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384B1 -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 구조 - Google Patents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384B1
KR101260384B1 KR1020110048570A KR20110048570A KR101260384B1 KR 101260384 B1 KR101260384 B1 KR 101260384B1 KR 1020110048570 A KR1020110048570 A KR 1020110048570A KR 20110048570 A KR20110048570 A KR 20110048570A KR 101260384 B1 KR101260384 B1 KR 101260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
elevator
blocking
steel pip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0556A (ko
Inventor
민광남
Original Assignee
(주)대산씨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산씨에스에이 filed Critical (주)대산씨에스에이
Priority to KR1020110048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38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0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설치된 차단구에 의하여 피트의 상하부 공간이 차단되어지는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단구는 차단프레임과, 차단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게 결합된 차단커버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차단프레임은 2개의 가로강관 양측단부에 각각 세로강관의 양측단이 맞대어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가로강관과 세로강관의 내부로 센터강관의 양측에 구획강관이 결합되어 상기 차단커버가 하부로 처지는 것이 방지되어지고, 상기 차단커버는 윗면에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된 강판으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 구조{FIT INTERCEPTION STRUCTURE FOR HIGHRISE ELEVATOR FIT}
본 발명은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단프레임의 상부로 차단커버가 결합되어진 차단구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가 상,하부 공간으로 차단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의 각 층에는 사람이나 화물이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균형추, 케이블 및 도르래 장치를 이용하여 전동기로 작동되어지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는 구조물의 일측 공간으로 제공되어지는 별도의 엘리베이터 피트에 설치되어지고,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벽에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과 카측 가이드레일이 고정 설치되어지거나 별도의 엘리베이터 구조물에 의하여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를 시공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설치되어지는 엘리베이터 구조물은 먼저,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측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다수개의 수직봉과 수평봉이 결합된 비계를 설치한 후 비계에 발판을 결합시켜 작업자가 발판에 올라가 외부로부터 공급된 철골바를 앵커볼트로 엘리베이터 피트에 고정 결합시켜 엘리베이터 구조물이 시공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다수개의 엘리베이터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엘리베이터 피트가 상하부로 관통된 하나의 형태를 가짐에 따라 우천시 빗물이 피트의 내부로 유입되어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시공이 중단되어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공사비용 즉, 시공비가 증가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엘리베이터 피트가 수직으로 개방된 형태가 유지됨에 따라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낙하되어지는 낙하물에 의하여 작업자가 맞아 다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층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실족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로 추락하는 추락사고가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우천시에도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시공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시공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구조물의 시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부로부터 낙하되어지는 낙하물이 차단되어지도록 하고, 상층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실족할 경우,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부층으로 계속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설치된 차단구(10)에 의하여 피트의 상하부 공간이 차단되어지는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단구(10)는 차단프레임(11)과, 차단프레임(11)의 상부에 안착되게 결합된 차단커버(12)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차단프레임(11)은 2개의 가로강관(111) 양측단부에 각각 세로강관(112)의 양측단이 맞대어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가로강관(111)과 세로강관(112)의 내부로 센터강관(113)의 양측에 구획강관(114)이 결합되어 상기 차단커버(12)가 하부로 처지는 것이 방지되어지고, 상기 차단커버(12)는 윗면에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121)가 형성된 강판으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구(10)는 양측에 러그편(13)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러그편(13)은 하부가 평평하며 상부가 만곡형태를 갖는 강재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러그편(13)의 하부가 세로강관(112)의 상부에 맞대어져 용접이음되어지고, 상기 러드편(13)의 위치로 대응되는 차단커버(12)에 러그홀(12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러그편(13)이 러그홀(121)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구(10)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차단프레임(11)의 일측에 구비된 가로강관(111)의 모서리 하부가 피트에 구비된 상부고정편(15)에 맞대어지고, 타측에 구비된 가로강관(111)의 모서리 하부가 피트에 구비된 하부고정편(15')에 맞대어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구(10)는 상부와 하부를 포함하는 가장자리와 피트 사이에 각각 방수벽(2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방수벽(20)은 루버와 몰타르 및 실리콘 중 어는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구(10) 하부의 엘리베이터 피트에는 분절구(3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분절구(30)는 피트의 내벽에 고정된 받침빔(31)과, 상기 받침빔(31)의 상부에 안착되게 결합된 받침판(32)이 수평되게 구성되고, 상기 받침판(32)의 상부에 엘리베이터 구조물 조기설치를 위한 권상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단프레임의 상부로 차단커버가 결합되어진 차단구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가 상,하부 공간으로 차단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우천시에도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시공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시공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서 구조물의 시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부로부터 낙하되어지는 낙하물이 차단되어지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층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실족할 경우,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부층으로 계속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구조의 내외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구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구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구조의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의 횡단면도.
