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971B1 - 롤링 타워 - Google Patents

롤링 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971B1
KR102447971B1 KR1020210118520A KR20210118520A KR102447971B1 KR 102447971 B1 KR102447971 B1 KR 102447971B1 KR 1020210118520 A KR1020210118520 A KR 1020210118520A KR 20210118520 A KR20210118520 A KR 20210118520A KR 102447971 B1 KR102447971 B1 KR 102447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andrail
support
lift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희
함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118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3Devices for storing material on the scaffol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2Railings extensible or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대에 연결된 보조 지지대를 회전시켜서 높이를 조절하고, 난간 높이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난간에서 보호판이 펼쳐지게 하고, 리프트 수단으로 물품을 들어올릴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면서도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난간이 발판과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펼쳐지게 하고, 두 개의 롤링 타워를 하나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작업 공간이나 물품의 넓이에 맞춰 롤링 타워의 크기를 쉽게 확장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발판에 서로 마주하게 두 개의 가이드를 구성하고 리프트 수단으로 들어올린 물품을 이송할 수 있게 하고, 가이드 사이에는 수동 리프트를 구성함으로, 무겁거나 넓이가 넓은 물품도 원하는 위치에 맞춰 쉽고 편리하게 이동시켜 작업할 수 있다.

Description

롤링 타워{Rolling Scaffold Tower}
본 발명은 롤링 타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대에 보조 지지대를 연장할 수 있게 구성하여 원하는 높이에서 작업할 수 있고, 리프트 수단을 통해 부품을 롤링 타워 상부로 이송할 수 있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이가 가변 되는 난간에 램프를 장착하고 난간을 따라 공구 받침대를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난간은 발판과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한 다음, 이웃한 두 개의 롤링 타워를 연결하므로써, 롤링 타워를 원하는 넓이로 쉽게 확장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판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가이드 사이에 수동 리프트를 장착함으로써, 리프트 수단으로 들어올린 물품을 원하는 위치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들어올려 작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롤링 타워(Rolling Tower)는 다리나 스탠드에 바퀴가 장착되어 있어 이동이 쉽고 상부에 설비가 장착되어 있어 천장 작업 등을 할 때 이용되는 일종의 비계이다. 이러한 롤링 타워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14356호
건설 및 보수공사, 건물·기계를 청소할 때 작업인부와 자재를 들어올리고 받쳐주기 위하여 공사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비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이동성과 운반성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공사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이동성을 위한 이동용 바퀴를 구비하고, 운반성을 위한 접이가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 이동성과 운반성이 용이한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동성과 운반성이 용이한 비계는,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 일체 형태로 고정되며, 내측 방향으로 회전단축을 구비하는 'ㄱ' 형강으로 이루어진 수직 고정 부재와, 상측 부분에 상기 회전단축이 삽입되는 회전축 홀을 구비하여 회전단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접이형 다리와, 상기 접이형 다리의 하측에 구비되며, 바퀴회전을 고정할 수 있는 바퀴 고정장치를 가지는 이동용 바퀴와, 상기 접이형 다리가 회전단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다리 고정 부재와, 상기 상부프레임 상측에 구비되는 작업 발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27275호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가 개시된다. 이러한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는, 제1 베이스 포스트 및 제1 베이스 포스트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포스트가 구비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의 높이 방향으로 제1 베이스 포스트와 제2 베이스 포스트에 차례로 결합 되는 복수의 중간 포스트 및 복수의 중간 포스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중간 연결대가 구비된 중간 프레임부; 중간 프레임부에 결합 되는 발판부; 및 복수의 중간 포스트 중 최상단에 배치되는 중간 포스트의 높이 방향으로 차례로 결합 되는 복수의 상부 포스트, 복수의 상부 포스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상부 연결대 및 복수의 상부 연결대와 수직 되도록 복수의 상부 포스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클램프 연결부가 구비된 상부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중간 포스트와 복수의 상부 포스트는 베이스 프레임부의 높이 방향으로 각각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14593호
이동식 틀 비계용 알루미늄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틀비계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식 틀 비계용으로 제조된 새로운 알루미늄 프로파일과 이를 이용하여 조립되어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새로운 이동식 틀 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각각의 면에 두 개의 볼트 머리형 제1 홈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홈들에 제1볼트의 머리가 삽입되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직사각형 제1 프로파일 기둥들과; 및 각각의 면에 두 개의 볼트 머리형 제2 홈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홈들에 제2볼트들의 머리가 삽입되고, 상기 기둥들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직사각형 제2 프로파일 가로대들과;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들과 상기 가로대들은 기둥의 제1볼트가 결합하는 수직면과 가로대의 제2볼트가 결합하는 수평면을 가지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 비계를 제공한다. 이에,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여 오피스텔과 같은 구분형 사업장에서 사용하기가 편리한 새로운 고소 작업대 또는 조립식 틀 비계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롤링 타워(비계)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작업 높이에 따라 롤링 타워의 높이를 조절해서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과 분해에 오랜 시간이 걸려 작업 준비와 마무리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2) 롤링 타워의 상부, 작업 위치를 비춰주는 램프가 없다. 이에, 별도로 작업등을 갖춰야 할 뿐만 아니라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작업 도중 정전 등으로 작업등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나 정리 작업을 할 때 작업이 늦어지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3) 설치된 롤링 타워로 올라갈 때 사다리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롤링 타워의 높이에 맞춰 사다리를 설치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롤링 타워의 위치에 따라 사다리의 장착 위치가 달라져야 하므로 이용 도중 미끄러짐 등의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4) 발판 위에 서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다른 공구를 사용하려고 할 때 허리를 굽혀서 발판 위에 놓인 다른 공구를 집어서 사용해야 하므로, 작업자가 쉽게 피곤함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리를 굽힐 수 없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공구를 집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5) 롤링 타워의 발판 위로 제품을 올릴 때는 크레인이나 지게차 등을 이용해야 하므로, 작업에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제품을 올릴 때마다 중장비를 준비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위험하다.
