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781B1 -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781B1
KR102241781B1 KR1020190079251A KR20190079251A KR102241781B1 KR 102241781 B1 KR102241781 B1 KR 102241781B1 KR 1020190079251 A KR1020190079251 A KR 1020190079251A KR 20190079251 A KR20190079251 A KR 20190079251A KR 102241781 B1 KR102241781 B1 KR 102241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ipe
support
height
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3452A (ko
Inventor
노순오
박도선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9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7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0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1Railings with an access door or the like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8Inclined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을 갖추고, 수평 난간에 공구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기타 작업대의 취급과 보관 및 안전성이 향상된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Height-adjustable movable work platform}
본 발명은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각종 산업 현장의 고소작업에서 활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 등 각종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작업 범위를 벗어난 높은 곳의 작업 시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는 작업대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높이가 5m 이상인 곳의 작업 시 주로 전동식 고소 작업대를 사용하거나 비계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높이가 1.5m~4m 정도의 상대적으로 낮은 작업의 경우 비전동식 일반 고소 작업대가 사용된다.
종래의 선행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2681호는 “이동식 높이 조절 작업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경사진 계단 부분으로 인해 작업대의 부피가 증가하고, 작업대를 지지하는 안정적인 지지대의 부재하여 장비의 취급이 불편하며 작업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1595호는 “높이와 경사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대”를 개시하고 있으나, 작업 공간의 안전난간의 높이가 낮고, 출입구가 형성되지 않은 점 등 작업자의 작업상 편의성을 고려하지 못해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고소 작업대로서 작업 공간의 편의성과 안전성 등 다양한 측면이 고려되어 장비의 취급과 사용이 편리한 작업대가 요구되어 진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1595호
본 발명은 이동식 작업대로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취급이 편리하며, 작업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작업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 가능한 발판과 상기 발판의 가장자리 상부에 형성되는 난간을 포함하는 작업부와 상기 발판의 하부에 연결된 수직승강파이프와 상기 수직승강파이프를 연결하는 수평승강파이프를 포함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수직 파이프를 수용하며 상기 수직 파이프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수직지지파이프와 상기 수직지지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수평지지파이프를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아웃트리거 및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바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승강파이프는 상기 수직지지파이프의 가이드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여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수직지지파이프에 상기 승강부의 높이를 고정하는 높이 고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승강파이프에 높이 조절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 고정부는 상기 수직지지파이프의 일정 높이에 형성된 높이 고정 구멍과 고정 막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 막대를 상기 높이 고정 구멍을 통해 상기 높이 조절 구멍에 관통하는 방식으로 상기 작업부의 높이를 조절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웃트리거는 상기 수직지지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암과 지지암의 끝 단에서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암은 2단 이상으로 접기가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난간은 상기 발판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난간과 상기 수직 난간을 연결하는 수평 난간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난간은 수용공간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난간 중 어느 하나에 바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직 난간 중 다른 어느 하나에 바의 타단을 체결하는 체결구를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승강파이프는 상기 바가 형성된 위치의 하부에서 상기 수직승강파이프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고, 상기 수평지지파이프는 상기 바가 형성된 위치의 하부에서 상기 수직지지파이프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난간의 상단에서 상기 수직 난간은 서로 와이어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높이의 작업이 가능하고, 여러 개의 작업대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되며, 공구함의 기능을 가진 안전난간을 통해 작업자의 작업성이 증대되고, 작업대의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와 지지부의 결합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와 지지부가 결합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아웃트리거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수평 난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작업대에 형성된 출입구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식 작업대(100)는 작업부(110)와 승강부(120) 및 지지부(130)을 포함한다. 또한, 높이 고정부(140)와 아웃트리거(150) 및 바퀴부(160)를 포함한다.
작업부(110)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판 상의 발판(111)과 발판(111)의 가장자리 상부에 형성되는 난간을 포함한다. 난간은 수직난간(112)과 수평난간(113)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난간(112)의 상단은 서로 와이어(114)로 연결된다. 또한, 출입구 역할을 하는 바(115)(bar)가 수직난간(112)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수직난간(112)에는 체결구(116)가 고정되어 상기 바(115)와 결합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발판(111)은 적당한 크기의 면적을 가진 사각형의 판 부재이며,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이 가능할 정도의 강도와 내구성을 지닌다. 또한, 작업부(110)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가벼운 재질의 것을 선택하는 것이 적합하다. 발판(111)의 크기 또는 재질, 형상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이하 ‘당업자’라고 함)가 적절하게 변형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난간은 발판(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작업자가 작업 도중에 추락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구조를 이룬다. 난간의 높이는 작업자의 신장을 고려하여 추락 우려가 없는 적절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난간은 수직난간(112)과 수평난간(11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난간(112)은 사각형의 발판(111)의 네 모서리에 각각 수직으로 고정되어 형성되고, 수평난간(113)은 수직난간(112)의 사이를 적절한 높이에서 연결한다. 난간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절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진다.
