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561A -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561A
KR20220014561A KR1020200094302A KR20200094302A KR20220014561A KR 20220014561 A KR20220014561 A KR 20220014561A KR 1020200094302 A KR1020200094302 A KR 1020200094302A KR 20200094302 A KR20200094302 A KR 20200094302A KR 20220014561 A KR20220014561 A KR 20220014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upport
workbench
main
sup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503B1 (ko
Inventor
고재철
권용준
황종문
김판기
이기열
이경선
민승남
전두성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to KR1020200094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5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7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elevator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8Scaffolds partly supported by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접철 작업만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으로부터 철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설치 및 철거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치를 설치,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가설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승강장측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으로 펼쳐지면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에 일정 크기의 작업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측으로 접혀지면서 철거되는 접철식 작업대 본체와;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에 설치된 작업대 본체의 작업공간 상부에 2층의 작업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작업대 본체의 상측부분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단 조립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WORKING PLATFORM FOR INSTALLING AND MAINTAINING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철 작업만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으로부터 철거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및 철거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건물에는 각 층을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사람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다.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카, 엘리베이터 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장치는, 권상기와 조속기와 제어반과 균형추와 다수의 고정풀리와 이동풀리 및 와이어 로프(Wire Rope)를 포함한다.
상기 권상기와 조속기와 제어반과 고정풀리 등의 승강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장치들을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에 작업대(3)를 가설해야 한다.
그런데 MRL(Machine Room-Less) 타입의 엘리베이터는, 기계실을 옥상에 별도로 두지 않고 엘리베이터 승강로(1) 내의 상측부분에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승강로(1) 내의 기계실부분에 각종 승강장치(5), 예를 들면, 권상기와 조속기와 제어반과 고정풀리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상측까지 작업대(3)를 가설해야 한다.
상기 작업대(3)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를 따라 설치되는 비계파이프(3a)와, 비계파이프(3a)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비계발판(3b) 및 각종 비계장비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작업대(3)는, 다단으로 설치된 비계발판(3a)을 통해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상측부분까지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로(1) 상측부분의 기계실에 각종 승강장치(5), 즉, 권상기와 조속기와 제어반과 고정풀리 등을 설치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러한 작업대(3)는 승강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면 철거되며, 승강장치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해 다시 설치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작업대(3)는, 설치 및 철거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고, 설치 및 철거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우려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를 따라 비계파이프(3a)들을 일일이 연결설치하고, 설치된 비계파이프(3a)에 비계발판(3b)과 계단발판(3c)을 일일이 설치해야 하며, 설치된 비계파이프(3a)와 비계발판(3b)과 계단발판(3c)을 철거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조립과정을 다시 역순으로 진행해야 하는 등, 작업공수가 매우 많고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비계파이프(3a)와 비계발판(3b)과 각종 비계장비들이 무거운 재질의 철재로 구성되므로, 이들의 운반과 설치 및 철거가 매우 어렵고 힘들며, 운반과 설치 및 철거과정에서 낙하할 경우, 장비의 파손과 작업자의 부상이 발생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비계파이프(3a)와 비계발판(3b)의 설치 및 철거 과정에서 작업자가 추락할 우려가 높고, 추락 시에는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한 문제점 때문에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며, 인적, 물적 손실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설치 및 철거 작업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및 철거 작업 시에 안전사고의 우려를 대폭적으로 줄이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량의 소재를 사용하고 부품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운반, 설치 및 철거 작업의 편의성을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치를 설치,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가설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승강장측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에 일정 크기의 작업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측으로 접혀지면서 철거되는 접철식 작업대 본체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에 설치된 상기 작업대 본체의 작업공간 상부에 2층의 작업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 본체의 상측부분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단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 본체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측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측의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를 향해 펼쳐지면서 작업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접혀지는 접철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측에 간격을 두고 양립하는 양쪽의 메인지지대와; 상기 양쪽의 메인지지대들을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연결봉들을 포함하며; 상기 접철프레임은,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의 각 상단부분으로부터 수평하게 펼쳐지거나 또는 접힘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쪽의 수평지지대와;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의 각 말단부분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접힘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쪽의 수직지지대 및; 상기 양쪽의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들을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봉들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는, 상기 메인지지대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로 수평 및 수직하게 펼쳐짐에 따라 상기 메인지지대와의 사이에 일정 크기의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쪽의 메인지지대에 대한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들의 접철운동을 가이드 하는 양쪽의 텔레스코픽 접철 가이드로드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철 가이드로드는, 일단이 상기 수평지지대의 말단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지지대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지지대들의 접철운동 시에, 신장, 수축 및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상기 메인지지대에 대한 상기 수평지지대의 펼침 및 접힘을 일정한 궤도로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지지대에 대해 상기 수평지지대들을 수평하게 펼친 상기 접철 