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547U - 벌크헤드 작업대 - Google Patents

벌크헤드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547U
KR20120008547U KR2020110004919U KR20110004919U KR20120008547U KR 20120008547 U KR20120008547 U KR 20120008547U KR 2020110004919 U KR2020110004919 U KR 2020110004919U KR 20110004919 U KR20110004919 U KR 20110004919U KR 20120008547 U KR20120008547 U KR 201200085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khead
handrail
workbench
hol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상희
정상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4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547U/ko
Publication of KR201200085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54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2Railings extensible or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벌크헤드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부 각 귀퉁이에 지면을 따라 구르는 바퀴(11)가 설치되고 상단부에 발판(12)이 마련된 작업대본체(10)와, 상기 작업대본체(10)의 발판(12)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직립되는 핸드레일(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핸드레일(20)은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대본체의 발판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직립되는 핸드레일을 고정부와 높이조절부로 분리 구성하고 이 높이조절부가 고정부에 대해 상하 축 회전되면서 핸드레일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천정이 낮은 공간으로의 진입시에는 핸드레일을 접어서 진입이 가능하게 되고 진입 후 다시 천정이 높은 작업 공간에서는 핸드레일을 세워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작업자에게 안정감을 부여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벌크헤드 작업대{Bulk head working stand}
본 고안은 벌크헤드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대본체의 발판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직립되는 핸드레일을 고정부와 높이조절부로 분리 구성하고 이 높이조절부가 고정부에 대해 상하 축 회전되면서 핸드레일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천정이 낮은 공간으로의 진입시에는 핸드레일을 접어서 진입이 가능하게 되고 진입 후 다시 천정이 높은 작업 공간에서는 핸드레일을 세워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작업자에게 안정감을 부여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벌크헤드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크헤드 작업대는 높이가 낮은 선체 저면 등의 작업시 작업자가 발판으로 올라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를 말한다.
일례로 종래 기술의 벌크헤드 작업대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하단부 각 귀퉁이에 지면을 따라 구르는 바퀴가 설치되고 상단부에 발판이 마련된 작업대본체와, 상기 작업대본체의 발판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직립되는 핸드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벌크헤드 작업대는 작업자가 작업장소로 작업대를 밀어 이동시킨 후 작업자가 발판에 서서 고개를 든 채 주로 상방을 바라보면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대 테두리에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용 핸드레일이 마련되어야 한다.
한편, 선체의 저면은 지면을 향해 오목하고 볼록한 요철 구조의 저면을 갖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지면을 향해 볼록한 부분으로의 작업대 진입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 진입을 위해 높이가 낮은 작업대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벌크헤드 작업대는 핸드레일의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한 고정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높이가 낮은 작업 공간으로의 진입이 불가능하게 되면서 높이가 낮은 작업대를 사용하게 되는 데 이때 높이가 낮은 작업대는 그 발판의 높이도 낮기 때문에 작업 공간에서 작업자의 손이 천정면에 닿지 않을 경우 작업자가 핸드레일을 밟고 올라가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 추락하게 되는 안전사고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대본체의 발판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직립되는 핸드레일을 고정부와 높이조절부로 분리 구성하고 이 높이조절부가 고정부에 대해 상하 축 회전되면서 핸드레일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천정이 낮은 공간으로의 진입시에는 핸드레일을 접어서 진입이 가능하게 되고 진입 후 다시 천정이 높은 작업 공간에서는 핸드레일을 세워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작업자에게 안정감을 부여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벌크헤드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벌크헤드 작업대는 하단부 각 귀퉁이에 지면을 따라 구르는 바퀴가 설치되고 상단부에 발판이 마련된 작업대본체; 상기 작업대본체의 발판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직립되는 핸드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벌크헤드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은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헤드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은, 상기 발판 귀퉁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수직대와, 상기 각각의 제1수직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수평대로 이루어진 고정부; 상기 제1수평대와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경첩 연결되어 상하로 축 회전되는 복수의 제2수평대와, 상기 제2수평대의 양단부에서 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2수직대와, 상기 제2수직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수평대로 이루어진 높이조절부; 및 