도 5는 수평난간(113)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수평 난간은 작업자가 주로 사용하는 각종 공구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수평난간(113)은 수직난간(112)을 연결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면서,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형태이다. 필요에 따라 수용공간에 뚜껑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동식 작업대(100)가 사용되는 현장은 주로 고소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이며, 일상적으로 유사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쓰이는 공구의 종류 또한 비슷하다. 그러므로, 위와 같이 난간을 활용하여 공구를 보관할 경우, 작업자가 작업할 때마다 공구를 챙겨 올라갈 필요가 없고, 별도의 공구 보관함을 작업대에 두는 것이 아니므로 작업 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6은 작업대에 형성된 출입구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바(115)(bar)와 체결구(116)를 확인할 수 있다.
바(115)는 수직난간(112)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바(115)는 출입구 역할을 하기 위한 적당한 높이에 위치한다. 바(115)의 회동 방향은 고정된 부분을 중심으로 세로 방향이거나 가로 방향일 수 있다.
바(115)가 가로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작업대 내부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고, 외부 방향으로는 회동이 불가하게 하는 것이 작업자의 안전에 유리할 것이다. 바(115)가 세로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수평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고, 하부 방향으로는 회동이 불가하게 하는 것이 작업자의 안전에 유리하다.
바(115)는 작업자의 출입을 위한 것이나, 작업 중에는 난간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 중 기대거나, 중심을 잃고 바(115)와 충돌한 경우라도 바(115)가 안전하게 작업자를 지지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적당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진다.
체결구(116)는 상기 바(115)가 고정되지 않은 다른 수직난간(112)에 형성되어 바(115)의 끝 단과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체결구(116)는 바(115)가 수평상태에서 체결구(116)와 결합되도록 수직난간(112)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된다. 바(115)와 체결구(116)가 결합 또는 해제되는 방식은 다양하며, 그에 따라 여러 가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가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115)와 체결구(116)를 통해 작업대의 출입구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대에 오를 시 동선을 방해받지 않으며, 작업 중 난간의 역할을 하여 안전장치가 된다.
승강부(120)는 작업대 아래에 연결된 것으로 지지부(130)에 형성된 가이드부(133)에 인입 또는 인출되어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승강부(120)는 수직승강파이프(121)와 수평승강파이프(122)를 포함하며, 수직승강파이프(121)는 높이 조절 구멍(123)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승강파이프(121)는 사각형의 발판(111)의 네 모서리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파이프 부재이고, 수평승강파이프(122)는 수직승강파이프(121)를 연결하는 수평의 파이프 부재이다. 출입구가 형성된 방향에 위치한 한 쌍의 수직승강파이프(121)는 수평승강파이프(122)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고, 그 반대측에 있는 다른 한 쌍의 수직승강파이프(121)도 같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수직승강파이프(121)와 수평승강파이프(122)가 연결된 형상은 사다리 기능을 할 수 있어, 작업자는 이를 이용하여 작업대에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수평승강파이프(122) 사이의 일정한 간격은 작업대에 오르는 작업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정할 수 있을 것이다.
수직승강파이프(121)의 길이는 작업대의 무게와 높이에 따른 안정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로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100)는 평소 약 2m 높이를 가지며, 작업대 인출 시 약 3.5~4m 정도의 높이까지 고소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수직승강파이프(121)의 길이를 약 1.5m에서 2m로 설정할 수 있다.
수직승강파이프(121)는 높이 조절 구멍(123)이 일정한 간격을 따라 형성된다. 높이 조절 구멍(123)은 승강부(120)가 지지부(130)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인출된 후, 승강부(120)를 상기 높이에서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높이 조절 구멍(123)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승강부(120)는 다양한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수직승강파이프(121) 또는 수평승강파이프(122)의 길이, 형상, 재질과 높이 조절 구멍(123)의 개수, 크기, 위치 등은 당업자가 적절하게 변형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지지부(130)는 작업부(110)와 승강부(120)의 하중을 지지하는 한편 승강부(120)를 일정 높이에 고정한다. 지지부(130)는 수직지지파이프(131)와 수평지지파이프(132)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지지파이프(131)는 높이 고정부를 포함한다.
