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173B1 -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173B1
KR102609173B1 KR1020210148463A KR20210148463A KR102609173B1 KR 102609173 B1 KR102609173 B1 KR 102609173B1 KR 1020210148463 A KR1020210148463 A KR 1020210148463A KR 20210148463 A KR20210148463 A KR 20210148463A KR 102609173 B1 KR102609173 B1 KR 102609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ctural frame
aerial work
workbench
pair
han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3416A (ko
Inventor
신원철
김재영
임기태
조명화
Original Assignee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8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173B1/ko
Publication of KR20230063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에 연결되는 구조 프레임; 및 상기 구조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조 프레임의 연장 방향에 대해 교차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접힘 상태와 상기 구조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기립 상태 간에 전환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 포스트를 포함하는,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HIGH PLACE OPERATION TOWER AND HIGH PLACE OPERATION TOWER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된 시설물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고소 작업 타워 및 그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高所) 작업 타워는 천정이나 벽면 등의 내,외장 작업이나 전기배선작업 등에 사용되는 기구로서, 산업 및 건설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반도체 공장에서는 천장에 웨이퍼 보관 장치를 설치하거나 그를 유지관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고소 작업 타워는 작업을 하는 사람이 올라서는 장방형의 발판을 갖추고 있는데, 발판의 하측에는 사람이 오르고 내리도록 사다리 형상의 지지대가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고소 작업 타워는 높이 방향을 따라 큰 길이를 갖게 되므로, 그를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이 간단하지 않다.
또한, 고소 작업 타워의 발판에 올라갈 수 있는 인원이 한정적이어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조립 및 해체 작업을 간편하게 하며 해당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하는,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작업 공간을 극대화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소 작업 타워는,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에 연결되는 구조 프레임; 및 상기 구조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조 프레임의 연장 방향에 대해 교차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접힘 상태와 상기 구조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기립 상태 간에 전환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조 프레임 및 상기 회전 포스트 각각은, 상기 작업대의 대향하는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접힘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포스트 중 하나와 다른 하나는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적층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포스트 중 하나와 상기 한 쌍의 구조 프레임 중 하나 간의 연결 부분은, 상기 한 쌍의 회전 포스트 중 다른 하나와 상기 한 쌍의 구조 프레임 중 다른 하나 간의 연결 부분과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조 프레임과 상기 회전 포스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구조 프레임과 상기 회전 포스트를 연결하는 연결 힌지; 및 상기 구조 프레임과 상기 회전 포스트 중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구조 프레임과 상기 회전 포스트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도록 연장하여, 상기 기립 상태에서 상기 회전 포스트가 상기 기립 상태를 넘어서까지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구조 프레임 및 상기 회전 포스트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조 프레임 및 상기 회전 포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지면에 대해 구름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립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작업대에 오르기 위해 사용되는 승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구조 프레임에 설치되는 안내 베이스; 및 상기 안내 베이스에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 베이스는, 상기 구조 프레임에 상기 구조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레일 바; 및 상기 레일 바에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사다리의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대에 대해 상방으로 세워지는 난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난간은, 상기 작업대에 결합되는 하부 난간; 및 상기 하부 난간에 대해 높이 방향을 따라 전개되도록 결합되는 상부 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간은, 상기 작업대에 대해 상기 상부 난간을 지지하는 쇽 업쇼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간은 상기 작업대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작업대의 공간을 확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는, 복수의 고소 작업 타워가 연결되어 작업자의 활동 공간이 확장된 타워 어셈블리로서, 상기 고소 작업 타워 각각은, 작업자가 올라가서 작업하도록 구성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에서 연결되는 구조 프레임; 상기 구조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조 프레임의 연장 방향에 대해 교차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접힘 상태와 상기 구조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기립 상태 간에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 포스트; 및 상기 작업대에 대해 상방으로 세워지고, 측방으로 눕혀지도록 형성되는 전개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소 작업 타워 중 인접한 한 쌍은, 각각은 상기 전개 난간이 전개되어 서로 연결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전개 난간 및 한 쌍의 상기 작업대가 전체로서 하나의 활동 공간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소 작업 타워 각각은, 상기 회전 포스트에 설치되고, 지면에 대해 구름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고소 작업 타워 중 인접한 한 쌍 각각의 상기 전개 난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추가 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가 난간은, 상기 한 쌍의 전개 난간의 중앙 영역 및/또는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에 의하면, 작업대에 연결된 구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포스트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접힘 상태와 기립 상태 간에 전환 가능하게 되기에, 고소 작업 타워를 조립하여 작업을 시작하거나 해체하야 보관/운반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기립 상태에서 고소 작업 타워을 연결하여 어셈블리를 구성함에 따라서는, 작업자가 공중에서 작업하기 위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대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타워(100)의 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소 작업 타워(100)의 접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 부분(A)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승강 유닛(210)의 다른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난간(230)의 일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난간(230)에 다른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고소 작업 타워(100)에서 난간(230)의 회전 전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300)의 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타워(100)의 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고소 작업 타워(100)는, 작업대(110), 구조 프레임(130), 회전 포스트(150), 연결 유닛(170), 구름 유닛(190), 승강 유닛(210), 난간(230), 그리고 안전표지 유닛(250)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표지 유닛(250) 등 일부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도 있다.