본 발명에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구조는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넓이를 갖는 차단구(10)가 엘리베이터 피트(P)의 내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피트(P)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빗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낙하물이 낙하되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작업자가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차단구(10)는 엘리베이터 피트(P)의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피트(P)를 따라 흘러 내리는 빗물이나 낙하되어지는 물건 및 추락하는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출입구측으로 유도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단구(10)는 차단프레임(11)과, 차단프레임(11)의 상부에 안착되게 결합된 차단커버(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프레임(11)은 2개의 가로강관(111) 양측단부에 각각 세로강관(112)의 양측단이 맞대어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 직사각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지고,상기 가로강관(111)과 세로강관(112)의 내부로 센터강관(113)의 양측에 구획강관(114)이 대칭되게 결합되어짐으로써, 상기 차단커버(12)가 하부로 처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커버(12)는 강판으로 형성되어진 것으로 전면이 패쇄된 즉, 평판형태를 갖는 것으로 빗물이 그 윗면을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게 구성되어지고, 차단구(10)가 수평되게 사용되어질 경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윗면에 다수개의 미끄럼방지 돌기(12)가 형성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단구(10)는 양측에 러그편(13)이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피트(P)의 상부에 설치된 미도시한 권상기의 와이어 단부에 구비된 후크에 용이하게 걸려질 수 있도록 하여 차단구(10)의 용이한 설치와 해체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러그편(13)은 하부가 평평하며 상부가 만곡형태를 갖는 강재로 형성되어지며, 이러한 상기 러그편(13)의 하부가 세로강관(112)의 상부에 맞대어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러드편(13)의 위치로 대응되는 차단커버(12)에는 직사각형태를 갖는 러그홀(12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러그편(13)이 러그홀(121)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커버(12)가 차단프레임(11)에 맞대어지게 결합된 차단구(10)는 엘리베이터 피트(P)의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차단프레임(11)의 일측에 구비된 가로강관(111)의 모서리 하부가 피트에 구비된 상부고정편(15)에 맞대어지고, 타측에 구비된 가로강관(111)의 모서리 하부가 피트에 구비된 하부고정편(15')에 맞대어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P)에 설치된 차단구(10)는 상부와 하부를 포함하는 가장자리와 엘리베이터 피트(P) 사이에 각각 방수벽(20)이 구비되어짐으로써, 특히 우천시 빗물이 차단구(10)가 설치된 하부의 엘리베이터 피트(P)를 따라 계속적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수벽(20)은 루버로 구성되어지도록 하였으나, 루버 이외에 몰타르 및 실리콘을 선별적으로 사용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엘리베이터 피트(P)의 내부에 차단구(10)가 설치되어 상층으로 위치된 엘리베이터 피트(P)를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이나 물건(작업도구)의 하락 및 작업자의 추락등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상기 차단구(10) 하부로 위치되는 즉, 하층의 엘리베이터 피트(P)에 별도의 분절구(30)가 설치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절구(30)는 엘리베이터 피트(P)의 내벽에 고정된 받침빔(31)과, 상기 받침빔(31)의 상부에 안착되게 결합된 받침판(32)이 수평되게 구성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받침판(32)의 상부에 엘리베이터 구조물 조기설치를 위한 권상기가 설치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엘리베이터 피트(P)의 내부로 엘리베이터 구동을 위하여 설치되어지는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작업이 기상조건에 즉, 우천중에서 가능하게 됨에 따라 시공기간이 지연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10:차단구 11:차단프레임
12:차단커버 111:가로강관
112:세로강관 113:센터강관
114:구획강관 121:미끄럼방지돌기

Claims (5)