(6) 롤링 타워를 서로 연결할 수 없어 큰 물품에 대해 작업할 때는 하나의 롤링 타워로는 물품을 지지할 수 없어 작업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물품이 떨어지거나 중심이 맞지 않아 위험하다.
(7) 기존 롤링 타워로는 발판 위에 올려놓은 물품을 천정을 향해 들어올릴 수 없다. 이에, 작업자가 물품을 들어올려서 고정하거나 조립해야 하므로, 힘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물품의 중량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면 아래로 떨어지면서 인명사고 이어질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14356호 (공개일: 2019.10.10)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27275호 (공개일: 2019.11.13)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14593호 (공개일: 2020.10.07)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지지대에 연결된 보조 지지대를 회전시켜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난간 높이를 조절하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난간에서 바깥으로 펼쳐지게 보호판을 구성하고, 리프트 수단을 통해 물품을 들어올릴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면서도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롤링 타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는 난간이 발판과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펼칠 수 있게 구성하고, 이웃한 두 개의 롤링 타워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작업 공간의 크기나 작업하려고 하는 물품의 넓이에 맞춰 롤링 타워의 크기를 쉽게 확장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롤링 타워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발판에 서로 마주하게 두 개의 가이드를 구성하고 리프트 수단으로 들어올린 물품을 이송할 수 있게 하고, 가이드 사이에는 수동 리프트를 구성함으로써, 무겁거나 넓이가 넓은 물품도 원하는 위치에 맞춰 쉽고 편리하게 이동시켜 작업할 수 있게 한 롤링 타워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롤링 타워는, 한쪽에 캐스터(111)가 구비된 여러 개의 지지대(110)를 통해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 프레임(100); 한쪽을 상기 프레임(100)에 거치하여 사용되되, 상기 프레임(100)의 사용 높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100)과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는 사다리(200); 및 캐스터(311)를 통해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100) 측면에 설치되는 리프트 수단(300);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100)에는, 상기 각 지지대(110) 하부에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10)에 연장해서 펼쳐지게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지지대(110)에서 펼쳐졌을 때는 롤링 타워 주변을 감싸서 작업 구역을 표시할 수 있도록 벨트 타입을 인출하거나 감아서 사용되는 자동 차단봉(113)이 구비된 보조 지지대(110'); 상기 프레임(100) 상부에 설치된 발판(120); 상기 프레임(100)의 서로 마주하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위로 돌출하게 설치되고 위를 향해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131)가 구비된 하부 난간(130'), 그리고 양단이 상기 하부 난간(130')의 양단에 2중 튜브 형태로 끼워져서 액추에이터(132)로 상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조절 난간(130")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난간(130); 상기 난간(130)이 설치된 프레임(100)의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액추에이터(141)를 통해 상기 난간(130)에서 바깥으로 벌어지도록 설치된 보호판(140); 상기 지지대(110)에서 펼쳐진 보조 지지대(110') 사이에 양쪽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보강대(150); 및 상기 난간(130)과 상기 보조 지지대(110')에 각각 설치되어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와 하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 사이에 소통이 이루어지게 하는 소통 수단(190);이 포함되고; 상기 리프트 수단(300)에는, 상기 캐스터(311)를 통해 작업 위치가 조절되는 베이스(310); 상기 베이스(310)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00) 위로 물품을 승강시켜 주는 리프트(320); 및 상기 리프트(320)에 설치되어 물품을 거치하는 거치대(33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두 개의 조절 난간(130") 사이에는, 공구 받침대(160)가 받쳐져서 상기 조절 난간(13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난간(130')은 상기 프레임(100)에서 분리되어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100)에서 돌출 형성된 스탠드(133)에 고정되거나 분리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난간(130')과 상기 스탠드(133) 사이에는 상기 스탠드(133)에서 분리된 상기 하부 난간(130')이 바깥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발판(120)과 하나의 평면을 이루게 하는 지지수단(134')과 상기 하부 난간(130')이 서서히 펼쳐지게 하는 완충수단(13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 난간(130')이 펼쳐진 두 개의 롤링 타워에서 서로 마주하는 보조 지지대(110') 사이를 연결하는 타워 연결 바(170); 및 이웃한 두 개의 롤링 타워 사이를 연결하는 확장 난간(180);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롤링 타워에는,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하부 난간(130') 사이에서 상기 하부 난간(130')이 서로 마주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발판(120)에 LM 가이드(135); 및 상기 LM 가이드(135)의 안내를 받아 움직이는 상기 하부 난간(130')을 발판(120)에 고정하거나 해제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글 클램프(Toggle Clamp)(136);가 더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 난간(130")에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난간(130)과 나란하게 위치하고, 사용할 때는 상기 조절 난간(130") 위로 젖혀서 사용되는 안전망(137)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판(120)에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두 개의 가이드(121)가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121)에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122)가 슬라이딩할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발판(120)에는, 상기 두 개의 가이드(121) 사이에, 수동 리프트(1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링 타워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보조 지지대를 이용하여 프레임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롤링 타워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좁은 공간에 보관했다가 사용할 때는 보조 지지대를 펼쳐서 높은 곳에서 이루어지는 작업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2) 프레임 상부에 설치된 난간 높이를 액추에이터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때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이용해서 쉽게 난간 높이를 조절하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3) 프레임 측면에 리프트 수단을 세트로 구성함으로, 작업에 필요한 물품 등을 리프트 수단을 통해 쉽게 올려 보내거나 교체나 수리가 필요한 물품을 쉽게 아래로 내려보낼 수 있어 충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4) 한편, 난간에는 공구 받침대를 거치하여 난간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발판 위에 서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공구 작업대에서 필요한 공구를 쉽게 잡아서 작업할 수 있다.
