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403Y1 -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403Y1
KR200378403Y1 KR20-2004-0037190U KR20040037190U KR200378403Y1 KR 200378403 Y1 KR200378403 Y1 KR 200378403Y1 KR 20040037190 U KR20040037190 U KR 20040037190U KR 200378403 Y1 KR200378403 Y1 KR 200378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aerial platform
horizontal bar
floo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미동
Original Assignee
조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미동 filed Critical 조미동
Priority to KR20-2004-0037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4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4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wo-dimensional frame-like elements, e.g. of rods in L- or H-shape, with or without br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8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out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2001/155Platforms with an access hatch for getting through from one level to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Abstract

본 고안은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고소작업대(100)에 있어서, 네지점으로부터 고정되는 연결구(10)를 통해 수직 설치되어 높이에 대한 기둥을 형성하는 수직바(12)와, 수직바(12)의 상단으로부터 연결구(10)를 통해 횡으로 네지점 연결되며, 길이방향에 연결공(14a)이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어 층간을 형성하는 수평바(14)와, 상기 대응되는 수평바(14)의 연결공에 양단이 끼움 설치되어 대응되는 수평바를 등간격으로 연결되어 지지되는 지지간(15)과, 상기 지지간(15)의 상부로부터 네지점을 연결하는 수평바(14)가 차지하는 면적으로 설치되어 층간의 바닥 또는 천정을 형성하는 발판(16)과, 상기 각 층간을 형성하는 지지간(15)에 걸어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층과 하층사이에서의 이동구간을 갖는 계단(20)과, 상기 수직바(12)와 직각을 이루는 수평바(14)의 가장자리에 일정높이로 설치되는 보호난간(17)과, 최상부에 위치하는 수직바(12)에 연결구(10)를 통해 지붕을 형성하는 캐노피(1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고소작업대는 각 구성요소의 조립시공으로, 시공하고자 하는 층간으로부터 해당하는 위치에서 고소작업을 원활히 수행함에 있음은 물론, 고소작업대 내부측에서 계단을 설치함으로써, 상하층간을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작업자가 안전하게 드나들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보호난간을 둠으로써, 낙하를 방지하고, 우천시를 대비하여 상부층에 캐노피를 형성시켜줌으로써, 발판의 미끄러움 방지하는 한편, 고소작업대를 형성하는 수직바, 수평바, 발판, 계단 등의 구성요소의 분리 및 조립성을 갖도록 하여 현장설치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데 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소작업대{Working tower for a high place}
본 고안은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고소작업용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고소작업대 개념을 탈피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층간으로부터 해당하는 위치에서 고소작업을 원활히 수행함은 물론, 상하층간을 편리하게 작업자가 안전하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며, 분해 및 조립성을 갖도록 하여 현장설치의 대응에 유리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고소작업대는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과 같은 대규모 주거단지, 다세대 등의 실내 전선공사 및 천장의 외장공사 등을 지속적으로 작업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조기구이다.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소재의 파이프인 다수의 수직바(2)와 수평바(4)를 일정한 형상으로 용접 및 볼트에 의해 결합함으로서 작업대(1)의 본체(1-1)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1-1)의 양측에는 상측으로 올라가기 위한 사다리(3)가 설치되며, 본체의 하부에는 이동가능한 캐스터(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체(1-1)의 상부에는 작업발판(6)이 안착되며, 작업발판(6)의 가장자리 부분은 본체의 상부측에 해당하는 수평바(4)와 연결끈(6a)으로서 연결 지지되는 구조이다.