가이드로드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메인지지대에 대해 상기 수평지지대들이 수평하게 펼쳐졌을 시에, 서로 정렬되도록 상기 접철 가이드로드의 1단 및 2단 로드에 각각 형성되는 스토퍼홀들과; 서로 정렬된 스토퍼홀들에 끼워져, 상기 메인지지대에 대해 상기 수평지지대들을 수평하게 펼친 상기 접철 가이드로드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지지대와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 사이의 작업공간 하측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업공간의 바닥면을 이루는 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쪽의 메인지지대를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지지시키기 위한 제 1지지부와; 상기 양쪽의 메인지지대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로 펼쳐진 양쪽의 수평지지대들을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에 지지시키는 제 2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지지부는,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의 상,하부분을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주변 벽체부분에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의 상,하부분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주변 벽체부분에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바들과;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의 상단부 각각을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측에 고정시키는 고정홀더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들은,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의 상단부 각각에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딩헤드와;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측 벽체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홀딩헤드와 대응되도록, 상기 홀딩헤드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딩헤드와 함께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측 벽체부분 양쪽을 압착하여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의 상단부 각각을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측에 고정시키는 홀딩레버 및; 상기 홀딩레버를 상기 홀딩헤드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 및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지지부는, 상기 양쪽의 수평지지대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에 각각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봉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들은,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한 종방향 지지봉과;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한 횡방향 지지봉들을 포함하며; 상기 종방향 지지봉과 횡방향 지지봉들은,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들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각각에 대응되는 해당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과 접촉하는 상기 각 지지봉들의 끝부분에는,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들이 돌출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에 박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방향 지지봉들은, 상기 수평지지대들에 각각 일체로 조립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 지지봉들은, 슬리브의 양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에 설치된 조립용 후크부재를 통해 상기 수평지지대들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 조립체는, 상기 작업대 본체의 양쪽 수평지지대에 각각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양쪽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양쪽의 측면프레임을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봉들과;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 사이 부분에 작업자가 딛고 작업할 수 있는 작업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 사이 부분에 설치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 조립체의 발판은,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 사이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 사이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작업대 본체의 작업공간과 상기 상단 조립체의 작업공간 사이를 이동하는 작업자의 이동통로로 사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로에는, 작업자가 디디고 오르내릴 수 있는 사다리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 조립체를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에 지지시키기 위한 제 3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지지부는, 상기 상단 조립체의 양쪽 측면프레임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에 각각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봉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들은,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한 종방향 지지봉과;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한 횡방향 지지봉들을 포함하며; 상기 종방향 지지봉과 횡방향 지지봉들은,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들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각각에 대응되는 해당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과 접촉하는 상기 각 지지봉들의 끝부분에는,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들이 돌출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에 박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방향 지지봉들은, 상기 측면프레임들에 각각 일체로 조립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 지지봉들은, 슬리브의 양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에 설치된 조립용 후크부재를 통해 상기 측면프레임들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 조립체의 발판 주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난간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 조립체의 발판 양측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보조발판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발판은,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들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횡방향 지지봉들에 각각 걸어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대 본체는, 운반 시에 지면과의 구름운동이 가능하여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바퀴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에 의하면, 작업대 본체의 접철 작업과 상단 조립체의 조립 및 분해 작업만으로도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으로부터 철거되는 구조이므로, 설치 및 철거 작업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치 및 철거 작업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철거 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현저하게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량의 소재로 구성하고, 작은 크기로 접철이 가능하며, 부품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운반, 설치 및 철거 작업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비용 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를 구성하는 작업대 본체의 접철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를 구성하는 메인지지대 상부 고정홀더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8의 Ⅸ-Ⅸ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를 구성하는 메인지지대 하부 고정홀더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를 구성하는 지지봉 클램프부의 구성과 작동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1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를 구성하는 조립용 후크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는, 작업대 본체(10)을 구비한다.
상기 작업대 본체(10)는, 무게가 가벼운 소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며, 메인프레임(20)과, 메인프레임(20)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철프레임(30)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일정 간격을 두고 양립하는 양쪽의 메인지지대(22)와, 양쪽의 메인지지대(22)들을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연결봉(24)들을 포함한다.
