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916B1 -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916B1
KR101280916B1 KR1020080098109A KR20080098109A KR101280916B1 KR 101280916 B1 KR101280916 B1 KR 101280916B1 KR 1020080098109 A KR1020080098109 A KR 1020080098109A KR 20080098109 A KR20080098109 A KR 20080098109A KR 101280916 B1 KR101280916 B1 KR 101280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elevator
wire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8940A (ko
Inventor
민광남
Original Assignee
김송강
(주)대산씨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강, (주)대산씨에스에이 filed Critical 김송강
Priority to KR1020080098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916B1/ko
Publication of KR20100038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구조물이 설치되어지도록 엘리베이터 피트의 상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가설 작업대는 사각 박스의 테두리형태를 갖는 프레임 상부 모서리에 걸림홈이 형성된 각각의 걸림편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 또는 외측에 각각 안전벽체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안전벽체는 프레임에 결합된 다수개의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어지게 결합되어지며, 상기 안전벽체의 일부를 절취하여 입,출입구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바닥에 바닥판이 다수개의 받침대에 의하여 받쳐지도록 결합되어지고, 상기 걸림편의 걸림홈에 와이어의 일측이 고정되어지며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엘리베이터 피트의 상부에 설치된 윈치에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 지지대, 걸림편, 걸림홈, 안전벽체, 바닥판, 받침대, 와이어, 윈치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The construction workbench for an elevator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임의 가장자리로 각각의 지지대에 의하여 안전벽체가 지지되어지게 결합되어지며 프레임의 바닥에 바닥판이 결합되어진 가설 작업대가 건축 구조물의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 설치되어지고, 엘리베이터 피트의 상부에 설치된 윈치에 감겨진 와이어에 가설 작업대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짐으로써,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별도의 비계를 설치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한 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공기를 단축하여 시공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의 각 층에는 사람이나 화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균형추, 케이블 및 도르래 장치를 이용하여 전동기로 작동되어지는 엘리베이터(Elevator)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는 구조물의 일측 공간으로 제공되어지는 엘리베이터 피트에 설치되어지고,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벽에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과 카측 가이드레일이 직접 고정 설치되어지거나 별도의 엘리베이터 구조물에 의하여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설치되어지는 구조물은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측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다수개의 수직봉과 수평봉이 결합된 비계를 설치한 후 비계에 발판을 결합시켜 작업자가 발판에 올라가 외부로부터 공급된 철골바를 앵커볼트 등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에 고정 결합시켜 엘리베이터 구조물이 시공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다수개의 엘리베이터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미리 비계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많은 수직봉과 수평봉이 소요되어지게 되며 이를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과정이 더 소요되어짐으로써, 그 만큼의 작업시간이 지언되어지게 됨에 따라 비용이 더 소요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비계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하여 추락사고가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건축 구조물의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 설치된 가설 작업대가 엘리베이터 피트의 상부에 설치 된 윈치의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어지도록 한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 상부의 윈치(170)에 설치되어지는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A)에 있어서, 상기 가설 작업대(A)는 각형봉을 사각 박스의 테두리형태가 되도록 결합시킨 프레임(100) 상부 모서리에 걸림홈(111)이 형성된 각각의 걸림편(110)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각각 안전벽체(120)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안전벽체(120)의 일부를 절취하여 출입구(12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프레임(100)의 바닥에 바닥판(130)이 다수개의 받침대(131)에 의하여 받쳐지도록 결합되어지며,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 모서리에는 받침부(14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받침부(140)는 받침편(142)의 후방에 가동힌지(142-1)가 형성되고 전방에 삼각형태의 보강편(144)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며,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 모서리에 용접이음된 고정힌지편(141) 사이에 상기 받침부(140)의 가동힌지(142-1)가 힌지핀(143)으로 힌지결합되어지고, 상기 보강편(144)의 내측 상부에 관통홈(144-1)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홈(144-1)에 조절와이어(145)의 일측이 묶여지며, 상기 조절와이어(145)의 타측이 가설 작업대(A)의 내부로 노출되게 인출되어짐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조절와이어(145)를 당김과 동시에 하부를 향하고 있던 받침편(142)이 수평형태로 펼쳐짐으로써, 받침편(142)의 하부가 보강빔(B)에 얹혀진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걸림편(110)의 걸림홈(111)에 와이어(160)의 일측이 고정되어지고, 상기 와이어(160)의 타측이 엘리베이터 피트의 상부에 설치된 윈치(170)에 고정되어지며, 상기 가설 작업대(A)는 프레임(100)의 내부에 분리판(150)이 수평되게 결합되어 상,하부 작업공간(150a)(150b)으로 구획되어지고, 상기 분리판(150)은 