(5) 또한, 난간을 발판과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펼쳐서 사용할 수 있음으로, 발판을 확장하여 이웃한 다른 롤링 타워와 연결해서 작업 공간을 넓힐 수 있다.
(6) 이에, 작업 공간이 넓거나 작업해야 할 물품이 클 때는 그 크기에 맞게 여러 개의 롤링 타워를 연결하여 원하는 넓이로 작업 공간을 쉽게 확장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7) 그리고 발판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를 구성하고 그 위에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를 구성함으로써, 리프트 수단을 통해 들어올린 물품을 이 받침대 위에 올려놓고 원하는 작업 위치까지 쉽게 옮길 수 있어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8) 또한, 상기 발판에는 수동 리프트를 갖춤으로써, 이처럼 받침대를 통해 정해진 위치로 이동된 물품을 쉽게 들어올리거나 분리해야 할 물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로 작업할 수 있다.
(9) 난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롤링 타워를 설치할 때 난간이 작업 공간에 걸려 롤링 타워를 설치할 수 없거나 난간을 분리해서 작업해야 하는 상황 등이 발생했을 때, 원하는 위치로 난간을 이동시켜서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난간을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도 난간을 분리하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몰아넣고서 원하는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10) 이때, 상기 난간은 LM 가이드를 통해 원하는 위치로 쉽게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글 클램프(Toggle Clamp)를 이용해서 쉽고 편리하게 고정하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11) 또한, 난간에 상부로 회전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망을 갖춤으로써, 작업도중 떨어지는 공구나 이물 그리고 물품 등이 낙하함에 따라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12) 자동 차단봉을 이용해서 작업 구역을 표시하므로, 기존과 같이 작업 영역을 표시하는 블록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기존 작업 표시 블록은 부피가 커서 운반과 보관에 불편함이 있고, 롤링 타워를 설치해서 작업하다가 짧게 작업하고 다시 이동해야 할 때는 롤링 타워 주변에 설치된 작업 표시 블록을 자주 옮겨야 하므로 작업자가 힘들게 작업해야 하나, 자동 차단봉은 이처럼 자주 옮길 필요 없이 롤링 타워와 함께 이동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곳에서 쉽게 펼쳐서 작업 영역을 표시하고 쉽게 감아서 이동과 보관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롤링 타워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롤링 타워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프레임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프레임의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사다리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상태도로, (a)는 프레임에 밀착하게 세워서 설치된 상태를, (b)는 프레임에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리프트 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측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프레임의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프레임의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롤링 타워를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프레임의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프레임의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프레임의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롤링 타워의 상부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난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난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롤링 타워(T)에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프레임(100), 사다리(200), 그리고 리프트 수단(300)이 포함된다.
특히, 상기 프레임(100)은 보조 지지대(110')를 통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이 되고 램프(131)가 구성된 난간(130)을 통해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난간(130)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공구 받침대(160)가 구성됨에 따라, 작업 위치에 맞춰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원하는 공구를 쉽게 잡아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 수단(300)은 천장 등에 장착하려고 하는 물품이나 공구 등을 발판(120) 위치까지 올려주거나, 천장 등에서 분리된 물품(O)을 아래로 내릴 수 있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O'는 천장에 장착되거나 장착하려고 물품을 나타낸다.
가. 프레임
프레임(10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캐스터(111)가 구비되어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며, 특히 그 위에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프레임(100)은 작업자가 올라서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고,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은 중공의 각 파이프를 이용해서 제작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강성을 강화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레임(100)에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지지대(110), 보조 지지대(110'), 발판(120), 하부 난간(130')과 조절 난간(130")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난간(130), 보호판(140), 그리고 보강대(15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조절 난간(130") 사이에는 공구 받침대(160)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난간(130)과 상기 보조 지지대(110')에는 각각 소통수단(190)이 추가로 설치된다.
