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465B1 -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465B1
KR100641465B1 KR1020057003002A KR20057003002A KR100641465B1 KR 100641465 B1 KR100641465 B1 KR 100641465B1 KR 1020057003002 A KR1020057003002 A KR 1020057003002A KR 20057003002 A KR20057003002 A KR 20057003002A KR 100641465 B1 KR100641465 B1 KR 100641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platform
hoistway
elevator
foundation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6908A (ko
Inventor
유키히로 다키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03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465B1/ko
Publication of KR20050096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에는 복수개의 기초 기둥이 탑승장에 세워져 있다. 기초 기둥의 하단부와 승강로 후방 벽 사이에는 복수개의 기초 경사 부재가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기초 기둥과 기초 경사 부재의 선단부 사이에는 복수개의 기초 수평 비임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기초 수평 비임에는 승강로내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현수 기둥이 지지된다. 하부 작업 플랫폼은 기초 수평 비임의 아래쪽에서 현수 기둥에 지지된다. 상부 작업 플랫폼은 하부 작업 플랫폼의 위쪽에서 현수 기둥에 지지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WORKING SCAFFOLD SYSTEM OF ELEVA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설치 작업등, 승강로내에서의 작업시에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working scaffold)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로 상부에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이른바 기계실리스(machine-roomless) 엘리베이터의 설치시에는, 리프팅 장치의 설치 작업이나 가이드 레일의 정상부 고정 작업 등을 승강로내의 정상부에서 실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종래의 발판 장치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 제 2682354 호 공보에는, 최상층의 탑승장 플랫폼으로부터 승강로내에 작업 플랫폼을 연장시키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최상층의 탑승장 플랫폼으로부터 승강로내의 정상부까지 거리가 길 경우에, 작업 플랫폼 위의 작업원의 손이 승강로내의 정상부까지 미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83-183579 호 공보에는, 승강로 바닥부로부터 승강로 정상부까지 발판 장치를 설치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발판 장치가 대형화되기 때문에, 조립ㆍ해체가 복잡하다. 또한, 부품 수가 상당히 많아지기 때문에, 운반이 복잡한 동시에,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행해진 것으로서, 비용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최상층의 탑승장 플랫폼으로부터 승강로내의 정상부까지의 거리가 긴 경우에도, 승강로의 정상부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는 탑승장으로부터 승강로내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발판 지지 프레임, 발판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는 하부 작업 플랫폼 및 하부 작업 플랫폼의 윗쪽에서 발판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는 상부 작업 플랫폼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작업 발판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상부 작업 플랫폼의 장착 위치를 높게 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작업 발판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도 6의 Ⅶ부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8은 도 6의 Ⅷ-Ⅷ선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6의 Ⅸ부를 도시하는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업 발판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1)와 탑승장 사이에는 탑승장 출입구(2)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는 탑승장 출입구(2)가 설치된 승강로 전방 벽(1a), 탑승장 출입구(2)에 대향하는 승강로 후방 벽(1b), 한쌍의 승강로 측벽(1c, 1d), 승강로 천정부(1e) 및 승강로 바닥부(1f)로 구성되어 있다.
승강로 천정부(1e)에는 복수의 리프팅 비임(3)이 고정되어 있다. 리프팅 비임(3)에는 설치 작업에 사용되는 리프팅 장치(4)가 지지되어 있다.
최상층의 탑승장 플랫폼(5) 위에는 2개의 기초 기둥(6)이 세워져 있다. 각 기초 기둥(6)의 상단부에는 탑승장 출입구(2)의 윗쪽에서 탑승장 벽에 접촉하는 지지용 금속 피팅(7)이 장착되어 있다.
탑승장 플랫폼(5)과 승강로 후방 벽(1b) 사이에는 2개의 기초 경사 부재(8)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 기초 경사 부재(8)는 기초 기둥(6)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기단부(8a)와, 승강로 후방 벽(1b)에 접촉하는 선단부(8b)를 갖고 있다. 또한, 기초 경사 부재(8)는 그 선단부(8b)가 기단부(8a)의 경사 위쪽에 위치하도록 승강로(1)내에 배치되어 있다.
