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977B1 -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 - Google Patents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977B1
KR102319977B1 KR1020210094995A KR20210094995A KR102319977B1 KR 102319977 B1 KR102319977 B1 KR 102319977B1 KR 1020210094995 A KR1020210094995 A KR 1020210094995A KR 20210094995 A KR20210094995 A KR 20210094995A KR 102319977 B1 KR102319977 B1 KR 102319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ed
machine
support beam
hoistway
w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산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산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산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210094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이 개시된다. 개시된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분절층 상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시키며 작업자를 지지하여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분절발판부; 상기 분절층 보다 한층위의 제1상부층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낙하물이 상기 분절발판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우수가 승강로를 따라 흘러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수차단부; 상기 분절발판부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승강로 내부에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조기가설을 위한 권상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공기계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머신지지부; 상기 분절발판부와 상기 머신지지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트롤리의 주행이동을 가이드하는 트롤리빔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트롤리에 장착된 체인에 상기 엘리베이터 시공기계를 매달아 상기 엘리베이터 시공기계를 상기 머신지지부 상에서 위치조정시키도록 하는 머신이송부; 상기 분절층 보다 적어도 두개층 이상의 제2상부층에 설치되어, 상기 분절발판부, 상기 지수차단부, 상기 머신지지부, 상기 머신이송부의 시공용 자재들을 양중하기 위한 윈치를 고정지지하는 윈치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hoistway segment structures for high rise elevator}
본 발명은 고층 아파트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 아파트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상에 설치하여, 카측 가이드레일, 균형추 가이드레일 등과 같은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조기가설을 위한 임시기계실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의 각 층에는 사람이나 화물이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균형추, 케이블 및 도르래 장치를 이용하여 전동기로 작동되어지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일측 공간으로 제공되어지는 별도의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되어지고, 엘리베이터 승강의 내벽에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과 카측 가이드레일 등의 엘리베이터 구조물이 고정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를 시공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에 설치되어지는 엘리베이터 구조물은 먼저,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측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다수개의 수직봉과 수평봉이 결합된 비계를 설치한 후 비계에 발판을 결합시켜 작업자가 발판에 올라가 외부로부터 공급된 철골바를 앵커볼트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고정 결합시켜 엘리베이터 구조물이 시공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에 다수개의 엘리베이터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미리 비계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많은 수직봉과 수평봉이 소요되어지게 되며 이를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과정이 더 소요되어짐으로써, 그 만큼의 작업시간이 지연되어지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부에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비계는 저층인 건축 구조물의 경우에만 유용할 뿐 고층 건물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모든 부분에 비계를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설치가 통상 건물의 최상단층이 마무리되어진 후 진행되어지게 됨에 따라 고층 또는 초고층 건출 구조물의 경우 건물의 상단층의 작업이 마무리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구조물 시공이 시작되어 전체적인 엘리베이터 의 구동 또는 작동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건물의 전체적인 완공시기도 대폭 늦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고하고자 수개의 층에 별도의 작업대를 설치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작업대의 설치와 해체에 따른 추가적인 시간과 비용이 더 소요되어지게 되며 간혹 작업자의 실수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부로 추락하는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이에, 등록특허 10-1203134호에는 고층인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에 설치되어지는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작업이 최상층의 공사 진행과 상관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만큼의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의 구동 또는 작동까지 상당한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상층에서 하층으로 낙하물이 낙하되거나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승강로)용 피트분절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10-1203134호에 개시된 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분절구조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설치된 분절구에 의하여 피트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이 구분되어지는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분절구조이며, 이 분절구의 상단에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조기가설을 위한 권상기가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절구에 의해 분절된 피트의 상층에는 낙하물이 하부로 낙하되거나 빗물의 피트를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지수막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승강로) 분절구조는 분절구 자체에 권상기가 설치되는 것으로, 권상기의 조작 및 여타 작업을 위한 작업자가 분절구 상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구조이어서, 권상기의 하중과 더불어 여러 작업자의 하중까지 모두 분절구가 견뎌야 하기 때문에 분절구에 무게부하가 많이 걸려 안전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하나의 