상기 본체의 4지점에 해당하는 수직바는 중공형으로 되어있어 여기에 연결부재(7)의 설치에 따라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소작업대(1)와 동일한 또 하나의 고소작업대(1)를 높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소작업대는 수직바의 하부가 상기 연결부재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그 높이를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통상 연장되는 고소작업대의 수는 한대 내지 세대까지 그 높이를 연장하거나 단층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사다리를 통해 작업자가 상측 작업발판까지 올라갈 수 있도록 하였으나, 본체의 측면측으로부터 사다리를 쥐고 발을 딛는 동작으로서 올라가야 하기 때문에 불편한 점이 있고, 다층으로 형성할시에는 작업자의 안전이 고려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다리를 통해 상층부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작업하고자 하는 작업용구 및 이에 사용되는 자재 등의 물건을 가지고 올라갈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대는 상층부에서 작업자가 작업발판을 딛고 작업하는데 있어, 상층부의 가장자리부분은 고소작업대의 연장설치에 따른 특성상 별도의 보호난간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물론, 작업도중 작업용구, 자재 등을 낙하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으며, 이는 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작업자는 물론, 고소작업대 근처를 지나는 또 다른 작업자에게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작업대는 별도의 캐노피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외부공사에 이용에 있어 급작스런 우천시에는 대피가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시공하고자 하는 층간으로부터 해당하는 위치에서 고소작업을 원활히 수행함은 물론, 상하층간을 편리하게 작업자가 안전하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며, 분해 및 조립성을 갖도록 하여 현장설치 대응에 유리한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본 고안은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네지점으로부터 고정되는 연결구를 통해 수직 설치되어 높이에 대한 기둥을 형성하는 수직바와, 수직바의 상단으로부터 연결구를 통해 횡으로 네지점 연결되며, 길이방향에 연결공이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어 층간을 형성하는 수평바와, 상기 대응되는 수평바의 연결공에 양단이 끼움 설치되어 대응되는 수평바를 등간격으로 연결되어 지지되는 지지간과, 상기 지지간의 상부로부터 네지점을 연결하는 수평바가 차지하는 면적으로 설치되어 층간의 바닥 또는 천정을 형성하는 발판과, 상기 각 층간을 형성하는 지지간에 걸어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층과 하층사이에서의 이동구간을 갖는 계단과, 상기 수직바와 직각을 이루는 수평바의 가장자리에 일정높이로 설치되는 보호난간과, 최상부에 위치하는 수직바에 연결구를 통해 지붕을 형성하는 캐노피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소작업대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인 고소작업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보호난간 사용상태를 일부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고소작업대(100)에 있어서, 고소작업대(100)의 기본 골조는 연결구(10)를 통해 각각의 수직바(12), 수평바(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구(10)는 적어도 4방향의 끼움부(11)가 상호 직각되게 형성되어 수직되는 끼움부(11)로는 수직바(12)의 종단을 연결하고, 수평되는 끼움부(11)측은 상기 수평바(14)와 연결된다.
상기 수직바(12)는 네지점으로부터 연결구(10)를 통해 수직 설치되어 높이에 대한 기둥을 형성하며, 상기 수평바(14)는 수직바(12)의 상단으로부터 연결구(10)를 통해 횡으로 네지점 연결되어 구조물의 층간을 형성한다.
상기 수평바 중 해당하는 수평바(14)에는 길이방향에 연결공(14a)이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된다.
상기 대응되는 수평바(14)의 연결공(14a)에 소정길이를 갖는 지지간(15) 양단이 끼움 설치되며, 여기서 지지간(15)는 대응되는 수평바(14)를 등간격으로 연결한다. 상기 지지간(15)은 수평바(14)의 외측으로부터 체결보울트(B)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소작업대(100)의 최하부층을 이루는 수평바(14)의 저면에 이동바퀴(13)가 다수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간(15)의 상부로부터 네지점을 연결하는 수평바(14)가 차지하는 면적에 해당하는 발판(16)이 설치된다. 상기 발판(16)은 비교적 촘촘한 다공이 형성된 판재로, 상기 지지간(15)의 상면에 구간구간 안치되며, 별도의 와이어등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간(15) 및 수평바(14)에 결속되어 고정된다.
상기 각 층간을 형성하는 지지간(15)의 소정부분, 즉, 상기 발판(16)이 위치하지 않는 부분으로부터는 계단(20)이 설치된다.
상기 계단(20)은 두개의 프레임(21)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디딤판(22)과, 프레임(21) 양측에 부착 설치되는 핸드레일(23)과, 프레임(11) 양측에 발판(16)이 안착되는 지지간(15)에 걸어 지지되는 걸고리(24)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상기 고소작업대(100)의 상기 수직바(12)와 직각을 이루는 수평바(14)의 가장자리에는 보호난간(17)이 일정높이로 설치된다.
상기 보호난간(17)은 등간격으로 수직되는 지주(17-1)로부터 가이드레일(17-2)이 설치되되, 가이드레일(17-2)의 일정구간 사이에 출입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차단바(17-3)가 가이드레일(17-2)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평차단바(17-3)는 체결부재(S)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해제 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소작업대를 이룸에 있어, 작업대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수직바(12)에는 연결구(10)를 통해 우천시 비로부터 대피할 수 있도록 지붕을 형성하는 캐노피(18)가 설치된다.
