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724B1 - 커튼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커튼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724B1
KR101193724B1 KR1020100042879A KR20100042879A KR101193724B1 KR 101193724 B1 KR101193724 B1 KR 101193724B1 KR 1020100042879 A KR1020100042879 A KR 1020100042879A KR 20100042879 A KR20100042879 A KR 20100042879A KR 101193724 B1 KR101193724 B1 KR 101193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xterior
exterior unit
support member
curtai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404A (ko
Inventor
김봉석
Original Assignee
김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석 filed Critical 김봉석
Priority to KR1020100042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724B1/ko
Priority to PCT/KR2011/003410 priority patent/WO2011139123A2/ko
Publication of KR20110123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시공품질과 함께 작업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커튼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시스템은, 건축물의 슬래브에 장착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커튼월유닛, 복수의 지지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건축물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외관유닛 및, 외관유닛을 지지한 상태로 복수의 지지부재에 맞물려 주행 가능한 연결체와, 연결체와 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주행력을 제공하는 이동체를 구비하여, 외관유닛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존과 같이 샤시와 같은 외관유닛이 바람과 같은 외적 환경에 의해 간섭됨이 억제될 수 있어, 정확한 위치로 외관유닛을 이동시킴에 따른 시공품질 향상과 함께 작업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커튼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A CURTAIN WALL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커튼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튼월유닛을 따라 외관유닛이 주행되도록 가이드하고, 외관유닛이 고정되면 커튼월유닛을 따라 다시 또 다른 외관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후속공정에 이용됨으로써 작업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튼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건축물이 점차 고층화됨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에 커튼월(Curtain wall)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서, 상기 커튼월시스템이라 함은 구조물의 역학적 체계와 상관없이 구성되어 건축물의 외부와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비내력벽(非耐力壁)을 지칭한다. 즉, 상기 커튼월시스템은 하중을 지지하지 않으면서도 칸막이 기능을 가지는 바깥벽인 것이다.
상기 커튼월시스템은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패널을 규격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커튼월시스템은 외부환경으로부터 내부를 격리하는 기능이 우수하며, 외부 장식성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커튼월시스템은 변형성이 낮으며, 내열/내풍성을 가지며 경량인 재질로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커튼월시스템(1)은 건축물의 슬라브(S)에 패스너(11)를 이용해 복수의 수직 멀리언(10)을 고정시키며, 어느 한 층에 대응하는 복수의 멀리언(10)의 상부, 중앙부 및 하부에는 수평의 트랜섬(20)이 각각 고정되기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멀리언(10)과 트랜섬(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샤시와 같은 외관 구조물(30)이 장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외관 구조물(30)은 크레인(C)과의 연결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승하강되어 장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커튼월시스템(1)은 크레인(C)을 이용해 외관 구조물(30)을 승하강시킬 경우, 바람, 비 등과 같은 외적 환경에 간섭되어 외관 구조물(30)이 불안정하게 이동됨이 종종 발생되어, 바람이 일정 이상 부는 경우 시공이 중단되거나 사고의 위험성이 야기된다. 또한, 상기 외관 구조물(30)의 정위치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야기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크레인(C)을 이용해 원하는 위치로 외관 구조물(30)을 위치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일일히 크레인(C)에 의해 승하강된 정도를 체크해야 함에 따라, 공기지연을 비롯한 작업성 저하와 함께 안전성 저하가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결국, 시공된 건축물의 품질저하를 야기한다. 또한, 상승시킨 외관 구조물(3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허공에 떠 있는 외관 구조물(30)을 작업자가 잡아 당겨야 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율 증가와 함께, 작업성 저하를 야기시킨다.