분절구 상에서 작업자의 작업과 권상기가 배치가 모두 이루어져야 해서 실질적으로 효율적인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호이스트가 승강로 상에 설치되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 들이 분절구 시공 자재들을 직접 해당 분절층 까지 운반해야 하거나 별도의 크레인 등을 사용해야 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인건비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조기가설시, 카측 가이드레일, 무게추가이드레일의 위치선정이나 위치교정(보정)에 따라 권상기의 위치이동이 필요할 때가 있는데, 이 경우 권상기를 위치 이동시키는 것이 매우 불편하고 어려울 뿐 아니라, 온전히 여러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서 권상기의 위치이동을 조절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작업위험요소가 크게 증가하고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1203134호 등록특허 10-126038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고층 아파트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상에 설치하여, 카측 가이드레일, 균형추 가이드레일 등과 같은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조기가설을 위한 임시기계실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분절층의 상부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분절발판부,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조기가설을 위한 권상기를 지지하는 머신지지부, 머신지지부에 설치된 권상기의 위치조정을 위한 머신이송부, 낙하물의 발생을 방지하며 우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지수차단부, 자재 양중하기 위한 윈치를 고정지지하는 윈치지지부를 높이별로 순서적으로 구성하여 발판지지부와 머신지지부는 독립적인 개별구성을 통해 작업자와 권상기의 하중을 별도로 지지하도록 하여 무게부하의 분산을 통한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가 힘을 덜 들이면서 권상기의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판지지부, 머신지지부 등의 시공자재를 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조기가설이 보다 안정하면서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주는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분절층 상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시키며 작업자를 지지하여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분절발판부; 상기 분절층 보다 한층위의 제1상부층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낙하물이 상기 분절발판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우수가 승강로를 따라 흘러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수차단부; 상기 분절발판부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승강로 내부에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조기가설을 위한 권상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공기계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머신지지부; 상기 분절발판부와 상기 머신지지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트롤리의 주행이동을 가이드하는 트롤리빔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트롤리에 장착된 체인에 상기 엘리베이터 시공기계를 매달아 상기 엘리베이터 시공기계를 상기 머신지지부 상에서 위치조정시키도록 하는 머신이송부; 상기 분절층 보다 적어도 두개층 이상의 제2상부층에 설치되어, 상기 분절발판부, 상기 지수차단부, 상기 머신지지부, 상기 머신이송부의 시공용 자재들을 양중하기 위한 윈치를 고정지지하는 윈치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절발판부는, 상기 분절층의 바닥 레벨과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상기 승강로의 내벽에 파훼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제1포켓홈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포켓홈부에 발판지지빔의 선단을 삽입거치시키고, 상기 발판지지빔의 후단은 상기 분절층의 출입구 바닥에 고정설치하여 상기 발판지지빔을 설치시공하고, 상기 윈치지지부에 고정설치된 윈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분절발판을 상기 발판지지빔의 상단에 올려 거치시킨 다음, 이웃하는 분절발판의 이음부를 용접하여 복수의 분절발판을 일체화시켜 상기 발판지지빔의 상단에 상기 복수의 분절발판을 장착시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머신지지부는, 상기 제1포켓홈부 보다 상부로 소정높이 이격된 승강로의 내벽에 파훼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제2포켓홈부를 구성하고, 상기 승강로의 내벽과 마주하며 출입구가 형성되는 출입구측 벽부에 상기 제2포켓홈부와 동일 높이레벨로 파훼가공을 통해 관통형성되는 포켓홀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포켓홈부에 하부 머신지지빔의 선단을 삽입거치하고, 상기 하부 머신지지빔의 후단은 상기 포켓홀부에 삽입거치시켜서 상기 하부 머신지지빔을 설치시공한 후, 상기 하부 머신지지빔의 상단에 직교되게 상부 머신지지빔을 거치 고정시켜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머신지지빔의 상단에는 권상기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윈치지지부는, 상기 제2상부층 바닥에 후단부가 고정설치되며 선단부는 출입구를 통해 승강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윈치지지빔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상부층의 바닥에는 앙카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기 윈치지지빔의 후단과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윈치지지빔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위치조정된 상태로 고정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구성되며, 상기 윈치지지빔의 후단부과 상기 제2상부층의 천정 사이에는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윈치지지빔 선단부에 구비된 윈치에 매달려 있는 자재하중에 의해 상기 윈치지지빔의 후단부가 들려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서포트 지지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H형강 또는 I형강으로 이루어진 윈치지지빔의 상단 패널부가 삽입되는 상부소켓부와, 상기 윈치지지빔의 하단패널부가 삽입되는 하부소켓부와, 상기 윈치빔의 연결패널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상부소켓부와 하부소켓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연결소켓부로 이루어진 빔소켓부; 상기 빔소켓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빔소켓부가 상기 윈치지지빔에 대해 위치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빔소켓부를 상기 윈치지지빔에 결합고정시키는 고정핀부;로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물이 최상층까지 건설되기 전에 분철층의 상부로 분절발판부, 머신지지부, 머신이송부, 지수차단부, 윈치지지부를 상향 순차적으로 구성하여 임시 기계실로 구축해 엘리베이터 구조물에 대한 조기가설을 진행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시설의 구축이 늦어지지 않고 신속하게 시공설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과는 전혀 다르게 권상기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머신지지부와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분절발판부가 서로 개별적으로 독립 구성되어, 작업자의 안전하고 충분한 작업공간 확보가 이루어지게 하여 작업환경이 크게 개선되어 효율적인 작업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 