상기 상방으로 축 회전되어 직립되어 있는 각각의 높이조절부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헤드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귀퉁이에서 서로 맞닿는 제2수직대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을 갖는 고리를 각각 설치하고, 이들 고리의 상방에서 관통공으로 관통시켜 이 관통공 내에 배치되는 관통걸림부와 이들 관통걸림부를 서로 연결 고정시키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디귿자 형상의 걸이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헤드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걸이의 관통걸림부 중 어느 하나의 관통걸림부 일단부에 상기 관통공에 걸려 걸이가 고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헤드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관통공의 직경보다 큰 원판 형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헤드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가 마련된 관통걸림부가 다른 관통걸림부보다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벌크헤드 작업대는 작업대본체의 발판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직립되는 핸드레일을 고정부와 높이조절부로 분리 구성하고 이 높이조절부가 고정부에 대해 상하 축 회전되면서 핸드레일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천정이 낮은 공간으로의 진입시에는 핸드레일을 접어서 진입이 가능하게 되고 진입 후 다시 천정이 높은 작업 공간에서는 핸드레일을 세워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작업자에게 안정감을 부여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헤드 작업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헤드 작업대의 높이조절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헤드 작업대의 높이조절부가 걸이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헤드 작업대의 높이조절부의 걸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헤드 작업대는 하단부 각 귀퉁이에 지면을 따라 구르는 바퀴(11)가 설치되고 상단부에 발판(12)이 마련된 작업대본체(10)와, 상기 작업대본체(10)의 발판(12)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직립되는 핸드레일(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핸드레일(20)은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발판(12)은 핸드레일(20) 내에서 작업자가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는 사각 판재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핸드레일(20)은, 상기 발판(12) 귀퉁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수직대(21a)와, 상기 각각의 제1수직대(21a)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수평대(21b)로 이루어진 고정부(21)와, 상기 제1수평대(21b)와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경첩(22a) 연결되어 상하로 축 회전되는 복수의 제2수평대(22b)와, 상기 제2수평대(22b)의 양단부에서 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2수직대(22c)와, 상기 제2수직대(22c)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수평대(22d)로 이루어진 높이조절부(22) 및 상기 상방으로 축 회전되어 직립되어 있는 각각의 높이조절부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귀퉁이에서 서로 맞닿는 제2수직대(22c)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23a)을 갖는 원관 형상의 고리(23)를 각각 설치하고, 이들 고리(23)의 상방에서 관통공(23a)으로 관통시켜 이 관통공(23a) 내에 배치되는 관통걸림부(24a)와 이들 관통걸림부(24a)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 고정시키는 연결부(24b)로 이루어진 디귿자 형상의 걸이(24)가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이(24)의 관통걸림부(24a) 중 어느 하나의 관통걸림부(24a) 일단부에 상기 관통공(23a)에 걸려 걸이(24)가 고리(2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24c)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부(24c)는 상기 관통공(23a)의 직경보다 큰 원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24c)가 마련된 관통걸림부(24a)는 다른 관통걸림부(24a)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걸이(24)를 들어 올려 일측의 관통걸림부(24a)의 일탈방지부(24c)가 고리(23)의 하단부에 걸리면 그 타측의 관통걸림부(24a)는 고리(23)에서 이탈된 상태가 되는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벌크헤드 작업대는 천정이 낮은 장소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 걸이(24)의 연결을 해제시켜 각각의 높이조절부(22)를 경첩(22a)을 축으로 해서 하방으로 힌지 회전시켜 작업대의 전체 높이를 낮춘 후 작업대의 진입이 가능하게 되고, 이후 해당 작업 장소에 도달하였을 때 여전히 진입시와 동일 높이인 경우 높이조절부(22)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작업자가 자세를 낮추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작업 장소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다시 높이조절부(22)를 직입시켜 고리(23)로 연결 고정시킨 후 작업자가 정자세로 직립한 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직립된 높이조절부(22)에 의해 핸드레일은 대략 작업자의 허리 높이 정도의 높이를 갖게 되면서 작업자의 추락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헤드 작업대는 작업대본체의 발판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직립되는 핸드레일을 고정부와 높이조절부로 분리 구성하고 이 높이조절부가 고정부에 대해 상하 축 회전되면서 핸드레일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천정이 낮은 공간으로의 진입시에는 핸드레일을 접어서 진입이 가능하게 되고 진입 후 다시 천정이 높은 작업 공간에서는 핸드레일을 세워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작업자에게 안정감을 부여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업대본체 11 : 바퀴
12 : 발판 20 : 핸드레일
21 : 고정부 21a : 제1수직대
21b : 제1수평대 22 : 높이조절부
22a : 경첩 22b : 제2수평대
22c : 제2수직대 22d : 제3수평대
23 : 고리 23a : 관통공
24 : 걸이 24a : 관통걸림부
24b : 연결부 24c : 이탈방지부