상기 양쪽의 메인지지대(22)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엘리베이터 승강장(7)에 간격을 두고 양립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엘리베이터 승강장(7)의 엘리베이터 출입구(7a)부분에 간격을 두고 양립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철프레임(30)은, 엘리베이터 승강장(7)의 메인프레임(20)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를 향해 펼쳐지거나 또는 메인프레임(20)에 접혀지는 것으로, 메인프레임(20)의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상단부분에 연이어서 연결되는 양쪽의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 및, 양쪽의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봉(36)들을 포함한다.
상기 양쪽의 수평지지대(32)는 양쪽의 메인지지대(22)의 상단부분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쪽의 수직지지대(34)는 양쪽의 수평지지대(32)의 말단부분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양쪽의 수평지지대(32)는, 양쪽의 메인지지대(22)의 상단부분으로부터 수평하게 펼쳐지거나 또는 접힘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쪽의 수직지지대(34)는, 양쪽의 수평지지대(32)의 말단부분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접힘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양쪽의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지지대(22)에 접혀지거나 또는 메인지지대(22)로부터 펼쳐지게 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지지대(22)에 접혀짐으로써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지지대(22)로부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로 수평 및 수직하게 펼쳐짐으로써, 메인지지대(22)와 함께 "??"형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지지대(22)와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 사이의 엘리베이터 승강로(1) 내부에 일정 크기의 작업공간(12)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양쪽 메인지지대(22)의 하단부분에는 이동바퀴(22a)가 지면과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메인지지대(22)에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를 접은 상태에서 다른 장소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작업대 본체(10)는, 양쪽의 메인지지대(22)에 대한 양쪽 수평지지대(32)들의 접철을 가이드 하는 양쪽의 접철 가이드로드(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접철 가이드로드(14)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서, 일단은 양쪽 수평지지대(32)의 말단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양쪽 메인지지대(22)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접철 가이드로드(14)는, 양쪽의 메인지지대(22)로부터 양쪽의 수평지지대(32)들이 펼쳐지거나 접혀질 시에, 신장, 수축 및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메인지지대(22)에 대한 수평지지대(32)의 펼침 및 접힘을 가이드한다.
특히, 양쪽의 메인지지대(22)로부터 양쪽의 수평지지대(32)들이 펼쳐질 시에, 메인지지대(22)에 대한 수평지지대(32)들의 펼침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양쪽의 수평지지대(32)들이 양쪽의 메인지지대(22)에 대해 일정한 궤적을 가지면서 수평으로 펼져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작업대 본체(10)는, 메인지지대(22)에 대해 수평지지대(32)들을 수평하게 펼친 접철 가이드로드(14)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16)를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부(16)는, 접철 가이드로드(14)의 1단 및 2단 로드(14a, 14b)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홀(16a, 16b)들과, 서로 정렬된 스토퍼홀(16a, 16b)들에 끼워지는 스토퍼핀(16c)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홀(16a, 16b)들은, 메인지지대(22)에 대해 수평지지대(32)들이 수평하게 펼쳐졌을 시에, 서로 정렬되게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핀(16c)은 서로 정렬된 스토퍼홀(16a, 16b)들에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메인지지대(22)에 대해 수평지지대(32)들을 수평하게 펼친 접철 가이드로드(14)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로써, 상기 수평지지대(32)가 메인지지대(22)에 대해 수평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펼쳐질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작업대 본체(10)는, 메인지지대(22)와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 사이의 작업공간(12) 하측부분에 설치되는 발판(18)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발판(18)은, 사각의 판체로서, 양쪽 네모서리부분의 걸고리(18a)를 갖추고 있으며, 이들 걸고리(18a)들 중 일측의 걸고리(18a)들은, 양쪽의 메인지지대(22)를 연결하는 연결봉(24)에 걸어져 고정되고, 타측의 걸고리(18a)들은 양쪽의 수직지지대(34)를 연결하는 연결봉(36)에 걸어져 고정된다.
이러한 발판(18)은, 일측이 메인지지대(22)에, 타측이 수직지지대(34)에 걸어져 지지되므로, 서로 대응되는 메인지지대(22)와 수직지지대(34)를 서로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발판(18)은, 메인지지대(22)와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 사이에 형성된 작업공간(12)의 바닥면을 이룬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공간(12)의 발판(18)을 딛고 작업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작업대 본체(10)는, 양쪽의 메인지지대(22)를 엘리베이터 승강장(7)에 지지시키기 위한 제 1지지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지지부(40)는,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측면 상,하부분으로부터 측면을 향해 돌출 연장되는 4개의 지지바(42)들을 포함한다.
상기 4개의 지지바(42)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양쪽 메인지지대(22)가 엘리베이터 승강장(7)의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설치되었을 시에,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주변 벽체부분에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양쪽 메인지지대(22)가, 엘리베이터 승강장(7)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1)로 이동하려는 것을 제한한다.