아울러, 고층의 건축물의 경우에는 타워 크레인과 같은 고가의 크레인(C)이 요구됨에 따라, 고비용이 창출되어 경제성 저하도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위치 시공이 가능하며 기후와 상관없이 작업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된 커튼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관유닛의 망실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커튼월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 및 공사의 안전성이 향상된 커튼월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이 달성된 커튼월시스템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시스템은, 커튼월유닛, 외관유닛 및, 가이드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커튼월유닛은 건축물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커튼월유닛은 상기 건축물에 대해 상호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외관유닛은 상기 커튼월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건축물의 외관을 형성시킨다.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커튼월유닛에 대해 상기 외관유닛을 연결시켜, 상기 커튼월유닛에 의한 상기 외관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외관유닛은 상기 가이드유닛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를 따라 원하는 위치까지 주행한 이후에,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외관유닛의 측단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를 따라 주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체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체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되어 상기 연결체의 주행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체는 상기 외관유닛의 양측단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단과, 상기 힌지단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외관유닛의 이동방향에 나란하게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삽입구로 삽입되는 레일단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는 상기 지지부재의 내벽과, 상기 레일단 사이에 개재되는 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외관유닛이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되기 이전에 제거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커튼월유닛은 상기 외관유닛의 측단에 일체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관유닛은 상기 건축물에 기 설치된 외관유닛에 연결된 지지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가이드유닛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이후에, 상기 기 설치된 외관유닛과 나란하게 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관유닛의 이동방향에 나란하게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삽입구로 삽입되는 연결체 및 상기 연결체와 상기 기 설치된 외관유닛과 연결된 지지부재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체의 주행력을 제공하되, 상기 기 설치된 외관유닛에 나란하게 진입되기 전에 제거되는 이동체를 포함함이 좋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커튼월시스템의 시공방법은, 상호 나란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부재와 건축물의 외관을 형성할 외관유닛을 연결시킨 상태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외관유닛이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된 이후에,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외관유닛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외관유닛을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시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시스템의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외관을 형성할 외관유닛과 상기 외관유닛의 측단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가 일체로 마련되는 단계, 상기 외관유닛과 일체로 마련된 지지부재가 기 설치된 외관유닛에 연결된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단계, 상기 기 설치된 외관유닛과 연결된 지지부재와, 상기 이동되는 외관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사이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동된 외관유닛을 상기 기 설치된 외관유닛과 나란하게 진입시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지지부재와 같은 커튼월유닛을 따라 주행하면서 외관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바람과 같은 기후에 대한 간섭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외관유닛을 정확한 위치에 시공할 수 있어 건축물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외관유닛이 허공에 떠 있는 상태가 아닌 커튼윌유닛을 따라 이동시킴에 따라, 외관유닛의 망실을 예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자의 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외관유닛의 승하강 위치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넷째, 외관유닛을 승하강시키는 구동원인 크레인의 위치를 자유롭게 가변 가능하여, 고가의 크레인 사용이 불필요함에 따른 경제성 향상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커튼월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유닛에 의해 외관유닛이 이동되어 장착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
도 7은 일 실시예와 다른 시공방식이 적용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시스템의 시공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 그리고,
도 8d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튼웰시스템이 기 설치된 외관유닛과 나란하게 진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시스템(100)은 커튼월유닛(110), 외관유닛(120) 및 가이드유닛(130)을 포함한다.
상기 커튼월유닛(110)은 건축물의 슬라브(S)에 대해 외관을 형성할 후술할 외관유닛(120)을 지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부재(111)와 서브 지지부재(114)를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슬라브(S)은 평탄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복수개가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복수의 슬라브(S) 사이의 공간이 건축물의 단일층을 형성시킨다.
상기 지지부재(111)는 상기 슬라브(S)에 패스너(112)와 같은 장착수단에 의해, 수직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11)는 일종의 멀리언(mullion)과 같이,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건축물의 외면을 복수의 수직공간으로 구획시킨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11)는 내열/내풍성의 특성을 가지되, 경량이며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됨이 좋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111)는 도시된 것과 같이 단면이 사각형이되 중공인 형상을 가지는 것이 좋으며, 그 형태와 구조는 커튼월시스템(100)의 종류 및 시공방식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상기 서브 지지부재(114)는 상기 수직 설치된 복수의 지지부재(111)를 가로지르도록 수평하게 복수개 설치된다. 그로 인해, 상기 서브 지지부재(114)는 일종의 트랜섬(transom)과 같이,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111)에 의해 구획된 수직공간을 다시 복수의 수평공간으로 구획시킨다.