1. 지지대
지지대(11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후술할 발판(120)을 지지하여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110)는 적어도 두 개로 구성할 수 있으나, 4개를 직육면체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그 위에 설치되는 발판(120) 위에 작업하는 작업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대(110)에는, 하단에 캐스터(111)를 장착하여 작업 위치에 맞춰 프레임(100)을 이송시킬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보조 지지대
보조 지지대(11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각 지지대(110)의 하부에 한쪽이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다른 한쪽에는 캐스터(112)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지지대(110)에서 보조 지지대(110')를 회전시켜서 펼침에 따라 보조 지지대(110')와 같은 중심선에 위치하게 하면서 캐스터(112)를 이용해서 프레임(100)을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대(110)와 보조 지지대(110')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는 서로 마주하게 플랜지를 장착하고, 이들 플랜지의 한쪽 가장자리에 경첩과 같이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는 수단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에는 핀을 꽂거나 볼트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 구멍을 관통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대(110)와 보조 지지대(110')를 하나로 길게 연장하여 높이를 높이거나 쉽게 접을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지지대(110')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작업 영역을 표시할 수 있도록 벨트 타입의 자동 차단봉(113)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 차단봉(113)은 벨트 스트립 타입으로 이루어져서 벨트를 놓으면 쉽게 감기고 감긴 벨트를 강제로 잡아당겨서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동 차단봉(113)으로 터미널이나 기차 역사처럼 사람이 많이 다니는 곳에서 사람들이 드나드는 곳을 표시하거나 이동하지 못하도록 막을 때 사용되는 차단봉(Barrier Stand)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자동 차단봉(113)은 각 보조 지지대(110')에 하나씩 설치하되 상기 자동 차단봉(113)이 보조 지지대(110')로 둘러싸이는 면적보다 조금 넓은 면적을 감싸서 작업 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동 차단봉(113)은 한곳에서 짧은 시간 작업한 다음 롤링 타워를 그 다음 작업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작업할 때 작업 영역을 신속하게 표시하거나 해제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3. 발판
발판(12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프레임(100) 상부 면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발판(120)에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실질적으로 작업할 때 작업자의 체중과 그 위에 올려놓는 공구나 물품(O) 등을 지지할 수 있게 제작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발판(12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금속 재질로 제작하거나, 격자 형태로 프레임을 제작하고 그 위에 얇은 두께의 금속판을 장착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4. 난간
난간(13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양쪽 가장자리에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100)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하나씩 두 개가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난간(130)에는 상기 프레임(100)에 일체로 구성되는 하부 난간(130'), 그리고 상기 하부 난간(130')에서 프레임(100) 밖으로 돌출하여 돌출 높이가 조절되는 조절 난간(130")이 포함된다.
하부 난간
하부 난간(13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위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 난간(130')은 가장자리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구성할 수도 있으나, 가장자리의 길이가 길 때는 그 중간에 적어도 하나의 하부 난간(130')을 더 추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하부 난간(130')에는 후술할 조절 난간(130")이 끼워져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튜브 형태로 제작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00)은 중공의 각 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충분한 강성 확보와 더불어 후술한 조절 난간(130")이 하부 난간(130')에 끼워져서 난간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난간(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131)를 장착하여 작업하는 주변을 비출 수 있게 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롤링 타워를 이용할 때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 난간
조절 난간(13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하부 난간(130')과 상하로 위치하게 설치하되, 상기 하부 난간(130')을 기준으로 상하로 높이 조절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절 난간(130")은 적어도 양단이 상기 하부 난간(130')에 길이 방향으로 끼워서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0) 또는 발판(120)과 상기 조절 난간(130") 사이에는 실린더나 댐퍼와 같은 액추에이터(132)로 동작하게 구성함으로써, 하부 난간(130')에서 조절 난간(130") 사이의 높이 조절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5. 보호판
보호판(14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난간(130)이 설치된 프레임(100)의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아래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보호판(140)은 상기 하부 난간(130')과 이 보호판(140)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나 실린더와 같은 액추에이터(141)를 통해 위쪽 가장자리가 바깥으로 벌어지도록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보호판(140)은 상기 하부 난간(130')을 기준으로 예각만큼 열리도록 구성함으로써, 보호판(140) 위에 공구 등이 떨어지더라도 공구가 보호판(140)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발판(120) 위에 떨어지게 하여 안심하고 작업할 수 있게 한다.
6. 보강대
보강대(15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상술한 보조 지지대(110')를 펼쳐서 사용할 때, 서로 마주하는 보조 지지대(110')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보조 지지대(110')가 휘거나 회전하지 않게 하여 프레임(100)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상기 보강대(150)는 적어도 보조 지지대(110')가 서로 회전하는 방향에서 마주하여 설치하게 구성함으로써, 보조 지지대(11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대(150)에는 양단에 플랜지를 구성하고 플랜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 보조 지지대(110')에 볼트 등을 이용해서 체결하거나 핀을 강제로 끼워서 고정하거나 클램프 등을 이용해서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7. 공구 받침대
공구 받침대(16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두 개의 조절 난간(130")에 걸쳐지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공구 받침대(160)는 상기 조절 난간(130")을 따라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위치에 맞춰 공구 받침대(160)의 위치를 조절하여 쉽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구 받침대(160)에는 조절 난간(130")과 마주하는 면에 홈이나 턱 등을 형성하고, 이 홈이나 턱이 조절 난간(130")에 끼워져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 소통수단
소통수단(19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난간(130)과 상기 보조 지지대(110')에 각각 설치된다. 이는, 상기 발판(120) 위에 서서 작업하는 작업자와 바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 사이에 소통을 통해, 필요한 공구나 부품을 올려주거나 위에서 작업이 끝났을 때 롤링 타워를 그 다음 작업 위치로 이동시킬 때 발판 위에 있는 작업자가 안전한 자세를 취했을 때 롤링 타워를 이동하게 해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소통수단(190)은 위와 아래에 있는 작업자가 충분하게 소통할 수 있는 것, 예를 들어서, 유무선 마이크와 같이 음성을 통해 소통하거나 정해진 소리를 통해 소통하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시각적으로 소통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음성이나 소리로 소통할 때는 터널 안과 같이 음성이나 소리가 울릴 때나 다른 여러 작업자가 함께 작업할 때는 음성이나 소리가 잘 들리지 않거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경광등을 이용해서 소통이 필요한 때임을 알려주거나 경광등의 점멸 시간 등을 통해 서로 약속된 행동을 하게 하거나, 경광등을 통해 소통이 필요한 때임을 알려주고 필요한 소통 내용은 텍스트 등을 통해 작업자가 바로 알 수 있도록 소통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텍스트로 소통할 때는 미리 필요한 소통 내용을 입력해 놓고 필요한 내용을 찾아 바로 소통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 사다리
사다리(200)는, [도 1]과 같이,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하여 사용된다. 이때, 상기 사다리(200)는 프레임(100)의 높이에 따라 작업자가 중력 방향으로 오르내리게 하거나 사면을 따라 오르내리게 설치된다.