기단부(8a)는 접속용 금속 피팅(클램프 부재)(9)에 의해 기초 기둥(6)에 접속되어 있다. 선단부(8b)에는 핀(1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접촉용 금속 피팅(11)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내에는 2개의 기초 수평 비임(12)이 서로 평행하게 또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기초 수평 비임(12)은 기초 기둥(6)에 접속되는 제 1 단부(12a)와, 기초 경사 부재(8)의 선단부(8b)에 접속되는 제 2 단부(12b)를 갖고 있다. 제 1 단부(12a)는 접속용 금속 피팅(클램프 부재)(13)에 의해 기초 기둥(6)에 접속되어 있다.
2개의 기초 수평 비임(12) 사이에는 기초 수평 비임(12)에 대하여 직교하고, 수평으로 연장되는 2개의 지지 비임(14)이 가설되어 있다. 각 지지 비임(14)의 양 단부에는 접속용 금속 피팅(클램프 부재)(15)을 거쳐서 현수 기둥(16)이 접속되어 있다. 승강로(1)내에는 합계 4개의 현수 기둥(16)이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현수 기둥(16)은 지지 비임(14)을 거쳐서 기초 수평 비임(1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실시형태 1의 발판 지지 프레임은 기초 기둥(6), 지지용 금속 피팅(7), 기초 경사 부재(8), 접속용 금속 피팅(9), 핀(10), 접촉용 금속 피팅(11), 기초 수평 비임(12), 접속용 금속 피팅(13), 지지 비임(14), 접속용 금속 피팅(15) 및 현수 기둥(16)을 갖고 있다. 또한, 발판 지지 프레임은 탑승장으로부터 승강로(1)내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하부 작업 플랫폼(17)은 기초 수평 비임(12)의 하방에서 현수 기둥(16)에 지지되어 있다. 하부 작업 플랫폼(17)은 전후의 현수 기둥(16)의 하단부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된 2개의 하부 받침 비임(18)과, 2개의 하부 받침 비임(18) 사이에 가설된 복수매의 하부 발판 보드(19)를 갖고 있다. 하부 받침 비임(18)은 접속용 금속 피팅(클램프 부재)(20)에 의해 현수 기둥(1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하부 발판 보드(19)는 고무 밴드나 로프 등의 체결 기구에 의해 하부 받침 비임(18)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부 작업 플랫폼(17)은 탑승장 플랫폼(5)으로부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탑승장 출입구(2)의 높이 치수의 범위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부 작업 플랫폼(21)은 기초 수평 비임(12)의 윗쪽에서 현수 기둥(16)에 지지되어 있다. 상부 작업 플랫폼(21)은 전후의 현수 기둥(16)의 상단부 근방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된 2개의 상부 받침 비임(22)과, 2개의 상부 받침 비임(22) 사이에 가설된 복수매의 상부 발판 보드(23)를 갖고 있다. 상부 받침 비임(22)은 접속용 금속 피팅(클램프 부재)(24)에 의해 현수 기둥(1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부 발판 보드(23)는 고무 밴드나 로프 등의 체결 기구(25)에 의해 상부 받침 비임(2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기초 기둥(6), 기초 경사 부재(8), 기초 수평 비임(12), 지지 비임(14), 현수 기둥(16), 하부 받침 비임(18) 및 상부 받침 비임(22)은 예컨대 강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발판 보드(19) 및 상부 발판 보드(23)는 예를 들면 목제의 평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작업 발판 장치에서는, 승강로(1)내의 정상부에서의 작업을 수행할 경우, 작업원은 우선 탑승장으로부터 하부 작업 플랫폼(17) 위로 이동하고, 하부 작업 플랫폼(17) 위로부터 상부 작업 플랫폼(21) 위로 이동한다. 상부 작업 플랫폼(21)상에는 예를 들면 상부 발판 보드(23)의 일부를 장착하기에 앞서 하부 작업 플랫폼(17)으로부터 받침이나 사다리를 사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작업 플랫폼(17)과, 그 윗쪽에 위치하는 상부 작업 플랫폼(21)을 설치함으로써, 최상층의 탑승장 플랫폼(5)으로부터 승강로(1)내의 정상부까지의 거리가 긴 경우에도, 작업원이 상부 작업 플랫폼(21) 위에 올라가는 것에 의해, 승강로(1)의 정상부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승강로 바닥부(1f)로부터 발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고, 조립ㆍ해체도 용이하다.
또한, 최상층의 탑승장 플랫폼(5)으로부터 승강로(1)내의 정상부까지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상부 작업 플랫폼(21)을 장착하지 않고, 하부 작업 플랫폼(17)만으로 작업을 수행하면 좋다.