이렇게 상기 지지부재(111)와 서브 지지부재(114)에 의해 구획된 대략 사각형의 공간은 후술하는 외관유닛(120)에 의해 커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튼월유닛(110)이 상기 지지부재(111)와 서브 지지부재(11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커튼월유닛(110)이 상기 지지부재(111) 및 서브 지지부재(114)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는 변형예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외관유닛(120)은 상기 커튼월유닛(110)에 설치되어, 상기 건축물의 외관을 형성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관유닛(120)이 샤시인 것으로 예시하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유닛(130)은 상기 커튼월유닛(110)에 대해 외관유닛(120)을 연결시켜, 상기 커튼월유닛(110)에 의한 외관유닛(12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관유닛(120)이 가이드유닛(130)에 의해 지지부재(111)를 따라 원하는 위치까지 주행한 이후에, 복수의 지지부재(111)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유닛(130)은 연결체(131), 이동체(132) 및 구동원(133)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체(131)는 상기 외관유닛(120)의 양측단과 연결된 상태로 복수의 지지부재(111)를 따라 주행 가능하다. 상기 연결체(131)는 상기 외관유닛(120)의 양측단과 힌지(H) 결합되는 힌지단(131a)과, 상기 힌지단(131a)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지지부재(111)를 따라 주행하는 레일단(131b)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체(131)는 상기 외관유닛(120)의 양측단과 연결됨에 따라,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레일단(131b)은 상기 외관유닛(120)의 이동방향에 나란하게 지지부재(111)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구(113)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111)를 따라 주행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11)는 중공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삽입구(113)의 내부로 레일단(131b)이 삽입되어 주행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연결체(131)는 상기 외관유닛(120)을 지지한 상태로 원하는 위치까지 주행한 이후에,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111)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여 장착된다. 이때, 상기 연결체(131)는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어(도 5 및 도 6참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111) 사이로 진입하는 외관유닛(120)을 비 간섭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체(131)가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로 외관유닛(120)이 복수의 지지부재(111) 사이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지지단(131a)과 레일단(131b)은 지지부재(111)의 연부에 밀착된다. 이러한 외관유닛(120)의 진입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진입한 이후에 별도의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진입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연결체(131)가 힌지단(131a)과 레일단(131b)으로 형성되어 외관유닛(120)과 연결되는 것으로 꼭 한정하지 않는다. 즉, 상기 연결체(131)가 상기 외관유닛(120)을 지지하여 지지부재(111)를 따라 주행시킴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111) 사이로 외관유닛(120)이 진입함을 간섭하지 않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이동체(132)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111)와 연결체(131)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되어 연결체(131)의 주행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체(132)가 상기 연결체(131)의 레일단(131b)과 상기 지지부재(111)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나, 이를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동체(132)는 상기 레일단(131b)을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개재됨이 좋다. 이러한 이동체(132)는 상기 외관유닛(120)이 원하는 위치까지 주행한 후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111)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되기 전에, 제거된다(도 4 참고). 이러한 이동체(132)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체(131)의 주행시의 충격을 완충함이 좋다.
상기 구동원(133)은 상기 외관유닛(120)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원(133)이 상기 외관유닛(120)과 연결된 연결로프(134)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외관유닛(120)을 승하강시키는 크레인인 것으로 예시하나, 윈치(winch)와 같은 다양한 승하강수단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작업자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구동원(133)에 의해 외관유닛(120)이 승하강됨에 연동하여 이동체(132)가 회전되어 연결체(131)의 주행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원(133)은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건축물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외관유닛(120)을 승하강시킴이 바람직하며, 구동원(133)의 설치위치는 자유롭게 가변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구동원(133)은 상기 커튼월유닛(110)에 대한 외관유닛(120)의 장착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외관유닛(120)과의 연결이 해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시스템(100)의 시공방법을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건축물의 외관을 형성할 외관유닛(120)을 상호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지지부재(111)와 연결된 상태로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관유닛(120)을 상기 연결체(131)의 힌지단(131a)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111)의 삽입구(113)를 통해 삽입된 레일단(131b)과 상기 지지부재(111) 내벽 사이에 개재된 이동체(132)에 의해 이동시킨다. 참고로, 상기 지지부재(111)에는 기 설치된 외관유닛(120)이 장착되어 있다(도 2 참고).