하중과 권상기 하중을 각각 분리하여 머신지지부와 분절발판부가 개별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과하중에 의한 위험요소를 제거하여 안전성이 향상되고 사고발생률을 현저히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머신지지부와 지수차단부 사이에 머신이송부를 구성하여 작업자가 권상기의 위치교정을 힘을 덜 들이면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주고 정밀한 위치교정을 가능하게 해주어 카측 가이드레일, 무게추가이드레일의 위치선정이나 위치교정(보정)을 위한 권상기의 위치조정 작업을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정밀, 신속하게 진행하여 전체적인 엘리베이터 조기가설 작업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의 설치시공은 원치지지부의 시공, 분절발판부의 시공, 머신지지부의 시공, 머신이송부의 시공, 지수차단막의 시공 순으로 설치하고, 초기 시공된 윈치지지부에 윈치를 장착설치하여 발판지지부, 머신지지부, 머신이송부, 지수차단부의 시공을 위한 빔, 각관, 지수차단막, 분절발판 등의 시공자재를 설치위치로 용이하게 양중시키고 정확한 위치로 배치하여 설치시공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인건비를 줄이면서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양중용 원치빔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분절발판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머신빔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1의 트롤리 빔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지수차단막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양중용 윈치빔의 다른 설치형태를 나타낸 변형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양중용 원치빔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머신빔의 다른 설치형태를 나타낸 변형 예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머신빔을 승강로 내벽에 결합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최상단층 까지 시공이 마무리되기 전에 건물에 형성된 승강로 상의 소정 층을 분절층으로 설정하고, 이 분절층 상부로 승강로 분절 구조물을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구조물(카측 가이드레일, 무게추 가이드레일)을 조기 가설하기 위한 임시 기계실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은 분절발판부(10), 지수차단부(20), 머신지지부(30), 머신이송부(40), 윈치지지부(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도 3,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분절발판부(10)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분절층 상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시키도록 구성되며, 작업자가 발로 밟아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분절발판부(10)는 발판지지빔(14)과 분절발판(16)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분절발판부(10)는 분절층의 바닥레벨과 동일한 높이레벨을 갖도록 승강로의 내벽에 파훼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제1포켓홈부(12)를 구성하고, 이 제1포켓홈부(12)에 발판지지빔(14)의 선단을 삽입거치시키고, 발판지지빔(14)의 후단은 분절층의 출입구(h1) 바닥에 고정설치하여 발판지지빔(14)이 설치시공될 수 있다(도3 참조). 이때, 발판지지빔(14)의 후단은 출입구(h1)의 바닥에 앵커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15)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복수의 분절발판(16)을 발판지지빔(14)의 상단에 올려 거치시키고 이웃하는 분절발판(16)의 이음부를 용접하여 복수의 분절발판(16)을 일체화시킴으로써 발판지지빔(14)의 상단에 복수의 분절발판을 장착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분절발판부(1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분절발판(16)은 윈치지지빔(50)에 장착된 윈치를 이용하여 발판지지빔(14) 상에 올려 거치시킬 수 있다(도 4참조).
각각의 분절발판(16)은 각관으로 이루어지며, 각관이 격자형태로 구성된 발판 프레임(16a)과 이 발판 프레임(16a)의 상면에 용접에 의해 결합설치되는 발판 플레이트(16b)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발판플레이트(16b) 상단에는 하단에 추를 매달은 피아노선을 고정하기 위한 형판이 설치되고, 발판 플레이트(16b)에는 피아노선이 통과되기 위한 피아노선 통과홀(16ba)이 구성되고, 이 피아노선 통과홀(16ba)의 근접한 위치에 카측 가이드레일 또는 무게추 가이드레일이 통과되기 위한 레일통과홀(16b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지수차단부(20)는, 지수차단막(22)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지수차단막(22)이 분절층 보다 한층 위의 제1상부층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낙하물이 분절발판부(10)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빗물(우수)가 승강로를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지수차단막(22)은 각관으로 이루어지며 각관이 격자형태로 구성된 지수차단 프레임과(22a)과 이 지수차단 프레임(22a)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낙하물을 차단하고 빗물의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하는 지수차단 플레이트(22b)로 이루어진다.
지수차단부(20)는 출입구 측 승강로 벽에 좌우 소정간격으로 앵글브라켓(23)을 고정설치하고, 복수의 지수차단막(22)을 윈치지지부(50)에 설치된 윈치를 이용하여 앵글브라켓(23)들 위에 거치한 후, 이웃하는 지수차단막(20)의 이음부를 용접하여 지수차단막(20)들을 일체화하여 낙하되지 않도록 시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수차단막(22)은 분절층 보다 한층 위의 제1상부층에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지수차단막(22)의 후단은 앵글브라켓(23)에 거치하여 용접 등으로 고정결합이 이루어지며, 선단은 승강로의 내측벽에 경사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지수차단막(22)의 선단과 승강로 내측벽과의 사이에는 "v"형 홈(g)이 형성되어, 이 v형 홈(g)으로 빗물이 유입되어 지수차단막(22)이 빗물을 차단하지 못하고 지수차단막(22)의 하부로 빗물이 누설되어 흘러내릴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지수차단막(22)의 선단과 승강로 내측벽을 연결하여 빗물이 "v"형 홈(g)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리브(25)가 더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수차단막(22)의 하단과 승강로 벽면, 지수차단막(22)의 좌측단과 승강로의 벽면, 지수차단막(22)의 우측단과 승강로의 벽면 사이로 실리콘 코킹을 진행하여 실리콘 밀폐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지수차단막(22)의 상단과 차단리브(25)의 하단 사이 및 차단리브(25)의 상단과 승강로 내측벽 사이에도 실리콘 코팅작업을 통해 실리콘 밀폐부(k)를 구성함으로써 우수가 지수차단막(22)의 하부로 누설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머신지지부(30)는 분절발판부(10)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승강로 내부에 엘리베이터 구조물(카측 가이드레일, 무게추 가이드레일)의 조기가설을 위한 권상기 등의 엘리베이터 레일 시공기계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머신지지부(30)는 하부머신지지빔(33)과 상부머신지지빔(3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하부머신지지빔(33)들은 제1포켓홈부(12) 보다 상부로 소정높이 이격된 승강로의 내측벽에 파훼가공을 통해 제2포켓홈부(31)를 형성시키고, 승강로의 내벽면과 마주하는 출입구(h1)가 형성되는 출입구측 벽부에 제포켓홈부(31)과 동일한 높이로 파훼가공을 통해 관통형성되는 포켓홀부(32)를 구성한 다음, 하부머신지지빔(33)의 성단은 제2포켓홈부(31)에 삽입거치시키고, 하부머신지지빔(33)의 후단은 포켓홀부(32)에 삽입거치시켜서 설치시공될 수 있다.