수직지지파이프(131)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발판(111)의 네 모서리의 하부에 형성된 수직승강파이프(121)와 일렬로 위치한다. 수직지지파이프(131)는 수직승강파이프(121)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가이드부(133)를 포함하며, 가이드부(133)를 따라 수직승강파이프(121)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가이드부(133)는 수직지지파이프(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으로서, 중공의 상부가 개방되어 수직승강파이프(121)의 하단을 상기 중공의 상부에 삽입할 수 있다. 승강부(120)를 인입 또는 인출할 때 수평승강파이프(122)가 걸리지 않도록 상기 중공의 일측면은 개방되어 형성된다.
가이드부(133)는 지지부(130)로부터 승강부(1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 하중이 지지부(130)에 온전히 전달되도록 하며, 일정한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높이 고정부는 수직지지파이프(131)의 일정한 위치에 형성되고, 높이 고정 구멍(141)과 고정 막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 고정 구멍(141)은 수직지지파이프(131)를 관통하여 가이드부(133)의 중공과 통한다. 고정 막대(142)는 상기 높이 고정 구멍(141)을 통과하여 수직승강파이프(121)의 높이 조절 구멍(123)에 삽입되는 방식에 의해 승강부(120)의 높이를 고정한다.
고정 막대(142)에 의해 작업부(110)와 승강부(120)의 하중이 지지되므로, 고정 막대(142)는 상기 하중에 의한 변형이 없는 강한 재질(금속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지지파이프(132)는 복수의 수직지지파이프(131)를 서로 연결하는 부재로서, 지지부(130)를 일체로 거동하게 하고, 지지부(130)가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형상을 유지하며, 작업자가 작업대에 탑승하는 것을 돕는 사다리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지부(130)에서 출입구가 위치한 면은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지지파이프(131)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탑승 편의를 고려한 사다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120)와 지지부(130)의 결합 구조와 결합 단면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승강부(120)와 지지부(130)의 높이 조절과 관련한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수직지지파이프(131)의 단면은 수직승강파이프(121)의 단면보다 넓고 내부에 수직승강파이프(121)를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공은 상부가 개방되고, 도 2에서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중공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측면이 개방되어 가이드부(133)를 형성한다. 따라서, 수직승강파이프(121)는 중공으로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고, 수평승강파이프(122)가 걸리지 않는다.
수직승강파이프(121)가 가이드부(133)에 인입된 상태에서, 수직승강파이프(121)의 측면에 형성된 높이 조절 구멍(123)이 수직지지파이프(131)의 높이 고정 구멍(141)과 높이가 일치하도록 승강부(120)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 후, 고정 막대(142)를 상기 높이 고정 구멍(141)을 통해 높이 조절 구멍(123)에 삽입하여 높이를 고정한다.
도 4는 아웃트리거(150)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아웃트리거(150)는 지지부의 하단에 회동이 가능하게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웃트리거(150)가 각 수직지지파이프(131)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아웃트리거(150)는 지지암(151)과 지지대(152)를 포함한다. 지지암(151)은 지지 대상이 넓은 면적에 의해 지지받도록 길이를 가진 부재로 형성된다. 지지대(152)는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지지암(151)의 끝 단에 연결되고, 지면에 닿도록 조절과 고정이 가능하다.
