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234B1 -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1234B1 KR101111234B1 KR1020080098108A KR20080098108A KR101111234B1 KR 101111234 B1 KR101111234 B1 KR 101111234B1 KR 1020080098108 A KR1020080098108 A KR 1020080098108A KR 20080098108 A KR20080098108 A KR 20080098108A KR 101111234 B1 KR101111234 B1 KR 1011112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coupled
- frame
- bar
- safety n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에 엘리베이터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가설 작업대는 평행한 걸침바의 하부에 사각박스의 테두리형태를 갖는 프레임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 또는 외측에 사이드 안전망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된 걸침바의 일측이 프레임으로부터 일측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형성하여 상기 연장부가 엘리베이터 입,출구측의 하부에 걸쳐지도록 안착되고, 상기 걸침바의 타측에 상기 연장부와 대응되는 거치부가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가 엘리베이터 입,출구와 대응되는 엘리베이터 피트 내벽에 맞대어져 고정되고, 상기 걸침바와 대응되는 프레임의 하부에 언더 안전망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걸침바, 프레임, 연장부, 사이드 안전망, 거치부, 언더 안전망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엘리베이터 피트의 승강장 입,출구측에 평행한 걸침바의 일측이 걸쳐지도록 하며 걸침바의 타측에 결합된 거치부가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벽에 압착되어지고, 하부에는 안전망이 결합되어지며 내측 또는 외측에 사이드 안전망이 결합된 프레임이 걸침바 사이의 하부로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건축 구조물의 엘리베이터 피트 폭이 좁을 경우 상,하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입,출구측과 엘리베이터 피트 내벽측 사이의 공간에 이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들어가 엘리베이터 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평상시 엘리베이터 승강장 입,출구측과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측벽 사이로 제공되는 공간에 가설 작업대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승강장 입,출구측을 통해 작업자 또는 물건이 엘리베이터 피트의 바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의 각 층에는 사람이나 화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균형추, 케이블 및 도르래 장치를 이용하여 전동기로 작동되어지는 엘리베이터(Elevator)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는 구조물의 일측 공간을 할애한 엘리베이터 피트에 설치되어지고,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벽면에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과 카측 가이드레일이 직접 고정 설치되어지거나 별도의 엘리베이터 구조물에 의하여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설치되어지는 구조물은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측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다수개의 수직봉과 수평봉이 결합된 비계를 설치한 후 비계에 발판을 결합시켜 작업자가 발판에 올라가 외부로부터 공급된 철골바(재)를 앵커볼트 등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에 고정 결합시켜 엘리베이터 구조물이 시공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다수개의 엘리베이터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미리 비계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많은 수직봉과 수평봉이 소요되어지게 되며 이를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과정이 더 소요되어짐으로써, 그 만큼의 작업시간과 비용이 더 소요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엘리베이터 피트에 연결되어지도록 형성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입,출구측을 통해 작업자 또는 물건 등이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부로 낙하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건축 구조물의 엘리베이터 피트 폭이 좁을 경우 상,하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입,출구측과 엘리베이터 피트 내벽측 사이의 공간에 가설 작업대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밟고 들어가 엘리베이터 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평상시 엘리베이터 승강장 입,출구측과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측벽 사이로 제공되는 공간에 가설 작업대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승강장 입출구측을 통해 작업자 또는 물건이 엘리베이터 피트의 바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에 엘리베이터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A)에 있어서, 상기 가설 작업대(A)는 평행한 걸침바(100)의 하부에 사각박스의 테두리형태를 갖는 프레임(110)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사이드 안전망(120)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 결합된 걸침바(100)의 일측이 프레임(110)으로부터 일측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11)를 형성하여 상기 연장부(111)가 엘리베이터 입,출구측의 하부에 걸쳐지도록 안착되고, 상기 걸침바(100)의 타측에 상기 연장부(111)와 대응되는 거치부(130)가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130)가 엘리베이터 입,출구측과 대응되는 엘리베이터 피트 내벽에 맞대어져 고정되고, 상기 걸침바(100)와 대응되는 프레임(110)의 