이때, 도 1과 같이 하부머신지지빔(33)의 양측 하단에 밀착배치되도록 앵글브라켓(34)을 승강로의 벽에 앙카로 고정설치하여, 이 앵글브라켓(34)에 하부머신지지빔(33)이 거치되도록 구성하고, 앵글브라켓(34)과 하부머신지지빔(33)을 용접 등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머신지지빔(33)은 제2포켓홈부(31)와 포켓홀부(32)에 전후가 삽입되어 거치가 이루어질 뿐 아니라, 승강로 벽에 고정설치된 앵글브라켓(34)이 하부머신지지빔(33)을 받쳐주면서 하부머신지지빔(33)과 앵글브라켓(34)이 용접으로 결합고정되어 하부머신지지빔(33)이 제2포켓홈부(31)와 포켓홀부(32)에서 이탈하지 않고 고정장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부머신지지빔(35)들은 하부머신지지빔(33)들의 상단에 직교되게 올려 거치 장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부머신지지빔(35)과 하부머신지지빔(33)은 용접에 의해 결합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머신지지빔(35)의 상단에는 권상기(미도시)가 설치되어 권상기(미도시)를 상부머신지지빔(35)이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권상기의 로프와이어가 레일통과홀(16bb)을 통과하고, 로프와이어의 하단에 카측 가이드레일이나 무게추 가이드레일을 매달아 엘리베이터 레일(구조물)의 조기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머신이송부(40)는 분절발판부(10)와 머신지지부(30) 사이 높이에 설치되는 트롤리빔(42)으로 구성되며, 이 트롤리빔(42)에는 트롤리빔(42)을 따라 안내되어 주행하는 트롤리(43)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트롤리(43)에는 체인등의 연결수단이 구성되어, 이 연결수단을 통해 상부머신지지빔(35)에 설치된 권상기를 트롤리(43)에 매달아 권상기를 상부머신지지빔(35) 상에서 위치조정시킬 수 있다.
트롤리 빔(42)은 시공된 분절발판(16) 상에 BIT비계와 같은 임시 가설재를 설치하고, 이 가설재 상에 작업자가 올라 트롤리빔(42)의 설치를 위한 앵글브라켓(44)을 승강로의 내측 전후벽에 고정설치하고, 윈치지지부(50)에 장착된 윈치를 이용하여 트롤리빔(42)을 앵글브라켓(44) 상에 올려 거치한 후, 전도 방지를 위해 앵글브라켓(44)과 트롤리빔(42)의 단부를 용접으로 견고하게 결합고정시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윈치지지부(50)는 분절층 보다 적어도 두개층 이상의 제2상부층에 설치되어 분절발판부(10), 지수차단부(20), 머신지지부(30), 머신이송부(40)의 시공을 위한 자재를 양중하기 위한 윈치를 고정지지한다.