작업대(110)는 대체로 발판으로서 기능하는 구성이다. 그에 따라, 작업자는 작업대(110)를 밟고서 천장 시설물을 설치하거나 그에 대한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대(110)는 대체로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구조 프레임(130)은 작업대(110)에 연결된다. 구조 프레임(130)은, 예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10)의 양단부에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구조 프레임(130) 각각은 한 쌍의 세로 바(131)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세로 바(131)은 가로 바(13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구조 프레임(130)은 전체적으로 작업대(110)의 하방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조 프레임(130)은 작업대(110)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회전 포스트(150)는 구조 프레임(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다. 회전 포스트(150)는 접힘 상태(도 2 참조)와 기립 상태(도 1 참조) 간에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접힘 상태는, 회전 포스트(150)가 구조 프레임(130)의 연장 방향에 대해 교차 방향, 예를 들어 수직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경우를 말한다. 기립 상태는 회전 포스트(150)가 구조 프레임(1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상태를 말한다. 기립 상태에서 회전 포스트(150)는 구조 프레임(130)의 하측에서 그를 받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 포스트(150)들에는 보강대(16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보강대(160)는 한 쌍의 회전 포스트(150)가 서로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여, 그들의 간격이 유지됨에 따라 기립 상태가 견고하게 질 수 있게 한다.
회전 포스트(150) 역시 구조 프레임(130)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 포스트(150) 중 하나는, 역시 구조 프레임(130)과 유사하게, 한 쌍의 세로 바(151)와 그들을 연결하는 가로 바(155)를 가질 수 있다.
연결 유닛(170)은 구조 프레임(130)에 대해 회전 포스트(15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이다. 그의 구체적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구름 유닛(190)은 지면에 대해 구름 가능한 구성이다. 구름 유닛(190)은 구체적으로, 롤러나 바퀴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름 유닛(190)은 또한 2 종류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들 중 하나인 제1 구름 유닛(191)은 회전 포스트(15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라면, 다른 하나인 제2 구름 유닛(195)은 구조 프레임(130)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전자는 기립 상태에서 고소 작업 타워(100)를 지면에 대해 이동시키기는 데 사용되는 것이라면, 후자는 접힘 상태에서 고소 작업 타워(100)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승강 유닛(210)은 고소 작업 타워(100)가 기립 상태로 조립된 후에 작업자가 작업대(110)로 오르거나 그로부터 내려오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승강 유닛(210)은 구체적으로 사다리(211)를 갖기에, 작업자는 그를 이용하여 작업대(110)에 도달할 수 있다. 사다리(211)는 경사지게 세워질 수 있어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게 이용 가능하다.
난간(230)은 작업대(110)에 대해 상방으로 세워지는 구성이다. 난간(230)은 작업대(110)에서 활동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안전표지 유닛(250)은 고소 작업 타워(100)를 주변 사람들이 인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안전표지 유닛(250)은 표지대(251)와 표지 라인(255)을 가질 수 있다. 표지대(251)는 회전 포스트(150)의 세로 바(151)에 결합되고,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표지 라인(255)은 4개의 표지대(251) 각각에 결합되어, 회전 포스트(150)을 둘러싸게 된다. 표지 라인(255)은 붉은 색의 밴드일 수 있다.