그리고 제 1지지부(40)는,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상단부 각각을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 고정홀더(Holder)(44)들을 더 구비한다.
상기 상부 고정홀더(44)는, 도 6과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상단부 각각에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딩헤드(45)와, 상기 홀딩헤드(45)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딩레버(46) 및, 홀딩레버(46)를 홀딩헤드(45)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 및 해제레버(47)를 포함한다.
상기 홀딩헤드(45)는, 양쪽의 메인지지대(22)들로부터 각각 상,하 높이 조절되면서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주변부분에 지지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홀딩레버(46)는, 홀딩헤드(45)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루부(46a)와, 자루부(46a)로부터 절곡되어 홀딩헤드(45)에 대응되는 집게부(46b)로 구성된다.
상기 집게부(46b)는, 홀딩헤드(45)에 대한 자루부(46a)의 운동에 따라 홀딩헤드(45)와의 간격이 조절되는데, 이렇게 구성된 집게부(46b)는,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상측 벽체(7b)를 사이에 두고 홀딩헤드(45)와 대응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홀딩헤드(45)와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상기 홀딩헤드(45)와 함께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둘레부분 벽체(7b) 양쪽을 압착한다.
이에 따라,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상단부 각각을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고정시켜, 메인프레임(20)을 엘리베이터 승강장(7)에 견고하게 지지한다.
상기 고정 및 해제레버(47)는, 홀딩헤드(45)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몸체(47a)와, 홀딩레버(46)의 자루부(46a)가 통과할 수 있도록 레버몸체(47a)에 형성되는 관통홀(47b)과, 상기 관통홀(47b)의 내벽부분이 홀딩레버(46)의 자루부(46a)와 마찰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몸체(47a)를 탄성가압하는 리턴스프링(47c) 및, 홀딩레버(46)의 자루부(46a)에 대한 관통홀(47b)의 마찰접촉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몸체(47a)를 가압할 수 있는 해제손잡이(47d)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47b)은, 홀딩레버(46)의 자루부(46a)와 마찰접촉함으로써, 홀딩헤드(45)에 대한 홀딩레버(46)의 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벽체(7b)를 사이에 두고 밀착된 홀딩레버(46)와 홀딩헤드(45)가 고정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5와 도 6과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 1지지부(40)는, 양쪽 메인지지대(22)의 하단부 각각을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 고정홀더(48)들을 더 구비한다.
상기 하부 고정홀더(48)는, 도 6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메인지지대(22)의 하단부 각각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딩레버(48a) 및, 홀딩레버(48a)를 메인지지대(22)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 및 해제레버(48b)를 포함한다.
상기 홀딩레버(48a)는, 메인지지대(22)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루부(48a-1)와, 자루부(48a-1)로부터 절곡되어 메인지지대(22)에 대응되는 집게부(48a-2)로 구성된다.
상기 집게부(48a-2)는, 메인지지대(22)에 대한 자루부(48a-1)의 운동에 따라 메인지지대(22)와의 간격이 조절되는데, 이렇게 구성된 집게부(48a-2)는, 상기 메인지지대(22)를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설치하였을 시에,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하측 벽체(7c)부분 중,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측 벽체(7c)에 대응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집게부(48a-2)는, 메인지지대(22)에 대해 운동하면서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하측 벽체(7c)에 압착된다. 따라서, 양쪽 메인지지대(22)의 하단부 각각을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고정시켜, 메인프레임(20)을 엘리베이터 승강장(7)에 견고하게 지지한다.
상기 고정 및 해제레버(48b)는, 상기 상부 고정홀더(44)의 고정 및 해제레버(47)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작업대 본체(10)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로 펼쳐진 양쪽의 수평지지대(32)들을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에 지지시키기 위한 제 2지지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지지부(50)는, 양쪽의 수평지지대(32)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봉(52)들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52)은, 양쪽 수평지지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방향 지지봉(54)과, 양쪽 수평지지대(32)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하게 설치되는 횡방향 지지봉(56)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봉(52)들은, 양쪽 수평지지대(32)들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이에 대응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각각 지지된다. 특히,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 중, 3면의 내벽에 각각 지지된다.
따라서, 양쪽의 수평지지대(32)들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양쪽의 수평지지대(32)들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에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메인지지대(22)에서 펼쳐진 채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작업대 본체(10)의 작업공간(12)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할 시에, 유동없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며 작업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과 접촉하는 지지봉(52)들의 끝부분에는, 복수의 스파이크(Spike)(52a)들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스파이크(52a)들은,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파고들면서 박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대한 지지봉(52)들의 지지력을 높인다.