윈치지지부(50)는 윈치를 고정지지하는 윈치지지빔(52)으로 이루어지며, 후단부는 제2상부층의 바닥에 고정설치되며 선단부를 출입구(h3)를 통해 승강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윈치지지빔(52)의 선단부 측에 윈치(54)가 고정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상부층의 출입구(h3) 측 바닥에 앙카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53)가 고정 설치되며, 베이스플레이트(53)가 윈치지지빔(52)의 후단부와 용접에 의해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윈치지지부(50)는 윈치지지빔(52)의 후단과 제2상부층의 천정 사이에 수직하게 서포트 지지대(56)를 설치함으로써 윈치(54)에 매달린 자재 하중에 의해 윈치지지빔(52)의 후단부가 들리면서 윈치지지빔(52)이 설치 바닥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절층의 상부로 분절발판부(10), 머신지지부(30), 머신이송부(40), 지수차단부(20), 윈치지지부(50)가 점점 높이를 높여가며 순차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엘리베이터 구성의 조기설치를 위한 임시 기계실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기존에 비해 권상기를 지지하는 머신지지부(30)와 작업자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분절발판부(10)가 각각 독립적으로 개별 구성되어, 작업자의 안전하고 충분한 작업공간 확보가 이루어지고 작업자의 하중과 권상기의 하중을 각각 분리하여 지지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고 사고발생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또한, 머신지지부(30)와 지수차단부(20) 사이에 머신이송부(40)가 구성되어 작업자가 권상기의 위치조정을 힘을 덜 들이면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주어, 카측 가이드레일, 무게추가이드레일의 위치선정이나 위치교정(보정)을 위한 권상기의 위치조정 작업을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신속하게 진행하여 전체적인 엘리베이터 조기가설 작업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의 설치시공은 원치지지부(50)의 시공, 분절발판부(10)의 시공, 머신지지부(30)의 시공, 머신이송부(40)의 시공, 지수차단막(20)의 시공 순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처럼, 윈치지지부(40)를 먼저 시공한 후, 이 윈치지지부(50)에 윈치(54)를 장착설치하여 발판지지부(20), 머신지지부(30), 머신이송부(40), 지수차단부(20)의 시공을 위한 빔, 각관, 지수차단막, 분절발판 등의 시공자재를 설치위치로 양중시켜 설치시공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윈치지지부(50)는 윈치지지빔(52)의 후단과 서포트지지대(56) 사이에 설치되어 서포트 지지대(56)를 제2상부층의 천장으로 밀어 서포트 지지대(56)를 고정시키는 푸셔(58)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푸셔(58)는 윈치지지빔(52)의 후단 상면에 용접이나 볼트,너트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결합판부(581)와, 상부가 개방된 관체형태로 이루어져 서포트지지대(56)의 하단이 삽입고정되는 끼움고정부(582)와, 결합판부(581)에 상단에 수직하게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제1수나사산이 형성된 하측 수나사로드(583)와, 끼움고정부(582)의 하단에 수직하게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제2수나사산이 일체로 형성된 상측 수나사로드(584)와, 관체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측 수나사로드(583)가 나사연결되고 상부에는 상측 수나사로드(584)가 나사연결되며, 외주면에 사용자가 회전조작하기 위한 조작노브(585a)가 구성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측 수나사로드(584)와 하측 수나사로드(583)를 상부 및 하부로 각각 이동시켜, 결합판부(581)가 윈치지지빔(52)의 후단을 바닥으로 가압하고 끼움고정부(582)가 서포트지지대(56)를 천정으로 가압하게 하는 회전조작너트부(58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측 수나사로드(584) 및 상측 수나사로드(584)와 회전조작너트부(585)는 턴버클과 동작원리가 동일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회전조작너트부(58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측 수나사로드(584) 및 상측 수나사로드(584)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동작되고, 회전조작너트부(585)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측 수나사로드(584) 및 상측 수나사로드(584)가 서로 멀어지도록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작업자가 회전조작너트부(585)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하측 수나사로드(584) 및 상측 수나사로드(584)가 서로 멀어지도록 동작시킴으로써 결합판부(581)가 윈치지지빔(52)의 후단을 바닥으로 가압하고 끼움고정부(582)가 서포트지지대(56)를 천정으로 가압하게 하여, 서포트지지대(56)가 윈치지지빔(52)의 후단과 제2상부층의 천정 사이에 단단하고 면밀하게 결합고정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베이스플레이트(53)에는 윈치지지빔(52)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위치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위치이동된 상태에서 고정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수단(55)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수단(55)은 빔소켓부(551)와, 고정핀부(55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빔소켓부(551)는 H형강 또는 I형강으로 이루어진 윈치지지빔(52)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윈치지지빔(52)의 상단패널부(52a)가 삽입되는 상부소켓부(552)와, 윈치지지빔(52)의 하단패널부(52b)가 삽입되는 하부소켓부(553)와, 윈치지지빔(52)의 연결패널부(52c)가 삽입되도록 상부소켓부(552)와 하부소켓부(553)를 연결시키는 연결소켓부(55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부소켓부(553)는 용접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53)와 용접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빔소켓부(551)는 베이스 플레이트(53)의 폭 중간위치에 고정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빔소켓부(551)는 윈치지지빔(52)이 삽입되어 윈치지지빔(52)을 따라 위치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고정핀부(555)는 빔소켓부(551)의 