지지암(151)은 길이가 길수록 지지 대상을 넓은 면적에 의해 지지되게 하여 기능상 유리하다. 그러나, 지지암(151)의 길이가 길수록 작업대의 취급이 불편하고, 이동식 작업대의 거동에 방해가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암(151)은 접기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아웃트리거(150)의 미사용 시 지지암(151)을 접은 채 이동식 작업대(100)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펼쳤을 때 길이가 길어 이동식 작업대(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조체를 지지하는 아웃트리거(150)의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아웃트리거(150)는 당업자가 적절하게 변형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바퀴부(160)는 수직지지파이프(131)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식 작업대(100)가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바퀴부(160)는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대의 이동시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작업대에서 작업시 브레이크를 고정하여 작업중 작업대가 움직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와이어(114)는 수직난간(112)의 상단에서 수직난간(112)을 서로 연결한다. 또한, 와이어(114)는 작업부(110)의 작업 공간을 둘러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114)는 작업자가 고소 작업시 일반적으로 착용하는 안전장치(고소작업 안전벨트 등)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작업자는 안전 장치를 와이어에 연결한 상태로 작업을 실시하며, 추락하더라도 안전장치가 와이어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이동식 작업대
110: 작업부 111: 발판
112: 수직난간 113: 수평난간
114: 와이어 115: 바(bar)
116: 체결구
120: 승강부 121: 수직승강파이프
122: 수평승강파이프 123: 높이 조절 구멍
130: 지지부 131: 수직지지파이프
132: 수평지지파이프 133: 가이드부
140: 높이 고정부 141: 높이 고정 구멍
142: 고정 막대
150: 아웃트리거 151: 지지암
152: 지지대
160: 바퀴부

Claims (7)

  1.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 가능한 발판과 상기 발판의 가장자리 상부에 형성되는 난간을 포함하는 작업부;
    상기 발판의 하부에 연결된 수직승강파이프와 상기 수직승강파이프를 연결하는 수평승강파이프를 포함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수직 파이프를 수용하며 상기 수직 파이프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수직지지파이프와 상기 수직지지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수평지지파이프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단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아웃트리거; 및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바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승강파이프는 높이 조절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지지파이프의 가이드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며,
    상기 수직지지파이프는 높이 고정 구멍과 고정 막대로 구성된 높이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높이 고정부는 상기 고정 막대를 상기 높이 고정 구멍을 통해 상기 높이 조절 구멍에 관통하여 상기 승강부의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아웃트리거는 상기 수직지지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2단 이상으로 접기가 가능한 지지암과 지지암의 끝 단에서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난간은 상기 발판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난간과 상기 수직 난간을 연결하며 수용공간이 구비된 수평 난간을 포함하며,
    바(bar)의 일단이 상기 수직 난간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바(bar)의 타단은 상기 수직 난간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체결 가능하며, 상기 바(bar)는 작업대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하거나 상부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수평승강파이프는 상기 바(bar)가 형성된 위치의 작업부 하부에서 상기 수직승강파이프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고,
    상기 수평지지파이프는 상기 바(bar)가 형성된 위치의 상기 작업부 하부에서 상기 수직지지파이프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난간의 상단에서 상기 수직 난간은 서로 와이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KR1020190079251A 2019-07-02 2019-07-02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KR102241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251A KR102241781B1 (ko) 2019-07-02 2019-07-02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251A KR102241781B1 (ko) 2019-07-02 2019-07-02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452A KR20210003452A (ko) 2021-01-12
KR102241781B1 true KR102241781B1 (ko) 2021-04-19

Family

ID=7412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251A KR102241781B1 (ko) 2019-07-02 2019-07-02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7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820B1 (ko) * 2022-02-18 2022-12-23 (주)남성전력 난간을 가지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1422A (zh) * 2021-11-03 2022-01-14 金狮堂(江苏)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工程用施工平台
CN114215324A (zh) * 2022-01-11 2022-03-22 金留念 一种建筑施工用粉刷支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3984A (en) * 1979-04-04 1981-04-28 Akira Masuda Truck serving as a workbench
US5044467A (en) * 1989-07-17 1991-09-03 Heiden Gary J Scaffold
KR20060071595A (ko) 2004-12-22 2006-06-27 한국산업안전공단 높이와 경사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대
KR101620682B1 (ko) * 2014-03-26 2016-05-23 황용규 리프트 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820B1 (ko) * 2022-02-18 2022-12-23 (주)남성전력 난간을 가지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452A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1781B1 (ko)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US20090152045A1 (en) Mobile mount for attachment of a fall arrest system
EP3334889B1 (en) An extendable work platform
KR102426503B1 (ko)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KR200480180Y1 (ko) 에이형 사다리
WO2016151307A1 (en) Adjustable scaffold
KR20060071595A (ko) 높이와 경사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대
KR20120109170A (ko) 우마형 사다리
US20070267249A1 (en) Roof safety system
JP2012087524A (ja) 梯子アタッチメント
KR20110002720U (ko) 고소 작업용 우마 사다리
KR20120008547U (ko) 벌크헤드 작업대
JP7212343B2 (ja) 作業台
KR20130000294U (ko) 탈착 가능한 작업발판이 구비된 사다리
KR20220075163A (ko) 베란다 안전 코킹작업대
CN110565931A (zh) 一种组装式道路施工用脚手架
KR20210015011A (ko) 사다리
RU161712U1 (ru) Лестница-шест
KR102479820B1 (ko) 난간을 가지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KR20140004108U (ko) 해치 커버 작업대
KR20140000270U (ko) 핸드레일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사다리
KR200378403Y1 (ko) 고소작업대
EP2746490A2 (en) A scaffold
KR20100048441A (ko) 이동식 작업용 지지 장치
KR100583775B1 (ko) 건축용 비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