상기 캐노피(18)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경사를 갖는 지붕형태, 또는 일자형의 단면적을 갖는 판재형으로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고소작업대의 설치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소작업대의 기초적인 형성은 수직바와 수평바에 의하며, 상기 수직바는 4지점 위치시키되, 연결구의 각 기움부를 통해 4지점의 수평바를 조립한다.
수평바의 조립에 있어, 수평바의 길이변에 형성된 연결공으로는 다수개 마련된 지지간의 양단을 안내시킨 상태에서 조립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간의 양단은 상기 수평바의 외측으로부터 체결보울트(B)를 체결하여 견고히 고정시키며, 상기 지지간의 상면으로는 발판을 안치시켜 지지간및 수평바로부터 별도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결속 고정시켜준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수직바의 상부측에는 별도의 연결구가 각 4지점 연결되고, 상기 연결구의 각 끼움부를 통해 상기와 같이 수평바, 지지간, 발판이 설치시킴으로서 복층구조를 갖도록 하며, 상기 수직바, 수평바, 연결구, 발판의 연속적인 설치로서 고소작업대는 3~4층정도의 높이로 연장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각 층을 이루는 고소작업대의 층간형성에 있어 상하층부분의 이동경로는 구비되는 계단으로 하여금 층간을 오고갈 수 있다.
상기 계단은 그 양단에 형성된 걸고리(24)를 하층부측의 지지간에, 상층부측의 지지간에 경사지게 설어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계단(20)은 프레임(21)에 배열된 발디딤판(22)을 통해 작업자가 고소작업대의 층간을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상태에서는 프레임(21) 양측에 부착 설치되는 핸드레일(23)을 통해 보다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계단이 설치되는 구간에서의 발판측으로는 이동통로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계단을 한층을 올라왔을때 다음층으로 바로 연속하여 올라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각 층을 이루는 고소작업대(100)의 수직바(12)와 수평바(14)의 직각부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난간(17)이 설치되는데, 보호난간(17)은 등간격으로 수직되는 지주(17-1)로부터 가이드레일(17-2)이 설치된 것으로, 고소작업대의 각층 가장자리로부터 작업자및 그외 별도의 물건이 낙하하는 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작업현장에서 안전불감증을 없애는 한 부분이기도 하다.
상기 보호난간에 있어, 가이드레일(17-2)의 일정구간 사이에는 고소작업대를 건물층에 밀착시켰을때 건물측으로 작업자가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보호난간으로부터의 이동은 상기 수평차단바(17-3)를 가이드레일(17-2)로부터 슬라이딩시켜 통로를 차단/해제시키고, 상기 수평차단바(17-3)는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설치되는 체결부재(S)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의 수평차단바는 슬라이딩형식이 안닌 회동형식으로도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고소작업대는 최하층에 위치하는 수평바의 저면에 이송바퀴를 두어 비교적 바닥이 평평한 지면으로부터는 별도의 견인장비를 잉요하여 작업을 필요로 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소작업대의 최상층에 위치하는 수직바로부터는 지붕을 형성하는 캐노피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야외자 작업에 있어 우천시 작업자들은 비를 맞지 않고서도 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직바, 수평바, 발판, 계단 등의 구성요소로 이들의 조합에 의해 다층으로 고소작업대를 구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반대로 각 구성요소를 하나 하나 설치과정의 반대공정을 통해 이들을 각각 해체시켜 줌으로서 구성요소의 보관이 유리하고, 다시 이들의 설치는 작업현장에 적절히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고소작업대는 각 구성요소의 조립시공으로, 시공하고자 하는 층간으로부터 해당하는 위치에서 고소작업을 원활히 수행함에 있음은 물론, 고소작업대 내부측에서 계단을 설치함으로써, 상하층간을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작업자가 안전하게 드나들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보호난간을 둠으로써, 낙하를 방지하고, 우천시를 대비하여 상부층에 캐노피를 형성시켜줌으로써, 발판의 미끄러움 방지하는 한편, 고소작업대를 형성하는 수직바, 수평바, 발판, 계단 등의 구성요소의 분리 및 조립성을 갖도록 하여 현장설치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데 큰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종래 고소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고소작업대를 다수의 층으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고소작업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보호난간 사용상태를 일부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연결구 20: 계단
12: 수직바 13: 이동바퀴
14: 수평바 15: 지지간
16: 발판 17: 보호난간
18: 캐노피 100: 고소작업대

Claims (6)

  1. 고소작업대(100)에 있어서,