또한, 지지봉(52)들은 수평지지대(32)들에 각각 일체로 조립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수평지지대(32)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종방향 지지봉(54)들의 경우에는, 수평지지대(32)들에 각각 일체로 조립되지만, 횡방향 지지봉(56)들의 경우, 별도의 슬리브(56a) 양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조립용 후크부재(56b)를 통해 수평지지대(32)들에 조립 및 분해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조립용 후크부재(56b)는, 슬리브(56a)의 양쪽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후크부(56b-1)를 갖추고 있다. 상기 양쪽의 후크부(56b-1)는, 수평지지대(32)들에 미리 조립되어 있는 양쪽의 걸림돌기(56b-2)에 걸리면서 조립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슬리브(56a)의 양쪽을 양쪽의 수평지지대(32)들 각각에 조립하고, 이로써, 슬리브(56a)의 양쪽에 설치되는 횡방향 지지봉(56)들이 수평지지대(32)들의 폭방향 양쪽을 향해 설치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수평지지대(32)로부터 연장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지지된 지지봉(52)들은, 별도의 클램프부(58)에 의해서 위치 고정된다.
상기 클램프부(58)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대(32)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핑 플레이트(58a)와, 지지봉(52)이 통과할 수 있도록 클램핑 플레이트(58a)에 형성되는 관통홀(58b)과, 상기 관통홀(58b)의 내벽부분이 지지봉(52)과 마찰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마찰접촉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58a)를 운동시키는 토글 클램프 손잡이(58c)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58a)의 관통홀(58b)은, 지지봉(52)과 마찰접촉함으로써, 수평지지대(32)에 대한 지지봉(52)의 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지지된 지지봉(52)이 고정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 2와 도 3과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는, 작업대 본체(10)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단 조립체(6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상단 조립체(60)는, 무게가 가벼운 소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며, 작업대 본체(10)의 양쪽 수평지지대(32)에 각각 조립되는 양쪽의 측면프레임(70)과, 양쪽 측면프레임(70)을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봉(80)들을 포함한다.
상기 양쪽의 측면프레임(70)은, 작업대 본체(10)의 양쪽 수평지지대(32)에 서로 마주보며 나란하게 조립되며, 이렇게 조립된 양쪽의 측면프레임(70)은, 작업대 본체(10)의 상측에 일정한 작업공간(62)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작업대 본체(10)에 형성된 작업공간(12)이 1층이라면, 상기 작업대 본체(10)의 1층 작업공간(12) 상측에 2층의 작업공간(62)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측면프레임(70) 각각은, 하측의 수평지지대(32)에 조립되는 한 쌍의 조립다리(72)를 갖추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조립다리(72)들은 조립용 후크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상기 하측의 수평지지대(32)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조립용 후크부재는, 작업대 본체(10)의 횡방향 지지봉(56)들을 조립하기 위한 것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연결봉(80)들은, 양쪽의 측면프레임(70)의 일단과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양쪽의 측면프레임(70)들이 하나의 몸체를 이루면서 상기 작업대 본체(10)에 조립 및 분해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연결봉(80)들은, 경우에 따라 양쪽의 측면프레임(70)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양쪽의 측면프레임(70)들이 각각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와 도 3과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단 조립체(60)는, 양쪽의 측면프레임(70) 사이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발판(64)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발판(64)은, 사각의 판체로서, 양쪽 네모서리부분의 걸고리(64a)를 갖추고 있다.
상기 걸고리(64a)들 중 일측의 걸고리(64a)들은, 양쪽의 측면프레임(70)을 연결하는 일측 연결봉(80)에 걸어져 고정되고, 타측의 걸고리(64a)들은 양쪽의 측면프레임(70)을 연결하는 타측 연결봉(80)에 걸어져 고정된다.
이러한 발판(64)은, 양쪽의 측면프레임(70) 사이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하측의 작업대 본체(10)에서 상측의 상단 조립체(60)의 작업공간(62)으로 이동한 작업자가 디딜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대 본체(10)보다 높은 위치에서의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일부 건물에서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 내의 상측부분에 기계실이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상단 조립체(60)의 발판(64)으로 작업자가 이동하면, 엘리베이터 승강로(1) 상측부분의 기계실까지 손쉽게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계실에서의 각종 엘리베이터 설비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발판(6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측면프레임(70) 사이의 일부분에만 설치되고, 양쪽의 측면프레임(70) 사이의 나머지 부분(A)은, 빈곳으로 남겨둔다.