일부가 제거된 개구부(151)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개구부(151)에 사다리(152)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하부에서 상부 또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안전벽체(120)는 프레임(100)에 결합된 다수개의 지지대(101)에 의하여 지지되어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안전벽체(120)의 벽체 프레임 내측 또는 외측에 안전망(121-1)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지대에 의하여 안전벽체가 프레임에 지지되어지게 결합되어지며 프레임의 바닥에 바닥판이 다수개의 받침대에 의하여 받쳐지도록 결합되어진 가설 작업대가 건축 구조물의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 설치되어지고, 엘리베이터 피트의 상부에 와이어의 일측이 감겨진 위치가 설치되어지며 와이어의 타측이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설치된 가설 작업대에 연결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별도의 비계를 설치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한 구조물을 용이하게 이송시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공기를 단축하여 시공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가 설치된 구조물의 평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가 보강빔에 얹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가 보강빔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가 윈치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A)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엘리베이터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P)의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되어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엘리베이터 피트(P)의 내부에서 윈치(170)에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와이어(160)에 의하여 임의 위치로 용이하게 이송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설 작업대(A)는 프레임(100)의 가장 자리 둘레를 따라 내측 또는 외측에 다수개의 지지대(101)에 의하여 안전벽체(120)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프레임(100)의 바닥에 바닥판(130)이 다수개의 받침대(131)에 의하여 받쳐지게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속이 비어 있는 각형봉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양측단을 각각 용접이음으로 결합시켜 사각 박스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모서리에는 걸림홈(111)이 형성된 각각의 걸림편(110)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 상기 걸림편(110)의 걸림홈(111)에 후술하는 윈치(170)의 와이어(160)가 걸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피트(P)의 상부로 설치된 윈치(170)에 와이어(160)의 일측이 고정되어 감겨진 상태가 유지되어지며, 상기 와이어(160)의 타측이 상기 걸림편(110)의 걸림홈(111)에 걸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전벽체(120)는 일부를 소정 넓이로 절취하여 작업자 및 작업에 필요한 공구 등을 가설 작업대(A)의 내,외부로 용이하게 인입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벽체(120)는 벽체 프레임의 내측 또는 외측에 안전망(121-1)이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체적으로 가설 작업대(A)의 하중을 줄이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 모서리에는 엘리베이터 피트(P)에 설치된 보강빔(B)에 받쳐지게 걸쳐지는 받침부(140)가 결합되어 가설 작업대(A)의 상부에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윈치(170)의 고장이나 와이어(160)의 노후화 및 기타의 원인으로 인하여 가설 작업대(A)가 엘리베이터 피트(P)의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받침부(140)는 하부 모서리에 용접으로 이음된 고정힌지편(141) 사이로 받침편(142)에 형성된 가동힌지(142-1)가 힌지핀(143)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받침편(142)은 프레임(100)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에 삼각형태를 갖는 보강편(144)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편(144)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관통홈(144-1)을 형성하여 조절와이어(145)의 일측이 묶여지고, 상기 조절와이어(145)의 타측이 가설 작업대(A)의 내부로 노출되게 인출되어짐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조절와이어(145)를 당김과 동시에 하부를 향하고 있던 받침편(142)이 수평형태로 펼쳐지거나 이동되어짐으로써, 받침편(142)의 하부가 보강빔(B)에 얹혀진 상태가 유지되어 받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가설 작업대(A)는 사각박스 형태를 갖는 프레임(100)의 가장자리로 안전벽체(120)가 결합되어지며, 프레임(100)의 하부에 바닥판(130)이 결합되어 작업자가 그 내부로 들어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구성 이외에 프레임(100)의 내부에 별도의 분리판(150)이 수평되게 결합되어 상부작업공간(150a)과 하부작업공간(150b)으로 구획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상부작업공간(150a)과 하부작업공간(150b)에 작업자가 같이 들어가서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만큼의 작업시간을 줄이면서 작업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방향으로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 상,하부에서 동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즉, 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어지는 분리판(150)에 의하여 상부작업공간(150a)과 하부작업공간(150b)로 구분되어진 경우, 상기 분리판(150)에 일부가 제거된 개구부(151)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51)에 사다리(152)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하부작업공간(150b)에서 상부작업공간(150a) 또는 상부작업공간(150a)에서 하부작업공간(150b)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설 작업대(A)는 먼저, 각형봉이 사각박스의 프레임(100)의 형태로 구성되어지도록 수직 및 수평형태를 갖도록 절단한 후 절단된 양측이 각각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한 후 프레임(10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안전망(121-1)으로 이루어진 안전벽체(120)가 결합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일측으로 안전벽체(120)가 개구된 출입구(121)가 형성되어지도록 하여 작업자가 가설 작업대(A)의 내,외부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게 된다.