즉, 상기 사다리(200)는, [도 5(a)]와 같이, 상술한 보조 지지대(110')를 펼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바닥과 예각을 이루도록 설치하고 적어도 상단을 프레임(100)에 걸쳐서 일체로 고정함으로써, 바닥과 사다리(200)가 이루는 각이 예각이 되게 설치하여 사용한다. 또한, [도 5(b)]와 같이, 보조 지지대(110')를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사다리(200)가 지지대(110)에 밀착하거나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다리(200)는 보조 지지대(110')를 펼쳤을 때 그 길이와 지지대(110)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00) 전체 길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로 제작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 리프트 수단
리프트 수단(3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캐스터(311)를 이용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프레임(10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리프트 수단(300)에는, [도 6]과 같이, 베이스(310), 리프트(320), 그리고 거치대(330)가 포함된다.
1. 베이스
베이스(310)는, [도 6]과 같이, 리프트 수단(300)이 안정적으로 물품(O)을 지지하여 위로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특히, 상기 베이스(310)에는 리프트 수단(30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작업할 수 있도록 캐스터(311)가 장착된다. 도면에서는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3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하나씩 전부 4개가 설치된 것을 예로 보여준다.
2. 리프트
리프트(320)는, [도 6]과 같이,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후술할 거치대(330)를 상하로 이송하게 한다. 이러한 리프트(320)는 이 거치대(330)에 올려놓은 물품(O)을 프레임(100) 위치까지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체인을 이용하여 거치대(330)를 승·하강하게 하는 리프트의 예를 보여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실린더를 이용하거나 벨트 등 다양한 방식으로 거치대(330)를 승·하강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지게차 등에서 이용되는 리프트 실린더와 리프트 체인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3. 거치대
거치대(330)는, [도 6]과 같이, 상술한 리프트(320)의 구동으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330)에는 작업에 필요한 공구나 물품(O) 등을 거치하여 바닥에서 프레임(100)으로 올려주거나, 반대로 교환이나 수리하려고 천장 등에서 분리한 물품 등을 거치하여 프레임(100)에서 바닥으로 내릴 수 있게 한다. 이에, 주로 사용되는 물품이 상기 리프트(320)가 동작할 동안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보조 지지대를 이용하여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고 램프를 이용하여 작업 주변을 환하게 비춰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간 위치를 조절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수단을 통해 물품이나 공구 등을 안전하게 발판까지 올려주거나 반대로 발판에서 내릴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게다가, 프레임과 리프트 수단이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자주 옮겨다니면서 작업해야 할 때도 쉽고 롤링 타워를 쉽고 편리하게 옮기면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롤링 타워(T)는,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실시예 1]의 구성 중 난간(130)이 회전식으로 구성되어 발판(120)과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이렇게 난간(130)이 펼쳐진 롤링 타워(T)는 적어도 두 개가 타원 연결 바(170)를 이용해서 하나로 연결하여 작업 공간을 쉽게 확장할 수 있게 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2]는,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프레임(100)에 일체로 구성된 난간(130)을 구성하는 하부 난간(130')이 프레임(10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 난간(130')은 프레임(100)의 양쪽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경첩 등으로 연결되어 프레임(100) 상부를 구성하는 발판(120)과 하나의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00)에는,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스탠드(133)와 지지수단(134') 그리고 완충수단(134")이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이처럼 난간(130)이 젖혀진 두 개의 롤링 타워(T)를 연결하기 위한 타워 연결 바(170)와 확장 난간(180)이 더 포함된다.
1. 스탠드
스탠드(133)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하부 난간(130')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100)에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 난간(130')은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탠드(133)에 핀이나 볼트 등을 이용해서 고정되게 하여 난간(130)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난간(130)을 펼칠 때는 상기 스탠드(133)에 하부 난간(130')을 고정할 때 이용되는 핀을 뽑거나 나사를 이완시킴에 따라 프레임(100)에 일체로 구성된 스탠드(133)에서 하부 난간(130')이 조절 난간(1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난간(130)을 바깥으로 회전시켜서 펼칠 수 있게 된다.