상단에 구성되어, 빔소켓부(551)가 윈치지지빔(52)에 위치이동된 상태에서 빔소켓부(551)를 윈치지지빔(52)에 결합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고정핀부(555)는 빔소켓부(551)의 상단 즉, 상부소켓부(552)의 상단에 결합설치되며 상단에 핀 이동홀(556a)이 형성된 핀안내케이싱(556)과, 핀 안내케이싱(556) 내에 삽입되는 상부는 핀 이동홀(556a)에 삽입되어 승강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하부에는 걸림부(557a)가 구성되고, 상단에는 손잡이(557b)가 구비된 핀부재(557)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핀안내케이싱(556)의 내부에 설치되되, 핀부재(557)가 삽입설치되며, 핀안내케이싱(556)의 내부천정과 걸림부(557a)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핀부재(557)가 하향되게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5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부소켓부(552)의 상면에는 핀통과홀(552a)이 구성되어, 이 핀통과홀(552a)에 핀부재(557)의 하단이 통과되도록 구성되며, 윈치지지빔(52)의 상단패널부(52a)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핀결합홈(52aa)이 복수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도 13의 (b)와 같이 핀부재(557)를 상단으로 잡아당겨 핀부재(557)의 하단이 핀결합홈(52aa)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빔소켓부(551)를 윈치지지빔(52)을 따라 위치이동시킬 수 있으며, 빔소켓부(551)를 윈치지지빔(52) 상의 소정위치에 이동조작시킨 다음에는, 핀부재(557)를 잡아당겼던 외력을 제거함으로써, 도 13의 (a)와 같이, 탄성부재(558)의 탄성력에 의해 핀부재(557)가 하향이동하여 복수의 핀결합홈(52aa) 중 빔소켓부(551)의 이동위치에서 핀통과홀(552a)과 일치하는 핀결합홈(52aa)에 삽입결합됨으로써, 윈치지지빔(52)과 핀소켓부(551)의 용이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빔소켓부(551)를 작업자가 간단하게 윈치지지빔(52)의 소정위치에 고정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빔소켓부(551)에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53)를 제2상부층의 바닥에 앵커로 고정장착시킬 수 있어, 베이스플레이트(53)와 윈치지지빔(52)을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용접이 필요 없어 결합이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베이스플레이트(53)가 바닥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베이스플레이트(53)에 대한 윈치지지빔(52)의 설치위치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4 참조하면, 본 발명의 머신지지부(30)는 포켓홀부(32)의 외측을 덮도록 승강로의 벽외면에 앙카볼트에 의해 결합고정되어, 하부머신지지빔(33)을 제2포켓부(31) 측으로 가압하여 하부머신지지빔(33)의 전후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커버(36)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머신지지부(30)는 제2포켓홈부(31)와 포켓홀부(32)에 하부머신지지빔(33)의 선단과 후단이 삽입거치된 상태에서, 제2포켓홈부(31)와 포켓홀부(32) 각각의 천정면과 하부머신지지빔(33)의 상면 사이의 빈 공간으로 채워져서 하부머신지지빔(33)의 선단과 후단이 제2포켓홈부(31)와 포켓홀부(32) 상에서 상하로 움직임이 않도록 하는 후방 및 전방 채움블록(37a,38a)를 더 구성할 수 있고, 이 후방 및 전방 채움블록(37a,38a)과 하부머신지지빔(33) 사이에는 각각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져 후방 및 전방 채움블록(37a,38a)에 하부머신지지빔(33)을 면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패드(37b,38b)가 더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후방채움블록(37a)과 전방채움블록(38a)은 팽창시멘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밀착패드(37b,38b)를 하부머신지지빔(33)의 단부 상면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밀착패드(37b,38b) 위로 형성되는 제2포켓홈부(31)와 포켓홀부(32)의 상부공간으로 팽창시멘트 몰탈을 타설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팽창시멘트가 소정부피만큼 팽창하여 경화되면서 후방채움블록(37a)과 전방채움블록(38a)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후방채움블록(37a)과 전방채움블록(38a)은 부피팽창되면서 각각의 밀착패드(37b,38b)를 하부머신지지빔(33) 측으로 가압해줌으로써 하부머신지지빔(33)과 밀착패드(37b,38b)의 밀착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2포켓홈부(31)에 매립설치되어, 하부머신지지빔(33)의 선단부가 삽입되면 자동으로 고정결합이 이루어지는 원터치 결합수단(39)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에서 본 발명은 제2포켓홈부(31)와 포켓홀부(32)에 각각 채움블록(37a,38a)이 구성되고, 이 채움블록(37a,38a)과 하부머신지지빔(33) 사이에 각각 밀착패드(37b,37b)가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켓홀부(32)에는 채움블록(37a)과 밀착패드(37b)가 구성되고, 제2포켓홈부(31)에는 채움블록과 밀착패드가 구성되지 않고, 원터치 결합수단(39)이 구성되어, 원터치 결합수단(39)을 통해 하부머신지지빔(33)의 선단을 제2포켓홈부(31)에 보다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터치 결합수단(39)은 결합케이스(391), 승강샤프트(392), 가압블록(393), 가압탄성부재(394), 동작버튼(395), 복귀탄성부재(396), 걸림부재(397)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결합케이스(39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로 구성되며, 일측부에 "ㄷ"자 형태의 빔삽입홈(391a)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빔삽입홈(391a)의 내측면 하단에는 동작버튼(395)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391b)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결합케이스(391)는 제2포켓홈부(31)의 동일한 사이즈로 구성되어 제2포켓홈부(31)에 삽입되어 매립된 형태로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승강샤프트(392)는 축부재로 이루어지며, 빔삽입홈(391a)의 천정면을 관통하여 상하 승강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승강샤프트(392)의 상단에는 가압탄성부재(394)의 하단을 지지하며 승강샤프트(39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92a)가 구비된다.
