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307Y1 - 건설리프트의 발판구조 - Google Patents
건설리프트의 발판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0307Y1 KR200460307Y1 KR2020120000880U KR20120000880U KR200460307Y1 KR 200460307 Y1 KR200460307 Y1 KR 200460307Y1 KR 2020120000880 U KR2020120000880 U KR 2020120000880U KR 20120000880 U KR20120000880 U KR 20120000880U KR 200460307 Y1 KR200460307 Y1 KR 20046030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
- scaffold
- building
- floor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프트의 출입구 하단에 발판을 마련하여 건물 바닥과 연결하되 상기 리프트의 승하강 및 보행자의 출입에 지장을 주지 않고 상기 건물과 리프트의 최소 안전간격(40mm 이내)이 유지되도록 상기 발판을 상기 출입구 하단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상기 리프트를 출입할 때 발판을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용이 편리하고, 또한 각 층마다 발판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건설리프트의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리프트와 건물 슬라브의 턱 사이에 발판을 설치하여 추락사고를 방지한 건설리프트의 발판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의 출입구 하단부에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브래킷의 상단에 마련된 고정편에는 상기 리프트의 실내바닥과 수평을 이루는 발판이 볼트체결되는데, 상기 발판과 고정편에는 상기 볼트가 끼워지는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발판과 건물 슬라브의 턱 간격이 40mm 이내로 조정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리프트와 건물 슬라브의 턱 사이에 발판을 설치하여 추락사고를 방지한 건설리프트의 발판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의 출입구 하단부에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브래킷의 상단에 마련된 고정편에는 상기 리프트의 실내바닥과 수평을 이루는 발판이 볼트체결되는데, 상기 발판과 고정편에는 상기 볼트가 끼워지는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발판과 건물 슬라브의 턱 간격이 40mm 이내로 조정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건설리프트의 발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트의 출입구 하단에 발판을 마련하여 건물 바닥과 연결하되 상기 리프트의 승하강 및 보행자의 출입에 지장을 주지 않고 상기 건물과 리프트의 최소 안전간격(40mm 이내)이 유지되도록 상기 발판을 상기 출입구 하단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상기 리프트를 출입할 때 발판을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용이 편리한 건설리프트의 발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리프트는 신축 아파트 현장에 주로 사용되는데, 각 층별로 인,화물을 실어나를 때 사용된다. 이러한 건설리프트는 건물의 외벽에 수직으로 설치된 마스터를 타고 이동되면서 각 층에 정차하여 출입문을 여닫는 구조인데, 상기 리프트를 이용할 때 건물의 외벽과 리프트의 출입구 사이에 공간이 없어야 추락사고를 막을 수 있다. 산업안전보건관리법규에는 리프트와 건물 외벽이 40mm 이내로 되어 있다.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리프트는 건물과 충돌을 피하기 위해 건물 외벽과 최대 150mm 이상 떨어지게 되므로, 각 층에 정차된 리프트에서 안전한 출입을 위하여 리프트에 회동식 발판이 설치되었다. 운행 중에는 상기 회동식 발판을 리프트의 내부로 수납하고, 각 층에 멈춰 작업을 할 때는 펼쳐서 리프트와 층간 슬라브를 연결하였다.