하부에 언더 안전망(140)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의 승강장 입,출구측에 평행한 걸침바의 일측이 걸쳐지도록 하며 걸침바의 타측에 결합된 거치부가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벽에 압착되어지고, 하부에는 안전망이 결합되어지며 내측 또는 외측에 사이드 안전망이 결합된 프레임이 걸침바 사이의 하부로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건축 구조물의 엘리베이터 피트 폭이 좁을 경우 상,하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입,출구측과 엘리베이터 피트 내벽측 사이의 공간에 이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들어가 엘리베이터 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공기를 단축시켜 비용 지출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평상시 엘리베이터 승강장 입,출구측과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측벽 사이로 제공되는 공간에 가설 작업대가 설치되어 통로가 차단되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됨에 따라 승강장 입,출구측을 통해 작업자 또는 물건이 엘리베이터 피트의 바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작업대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피트를 갖는 구조물 의 평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작업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작업대가 엘리베이터 피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A)는 엘리베이터 피트(200) 및 엘리베이터 피트(200)에 연결된 승강장의 입,출구(210)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피트(200)의 내부로 엘리베이터 구조물(300)이 용이하게 설치되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평상시 작업자 또는 물건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제공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가설 작업대(A)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갖는 평행한 걸침바(100)의 하부에 사각박스의 테두리형태를 갖는 프레임(110)의 상부가 용접 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사이드 안전망(120)이 결합되어 작업자 또는 공구 등의 물건이 하부로 낙하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걸침바(100)의 일측이 프레임(110)으로부터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된 연장부(111)를 형성하여 상기 연장부(111)가 엘리베이터 승강장인 출,입구측의 하부에 안착되어지게 걸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침바(100)의 타측에는 상기 연장부(111)와 대응되는 거치부(130)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입,출구(210)와 대응되는 엘리베이터 피트(200)의 내벽에 맞대어 고정되어 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거치부(13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걸침바(100)의 타측으로 형성된 암나사홈(131)에 거치바(132)의 일측에 형성된 숫나사(133)가 나사 결합되어지고, 상기 거치바(132)의 타측에 수직판(134)이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피트(200)의 내벽에 맞대어지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걸침바(100)의 상부에는 관통홈(151)이 형성된 와이어 고정편(150)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와이어 고정편(150)의 관통홈(151)에 고정 와이어(160)의 일측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 와이어(160)의 타측이 상부층의 엘리베이터 입,출구(201')에 걸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와이어(160)는 엘리베이터 입,출구(210)와 엘리베이터 피트(200)의 내벽 사이로 제공되어지는 공간에 가설 작업대(A)가 설치되어지는 과정에서 엘리베이터 피트(200)의 공간으로 가설작업대(A)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해체시 상기 고정 와이어(160)를 당김으로써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걸침바(100)와 대응되는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언더 안전망(140)이 결합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밟고 그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고, 언더 안전망(140)의 망사에 의하여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A)는 먼저, 프레임(110)의 상부에 걸침바(100)가 평행한 상태를 갖도록 용접 이음으로 결합시킨 후 프레임(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안전망(120)이 결합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걸침바(100)의 타측에 형성된 암나사홈(131)에 거치바(132)의 일측에 형성된 숫나사(133)가 결합되어지도록 하여 하나의 가설 작업대(A)를 얻는다.
이러한 가설 작업대(A)의 설치는 별도의 미도시한 윈치 등을 이용하여 가설 작업대(A)가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입,출구(210)로부터 엘리베이터 피트(200)의 내벽면이 있는 곳으로 이동시킨 후 걸침바(100)에 형성된 연장부(111)가 엘리베이터 출입구(210)측에 걸쳐지도록 내려 놓음과 동시에 걸침바(100)의 타측에 형성된 거치부(130)의 수직판(134)이 엘리베이터 피트(200)의 내벽면에 맞대어지도록 한다.
이때 프레임(110)의 상부에 결합된 걸침바(100)는 도4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걸침바(100)의 하부에 결합된 사이드망(120), 프레임(110), 작업자 및 작업도구의 무게로 인하여 가설 작업대(A)가 하부로 처지는 과정에서 그 무게(힘)로 인하여 고정되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거치부(130)의 수직판(134) 또는 거치바(132)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거치바(132)가 걸침바(100)의 암나사홈(131)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어 길이가 조절되어짐으로써, 경사각이 동시에 조절되어지게 된다.