가압블록(393)은 승강샤프트(392)의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빔삽입홈(391a) 내에서 승강샤프트(392)와 함께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빔삽입홈(391a)의 하단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가압블록(393)은 하강되는 경우, 빔삽입홈(391a)에 삽입된 하부머신지지빔(33)의 선단부를 빔삽입홈(391a)의 하단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가압탄성부재(394)는 코일스프링형태로 구성되며, 이탈방지부(392a)의 상단과 결합케이스(391)의 내부 상단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승강샤프트(392)가 하강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동작버튼(395)은 가이드홀(391b)에 삽입되어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전진시 가이드홀(391b)에서 인출되어 빔삽입홈(391a)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후진시 가이드홀(391b)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복귀탄성부재(396)는 동작버튼(395)의 후단과 본체케이스(391)의 내부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동작버튼(395)의 외력에 의해 가이드홀(391b)로 인입된 경우 버동작버튼(395)이 가이드홀(391b)에서 인출되어 빔삽입홈(391a)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걸림부재(397)는 동작버튼(395)의 후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형성되고 상단부가 직각으로 꺽인 형태로 구성되어, 동작버튼(395)의 전후진 동작과 함께 연동하여 전후진 되도록 구성되며, 걸림부재(397)는 전진상태에서 이탈방지부(392a)의 측단이 걸려, 도 15와 같이 승강샤프트(392)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걸림부재(395)는 후진시, 이탈방지부(392a)에서 이탈되며, 이때, 가압탄성부재(394)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샤프트(392)와 함께 가압블록(393)이 하강하여 하부머신지지빔(33)의 선단부를 빔삽입홈(391a)의 하단으로 가압하여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원터치 결합수단(39)은 제2포켓홈부(31)에 매립되게 결합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머신지지빔(33)의 선단부를 빔삽입홈(391a)으로 삽입되게 한 후 동작버튼(395)이 눌리도록 밀어주기만 하면, 걸림부재(395)가 후퇴되어 이탈방지부(392a)에서 이탈되고, 이에 따라 가압탄성부재(394)에 의해 승강샤프트(392)와 함께 가압블록(392)이 하강함으로써 하부머신지지빔(33)을 빔삽입홈(391a)에 고정장착시키게 해주기 때문에 작업자가 별도의 고정작업을 진행하지 않더라도 보다 하부머신지지빔(33)의 선단을 제2포켓홈부(31)에 안정적으로 편하게 고정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분절 발판부
12…제1포켓홈부
14…발판지지빔
14a…선단
14b…후단
16…분절발판
16a…발판프레임
16b…발판플레이트
20…지수 차단부
22…지수차단막
23…앵글브라켓
30…머신 지지부
31…제2포켓홈부
32…포켓홀부
33…하부머신지지빔
35…상부머신지지빔
36…고정커버
37a, 38a…채움블록
37b,38b…밀착패드
39…원터치 결합수단
391…결합케이스
392…승강샤프트
393…가압블록
394…가압탄성부재
395…동작버튼
396…복귀탄성부재
397…걸림부재
40…머신 이송부
42…트롤리빔
43…트롤리
44…앵글브라켓
50…윈치 지지부
52…윈치지지빔
52a…상단패널부
52aa…위치조절 결합홈
52b…상단패널부
52c…연결패널부
53…베이스플레이트
55…고정수단
56…서포트지지대
551…빔소켓부
552…상부소켓부
552a…핀통과홀
553…하부소켓부
554…연결소켓부
555…고정핀부
556…핀 안내케이싱
557…핀부재
557a…걸림부
557b…손잡이
558…탄성부재
58…푸셔
581…결합판부
582…끼움고정부
583…하측 수나사로드
584…상측 수나사로드
585…회전조작너트부
585a…조작노브

Claims (5)

  1.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분절층 상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시키며 작업자를 지지하여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분절발판부;
    상기 분절층 보다 한층위의 제1상부층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낙하물이 상기 분절발판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우수가 승강로를 따라 흘러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수차단부;
    상기 분절발판부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승강로 내부에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조기가설을 위한 권상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공기계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머신지지부;
    상기 분절발판부와 상기 머신지지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트롤리의 주행이동을 가이드하는 트롤리빔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트롤리에 장착된 체인에 상기 엘리베이터 시공기계를 매달아 상기 엘리베이터 시공기계를 상기 머신지지부 상에서 위치조정시키도록 하는 머신이송부;
    상기 분절층 보다 적어도 두개층 이상의 제2상부층에 설치되어, 상기 분절발판부, 상기 지수차단부, 상기 머신지지부, 상기 머신이송부의 시공용 자재들을 양중하기 위한 윈치를 고정지지하는 윈치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윈치지지부는,
    상기 제2상부층 바닥에 후단부가 고정설치되며 선단부는 출입구를 통해 승강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윈치지지빔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상부층의 바닥에는 앙카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기 윈치지지빔의 후단과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윈치지지빔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위치조정된 상태로 고정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구성되며,
    상기 윈치지지빔의 후단부과 상기 제2상부층의 천정 사이에는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윈치지지빔 선단부에 구비된 윈치에 매달려 있는 자재하중에 의해 상기 윈치지지빔의 후단부가 들려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서포트 지지대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절발판부는,
    상기 분절층의 바닥 레벨과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상기 승강로의 내벽에 파훼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제1포켓홈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포켓홈부에 발판지지빔의 선단을 삽입거치시키고, 상기 발판지지빔의 후단은 상기 분절층의 출입구 바닥에 고정설치하여 상기 발판지지빔을 설치시공하고,