이상의 고소 작업 타워(100)가 보관, 이동(운반)을 위해 접힘 상태로 전환된 경우를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고소 작업 타워(100)의 접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기립 상태에서 한 쌍의 회전 포스트(150)는 각각 구조 프레임(130)와의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힘 상태에 이른 것이다. 이러한 상태 전환 작업은 작업대(110)를 크레인(미도시)에 걸어서 고소 작업 타워(100)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작업자가 회전 포스트(150)를 회전시켜 수행될 수 있다. 회전 포스트(150)를 회전시키기 전에, 작업자는 보강대(160)를 먼저 제거해야 할 것이다. 접힘 상태에서 기립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도 크레인이 이용될 수 있다.
접힘 상태에서, 한 쌍의 회전 포스트(150) 중 하나와 다른 하나는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적층 배치된다. 이는 한 쌍의 회전 포스트(150) 중 하나와 한 쌍의 구조 프레임(130) 중 하나의 연결 부분이 한 쌍의 회전 포스트(150) 중 다른 하나와 한 쌍의 구조 프레임(130) 중 다른 하나의 연결 부분과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구조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적층 배열되는 한 쌍의 회전 포스트(150)는 연결 브라켓(18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한 쌍의 회전 포스트(150)는 접힘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연결 유닛(170)의 구체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일 부분(A)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 유닛(170)은 구조 프레임(130)과 회전 포스트(150)를 연결하는 연결 힌지(171)를 가질 수 있다. 연결 힌지(171)에 의해 그 둘은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 힌지(171)를 중심으로 회전된 회전 포스트(150)가 구조 프레임(130)과 일 직선을 이루는 상태를 넘어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제한 부재(175)가 추가로 구비된다. 제한 부재(175)는 구조 프레임(130)과 회전 포스트(150) 중 하나에 결합되어 그들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도록 연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한 부재(175)는 구조 프레임(130)에 결합된 것으로서, 구조 프레임(130) 및 회전 포스트(15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회전 포스트(150)가 사각 바일 때, 제한 부재(175)는 대체로 'ㄷ'자형 단면을 가져서 회전 포스트(150)의 3면을 감싸게 된다.
연결 힌지(171)를 보조하기 위해서는, 보조 힌지(179)가 또한 구비될 수 있다. 보조 힌지(179)는 구조 프레임(130)과 회전 포스트(150)에 각긱 연결되는 링크들을 가질 수 수 있다. 해당 링크는 대체로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들은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음으로, 승강 유닛(210)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승강 유닛(210)의 다른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승강 유닛(210)은 사다리(211)에 더하여, 안내 베이스(2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안내 베이스(215)는 사다리(211)의 일 단부를 높이 방향을 따라 안내하여, 사다리(211)의 경사가 조절될 수 있게 한다. 작업자가 사다리(211)를 이용하는 경우에 사다리(211)는 안내 베이스(215)의 안내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역시 안내 베이스(215)를 이용하여 사다리(211)는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게 된다.
안내 베이스(215)는 구조 프레임(130)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내 베이스(215)의 일 단은 구조 프레임(130)에 설치되고, 타 단은 작업대(110)나 난간(230)에 설치될 수 있다. 안내 베이스(215)는, 레일 바(216)와 슬라이더(217)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일 바(216)는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슬라이더(217)는 레일 바(21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사다리(211)의 일 단부는 슬라이더(21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사다리(211)의 타 단부를 잡고서 그를 밀어 올리거나 끌어 내려서, 사다리(211)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사다리(211)를 사용하지 않아 그가 수직하게 세워진 경우에, 사다리(211)의 타 단부는 지지판(219)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판(219)은 회전 포스트(150)의 하단 측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난간(230)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난간(230)의 일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난간(230)에 다른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난간(230)은 하부 난간(231)과 상부 난간(235) 그리고 쇽 업쇼버(239)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난간(231)은 작업대(110)에 결합되는 것이다. 하부 난간(231)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태의 벽체일 수 있다.