또한, 상부 작업 플랫폼(21)상에서 효율적으로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원의 신장에도 의하지만, 예를 들면 승강로 천정부(1e)로부터 상부 작업 플랫폼(21)까지의 거리를 1500mm 이상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작업 플랫폼(17)으로부터 상부 작업 플랫폼(21)까지의 거리는, 하부 작업 플랫폼(17)상의 작업원에 의해 상부 작업 플랫폼(21)의 장착을 수행하는 것 것이 가능한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 발판 장치의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상부 작업 플랫폼(21)의 상하 방향의 장착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최상층의 탑승장 플랫폼(5)으로부터 승강로 천정부(1e)까지의 높이의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로 천정부(1e)까지의 높이가 도 1보다도 높을 경우, 현수 기둥(16)에 대한 상부 작업 플랫폼(21)의 장착 위치를 도 1보다도 높게 함으로써, 승강로(1)내의 정상부에서의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승강로 천정부(1e)까지의 높이가 도 1보다도 낮을 경우, 현수 기둥(16)에 대한 상부 작업 플랫폼(21)의 장착 위치를 도 1보다도 낮게 함으로써, 상부 작업 플랫폼(21)상의 작업 스페이스의 높은 치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작업 발판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하부 작업 플랫폼(17)과 상부 작업 플랫폼(21) 사이에 사다리(3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사다리(31)로부터 상부 작업 플랫폼(21) 위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부 발판 보드(23)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하부 작업 플랫폼(17)과 상부 작업 플랫폼(21) 사이에 사다리(31)를 설치함으로써, 하부 작업 플랫폼(17)과 상부 작업 플랫폼(21)상의 사이에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Ⅶ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Ⅷ-Ⅷ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Ⅸ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각 현수 기둥(16)에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핀 구멍(16a)이 설치되어 있다. 핀 구멍(16a)은 기초 수평 비임(12)에 현수 기둥(16)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 금속 피팅(15)의 다소 위에, 하부 작업 플랫폼(17)을 현수 기둥(16)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 금속 피팅(20)의 다소 아래에, 그리고 상부 작업 플랫폼(21)을 현수 기둥(16)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 금속 피팅(24)의 다소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
각 핀 구멍(16a)에는 각각 핀(32)이 관통 삽입되어 있다. 각 핀(32)의 양 단부는 현수 기둥(16)의 표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각 핀(32)의 선단부에는 이탈 방지용의 너트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2개의 기초 경사 부재(8)의 기단부(8a) 근방 사이에는, 강관으로 이루어진 백업 부재(33)가 접속용 금속 피팅(클램프 부재)(34)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백업 부재(33)는 탑승장 출입구(2)를 가로지르도록 수평으로 연장되고, 양단부가 탑승장 출입구(2)의 양측에서 승강로 전방 벽(1a)에 접촉하고 있다.
각 기초 경사 부재(8)의 접속용 금속 피팅(34)보다도 다소 위의 부분에는, 핀 구멍(12c)이 설치되어 있다. 각 핀 구멍(12c)에는 핀(35)이 관통 삽입되어 있다. 각 핀(35)의 양 단부는 기초 경사 부재(8)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각 핀(35)의 선단부에는 이탈 방지용의 너트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작업 발판 장치에서는, 현수 기둥(16)에 핀(32)을 관통 삽입하였기 때문에, 현수 기둥(16)에 대하여 접속용 금속 피팅(20, 24)이 아랫쪽으로 미끄러져서 어긋나거나, 접속용 금속 피팅(15)에 대하여 현수 기둥(16)이 하방으로 미끄러져 어긋난 경우에도, 핀(32)에 접속용 금속 피팅(20, 24, 15)을 접촉시켜서, 이러한 미끄러짐을 저지할 수 있고, 발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초 경사 부재(8) 사이에는 백업 부재(33)를 접속하고, 백업 부재(33)의 양 단부를 승강로 전방 벽(1a)에 접촉시켰기 때문에, 기초 경사 부재(8)의 기단부(8a)가 승강로(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도 발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초 경사 부재(8)에도 핀(35)을 관통 삽입하였기 때문에, 기초 경사 부재(8)에 대한 접속용 금속 피팅(34)의 미끄러짐을 저지할 수 있고, 발판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 발판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설치시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개수 공사나 보수 점검시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 본 발명의 작업 발판 장치는 주로 최상층의 탑승장 플랫폼에 설치되지만, 필요하다면 최상층 이외의 탑승장층의 탑승장 플랫폼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계실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 작업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기초 기둥(6), 기초 경사 부재(8) 및 기초 수평 비임(12)을 2개씩 설치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을 3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4개의 현수 기둥(16)을 사용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5개 이상의 현수 기둥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지지 비임(14)은 3개 이상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발판 지지 프레임의 기본적인 구조도 반드시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에 있어서,