    상기 윈치지지부에 고정설치된 윈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분절발판을 상기 발판지지빔의 상단에 올려 거치시킨 다음, 이웃하는 분절발판의 이음부를 용접하여 복수의 분절발판을 일체화시켜 상기 발판지지빔의 상단에 상기 복수의 분절발판을 장착시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지지부는,
    상기 제1포켓홈부 보다 상부로 소정높이 이격된 승강로의 내벽에 파훼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제2포켓홈부를 구성하고, 상기 승강로의 내벽과 마주하며 출입구가 형성되는 출입구측 벽부에 상기 제2포켓홈부와 동일 높이레벨로 파훼가공을 통해 관통형성되는 포켓홀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포켓홈부에 하부 머신지지빔의 선단을 삽입거치하고, 상기 하부 머신지지빔의 후단은 상기 포켓홀부에 삽입거치시켜서 상기 하부 머신지지빔을 설치시공한 후, 상기 하부 머신지지빔의 상단에 직교되게 상부 머신지지빔을 거치 고정시켜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머신지지빔의 상단에는 권상기가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H형강 또는 I형강으로 이루어진 윈치지지빔의 상단 패널부가 삽입되는 상부소켓부와, 상기 윈치지지빔의 하단패널부가 삽입되는 하부소켓부와, 상기 윈치지지빔의 연결패널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상부소켓부와 하부소켓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연결소켓부로 이루어진 빔소켓부;
    상기 빔소켓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빔소켓부가 상기 윈치지지빔에 대해 위치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빔소켓부를 상기 윈치지지빔에 결합고정시키는 고정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







KR1020210094995A 2021-07-20 2021-07-20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 KR102319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995A KR102319977B1 (ko) 2021-07-20 2021-07-20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995A KR102319977B1 (ko) 2021-07-20 2021-07-20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977B1 true KR102319977B1 (ko) 2021-11-01

Family

ID=7851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995A KR102319977B1 (ko) 2021-07-20 2021-07-20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5829A (zh) * 2022-03-29 2022-06-24 青岛文锦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电梯廊桥井道单元吊装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847A (ko) * 2008-10-31 2010-05-11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기설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1203134B1 (ko) 2011-05-23 2012-11-21 (주)대산씨에스에이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분절구조
KR101260384B1 (ko) 2011-05-23 2013-05-07 (주)대산씨에스에이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 구조
JP2016079002A (ja) * 2014-10-20 2016-05-1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機器の揚重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847A (ko) * 2008-10-31 2010-05-11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기설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1203134B1 (ko) 2011-05-23 2012-11-21 (주)대산씨에스에이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분절구조
KR101260384B1 (ko) 2011-05-23 2013-05-07 (주)대산씨에스에이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 구조
JP2016079002A (ja) * 2014-10-20 2016-05-1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機器の揚重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5829A (zh) * 2022-03-29 2022-06-24 青岛文锦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电梯廊桥井道单元吊装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866B1 (ko) 거푸집 작업발판의 인양방법
CN102216545B (zh) 移动式悬臂平台及其安装方法
CN113167072B (zh) 具有爬升模板和升降机系统的建筑工地设备
US20100287876A1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guide rails of an elevator
CN106437130A (zh) 一种用于超高层建筑施工的内顶外爬式模架施工平台
CN103422668A (zh) 超厚大斜率剪力墙施工方法及所用液压自顶升倾斜爬模
KR101744345B1 (ko) 외단열 동시 공사용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KR102319977B1 (ko)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
CN104929353A (zh) 可拆卸楼梯式电梯井自动爬升操作平台
KR20070005533A (ko) 갱폼
JP2010242309A (ja) 既設建物へのエレベーターの設置工法
KR20140020126A (ko) 멀티 레일 클라이밍 장치
KR101725899B1 (ko)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CN213418443U (zh) 一种自爬式电梯井道作业平台
CN205444867U (zh) 一种新型电梯井自翻式操作架
KR101146735B1 (ko)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폼
CN111622483A (zh) 一种逆作式悬挑脚手架搭设方法
KR101203134B1 (ko)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분절구조
JP4841171B2 (ja) ライズアップ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KR102129286B1 (ko) 엘리베이터 통로 시공용 승강장치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CN112627543A (zh) 核心筒电梯井钢梁安装用井道内提升架及钢梁施工方法
KR20200077843A (ko) 승강형 가이드슈를 이용한 건물 외벽 시공방법
KR20210141194A (ko) 공동주택, 오피스 엘리베이터 기계실 공구분할과 기계실 지붕보에 매다는 구조로 기계실 바닥을 탑다운으로 시공하는 골조공사 방법 및 장치
RU2798367C1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высотного зд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