이러한 양쪽 측면프레임(70) 사이의 빈곳은 작업자의 이동통로로 사용된다(이하, 양쪽 측면프레임(70) 사이의 빈곳을 이동통로(A)로 칭하기로 한다).
특히, 작업대 본체(10)측 작업자가, 상측의 상단 조립체(60)측으로 올라가거나, 또는 상단 조립체(60)에서 하측의 작업대 본체(10)측으로 내려올 시에, 상기 이동통로(A)를 통해 오르내릴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로(A)에는, 작업자가 디디고 오르내릴 수 있는 사다리(66)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다시, 도 2와 도 3과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단 조립체(60)는, 양쪽의 측면프레임(70)들을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에 지지시키기 위한 제 3지지부(90)를 포함한다.
상기 제 3지지부(90)는, 양쪽의 측면프레임(70)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봉(92)들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92)은, 양쪽 측면프레임(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방향 지지봉(94)과, 양쪽 측면프레임(7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하게 설치되는 횡방향 지지봉(96)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봉(92)들은, 양쪽 측면프레임(70)들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이에 대응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각각 지지된다. 특히,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 중 3면의 내벽에 각각 지지된다.
따라서, 양쪽의 측면프레임(70)들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양쪽의 측면프레임(70)들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에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작업대 본체(10)의 상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발판(64)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할 시에, 유동없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며 작업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과 접촉하는 지지봉(92)들의 끝부분에는, 복수의 스파이크(92a)들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92)들은, 측면프레임(70)들에 각각 일체로 조립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측면프레임(70)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횡방향 지지봉(96)들의 경우, 별도의 슬리브(96a) 양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조립용 후크부재(96b)를 통해 측면프레임(70)들에 조립 및 분해될 수 있게 구성된다.
조립용 후크부재(96b)는, 작업대 본체(10)의 횡방향 지지봉(56)들을 조립하기 위한 것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측면프레임(70)으로부터 연장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지지된 지지봉(92)들은, 별도의 클램프부(98)에 의해서 위치 고정된다.
상기 클램프부(98)는, 작업대 본체(10)의 지지봉(92)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과 동일한 구조이다.
다시, 도 2와 도 3과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단 조립체(60)는, 발판(64)의 주위에 설치되는 안전난간(100)들을 구비한다.
상기 안전난간(100)은, 발판(64)의 주위의 측면프레임(70)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으로, 발판(64)에 탑승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단 조립체(60)는, 보조발판(110)들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발판(110)은, 양쪽 측면프레임(70) 사이에 조립된 발판(64)의 양측 방향에 조립되며, 네모서리부분의 걸고리(110a)를 갖추고 있다.
상기 걸고리(110a)들은, 양쪽 측면프레임(70)들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횡방향 지지봉(96)들에 각각 걸어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보조발판(110)들은, 발판(64)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열되므로,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발판(64)의 전체 넓이를 확장시킨다.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범위를 넓혀, 작업자의 편의성과 작업효율을 개선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에 의하면, 작업대 본체(10)의 접철 작업과 상단 조립체(60)의 조립 및 분해 작업만으로도 엘리베이터 승강로(1)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측으로부터 철거되는 구조이므로, 설치 및 철거 작업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설치 및 철거 작업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철거 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현저하게 줄여줄 수 있다.