다음, 프레임(100)의 상부 모서리에 각각 걸림홈(111)이 형성된 걸림편(110)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한 후 하부 모서리에 각각 고정힌지편(141)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이어 고정힌지편(141) 사이로 받침편(142)에 형성된 가동힌지(142-1)가 삽입되어지도록 한 후 힌지핀(143)으로 고정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보강편(144)에 형성된 관통홈(144-1)에 조절와이어(160)의 일측이 고정되어지도록 한 후 타측이 프레임(100)의 내측 즉, 안전벽체(120)의 내측으로 노출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하나의 가설 작업대(A)가 얻어지게 된다.
한편, 가설 작업대(A)의 내부에 상,하부 작업공간(150a)(150b)이 구비되어지도록 할 경우, 프레임(100)의 내부로 제공되어지는 공간에 수평방향을 갖는 별도의 분리판(150)이 용접이음으로 개재되어지도록 한 후 분리판(150)의 일측에 소정의 넓이를 갖는 개구부(151)를 형성하여 사다리(152)가 설치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하나의 가설 작업대(A)의 내부가 상,하부 작업공간(150a)(150b)로 나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조립 또는 제조되어진 가설 작업대(A)는 미리 엘리베이터 피트(P)의 상부에 설치된 윈치(170)에서 풀려 있는 와이어(160)의 타측을 프레임(100)의 상부 모서리에 결합된 각각의 걸림편(110)의 걸림홈(111)을 관통하여 묶어져 고정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피트(P)내에 가설 작업대(A)가 설치되어진다.
다음, 윈치(170)를 작동시켜 엘리베이터 피트(P)내의 원하는 위치까지 가설 작업대(A)를 이동시켜 엘리베이터 구조물인 보강빔(B)의 설치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미리 엘리베이터 피트(P)내부에 구조물인 보강빔(B)이 설치되어진 상태에서 상측으로 가설 작업대(A)를 이송시켜 다른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 미리 설치되어진 보강빔(B)의 상부에 가설 작업대(A)의 하부에 결합된 받침부(140)가 얹혀지게 됨에 따라 작업도중 윈치(170)의 부작동이나 와이어(160)의 손상으로 인하여 와이어(160)가 끊어지더라도 가설 작업대(A)가 엘리베이터 피트(P)의 하부를 향하여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가 설치된 구조물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가 보강빔에 얹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가 보강빔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가 윈치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프레임 101:지지대
110:걸림편 111:걸림홈
120:안전벽체 121:입,출입구
130:바닥판 131:받침대
160:와이어 170:윈치

Claims (5)

  1. 삭제
  2. 엘리베이터 피트 상부의 윈치(170)에 설치되어지는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A)에 있어서,
    상기 가설 작업대(A)는 각형봉을 사각 박스의 테두리형태가 되도록 결합시킨 프레임(100) 상부 모서리에 걸림홈(111)이 형성된 각각의 걸림편(110)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각각 안전벽체(120)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안전벽체(120)의 일부를 절취하여 출입구(12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프레임(100)의 바닥에 바닥판(130)이 다수개의 받침대(131)에 의하여 받쳐지도록 결합되어지며,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 모서리에는 받침부(14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받침부(140)는 받침편(142)의 후방에 가동힌지(142-1)가 형성되고 전방에 삼각형태의 보강편(144)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며,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 모서리에 용접이음된 고정힌지편(141) 사이에 상기 받침부(140)의 가동힌지(142-1)가 힌지핀(143)으로 힌지결합되어지고, 상기 보강편(144)의 내측 상부에 관통홈(144-1)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홈(144-1)에 조절와이어(145)의 일측이 묶여지며, 상기 조절와이어(145)의 타측이 가설 작업대(A)의 내부로 노출되게 인출되어짐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조절와이어(145)를 당김과 동시에 하부를 향하고 있던 받침편(142)이 수평형태로 펼쳐짐으로써, 받침편(142)의 하부가 보강빔(B)에 얹혀진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걸림편(110)의 걸림홈(111)에 와이어(160)의 일측이 고정되어지고, 상기 와이어(160)의 타측이 엘리베이터 피트의 상부에 설치된 윈치(170)에 고정되어지며,
    상기 가설 작업대(A)는 프레임(100)의 내부에 분리판(150)이 수평되게 결합되어 상,하부 작업공간(150a)(150b)으로 구획되어지고,