상부 난간(235)은 하부 난간(2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난간(235)은 하부 난간(231)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잡아 당김에 의해 하부 난간(231)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쇽 업쇼버(239)는 이상과 같이 전개되는 상부 난간(235)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쇽 업쇼버(239)는 작업대(110)와 상부 난간(235)을 연결하게 된다.
이제,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30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하여 도 7 및 도 8을 추가로 참조한다. 도 7은 도 1의 고소 작업 타워(100)에서 난간(230)의 전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300)의 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300)는 복수 대의 고소 작업 타워(100)가 하나로 연결하여 확장된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300)를 형성하기 위하여, 난간(230)은 작업대(110)에 대해 측방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난간(230)의 회전을 위해, 난간(230)은 작업대(110)에 대해 토크 경첩(24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회전된 난간(230)을 지지하기 위하여, 쇽 업쇼버(243)가 고정된 난간과 전개된 난간을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옆으로 누운 난간(230, 도 7 참조)은 이하에서 전개 난간이라고 칭한다.
복수의 고소 작업 타워(100)는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이들 중 인접한 한 쌍의 것들의 전개 난간(230)들은 서로 연결된다. 이들의 연결은 볼트와 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이 연결됨에 의해, 전개 난간(230)들과 작업대(110)들은 전체로서 하나의 활동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새롭게 확장된 활동 공간에서의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추가 난간(27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추가 난간(270)은 인접한 한 쌍의 전개 난간(230)을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추가 난간(270)은 전개 난간(230)의 가장자리 영역에 설치되는 가장자리 난간(271), 중앙 영역에 설치되는 중앙 난간(275)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고소 작업 타워 110: 작업대
130: 구조 프레임 150: 회전 포스트
170: 연결 유닛 190: 구름 유닛
210: 승강 유닛 230: 난간
270: 추가 난간 300: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

Claims (15)

  1.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에 연결되는 구조 프레임; 및
    상기 구조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조 프레임의 연장 방향에 대해 교차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접힘 상태와 상기 구조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기립 상태 간에 전환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 프레임 및 상기 회전 포스트 각각은,
    상기 작업대의 대향하는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포스트 중 하나와 다른 하나는,
    상기 접힘 상태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적층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고소 작업 타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포스트 중 하나와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하나와 상기 다른 하나 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고소 작업 타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포스트 중 하나와 상기 한 쌍의 구조 프레임 중 하나 간의 연결 부분은,
    상기 한 쌍의 회전 포스트 중 다른 하나와 상기 한 쌍의 구조 프레임 중 다른 하나 간의 연결 부분과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고소 작업 타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프레임과 상기 회전 포스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구조 프레임과 상기 회전 포스트를 연결하는 연결 힌지; 및
    상기 구조 프레임과 상기 회전 포스트 중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구조 프레임과 상기 회전 포스트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도록 연장하여, 상기 기립 상태에서 상기 회전 포스트가 상기 기립 상태를 넘어서까지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고소 작업 타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구조 프레임 및 상기 회전 포스트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인, 고소 작업 타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프레임 및 상기 회전 포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지면에 대해 구름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름 유닛을 더 포함하는, 고소 작업 타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 유닛은,
    상기 회전 포스트에 설치되고, 상기 기립 상태에서 상기 회전 포스트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제1 구름 유닛; 및
    상기 구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접힘 상태에서 상기 구조 프레임을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제2 구름 유닛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 타워.
  8.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를 지지하도록 상기 작업대에 연결되는 구조 프레임; 및
    상기 구조 프레임에 설치되는 안내 베이스와, 상기 안내 베이스에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다리를 구비하는 승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베이스는,
    상기 구조 프레임에 상기 구조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레일 바; 및
    상기 레일 바에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사다리의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고소 작업 타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에 대해 상방으로 세워지는 난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난간은,
    상기 작업대에 결합되는 하부 난간; 및
    상기 하부 난간에 대해 높이 방향을 따라 전개되도록 결합되는 상부 난간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 타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은,
    상기 작업대에 대해 상기 상부 난간을 지지하는 쇽 업쇼버를 더 포함하는, 고소 작업 타워.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은 상기 작업대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작업대의 공간을 확장하도록 구성되는, 고소 작업 타워.