  1.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설치된 차단구(10)에 의하여 피트의 상하부 공간이 차단되어지는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단구(10)는 차단프레임(11)과, 차단프레임(11)의 상부에 안착되게 결합된 차단커버(12)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차단프레임(11)은 2개의 가로강관(111) 양측단부에 각각 세로강관(112)의 양측단이 맞대어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가로강관(111)과 세로강관(112)의 내부로 센터강관(113)의 양측에 구획강관(114)이 결합되어 상기 차단커버(12)가 하부로 처지는 것이 방지되어지고, 상기 차단커버(12)는 윗면에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121)가 형성된 강판으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구(10)는 양측에 러그편(13)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러그편(13)은 하부가 평평하며 상부가 만곡형태를 갖는 강재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러그편(13)의 하부가 세로강관(112)의 상부에 맞대어져 용접이음되어지고, 상기 러드편(13)의 위치로 대응되는 차단커버(12)에 러그홀(12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러그편(13)이 러그홀(121)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구(10)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차단프레임(11)의 일측에 구비된 가로강관(111)의 모서리 하부가 피트에 구비된 상부고정편(15)에 맞대어지고, 타측에 구비된 가로강관(111)의 모서리 하부가 피트에 구비된 하부고정편(15')에 맞대어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구(10)는 상부와 하부를 포함하는 가장자리와 피트 사이에 각각 방수벽(2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방수벽(20)은 루버와 몰타르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구(10) 하부의 엘리베이터 피트에는 분절구(3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분절구(30)는 피트의 내벽에 고정된 받침빔(31)과, 상기 받침빔(31)의 상부에 안착되게 결합된 받침판(32)이 수평되게 구성되고, 상기 받침판(32)의 상부에 엘리베이터 구조물 조기설치를 위한 권상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구조.
KR1020110048570A 2011-05-23 2011-05-23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 구조 KR101260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570A KR101260384B1 (ko) 2011-05-23 2011-05-23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570A KR101260384B1 (ko) 2011-05-23 2011-05-23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556A KR20120130556A (ko) 2012-12-03
KR101260384B1 true KR101260384B1 (ko) 2013-05-07

Family

ID=4751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570A KR101260384B1 (ko) 2011-05-23 2011-05-23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3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690B1 (ko) * 2015-09-24 2016-08-10 주식회사 삼기슈퍼데크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
KR102319977B1 (ko) 2021-07-20 2021-11-01 주식회사 대산엘리베이터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690B1 (ko) * 2015-09-24 2016-08-10 주식회사 삼기슈퍼데크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
KR102319977B1 (ko) 2021-07-20 2021-11-01 주식회사 대산엘리베이터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556A (ko) 201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61078B (zh) 电梯
EP2122068B1 (en) An improved fall safety barrier
KR101193724B1 (ko) 커튼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CN111719846A (zh) 用于将栏杆部件保持在天花板模板面板上的保持器
JP2015124599A (ja) 仮設風防ユニット
KR101260384B1 (ko)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 구조
KR101356245B1 (ko) 층고절감형 3층 4단 콘크리트 슬래브 장스판 공작물 주차장
KR101356369B1 (ko) 바닥 테이블 폼 인양 장치
KR101203134B1 (ko)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분절구조
KR101111234B1 (ko)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JP2016014236A (ja) 吊足場
JP5807883B1 (ja) 吊足場
RU137024U1 (ru) Шахта лифта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KR200460307Y1 (ko) 건설리프트의 발판구조
KR102480583B1 (ko)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하향식 피난구
JP3215062U (ja) 落下防止ユニット
CN210420883U (zh) 一种桥梁施工横梁施工操作平台
KR200494913Y1 (ko) 건설현장용 석재 지지클램프
RU2809450C1 (ru) Кронштейн для установки навесной площадки
KR200495147Y1 (ko) 조립식 고소작업대
KR20120044332A (ko) 건축물 지붕의 누수 방지용 시트패널 및 그 누수방지용 시트패널을 이용한 지붕의 방수시공방법
KR200493884Y1 (ko) 레일식 안전고리
KR102621157B1 (ko) 곤도라 확장용 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