    상기 분리판(150)은 일부가 제거된 개구부(151)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개구부(151)에 사다리(152)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하부에서 상부 또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안전벽체(120)는 프레임(100)에 결합된 다수개의 지지대(101)에 의하여 지지되어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안전벽체(120)의 벽체 프레임 내측 또는 외측에 안전망(121-1)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098109A 2008-10-07 2008-10-07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KR101280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109A KR101280916B1 (ko) 2008-10-07 2008-10-07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109A KR101280916B1 (ko) 2008-10-07 2008-10-07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940A KR20100038940A (ko) 2010-04-15
KR101280916B1 true KR101280916B1 (ko) 2013-07-02

Family

ID=4221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109A KR101280916B1 (ko) 2008-10-07 2008-10-07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9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1632U (ja) * 1984-05-29 1985-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据付作業用足場
JP2001012075A (ja) * 1999-06-29 2001-01-16 Sasaki:Kk 作業用ゴンドラ
JP2004067275A (ja) * 2002-08-02 2004-03-0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据付用移動足場およびエレベータ据付工法
JP2007290835A (ja) * 2006-04-26 2007-11-0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用品据え付け用ゴンドラ装置及びエレベータ用品据え付け作業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1632U (ja) * 1984-05-29 1985-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据付作業用足場
JP2001012075A (ja) * 1999-06-29 2001-01-16 Sasaki:Kk 作業用ゴンドラ
JP2004067275A (ja) * 2002-08-02 2004-03-0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据付用移動足場およびエレベータ据付工法
JP2007290835A (ja) * 2006-04-26 2007-11-0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用品据え付け用ゴンドラ装置及びエレベータ用品据え付け作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940A (ko)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6576B2 (en) Foldable hoistway work deck
JP4886286B2 (ja) 仮設足場ユニット
JP6227153B2 (ja) 天井ユニットおよび天井ユニット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のかご
JP2016108875A (ja) 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JP6893188B2 (ja) 既存構造物の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KR20150127559A (ko) 접이식 매단 비계
KR101280916B1 (ko)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KR100583785B1 (ko) 건축물의 외측에 가설되는 건축자재 인양장치
KR20090099182A (ko) 조립식틀비계의 일체형 안전난간대
KR101111234B1 (ko)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KR101820954B1 (ko)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KR101203134B1 (ko)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분절구조
JP4944628B2 (ja) エレベータ装置の作業台の手摺り構造
JP2002046951A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用足場装置
JP6382391B1 (ja) エレベーター釣合おもり枠の補強材取付支援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釣合おもり枠の補強材取付方法
KR100758349B1 (ko) 아파트 외벽 설치형 작업대
JP6717285B2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用はしご装置
KR101031313B1 (ko)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JP3920527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
KR100925864B1 (ko) 고층작업용 기능성 곤도라 작업대
KR101769041B1 (ko) 작업발판 승강용 작업대 및 이를 포함하는 거푸집 시스템
JP6084936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及びこの据付装置の組立方法
KR200445362Y1 (ko) 안전그물망 장치의 하부지지대
JP4072581B2 (ja) 足場装置
JP2020023389A (ja) エレベータ装置の搬送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