다음, 고정편(150)의 관통홈(151)에 일측이 걸려지도록 고정된 고정 와이어(160)의 타측을 상부층 엘리베이터 입,출구(210')에 걸려지도록 하는 것으로 가설 작업대(A)의 설치가 마무리된다. 이후, 가설 작업대(A)에 작업자가 올라가 엘리베이터 피트(200)의 내부 공간벽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300)을 설치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가설 작업대(A)의 프레임(110)의 내측 또는 외측의 하부측으로 사이드 안전망(120)이 결합되어지도록 하였으나,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이드 안전망(120)이 프레임(110)의 높이로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할 수 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작업대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피트를 갖는 구조물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작업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작업대가 엘리베이터 피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가설 작업대가 엘리베이터 피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걸침바 110:프레임
111:연장부 120:사이드 안전망
130:거치부 140:언더 안전망
Claims (3)
- 엘리베이터 피트에 엘리베이터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A)에 있어서,상기 가설 작업대(A)는 평행한 걸침바(100)의 하부에 사각박스의 테두리형태를 갖는 프레임(110)의 상부가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사이드 안전망(120)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 결합된 걸침바(100)의 일측이 프레임(110)으로부터 일측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11)를 형성하여 상기 연장부(111)가 엘리베이터 입,출구의 하부에 걸쳐지도록 안착되고, 상기 걸침바(100)의 타측에 상기 연장부(111)와 대응되는 거치부(130)가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130)가 엘리베이터 입,출구와 대응되는 엘리베이터 피트 내벽에 맞대어져 고정되고, 상기 걸침바(100)와 대응되는 프레임(110)의 하부에 언더 안전망(140)이 결합되어지고,상기 거치부(130)는 걸침바(100)의 타측으로 형성된 암나사홈(131)에 거치바(132)의 일측에 형성된 숫나사(133)가 나사 결합되어지고, 상기 거치바(132)의 타측에 수직판(134)이 결합되어지며,상기 걸침바(100)의 상부에는 관통홈(151)이 형성된 와이어 고정편(150)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와이어 고정편(150)의 관통홈(151)에 고정 와이어(160)의 일측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 와이어(160)의 타측이 상부층의 엘리베이터 입출구에 걸려짐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8108A KR101111234B1 (ko) | 2008-10-07 | 2008-10-07 |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8108A KR101111234B1 (ko) | 2008-10-07 | 2008-10-07 |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8939A KR20100038939A (ko) | 2010-04-15 |
KR101111234B1 true KR101111234B1 (ko) | 2012-02-21 |
Family
ID=42215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8108A KR101111234B1 (ko) | 2008-10-07 | 2008-10-07 |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123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05397A (zh) * | 2017-11-27 | 2018-05-08 |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 钢筋混凝土电梯井道施工用安全防护方法 |
KR20230013496A (ko) | 2021-07-19 | 2023-01-26 | 망치개발 주식회사 |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897999B (zh) * | 2021-11-03 | 2022-10-14 | 中建四局建设发展有限公司 | 一种地铁上盖项目施工电梯基础结构的施工方法 |
KR102681565B1 (ko) | 2023-03-14 | 2024-07-03 | 이상선 |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91632U (ja) * | 1984-05-29 | 1985-12-19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タの据付作業用足場 |
KR960004045B1 (ko) * | 1992-12-12 | 1996-03-25 | 함영수 | 엘리베이터 설치용 착탈식 작업대 |
JPH09194160A (ja) * | 1996-01-16 | 1997-07-29 |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 エレベータの据付用足場装置 |
JP2003292265A (ja) | 2002-03-29 | 2003-10-15 | Toshiba Elevator Co Ltd | エレベータの据付用足場 |
-
2008
- 2008-10-07 KR KR1020080098108A patent/KR10111123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91632U (ja) * | 1984-05-29 | 1985-12-19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タの据付作業用足場 |
KR960004045B1 (ko) * | 1992-12-12 | 1996-03-25 | 함영수 | 엘리베이터 설치용 착탈식 작업대 |
JPH09194160A (ja) * | 1996-01-16 | 1997-07-29 |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 エレベータの据付用足場装置 |
JP2003292265A (ja) | 2002-03-29 | 2003-10-15 | Toshiba Elevator Co Ltd | エレベータの据付用足場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05397A (zh) * | 2017-11-27 | 2018-05-08 |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 钢筋混凝土电梯井道施工用安全防护方法 |
KR20230013496A (ko) | 2021-07-19 | 2023-01-26 | 망치개발 주식회사 |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 난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8939A (ko) | 2010-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6665B1 (ko) |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 |
US20100032235A1 (en) | Safety arrangement for use in constructing a wood frame building | |
KR101111234B1 (ko) |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 |
CN206174437U (zh) | 一种应用于超高超长悬挑构件施工的吊架 | |
CN104929353A (zh) | 可拆卸楼梯式电梯井自动爬升操作平台 | |
KR20100123012A (ko) | 건축용 비계 | |
KR20220014561A (ko) |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 |
KR101203134B1 (ko) |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분절구조 | |
JPH0220354Y2 (ko) | ||
KR100583785B1 (ko) | 건축물의 외측에 가설되는 건축자재 인양장치 | |
CN210857952U (zh) | 一种新型附着式升降脚手架 | |
EP1647512A1 (en) | Working scaffold system of elevator | |
KR101031313B1 (ko) |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 |
KR100559118B1 (ko) | 고소 작업대 | |
JP3950800B2 (ja) | つり足場 | |
KR100901016B1 (ko) |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 |
JP4011722B2 (ja) | 吊り階段 | |
CN210420883U (zh) | 一种桥梁施工横梁施工操作平台 | |
JP6084936B2 (ja) |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及びこの据付装置の組立方法 | |
JP2006144402A (ja) | 高層建築用足場の構築方法及び解体方法 | |
KR200445362Y1 (ko) | 안전그물망 장치의 하부지지대 | |
KR101280916B1 (ko) |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 |
JP2002020051A (ja) | エレベータのピット内作業床装置 | |
KR101260384B1 (ko) |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 구조 | |
JPH02305785A (ja) | エレベータの据付工法および据付用作業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