그 후,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외관유닛(120)이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이동체(132)를 분리시킴으로써, 외관유닛(120)과 지지부재(111) 사이의 연결을 해제시킨다. 이때, 자세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이동체(132)의 분리시에, 상기 연결체(131)도 함께 지지부재(111)로부터 연결에 해제되어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체(132)가 분리되면,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외관유닛(120)을 화살표 방향 즉, 지지부재(111)의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연결체(131)가 회전되어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연결체(131)는 상기 외관유닛(120)의 진입을 간섭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11)의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한 외관유닛(120)은 기 설치된 외관유닛(120)과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게 된다. 참고로,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111) 사이로 진입한 외관유닛(120)과 지지부재(111) 사이는 실리콘 또는 별도의 팩킹부재를 이용하여 실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튼월유닛(110)을 따라 가이드유닛(130)에 의해 주행하여 외관유닛(120)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고층의 건축물일 경우 일정 위치까지 호이스트(hoist)와 같은 물류수단을 이용해 상기 외관유닛(120)을 이동시키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즉, 일정위치까지는 상기 호이스트를 이용해 복수의 외관유닛(120)을 이동시켜 적재시킨 후, 상술한 커튼월유닛(110)을 따라 가이드유닛(130)이 외관유닛(120)과 연결된 상태로 주행하여 건축물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예는 일반적인 호이스트를 이용한 물류 기술구성과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유닛(130)을 이용하여 외관유닛(120)을 이동시키는 기술구성의 조합에 의한 것임에 따라,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8d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시스템(100)의 이 개시된다. 도 7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시스템(100)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111)가 외관유닛(1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11)와 외관유닛(120)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외관유닛(120)은 가이드부(230)에 의해 건축물에 기 설치된 외관유닛(120)에 연결된 지지부재(111)를 따라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로 주행한 이후에, 기 설치된 외관유닛(120)에 나란하게 진입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부(230)가 지지부재(11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연결체(231)와, 상기 연결체(231)와 기 설치된 외관유닛(120)과 연결된 지지부재(111)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는 이동체(232)(도 8a 참고)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체(232)는 상기 연결체(231)의 주행력을 제공하되, 상기 기 설치된 외관유닛(120)에 나란하게 외관유닛(120)이 진입되기 전에 제거된다. 이때, 상기 연결체(231)는 지지부재(111)의 삽입구(113)를 통해 지지부재(111)의 내부로 진입한다. 참고로, 상기 가이드부(230)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외관유닛(120)의 구동력을 제공할 크레인과 같은 구동원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111)는 일 실시예와 달리, 상기 외관유닛(1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유닛화된 상태로 기 설치된 외관유닛(120)을 따라 설치하고자 하는 외관유닛(120)이 주행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지지부재(111)는 상기 외관유닛(120)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되거나, 일측만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튼월시스템(100)의 시공방법을 도 8a 내지 8d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8a의 도시와 같이, 상기 건축물의 외관을 형성할 외관유닛(120)과, 외관유닛(120)의 측단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111)가 일체로 마련된 후, 상기 외관유닛(120)과 지지부재(111)를 기 설치된 외관유닛(120)에 연결된 지지부재(111)와 연결되어,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이렇게 외관유닛(120)이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된 이후에, 상기 기 설치된 외관유닛(120)과 연결된 지지부재(111)와, 이동되는 외관유닛(12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11) 사이의 연결을 해제시킨다. 즉, 도 8b의 도시와 같이, 상기 기 설치된 지지부재(111)의 내벽과, 연결체(231) 사이에 개재되는 이동체(232)를 분리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체(232)를 분리한 이후에, 도 8c의 도시와 같이, 상기 이동된 외관유닛(120)을 기 설치된 외관유닛(120)과 나란하게 진입시켜 고정시킨다. 그러면, 도 8d의 도시와 같이, 상기 이동된 외관유닛(120)이 기 설치된 외관유닛(120)과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커튼월시스템 110: 커튼월유닛
111: 지지부재 120: 외관유닛
130, 230: 가이드유닛 131, 231: 연결체
132, 232: 이동체

Claims (12)

  1. 건축물에 설치되는 커튼월유닛;
    상기 커튼월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건축물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외관유닛; 및
    상기 커튼월유닛에 대해 상기 외관유닛을 연결시켜, 상기 커튼월유닛에 의한 상기 외관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커튼월유닛은 상기 건축물에 대해 상호 나란하게 복수개 설치되거나 상기 외관유닛의 측단에 일체로 적어도 하나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건축물에 대해 상호 나란하도록 복수개 설치될 경우, 상기 외관유닛은 상기 가이드유닛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를 따라 원하는 위치까지 주행한 이후에,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외관유닛의 측단에 일체로 적어도 하나 설치될 경우, 상기 외관유닛은 상기 건축물에 기 설치된 외관유닛에 연결된 지지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가이드유닛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이후에, 상기 기 설치된 외관유닛과 나란하게 진입되는 커튼월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건축물에 대해 상호 나란하게 복수개 설치될 경우에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외관유닛의 측단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를 따라 주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체;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체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되어 상기 연결체의 주행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
    를 포함하는 커튼월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체는 상기 외관유닛의 양측단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단과, 상기 힌지단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외관유닛의 이동방향에 나란하게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삽입구로 삽입되는 레일단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는 상기 지지부재의 내벽과, 상기 레일단 사이에 개재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외관유닛이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되기 이전에 제거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외관유닛의 측단에 일체로 적어도 하나 설치될 경우에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관유닛의 이동방향에 나란하게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삽입구로 삽입되는 연결체; 및
    상기 연결체와 상기 기 설치된 외관유닛과 연결된 지지부재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체의 주행력을 제공하되, 상기 기 설치된 외관유닛에 나란하게 진입되기 전에 제거되는 이동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시스템.