그러나 각 층에서 매번 회동식 발판을 내리거나 들어올려야 되므로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회동식 발판이 건물 슬라브의 턱에 강하게 놓이면서 슬라브 턱이 깨지는 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국내특허 제1006364호에는 각 층마다 슬라브의 턱에 보조발판을 설치하여 리프트와 건물 외벽의 틈새를 40mm 이내로 맞춘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각 층마다 보조발판을 설치해야 되므로 부품 및 제작비가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건물 슬라브의 턱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보조발판을 나사조이는 식으로 고정해야되는데, 슬라브 턱이 콘크리트로 되어 있어 안전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리프트의 출입구 하단에 발판을 마련하여 건물 바닥과 연결하되 상기 리프트의 승하강 및 보행자의 출입에 지장을 주지 않고 상기 건물과 리프트의 최소 안전간격(40mm 이내)이 유지되도록 상기 발판을 상기 출입구 하단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상기 리프트를 출입할 때 발판을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용이 편리하고, 또한 각 층마다 발판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건설리프트의 발판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리프트와 건물 슬라브의 턱 사이에 발판을 설치하여 추락사고를 방지한 건설리프트의 발판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의 출입구 하단부에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브래킷의 상단에 마련된 고정편에는 상기 리프트의 실내바닥과 수평을 이루는 발판이 볼트체결되는데, 상기 발판과 고정편에는 상기 볼트가 끼워지는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발판과 건물 슬라브의 턱 간격이 40mm 이내로 조정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리프트의 출입구 하단에 발판이 구비되는데, 상기 발판은 현장에서 볼트로 체결 고정된다. 상기 리프트는 건설현장마다 그 설치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건물 외벽에 마스터를 이용하여 설치되면 리프트와 외벽의 간격이 결정된다. 보통 150mm정도 떨어지게 되는데, 상기 간격을 안전규정인 40mm 이내로 맞추기 위하여 상기 발판을 리프트의 출입구 하단에 고정시킨다.
상기 발판은 체결위치가 조정되도록 장공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발판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판 하부에 연결편이 구비된다. 상기 리프트의 출입구 하단에는 브래킷에 보강편이 마련되어 상기 연결편이 보강편에 볼트 체결되면 상기 발판의 처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에 발판이 고정되면 건물 외벽과 리프트의 출입구 사이 간격이 산업안전보건관리법규를 만족하는 조건이 되므로 건물의 층마다 별도의 발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리프트에 회동식 발판을 구비할 필요도 없으므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사용이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한 실시예의 발판의 평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한 실시예의 발판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한 실시예의 발판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한 실시예의 발판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한 실시예의 발판의 설치상태 단면도
본 고안 한 실시예의 발판(20)은 리프트(10)의 출입구 하단부(13)에 설치되는데, 상기 발판(20)은 상기 리프트(10)의 실내바닥(12)과 수평이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출입구 하단부(13)에는 발판(20)을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30)이 용접되는데, 상기 브래킷(30)에는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편(31)이 돌출된다.
상기 고정편(31)에 상기 발판(20)이 놓이면 상기 고정편(31)과 발판(20)에 형성된 장공(21)(32)이 일치되고 이들 장공(21)(32)에 볼트(40) 및 너트(41)를 이용하여 이들 고정편(31)과 발판(20)을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발판(20)의 하부에는 상기 브래킷(30) 쪽으로 돌출되는 연결편(22)이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브래킷(30)의 하부에도 상기 연결편(22)과 대응되는 다수개의 보강편(33)이 구비되며, 이들 보강편(33) 및 연결편(22)에 장공(23)(34)이 각각 형성되어 이들에 볼트(40) 및 너트(41)가 체결되어 상기 발판(20)의 처짐이 보완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리프트(10)의 출입구(11) 하부에 출입구 하단부(13)가 구비되는데, 상기 출입구 하단부(13)에는 브래킷(30)이 용접된다. 상기 브래킷(30)에는 수평으로 고정편(31)이 구비되는데, 상기 리프트(10)의 실내바닥(12)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고정편(31)에 상기 발판(20)이 놓이면 상기 발판(20)과 실내바닥(12)의 높이가 맞아 출입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상기 발판(20)은 상부가 고정편(31)에 볼트체결되고, 하부의 연결편(22)은 보강편(33)에 볼트 체결되어 처짐이 방지된 상태로 양쪽에서 고정된다. 이때 발판(20)과 건물 슬라브(50)의 턱 간격(d)을 40mm 이내로 조정한다. 상기 리프트(10)는 건물 외벽에 설치된 마스터를 타고 승강되기 때문에 외벽과 리프트(10)의 간격이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발판(20)과 건물 슬라브(50)의 턱 간격도 변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안전하게 건물과 리프트를 출입할 수 있다.