Claims (6)

  1. 하단부 각 귀퉁이에 지면을 따라 구르는 바퀴가 설치되고 상단부에 발판이 마련된 작업대본체;
    상기 작업대본체의 발판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직립되는 핸드레일;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벌크헤드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은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헤드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은,
    상기 발판 귀퉁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수직대와, 상기 각각의 제1수직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수평대로 이루어진 고정부;
    상기 제1수평대와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경첩 연결되어 상하로 축 회전되는 복수의 제2수평대와, 상기 제2수평대의 양단부에서 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2수직대와, 상기 제2수직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수평대로 이루어진 높이조절부; 및
    상기 상방으로 축 회전되어 직립되어 있는 각각의 높이조절부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헤드 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귀퉁이에서 서로 맞닿는 제2수직대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을 갖는 고리를 각각 설치하고, 이들 고리의 상방에서 관통공으로 관통시켜 이 관통공 내에 배치되는 관통걸림부와 이들 관통걸림부를 서로 연결 고정시키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디귿자 형상의 걸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헤드 작업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의 관통걸림부 중 어느 하나의 관통걸림부 일단부에 상기 관통공에 걸려 걸이가 고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헤드 작업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관통공의 직경보다 큰 원판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헤드 작업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가 마련된 관통걸림부가 다른 관통걸림부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헤드 작업대.
KR2020110004919U 2011-06-03 2011-06-03 벌크헤드 작업대 KR201200085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919U KR20120008547U (ko) 2011-06-03 2011-06-03 벌크헤드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919U KR20120008547U (ko) 2011-06-03 2011-06-03 벌크헤드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547U true KR20120008547U (ko) 2012-12-12

Family

ID=5368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919U KR20120008547U (ko) 2011-06-03 2011-06-03 벌크헤드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54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2250A (zh) * 2018-05-02 2018-08-17 中山市勤峰电器有限公司秋浦分公司 一种电器元器件生产用无尘车间
KR101912178B1 (ko) * 2017-09-28 2018-10-26 유남호 접이식 2단구조를 갖는 안전난간
KR102221195B1 (ko) * 2020-08-27 2021-02-26 김성술 작업현장 간이 설치형 페리 스탠드폼의 안전난간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178B1 (ko) * 2017-09-28 2018-10-26 유남호 접이식 2단구조를 갖는 안전난간
CN108412250A (zh) * 2018-05-02 2018-08-17 中山市勤峰电器有限公司秋浦分公司 一种电器元器件生产用无尘车间
KR102221195B1 (ko) * 2020-08-27 2021-02-26 김성술 작업현장 간이 설치형 페리 스탠드폼의 안전난간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483B1 (ko) 안전발판을 포함한 건축용 비계장치
JP6211460B2 (ja) エレベータ用乗りかご
KR200480180Y1 (ko) 에이형 사다리
KR20120008547U (ko) 벌크헤드 작업대
KR101478964B1 (ko) 갱폼용 사다리
JP6378550B2 (ja) 足場装置
KR102280085B1 (ko) 접이식 작업용 사다리
KR20200112476A (ko)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KR101895535B1 (ko) 안전 작업대
KR101816700B1 (ko) 현수 비계용 발판연설 장치 및 방법
KR200472094Y1 (ko)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
KR20120109170A (ko) 우마형 사다리
KR20130000294U (ko) 탈착 가능한 작업발판이 구비된 사다리
KR20200075370A (ko)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
KR20170086352A (ko) 갱폼
JP6574726B2 (ja) 仮設足場における階段開口部の手摺枠
KR102609173B1 (ko)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
JP4884429B2 (ja) 作業台の手摺り
KR20140006078U (ko) 작업대
CN110565931A (zh) 一种组装式道路施工用脚手架
KR20140004108U (ko) 해치 커버 작업대
KR20110009861U (ko) 사다리 탈부착 안전장치
JP3191704U (ja) 作業床付足場兼用脚立
KR102365076B1 (ko) 사다리 장치
JP2005089148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作業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