또한, 경량의 소재로 구성하고, 작은 크기로 접철이 가능하며, 부품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운반, 설치 및 철거 작업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 엘리베이터 승강로 7: 엘리베이터 승강장
7a: 엘리베이터 출입구 10: 작업대 본체
12: 작업공간 14: 접철 가이드로드(Guide Rod)
16: 스토퍼부 16a, 16b: 스토퍼홀(Stopper Hole)
16c: 스토퍼핀(Stopper Pin) 18: 발판
20: 메인프레임(Main Frame) 22: 메인지지대
24: 연결봉 30: 접철프레임(Frame)
32: 수평지지대 34: 수직지지대
36: 연결봉 40: 제 1지지부
42: 지지바(Bar) 44: 상부 고정홀더(Holder)
45: 홀딩헤드(Holding Head) 46: 홀딩레버(Holding Lever)
47: 고정 및 해제레버 48: 하부 고정홀더
48a: 홀딩레버 48b: 고정 및 해제레버
50: 제 2지지부 52: 지지봉
52a: 스파이크(Spike) 54: 종방향 지지봉
56: 횡방향 지지봉 56a: 슬리브(Sleeve)
56b: 조립용 후크부재 58: 클램프부
58a: 클램핑 플레이트(Clamping Plate)
58b: 관통홀 58c: 토글 클램프 손잡이
60: 상단 조립체 62: 작업공간
64: 발판 66: 사다리
70: 측면프레임(Frame) 80: 연결봉
90: 제 3지지부 92: 지지봉
92a: 스파이크 94: 종방향 지지봉
96: 횡방향 지지봉 100: 안전난간
110: 보조발판

Claims (25)

  1. 엘리베이터 승강장치를 설치,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로(1)에 가설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승강장(7)측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에 일정 크기의 작업공간(12)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측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7)측으로 접혀지면서 철거되는 접철식 작업대 본체(10)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측에 설치된 상기 작업대 본체(10)의 작업공간(12) 상부에 2층의 작업공간(62)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 본체(10)의 상측부분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단 조립체(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본체(10)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7)측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20)과;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7)측의 상기 메인프레임(20)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를 향해 펼쳐지면서 작업공간(12)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프레임(20)에 접혀지는 접철프레임(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7)의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간격을 두고 양립하는 양쪽의 메인지지대(22)와;
    상기 양쪽의 메인지지대(22)들을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연결봉(24)들을 포함하고;
    상기 접철프레임(30)은,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22)의 각 상단부분으로부터 수평하게 펼쳐지거나 또는 접힘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쪽의 수평지지대(32)와;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32)의 각 말단부분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접힘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쪽의 수직지지대(34) 및;
    상기 양쪽의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들을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봉(36)들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는, 상기 메인지지대(22)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로 수평 및 수직하게 펼쳐짐에 따라 상기 메인지지대(22)와의 사이에 일정 크기의 작업공간(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의 메인지지대(22)에 대한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32)들의 접철운동을 가이드 하는 양쪽의 텔레스코픽(Telescopic) 접철 가이드로드(14)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철 가이드로드(14)는,
    일단이 상기 수평지지대(32)의 말단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지지대(22)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지지대(32)들의 접철운동 시에, 신장, 수축 및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상기 메인지지대(22)에 대한 상기 수평지지대(32)의 펼침 및 접힘을 일정한 궤도로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대(22)에 대해 상기 수평지지대(32)들을 수평하게 펼친 상기 접철 가이드로드(14)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16)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부(16)는,
    상기 메인지지대(22)에 대해 상기 수평지지대(32)들이 수평하게 펼쳐졌을 시에, 서로 정렬되도록 상기 접철 가이드로드(14)의 1단 및 2단 로드(14a, 14b)에 각각 형성되는 스토퍼홀(16a, 16b)들과;
    서로 정렬된 스토퍼홀(16a, 16b)들에 끼워져, 상기 메인지지대(22)에 대해 상기 수평지지대(32)들을 수평하게 펼친 상기 접철 가이드로드(14)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핀(16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대(22)와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 사이의 작업공간(12) 하측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업공간(12)의 바닥면을 이루는 발판(1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의 메인지지대(22)를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7)에 지지시키기 위한 제 1지지부(40)와;
    상기 양쪽의 메인지지대(22)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로 펼쳐진 양쪽의 수평지지대(32)들을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에 지지시키는 제 2지지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부(40)는,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상,하부분을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주변 벽체부분에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상,하부분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주변 벽체부분에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바(42)들과;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상단부 각각을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고정시키는 상부 고정홀더(Holder)(44)들 및;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22)의 하단부 각각을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고정시키는 하부 고정홀더(48)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홀더(44)들은,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상단부 각각에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딩헤드(45)와;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상측 벽체(7b)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홀딩헤드(45)와 대응되도록 상기 홀딩헤드(45)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딩헤드(45)와 함께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상측 벽체(7b)부분 양쪽을 압착하여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상단부 각각을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고정시키는 홀딩레버(46) 및;
    상기 홀딩레버(46)를 상기 홀딩헤드(45)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 및 해제레버(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홀더(48)는,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하측 벽체(7c)부분 중,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측 벽체(7c)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22)의 하단부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측 벽체(7c)를 압착하여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22)의 하단부 각각을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고정시키는 홀딩레버(48a) 및;
    상기 홀딩레버(48a)를 상기 메인지지대(22)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 및 해제레버(48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부(50)는,
    상기 양쪽의 수평지지대(32)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각각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봉(52)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52)들은,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한 종방향 지지봉(54)과;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32)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한 횡방향 지지봉(56)들을 포함하며;