10 : 리프트 11 : 출입구
12 : 실내바닥 13 : 출입구 하단부
20 : 발판 21 : 장공
22 : 연결편 23 : 장공
30 : 브래킷 31 : 고정편
32 : 장공 33 : 보강편
34 : 장공
12 : 실내바닥 13 : 출입구 하단부
20 : 발판 21 : 장공
22 : 연결편 23 : 장공
30 : 브래킷 31 : 고정편
32 : 장공 33 : 보강편
34 : 장공
Claims (2)
- 리프트(10)와 건물 슬라브(50)의 턱 사이에 발판(20)을 설치하여 추락사고를 방지한 건설리프트의 발판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10)의 출입구 하단부(13)에 브래킷(30)이 구비되고,
상기 브래킷(30)의 상단에 마련된 고정편(31)에는 상기 리프트(10)의 실내바닥(12)과 수평을 이루는 발판(20)이 볼트체결되는데, 상기 발판(20)과 고정편(31)에는 상기 볼트가 끼워지는 장공(21)(32)이 형성되어 상기 발판(20)과 건물 슬라브(50)의 턱 간격이 40mm 이내로 조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리프트의 발판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2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연결편(22)이 구비되고,
상기 브래킷(30)에는 상기 연결편(22)과 대응되는 보강편(33)이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연결편(22)과 보강편(33)은 볼트체결되는데, 상기 연결편(22) 및 보강편(33)에는 장공(23)(34)이 형성되어 볼트가 상기 장공(23)(34)으로 끼워져 상기 발판(20)의 간격이 조정된 상태로 처짐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리프트의 발판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0880U KR200460307Y1 (ko) | 2012-02-06 | 2012-02-06 | 건설리프트의 발판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0880U KR200460307Y1 (ko) | 2012-02-06 | 2012-02-06 | 건설리프트의 발판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0307Y1 true KR200460307Y1 (ko) | 2012-05-21 |
Family
ID=46607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0880U KR200460307Y1 (ko) | 2012-02-06 | 2012-02-06 | 건설리프트의 발판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030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8349B1 (ko) * | 2020-11-10 | 2021-05-31 | 이상진 | 내민 발판이 구비된 건설용 리프트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6364B1 (ko) | 2008-05-09 | 2011-01-10 | 탑시스템 주식회사 | 리프트용 보조발판 |
-
2012
- 2012-02-06 KR KR2020120000880U patent/KR200460307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6364B1 (ko) | 2008-05-09 | 2011-01-10 | 탑시스템 주식회사 | 리프트용 보조발판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8349B1 (ko) * | 2020-11-10 | 2021-05-31 | 이상진 | 내민 발판이 구비된 건설용 리프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149301A1 (en) | Architectual climbing system with improved structural stability | |
CN201506699U (zh) | 电动施工升降桥架 | |
CN203531344U (zh) | 工具式脚手架 | |
US10309094B2 (en) | Building access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building with such a building access system | |
JP2021533294A (ja) | 多層階構造物及びファサードの構築方法 | |
CN206707237U (zh) | 用于电梯安装的斜拉式顶层施工平台 | |
CN101876209B (zh) | 超高层建筑核心筒施工安全防火系统装置 | |
KR101499811B1 (ko) | 선조립 벽체 골조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선조립 벽체의 시공 방법 | |
KR200460307Y1 (ko) | 건설리프트의 발판구조 | |
KR101867005B1 (ko) | 조립식 핸드 레일 | |
KR200415037Y1 (ko) | 지씨에스용 갱폼 레벨 조절장치 | |
CN102733586A (zh) | 一种脚手车 | |
KR101111234B1 (ko) |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 |
KR20120097839A (ko) | 개구부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 |
EP2706167B1 (en) | Wall bracket | |
JP6218161B2 (ja) | エレベータ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及び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の組立方法 | |
KR200426327Y1 (ko) | 거푸집 고정핀의 낙하방지 구조 | |
KR100901016B1 (ko) |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 |
CN203769322U (zh) | 一种悬挑式进卸料装置 | |
KR20130116451A (ko) |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 |
CN205153577U (zh) | 一种工具梯 | |
CN205743987U (zh) | 一种盾构施工用人行走道 | |
CN203834912U (zh) | 一种电梯安装用平台 | |
KR102121363B1 (ko) | 기능성 지지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건축구조물 | |
KR100767973B1 (ko) | 건축물의 안전 그물망 설치구조와 그 설치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