2. 지지수단
지지수단(134')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난간(130)이 발판(120)과 하나의 평면을 유지하도록 유지해 주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지지수단(134')은 실린더나 댐퍼 그리고 체인 등 이러한 평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수단(134')으로는 체인을 이용함으로써, 체인 양단을 스탠드(133)와 하부 난간(130') 사이에 고정함에 따라 체인 길이가 정해짐에 따라 난간(130)을 젖히면 이 난간(130)이 바로 발판(120)과 하나의 평면을 이룰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완충수단
완충수단(134")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스탠드(133)와 하부 난간(130') 사이에 장착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완충수단(134")은 하부 난간(130')이 발판(120)과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펼쳐지게 할 때 무거운 중량의 난간(130')이 급격하게 회전하면서 펼쳐지지 않게 하여 소음이나 충격이 생기지 않게 하면서도 안전하게 하부 난간(130')이 발판(120)과 평면을 이루면서 펼쳐지게 안내한다. 이러한 완충수단(134")은 난간(130)이 세워진 상태에서는 수축된 상태로 있고, 상기 난간(130)이 펼쳐질 때는 로드 길이가 늘어나면서 감쇄 작용을 하여 상기 난간(130)이 서서히 아래로 펼쳐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러한 완충수단(134")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댐퍼나 압축된 상태에서 신축할 때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는 쇼바 그리고 실린더를 예로 들 수 있다.
4. 타워 연결 바
타워 연결 바(170)는, [도 9]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발판(120)과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난간(130)이 펼쳐진 이웃한 두 개의 본 발명에 따른 롤링 타워(T)를 연결하기 위한 바이다. 이에, 상기 타워 연결 바(170)는 양단에 플랜지 등을 형성하고, 이 플랜지를 롤링 타워(T)의 보조 지지대(110') 등에 볼트나 핀 등을 이용해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이웃한 두 개의 롤렁 타워(T)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이탈하지 않게 하여 프레임(100) 상부에 발판(120)과 난간(130)을 이용해서 작업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여러 개의 롤링 타워(T)를 연결함에 따라 물품의 크기에 맞춰 작업 면적을 쉽게 확장하여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5. 확장 난간
확장 난간(180)은, [도 9]와 같이, 난간(130)이 펼쳐져서 발판(120)과 하나의 평면을 이룸에 따라 이들 난간(130)의 양쪽 가장자리가 개방되는 부분, 즉 이웃한 두 개의 롤링 타워(T) 사이에 장착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난간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난간을 바깥으로 젖혀서 발판과 하나의 평면을 이루게 하고 이웃한 두 개의 롤링 타워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로 조립함으로써, 작업 면적의 넓이나 물품의 크기에 맞춰 작업 면적을 쉽게 확장하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롤링 타워는,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은 구성이나, 발판(120) 위에 올려놓은 물품(O)을 쉽게 이송하거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에, 상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추가되는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3]은,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발판(120)에 그 길이 방향으로 두 개의 가이드(121)가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121)에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122)가 슬라이딩 안내를 받을 수 있게 설치함으로써, 리프트 수단(300)을 통해 들어올린 물품(O)을 상기 받침대(122) 위에 올려놓은 다음 원하는 작업 위치로 물품(O)을 쉽게 옮겨 편리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발판(120)에는,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상기 두 개의 가이드(121) 사이에 수동 리프트(123)를 구비함으로써, 이처럼 받침대(122) 위에 걸쳐져서 이동된 물품(O)을 원하는 위치에서 다시 이 수동 리프트(123)로 들어올릴 수 있어 정해진 위치에 맞춰 물품(O) 위치를 조절한 다음 안전하고 편리하게 조립 작업이나 분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롤링 타워는, [도 13] 내지 [도 15]와 같이, 상술한 다른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나, 서로 마주하는 난간(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난간(130)에는 안전망(137)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 4]에 따라 추가되는 구성은, [도 13] 내지 [도 15]와 같이, LM 가이드(135), 그리고 토글 클램프(136)가 포함된다. 또한, [실시예 4]에는 안전망(137)이 더 추가될 수 있으나, 이러한 안전망(137)은 다른 실시예에도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가. LM 가이드
LM 가이드(135)는, [도 13] 내지 [도 15]와 같이, 발판(120)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LM 가이드(135)는 발판(120)에서 마주하게 설치된 난간(130)이 서로 마주하여 움직이면서 그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착해야 하므로, 상기 LM 가이드(135)는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두 개의 난간(130)을 구성하며 서로 마주하는 하부 난간(300') 사이에 위치하도록 발판(12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LM 가이드(135)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블록이 구성되며, 이 가이드 블록은 상기 하부 난간(130') 하부에 일체로 고정되게 된다.