  12. 복수의 고소 작업 타워가 연결되어 작업자의 활동 공간이 확장된 타워 어셈블리로서,
    상기 고소 작업 타워 각각은,
    작업자가 올라가서 작업하도록 구성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에서 연결되는 구조 프레임;
    상기 구조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조 프레임의 연장 방향에 대해 교차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접힘 상태와 상기 구조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기립 상태 간에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 포스트; 및
    상기 작업대에 대해 상방으로 세워지고, 측방으로 눕혀지도록 형성되는 전개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소 작업 타워 중 인접한 한 쌍의 각각은,
    상기 전개 난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추가 난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개 난간이 전개되어 서로 연결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전개 난간 및 한 쌍의 상기 작업대가 전체로서 하나의 활동 공간을 이루게 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소 작업 타워 각각은,
    상기 회전 포스트에 설치되고, 지면에 대해 구름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름 유닛을 더 포함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난간은,
    상기 한 쌍의 전개 난간의 중앙 영역 및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
  15. 삭제
KR1020210148463A 2021-11-02 2021-11-02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 KR102609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463A KR102609173B1 (ko) 2021-11-02 2021-11-02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463A KR102609173B1 (ko) 2021-11-02 2021-11-02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416A KR20230063416A (ko) 2023-05-09
KR102609173B1 true KR102609173B1 (ko) 2023-12-04

Family

ID=8640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463A KR102609173B1 (ko) 2021-11-02 2021-11-02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1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870Y1 (ko) * 2001-06-30 2001-11-16 김정오 접이식 난간을 가진 고공 작업대
JP2010084367A (ja) * 2008-09-30 2010-04-15 Toshiba Plant Systems & Services Corp 高所作業台
CN211257754U (zh) * 2019-12-03 2020-08-14 广东中烨建筑钢构有限公司 一种钢结构移动脚手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5962Y2 (ja) * 1993-12-24 2000-09-04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高所作業車
KR20080103809A (ko) * 2007-05-25 2008-11-2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형 말비계
KR20100078235A (ko) * 2008-12-30 2010-07-08 김민하 고소용 작업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870Y1 (ko) * 2001-06-30 2001-11-16 김정오 접이식 난간을 가진 고공 작업대
JP2010084367A (ja) * 2008-09-30 2010-04-15 Toshiba Plant Systems & Services Corp 高所作業台
CN211257754U (zh) * 2019-12-03 2020-08-14 广东中烨建筑钢构有限公司 一种钢结构移动脚手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416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626B1 (ko) 랙방식으로 연결되는 고소작업대
WO1996000336A1 (en) Scaffolding assembly
US8418810B2 (en) Collapsible man-lift for use in wind turbine towers
CN109610807B (zh) 一种折叠护栏以及包含其的高架作业台
KR20150127559A (ko) 접이식 매단 비계
KR102609173B1 (ko)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
KR100840263B1 (ko) 말비계 및 이의 제조 방법
EP1978180A2 (en) Simplified scaffolding tower
KR20080093514A (ko) 높이 가변형 작업대
CN110259095A (zh) 一种可折叠式高空升降作业平台装置
CN215254436U (zh) 一种可调节高度的脚手架
KR200378217Y1 (ko) 고소작업용 틀비계
JP4092638B2 (ja) 昇降式作業足場装置
KR20120008547U (ko) 벌크헤드 작업대
KR20200075370A (ko)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
JPH08100517A (ja) 昇降式作業台
KR20170086352A (ko) 갱폼
CN101704492B (zh) 双桅杆攀爬式高空作业平台
GB2408285A (en) Self-contained extensible mobile access tower
EP3423390B1 (en) A foldable platform lift
CN216428961U (zh) 一种建筑施工用升降式拼接脚手架
KR102592681B1 (ko)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CN114104939B (zh) 一种钢构架吊装工艺、吊装设备及辅助装置
KR102447971B1 (ko) 롤링 타워
JP2010281159A (ja) 昇降移動式張り出し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