    상기 종방향 지지봉(54)과 횡방향 지지봉(56)들은,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32)들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각각에 대응되는 해당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과 접촉하는 상기 각 지지봉(52)들의 끝부분에는,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Spike)(52a)들이 돌출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박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지지봉(54)들은, 상기 수평지지대(32)들에 각각 일체로 조립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 지지봉(56)들은, 슬리브(56a)의 양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56a)에 설치된 조립용 후크부재(56b)를 통해 상기 수평지지대(32)들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조립체(60)는,
    상기 작업대 본체(10)의 양쪽 수평지지대(32)에 각각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양쪽의 측면프레임(70)과;
    상기 양쪽의 측면프레임(70)을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봉(80)들과;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70) 사이 부분에 작업자가 딛고 작업할 수 있는 작업공간(62)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70) 사이 부분에 설치되는 발판(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조립체(60)의 발판(64)은,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70) 사이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70) 사이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작업대 본체(10)의 작업공간(12)과 상기 상단 조립체(60)의 작업공간(62) 사이를 이동하는 작업자의 이동통로(A)로 사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A)에는, 작업자가 디디고 오르내릴 수 있는 사다리(66)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조립체(60)를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에 지지시키기 위한 제 3지지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지지부(90)는,
    상기 상단 조립체(60)의 양쪽 측면프레임(70)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각각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봉(92)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92)들은,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한 종방향 지지봉(94)과;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7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한 횡방향 지지봉(96)들을 포함하며;
    상기 종방향 지지봉(94)과 횡방향 지지봉(96)들은,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70)들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각각에 대응되는 해당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과 접촉하는 상기 각 지지봉(92)들의 끝부분에는,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92a)들이 돌출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박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지지봉(94)들은, 상기 측면프레임(70)들에 각각 일체로 조립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 지지봉(96)들은, 슬리브(96a)의 양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96a)에 설치된 조립용 후크부재(96b)를 통해 상기 측면프레임(70)들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조립체(60)의 발판(64) 주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난간(100)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조립체(60)의 발판(64) 양측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보조발판(110)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발판(110)은,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70)들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횡방향 지지봉(96)들에 각각 걸어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25. 제 1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본체(10)는,
    운반 시에 지면과의 구름운동이 가능하여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바퀴(22a)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KR1020200094302A 2020-07-29 2020-07-29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KR102426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302A KR102426503B1 (ko) 2020-07-29 2020-07-29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302A KR102426503B1 (ko) 2020-07-29 2020-07-29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561A true KR20220014561A (ko) 2022-02-07
KR102426503B1 KR102426503B1 (ko) 2022-07-29

Family

ID=8025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302A KR102426503B1 (ko) 2020-07-29 2020-07-29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5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2676A (zh) * 2022-05-26 2022-10-04 广东耀南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电梯井内筒支模的支撑定位机构
CN115162703A (zh) * 2022-08-11 2022-10-11 中建新疆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电梯井施工平台
CN115450406A (zh) * 2022-09-01 2022-12-09 上海地铁第二运营有限公司 一种用于梯级台阶的操作平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2676A (zh) * 2022-05-26 2022-10-04 广东耀南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电梯井内筒支模的支撑定位机构
CN115142676B (zh) * 2022-05-26 2024-03-01 广东耀南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电梯井内筒支模的支撑定位机构
CN115162703A (zh) * 2022-08-11 2022-10-11 中建新疆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电梯井施工平台
CN115450406A (zh) * 2022-09-01 2022-12-09 上海地铁第二运营有限公司 一种用于梯级台阶的操作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503B1 (ko)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503B1 (ko)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EP0702121B1 (en) Elevatable work facility
JP6348888B2 (ja)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KR102241781B1 (ko)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JP2003321174A (ja) エレベータ乗り籠の作業用柵
JP6270692B2 (ja) 揚重装置および揚重方法
JP2009057198A (ja) エレベータかご、エレベータかごの組立方法、および揚重治具
JP2015101440A (ja)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JP6378550B2 (ja) 足場装置
JP2008179469A (ja) エレベータ装置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の配設方法
KR101820954B1 (ko)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JP6621732B2 (ja) 作業床装置
KR101111234B1 (ko)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EP1647512A1 (en) Working scaffold system of elevator
JP2002020051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内作業床装置
KR20180073829A (ko) 타워크레인용 건널 다리
JPH08100517A (ja) 昇降式作業台
JP2017071488A (ja)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KR100641465B1 (ko)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
KR20110043120A (ko) 슬라브 거푸집 해체용 하강장치
JPH0829905B2 (ja) 昇降路足場装置
JP7343053B2 (ja) エレベーター据付用の作業床装置
KR100458096B1 (ko)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
JP2004143677A (ja) 建築機材の搬出入装置
KR102536340B1 (ko) 엘리베이터 설치용 시스템 비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