나. 토글 클램프 (Toggle Clamp)
토글 클램프(136)는, [도 13] 내지 [도 15]와 같이, 상기 하부 난간(130')에 장착되어 상기 LM 가이드(1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하부 난간(130')을 발판(120)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이다. 이러한 토글 클램프(136)는 손이나 실린더와 같은 구동수단으로 레버를 젖히거나 누름에 따라 스토퍼가 돌출하면서 걸림 작용을 하게 되므로, 이 스토퍼가 걸릴 수 있도록 발판(120)이나 LM 가이드(135)에는 이 스토퍼가 걸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 개의 고정 구멍을 형성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글 클램프(136)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다. 안전망
안전망(137)은, [도 13] 내지 [도 15]와 같이, 조절 난간(130")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안전망(137)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아래로 회전하여 난간(130)과 나란하게 위치하게 하고, 사용할 때는 상기 조절 난간(130") 위로 젖혀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절 난간(130")에는 상기 안전망(137)을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수단이 구성된다. 이때의 지지수단은 상대적으로 가벼운 안전망(137)이 펼쳐진 상태에서 임의로 젖혀지지 않도록 지지해 줄 수 있을 정도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안전망(137)의 회전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 부분에 마찰 부재를 장착하여 안전망(137)을 억지로 돌림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하부 난간과 안전망(137) 사이에 실린더나 댐퍼를 장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 난간과 안전망(137) 사이에 체인으로 연결하여 원하는 각도만큼 젖혀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은 때에 따라 발판 가장자리에 설치된 난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망을 펼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100: 프레임
110: 지지대
110': 보조 지지대
120: 발판
121: 가이드
122: 받침대
123: 수동 리프트
130: 난간
130': 하부 난간
130": 조절 난간
131: 램프
133: 스탠드
134': 지지수단
140: 보호판
150: 보강대
160: 공구 받침대
170: 타워 연결 바
200: 사다리
300: 리프트 수단

Claims (8)

  1. 삭제
  2. 한쪽에 캐스터(111)가 구비된 여러 개의 지지대(110)를 통해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 프레임(100); 한쪽을 상기 프레임(100)에 거치하여 사용되되, 상기 프레임(100)의 사용 높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100)과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는 사다리(200); 및 캐스터(311)를 통해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100) 측면에 설치되는 리프트 수단(300);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100)에는, 상기 각 지지대(110) 하부에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10)에 연장해서 펼쳐지게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지지대(110)에서 펼쳐졌을 때는 롤링 타워 주변을 감싸서 작업 구역을 표시할 수 있도록 벨트 타입을 인출하거나 감아서 사용되는 자동 차단봉(113)이 구비된 보조 지지대(110'); 상기 프레임(100) 상부에 설치된 발판(120); 상기 프레임(100)의 서로 마주하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위로 돌출하게 설치되고 위를 향해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131)가 구비된 하부 난간(130'), 그리고 양단이 상기 하부 난간(130')의 양단에 2중 튜브 형태로 끼워져서 액추에이터(132)로 상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조절 난간(130")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난간(130); 상기 난간(130)이 설치된 프레임(100)의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액추에이터(141)를 통해 상기 난간(130)에서 바깥으로 벌어지도록 설치된 보호판(140); 상기 지지대(110)에서 펼쳐진 보조 지지대(110') 사이에 양쪽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보강대(150); 및 상기 난간(130)과 상기 보조 지지대(110')에 각각 설치되어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와 하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 사이에 소통이 이루어지게 하는 소통 수단(190);이 포함되고,
    상기 리프트 수단(300)에는, 상기 캐스터(311)를 통해 작업 위치가 조절되는 베이스(310); 상기 베이스(310)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00) 위로 물품을 승강시켜 주는 리프트(320); 및 상기 리프트(320)에 설치되어 물품을 거치하는 거치대(330);가 포함되고,
    상기 두 개의 조절 난간(130") 사이에는,
    공구 받침대(160)가 받쳐져서 상기 조절 난간(13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타워.
  3. 한쪽에 캐스터(111)가 구비된 여러 개의 지지대(110)를 통해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 프레임(100); 한쪽을 상기 프레임(100)에 거치하여 사용되되, 상기 프레임(100)의 사용 높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100)과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는 사다리(200); 및 캐스터(311)를 통해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100) 측면에 설치되는 리프트 수단(300);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100)에는, 상기 각 지지대(110) 하부에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10)에 연장해서 펼쳐지게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지지대(110)에서 펼쳐졌을 때는 롤링 타워 주변을 감싸서 작업 구역을 표시할 수 있도록 벨트 타입을 인출하거나 감아서 사용되는 자동 차단봉(113)이 구비된 보조 지지대(110'); 상기 프레임(100) 상부에 설치된 발판(120); 상기 프레임(100)의 서로 마주하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위로 돌출하게 설치되고 위를 향해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131)가 구비된 하부 난간(130'), 그리고 양단이 상기 하부 난간(130')의 양단에 2중 튜브 형태로 끼워져서 액추에이터(132)로 상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조절 난간(130")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난간(130); 상기 난간(130)이 설치된 프레임(100)의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액추에이터(141)를 통해 상기 난간(130)에서 바깥으로 벌어지도록 설치된 보호판(140); 상기 지지대(110)에서 펼쳐진 보조 지지대(110') 사이에 양쪽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보강대(150); 및 상기 난간(130)과 상기 보조 지지대(110')에 각각 설치되어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와 하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 사이에 소통이 이루어지게 하는 소통 수단(190);이 포함되고,
    상기 리프트 수단(300)에는, 상기 캐스터(311)를 통해 작업 위치가 조절되는 베이스(310); 상기 베이스(310)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00) 위로 물품을 승강시켜 주는 리프트(320); 및 상기 리프트(320)에 설치되어 물품을 거치하는 거치대(330);가 포함되고,
    상기 하부 난간(130')은 상기 프레임(100)에서 분리되어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100)에서 돌출 형성된 스탠드(133)에 고정되거나 분리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난간(130')과 상기 스탠드(133) 사이에는 상기 스탠드(133)에서 분리된 상기 하부 난간(130')이 바깥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발판(120)과 하나의 평면을 이루게 하는 지지수단(134')과 상기 하부 난간(130')이 서서히 펼쳐지게 하는 완충수단(13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타워.
  4. 제3항에서,
    상기 하부 난간(130')이 펼쳐진 두 개의 롤링 타워에서 서로 마주하는 보조 지지대(110') 사이를 연결하는 타워 연결 바(170); 및
    이웃한 두 개의 롤링 타워 사이를 연결하는 확장 난간(180);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타워.
  5. 제3항에서,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하부 난간(130') 사이에서 상기 하부 난간(130')이 서로 마주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발판(120)에 LM 가이드(135); 및
    상기 LM 가이드(135)의 안내를 받아 움직이는 상기 하부 난간(130')을 발판(120)에 고정하거나 해제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글 클램프(Toggle Clamp)(136);가 더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타워.