    네지점으로부터 고정되는 연결구(10)를 통해 수직 설치되어 높이에 대한 기둥을 형성하는 수직바(12)와,
    수직바(12)의 상단으로부터 연결구(10)를 통해 횡으로 네지점 연결되며, 길이방향에 연결공(14a)이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어 층간을 형성하는 수평바(14)와,
    상기 대응되는 수평바(14)의 연결공에 양단이 끼움 설치되어 대응되는 수평바를 등간격으로 연결되어 지지되는 지지간(15)과,
    상기 지지간(15)의 상부로부터 네지점을 연결하는 수평바(14)가 차지하는 면적으로 설치되어 층간의 바닥 또는 천정을 형성하는 발판(16)과,
    상기 각 층간을 형성하는 지지간(15)에 걸어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층과 하층사이에서의 이동구간을 갖는 계단(20)과,
    상기 수직바(12)와 직각을 이루는 수평바(14)의 가장자리에 일정높이로 설치되는 보호난간(17)과,
    최상부에 위치하는 수직바(12)에 연결구(10)를 통해 지붕을 형성하는 캐노피(1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소작업대의 최하부층을 이루는 수평바의 저면에 이동바퀴(13)가 다수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난간(17)은 등간격으로 수직되는 지주(17-1)로부터 가이드레일(17-2)이 설치되되, 가이드레일(17-2)의 일정구간 사이에 출입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차단바(17-3)가 가이드레일(17-2)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평차단바(17-3)는 체결부재(S)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해제 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20)은 두개의 프레임(21)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디딤판(22)과, 프레임(21) 양측에 부착 설치되는 핸드레일(23)과, 프레임(11) 양측에 발판이 안착되는 지지간(15)에 걸어 지지되는 걸고리(24)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는 적어도 4방향의 끼움부(11)가 상호 직각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간(15)은 수평바(14)의 외측으로부터 체결보울트(B)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KR20-2004-0037190U 2004-12-29 2004-12-29 고소작업대 KR200378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190U KR200378403Y1 (ko) 2004-12-29 2004-12-29 고소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190U KR200378403Y1 (ko) 2004-12-29 2004-12-29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403Y1 true KR200378403Y1 (ko) 2005-03-14

Family

ID=4368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190U KR200378403Y1 (ko) 2004-12-29 2004-12-29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4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6012A (zh) * 2018-11-16 2019-02-15 泰山学院 一种带有真空吸盘的悬吊式高空作业台装置
KR200496177Y1 (ko) * 2020-09-07 2022-11-17 문승일 대형 렉 구조물 시공용 안전 작업 타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6012A (zh) * 2018-11-16 2019-02-15 泰山学院 一种带有真空吸盘的悬吊式高空作业台装置
CN109336012B (zh) * 2018-11-16 2024-02-27 泰山学院 一种带有真空吸盘的悬吊式高空作业台装置
KR200496177Y1 (ko) * 2020-09-07 2022-11-17 문승일 대형 렉 구조물 시공용 안전 작업 타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6996C (en) Ladder docking device
US20100293875A1 (en) Stairway for Use on Building Sites
EP3807472A1 (en) Telescopic staircase system and uses thereof
GB2426029A (en) Adjustable staircase
US6932194B1 (en) Safety rail for scaffolding
KR20090025737A (ko) 호이스트 방호울의 조립식 진입발판대
US3307653A (en) Demountable stairway unit
KR200378403Y1 (ko) 고소작업대
KR100559118B1 (ko) 고소 작업대
AU2012200673B2 (en) Barrier
KR20100055605A (ko) 개량형 조립식 계단
EP1009894A1 (en) A scaffold structure
EP1365087B1 (en) Safety barrier apparatus
KR200384963Y1 (ko)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
CN207079889U (zh) 一种天棚施工用的组装式移动施工平台
KR102338929B1 (ko) 비계용 수직사다리
JP4986419B2 (ja) 仮設階段
CA2531713A1 (en) Ladder bracket
GB2373017A (en) Scaffolding tower assembly
JP3008167B2 (ja) 簡易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KR100758111B1 (ko) 건설현장용 안전계단
AU2008100330A4 (en) Staircase assembly
JP4077458B2 (ja) 階段用足場装置
KR20230155017A (ko) 비계대
KR100583775B1 (ko) 건축용 비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