행중에는 상기 건물외벽(40)에서 떨어지고, 리프트(10)가 해당 층에 정차되면 자동으로 펼쳐져서 건물외벽(40)에 밀착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1)에는 다수의 핀구멍(11a)이 다단으로 천공되고, 상기 측면안전대(20)에는 상기 핀구멍(11a)으로 끼워져서 상기 측면안전대(20)가 상기 수직프레임(11)과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하는 다수의 가이드핀(21)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핀(21)은 상기 핀구멍(11a)에 헐겁게 끼워져서 상기 측면안전대(20)가 상기 수직프레임(11)과 건물외벽(40) 사이에서 왕복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안전대(20)의 중앙에는 래크(22)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에는 상기 래크(22)가 출입되는 래크구멍(11b)이 천공되며, 상기 리프트(10)의 측판(14)에는 상기 래크(22)에 치합되는 피니언(31)을 갖는 모터(30)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30)는 감속기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스태핑모터의 일종으로 리프트(1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통하여 동작 제어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 한 실시예는 도 3(a)에서와 같이 리프트(10)의 운행 중에는 상기 측면안전대(20)가 건물외벽(40)에서 떨어져 수직프레임(11)에 밀착된 상태가 되므로 리프트의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도 3(b)에서와 같이 리프트(10)가 해당 층에 도착되면 모터(30)의 작동으로 피니언(31)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이와 치합된 래크(22)가 전진되고 이때 측면안전대(20)가 가이드핀(21)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어서 건물외벽(40)에 밀착된다.
상기 가이드핀(21)들은 상기 측면안전대(20)에 다단으로 구비되므로 이들 가이드핀(21)들이 난간의 역할도 겸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나 화물의 출입시 건물외벽(40)과 리프트(10) 사이 틈새로 추락되거나 또는 끼이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리프트(10)가 다시 운행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모터(30)를 역회전시키면 래크(22)가 후진되어 원위치되는 과정에서 측면안전대(20)가 가이드핀(21)을 따라 이동되어서 수직프레임(11)에 밀착된다.
도 4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측면안전대(20)에 다수의 가이드핀(21)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에는 상기 가이드핀(21)이 헐겁게 끼워지는 핀구멍(11a)이 천공된 점은 본 고안 한 실시예와 동일 구성을 갖는다. 단지 상기 측면안전대(20)의 중앙에 볼트부(22a)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에는 상기 볼트부(22a)가 헐겁게 끼워지는 볼트구멍(11c)이 천공되며, 상기 볼트부(22a)가 상기 볼트구멍(11c)을 관통한 상태에서 체결되는 너트부(22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핀(21)에는 외주면에 스프링(21a)이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 다른 실시예는 상기 측면안전대(20)가 수직프레임(11)에 스프링(21a)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수직프레임(11)과 측면안전대(20)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핀(21)에 끼워진 스프링(21a)이 구비되어서 이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려고 하는데, 상기 너트부(22b)가 상기 볼트부(22a)에 체결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측면에 걸린 상태가 되므로 상기 측면안전대(20)와 수직프레임(11)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반대로 상기 측면안전대(20)를 상기 수직프레임(11) 쪽으로 누르면 스프링(21a)이 압축되면서 상기 측면안전대(20)가 탄성적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안전대(20)가 상기 수직프레임(11)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리프트(10)의 운행중에 상기 건물외벽(40)에 예측 불가능한 장애물이 불시에 발생되더라도 상기 측면안전대(20)가 이러한 장애물을 타고 넘을 수 있으므로 측면안전대(20)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측면안전대(20)는 고정식이 아니므로 상기 너트부(22b)를 풀고 조이는 량에 따라서 상기 볼트부(22a)가 당겨지거나 멀어지게 되는데, 이때 측면안전대(20)와 수직프레임(11)사이 간격이 조정되므로 건설현장에 따라서 상기 측면안전대(20)의 설치위치를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10 : 리프트 11 : 수직프레임
11a : 핀구멍 11b : 래크구멍
11c : 볼트구멍 12 : 수평프레임
20 : 측면안전대 21 : 가이드핀
21a : 스프링 22 : 래크
22a : 볼트부 22b : 너트부
30 : 모터 31 : 피니언

Claims (3)