  8. 상호 나란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부재와 건축물의 외관을 형성할 외관유닛을 연결시킨 상태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외관유닛이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된 이후에,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외관유닛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외관유닛을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시켜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튼월시스템의 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외관유닛의 이동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외관유닛의 양측단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단과 상기 힌지단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삽입구로 삽입되는 레일단을 포함하는 연결체와, 상기 레일단과 상기 지지부재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체를 주행시키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가이드유닛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시스템의 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연결을 해제시키는 단계에서 제거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시스템의 시공방법.
  11. 건축물의 외관을 형성할 외관유닛과 상기 외관유닛의 측단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가 일체로 마련되는 단계;
    상기 외관유닛과 일체로 마련된 지지부재가 기 설치된 외관유닛에 연결된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단계;
    상기 기 설치된 외관유닛과 연결된 지지부재와, 상기 이동되는 외관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사이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동된 외관유닛을 상기 기 설치된 외관유닛과 나란하게 진입시켜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튼월시스템의 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되는 단계는,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연결체와, 상기 기 설치된 외관유닛과 연결된 지지부재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체의 주행력을 제공하되, 상기 연결을 해제시키는 단계에서 제거되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가이드유닛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시스템의 시공방법.
KR1020100042879A 2010-05-07 2010-05-07 커튼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93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879A KR101193724B1 (ko) 2010-05-07 2010-05-07 커튼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PCT/KR2011/003410 WO2011139123A2 (ko) 2010-05-07 2011-05-06 커튼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879A KR101193724B1 (ko) 2010-05-07 2010-05-07 커튼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404A KR20110123404A (ko) 2011-11-15
KR101193724B1 true KR101193724B1 (ko) 2012-10-22

Family

ID=4539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879A KR101193724B1 (ko) 2010-05-07 2010-05-07 커튼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7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148B1 (ko) * 2012-04-12 2013-09-09 현대알루미늄(주) 커튼 월 시공방법
KR20170036947A (ko) 2015-09-24 2017-04-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커튼월 구조체
KR101838062B1 (ko) * 2018-01-15 2018-03-14 이예지 격자형 창호 시공방법
KR101850905B1 (ko) * 2018-01-15 2018-04-23 이슬지 격자형 창호틀
CN112095862A (zh) * 2020-09-16 2020-12-18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建筑幕墙安装结构及建筑幕墙安装方法
CN112727108B (zh) * 2020-12-11 2022-06-07 福建省五维智讯电气有限公司 一种建筑室外智能装修工程设备
KR102302279B1 (ko) 2021-02-16 2021-09-14 주식회사 윈스틸 커튼월 구조체
CN113152757B (zh) * 2021-03-05 2022-09-13 梁惠仪 一种便于进行外壁清洗的建筑幕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404A (ko)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724B1 (ko) 커튼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JP6243734B2 (ja) 仮設風防ユニット
JP2018070362A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CN105625645B (zh) 吊挂式钢结构采光天窗施工方法
WO2011139123A2 (ko) 커튼월시스템
KR102100156B1 (ko) 창호용 면진 시스템
CN209065234U (zh) 一种老旧楼无底坑加装电梯
CN103221624B (zh) 电梯的轿厢
JP2010236293A (ja) 外壁パネルの取付方法及び外壁パネルの移動方法
JP2009120303A (ja) エレベータ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
CN107826936A (zh) 一种轿厢外置式客运电梯
KR200198526Y1 (ko) 건축 공사에 있어서 방진프레임 현수장치
CN210313045U (zh) 玻璃镶嵌式电梯井道结构
JP316201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214739077U (zh) 一种建筑顶部的幕墙结构
CN217458358U (zh) 一种电梯用井道横梁
JP4037735B2 (ja) エレベータ構築方法
JP6084936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及びこの据付装置の組立方法
JP2015168497A (ja) エレベータ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
JP6267253B2 (ja) エレベータ構造
KR100455502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JP285222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1566038B (zh) 电梯及其改造方法
JP4609120B2 (ja) エレベータ装置の昇降路構造
JP3215062U (ja) 落下防止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