  6. 한쪽에 캐스터(111)가 구비된 여러 개의 지지대(110)를 통해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 프레임(100); 한쪽을 상기 프레임(100)에 거치하여 사용되되, 상기 프레임(100)의 사용 높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100)과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는 사다리(200); 및 캐스터(311)를 통해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100) 측면에 설치되는 리프트 수단(300);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100)에는, 상기 각 지지대(110) 하부에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10)에 연장해서 펼쳐지게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지지대(110)에서 펼쳐졌을 때는 롤링 타워 주변을 감싸서 작업 구역을 표시할 수 있도록 벨트 타입을 인출하거나 감아서 사용되는 자동 차단봉(113)이 구비된 보조 지지대(110'); 상기 프레임(100) 상부에 설치된 발판(120); 상기 프레임(100)의 서로 마주하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위로 돌출하게 설치되고 위를 향해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131)가 구비된 하부 난간(130'), 그리고 양단이 상기 하부 난간(130')의 양단에 2중 튜브 형태로 끼워져서 액추에이터(132)로 상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조절 난간(130")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난간(130); 상기 난간(130)이 설치된 프레임(100)의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액추에이터(141)를 통해 상기 난간(130)에서 바깥으로 벌어지도록 설치된 보호판(140); 상기 지지대(110)에서 펼쳐진 보조 지지대(110') 사이에 양쪽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보강대(150); 및 상기 난간(130)과 상기 보조 지지대(110')에 각각 설치되어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와 하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 사이에 소통이 이루어지게 하는 소통 수단(190);이 포함되고,
    상기 리프트 수단(300)에는, 상기 캐스터(311)를 통해 작업 위치가 조절되는 베이스(310); 상기 베이스(310)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00) 위로 물품을 승강시켜 주는 리프트(320); 및 상기 리프트(320)에 설치되어 물품을 거치하는 거치대(330);가 포함되고,
    상기 조절 난간(130")에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난간(130)과 나란하게 위치하고, 사용할 때는 상기 조절 난간(130") 위로 젖혀서 사용되는 안전망(137)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타워.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발판(120)에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두 개의 가이드(121)가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121)에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대(122)가 슬라이딩할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타워.
  8. 제7항에서,
    상기 발판(120)에는,
    상기 두 개의 가이드(121) 사이에,
    수동 리프트(1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타워.
KR1020210118520A 2021-09-06 2021-09-06 롤링 타워 KR102447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520A KR102447971B1 (ko) 2021-09-06 2021-09-06 롤링 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520A KR102447971B1 (ko) 2021-09-06 2021-09-06 롤링 타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971B1 true KR102447971B1 (ko) 2022-09-27

Family

ID=8345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520A KR102447971B1 (ko) 2021-09-06 2021-09-06 롤링 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97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626B1 (ko) * 2017-09-28 2018-08-02 유남호 랙방식으로 연결되는 고소작업대
KR20190114356A (ko) 2018-03-30 2019-10-10 이장섭 이동성과 운반성이 용이한 비계
KR20190127275A (ko) 2018-05-04 2019-11-13 (주)오성지엔티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KR20200114593A (ko) 2019-03-29 2020-10-07 주식회사 가산메탈 이동식 틀 비계용 알루미늄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틀비계
KR102180713B1 (ko) * 2020-04-13 2020-11-19 이기현 리프트
KR102229627B1 (ko) * 2020-05-28 2021-03-18 (주) 세일시스 스마트 모듈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워형 작업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626B1 (ko) * 2017-09-28 2018-08-02 유남호 랙방식으로 연결되는 고소작업대
KR20190114356A (ko) 2018-03-30 2019-10-10 이장섭 이동성과 운반성이 용이한 비계
KR20190127275A (ko) 2018-05-04 2019-11-13 (주)오성지엔티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KR20200114593A (ko) 2019-03-29 2020-10-07 주식회사 가산메탈 이동식 틀 비계용 알루미늄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틀비계
KR102180713B1 (ko) * 2020-04-13 2020-11-19 이기현 리프트
KR102229627B1 (ko) * 2020-05-28 2021-03-18 (주) 세일시스 스마트 모듈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워형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9322B2 (ja) 可動式アンカ固定落下防止装置
US20180119432A1 (en) Scaffold unit
JP2008527222A (ja) 建築物の建築に使用される装置
CA2838259A1 (en) Scaffold system
KR102171757B1 (ko) 수직 승강식 작업대
US9550661B2 (en) Self-contained, portable and self-supporting scaffolding kit
JP6709089B2 (ja) 迅速組立足場
KR102447971B1 (ko) 롤링 타워
KR102560658B1 (ko)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JP6378550B2 (ja) 足場装置
JP2008214983A (ja) 昇降式移動足場
KR101473434B1 (ko)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US20110088237A1 (en) Novel scaffol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10015011A (ko) 사다리
JPH08100517A (ja) 昇降式作業台
KR102609173B1 (ko)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
KR102515456B1 (ko) 고소작업용 장치
JP5305432B2 (ja) 移動足場
KR20200075370A (ko)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
CN216380489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挑架装置
KR200375150Y1 (ko) 접이형 작업대
JP6259645B2 (ja) ライナープレート組付装置
KR102592681B1 (ko)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EP3423390B1 (en) A foldable platform lift
EP2378033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temporarily covering a hole in a fl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