  1. 삭제
  2. 서로 떨어진 한쌍의 수직프레임(11)과 한쌍의 수평프레임(12)으로 출입구(10a)가 형성되는 리프트(10)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과 건물외벽(40) 사이 틈새를 막아주는 측면안전대(20)가 구비되며, 상기 측면안전대(20)는 다수의 가이드핀(21)을 통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1)에 이동식으로 설치되어서 상기 틈새의 최소안전간격이 유지되도록 한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안전대(20)에는 다단으로 다수의 가이드핀(21)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에는 상기 가이드핀(21)들이 헐겁게 끼워지는 핀구멍(11a)이 천공되며;
    상기 측면안전대(20)의 중앙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1)의 래크구멍(11b)으로 헐겁게 끼워지는 래크(22)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리프트(10)의 측판에는 상기 래크(22)와 치합되는 피니언(31)을 정역회전시키는 모터(30)가 구비되어서 상기 리프트(10)가 건물의 해당 층에 도착되면 상기 피니언(31)의 회전으로 상기 측면안전대(20)가 상기 건물외벽(40)에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
  3. 서로 떨어진 한쌍의 수직프레임(11)과 한쌍의 수평프레임(12)으로 출입구(10a)가 형성되는 리프트(10)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과 건물외벽(40) 사이 틈새를 막아주는 측면안전대(20)가 구비되며, 상기 측면안전대(20)는 다수의 가이드핀(21)을 통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1)에 탄성적으로 설치되어서 상기 틈새의 최소안전간격이 유지되도록 한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안전대(20)에는 다단으로 다수의 가이드핀(21)이 구비되고, 상기 각 가이드핀(21)에는 스프링(21a)이 끼워지며;
    상기 수직프레임(11)에는 상기 가이드핀(21)들이 헐겁게 끼워지는 핀구멍(11a)이 천공되고;
    상기 측면안전대(20)의 중앙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1)에 천공된 볼트구멍(11c)에 헐겁게 끼워지는 볼트부(22a)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볼트부(22a)가 상기 수직프레임(11)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되빠지지 않게 고정하는 너트부(22b)가 구비되어서 상기 측면안전대(20)가 상기 수직프레임(11)에 스프링(21a)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
KR2020180000937U 2018-03-05 2018-03-05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 KR200489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937U KR200489586Y1 (ko) 2018-03-05 2018-03-05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937U KR200489586Y1 (ko) 2018-03-05 2018-03-05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586Y1 true KR200489586Y1 (ko) 2019-07-08

Family

ID=6722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937U KR200489586Y1 (ko) 2018-03-05 2018-03-05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908B1 (ko) 2020-06-29 2021-02-16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카운터웨이트와 복수열의 랙 및 피니언과 비상정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초대형 리프트
KR102258349B1 (ko) * 2020-11-10 2021-05-31 이상진 내민 발판이 구비된 건설용 리프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2255A (ja) * 2001-06-28 2003-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引戸の安全装置
KR20060066095A (ko) * 2006-02-17 2006-06-1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연장가능한 문지방을 가진 승강기 조립체
JP2007302404A (ja) * 2006-05-11 2007-11-2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KR20110077525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세인테크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출입 가이드장치
JP5889219B2 (ja) * 2013-01-25 2016-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敷居隙間閉塞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2255A (ja) * 2001-06-28 2003-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引戸の安全装置
KR20060066095A (ko) * 2006-02-17 2006-06-1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연장가능한 문지방을 가진 승강기 조립체
JP2007302404A (ja) * 2006-05-11 2007-11-2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KR20110077525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세인테크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출입 가이드장치
JP5889219B2 (ja) * 2013-01-25 2016-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敷居隙間閉塞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908B1 (ko) 2020-06-29 2021-02-16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카운터웨이트와 복수열의 랙 및 피니언과 비상정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초대형 리프트
KR102258349B1 (ko) * 2020-11-10 2021-05-31 이상진 내민 발판이 구비된 건설용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25176B (fi) Turvalaitteistojärjestelyllä varustettu hissi
US7140473B2 (en) Safety top balustrade for a car of a machine room-less elevator
RU2478556C2 (ru) Схема возврата в исходное состояние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й цепи лифта
EP3257803B1 (en)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KR200489586Y1 (ko) 건설리프트의 측면 안전장치
US10947087B2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US11174124B2 (en) Elevator car
US20170174474A1 (en)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maintenance operation of an elevator
EP1673302B1 (en) Method for mounting a car drive machine, especially for elevators without any machine room, and elevator obtained
US20120205197A1 (en) Elevator life safety gate
CN107098236B (zh) 电梯检修面板
CN107810157B (zh) 井道中的电梯轿厢位置区域
CN205739951U (zh) 一种消防电梯轿壁
KR102331751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
CN209974025U (zh) 带安全开关的电梯底坑爬梯构造及电梯
EP2075211A1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apparatuses and elevator apparatus comprising said safety device
US20150060211A1 (en) Fall prevention device for an elevator
CN110709345B (zh) 相对于作业平台的附加平台
US11225395B2 (en) Arrangement for evacuating persons from an elevator car
KR200389633Y1 (ko)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승강카
EP2325128B1 (de) Aufzuganlage für Personen und/oder Lasten mit zumindest einer Aufzugkabine
KR200460307Y1 (ko) 건설리프트의 발판구조
KR200477750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조립체의 상부이탈방지 구조
KR102428036B1 (ko)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KR102428037B1 (ko)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