    탑승장으로부터 승강로내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발판 지지 프레임과,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는 하부 작업 플랫폼과,
    상기 하부 작업 플랫폼의 윗쪽에서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는 상부 작업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은, ① 탑승장에 세워진 복수개의 기초 기둥과, ② 상기 기초 기둥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기단부와, 탑승장 출입구에 대향한 승강로 후방 벽에 접촉하는 선단부를 갖고, 상기 선단부가 상기 기단부의 경사 위쪽에 위치하도록 승강로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기초 경사 부재와, ③ 상기 기초 기둥에 접속되는 제 1 단부와, 상기 기초 경사 부재의 상기 선단부에 접속되는 제 2 단부를 갖고, 상기 승강로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기초 수평 지지 비임 및 상기 기초 수평 지지 비임에 지지되고, 상기 승강로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현수 기둥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작업 플랫폼은 상기 기초 수평 지지 비임의 하방에서 상기 현수 기둥에 지지되고, 상기 상부 작업 플랫폼은 상기 하부 작업 플랫폼의 윗쪽에서 상기 현수 기둥에 지지되는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작업 플랫폼의 상하 방향의 장착 위치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작업 플랫폼과 상기 상부 작업 플랫폼 사이에 설치되는 사다리를 더 포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 기둥에는, 상기 하부 작업 플랫폼 및 상기 상부 작업 플랫폼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하방에서 핀이 관통 삽입되어 있고, 상기 핀은 상기 현수 기둥의 표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장 출입구를 가로지르도록 수평으로 연장되는 한편 상기 기초 경사 부재에 접속되고, 양 단부가 상기 탑승장 출입구의 양측에서 승강로 전방 벽에 접촉하는 백업 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
KR1020057003002A 2005-02-22 2003-07-22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 KR100641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3002A KR100641465B1 (ko) 2005-02-22 2003-07-22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3002A KR100641465B1 (ko) 2005-02-22 2003-07-22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908A KR20050096908A (ko) 2005-10-06
KR100641465B1 true KR100641465B1 (ko) 2006-11-01

Family

ID=37276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002A KR100641465B1 (ko) 2005-02-22 2003-07-22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4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4006B2 (ja) * 2017-08-28 2022-06-14 株式会社三共 仮設足場用扉
KR102373661B1 (ko) * 2020-10-20 2022-03-15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엘리베이터 설치용 비계장치
KR102536340B1 (ko) * 2021-06-24 2023-05-26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엘리베이터 설치용 시스템 비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908A (ko)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85628B1 (en) Elevator with adjustable top edge railing members
CN102216545B (zh) 移动式悬臂平台及其安装方法
KR20070037995A (ko) 승강실 및 승강로에 승강실의 지지 수단을 설치하는 방법
KR102426503B1 (ko)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US6857508B2 (en) Elevator hoist machine installation apparatus
KR100641465B1 (ko)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
EP1647512B1 (en) Working scaffold system of elevator
JP2009057198A (ja) エレベータかご、エレベータかごの組立方法、および揚重治具
JPH0220354Y2 (ko)
TW552236B (en) Light weight work platform with crane
JP5169604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床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60107874A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
JP3193609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JP4245315B2 (ja) エレベータ据付用移動足場およびエレベータ据付工法
JPH0734069Y2 (ja) エレベータにおけるかご又はつり合おもりの吊り装置
JP405647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978218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及び据付方法
JP7343053B2 (ja) エレベーター据付用の作業床装置
JP3059899B2 (ja) エレベーターの吊上装置
JPH061562A (ja) 油圧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据付け方法
JP4233432B2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内作業台装置
JP2004149258A (ja) エレベーターのつり合いおもり支持装置
JPH0442296Y2 (ko)
JP2005187119A (ja) エレベータ上部機器の下部組立て工法
JP2781671B2 (ja) ビルの架設方法及びビル架設用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