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456B1 - 고소작업용 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5456B1 KR102515456B1 KR1020210012127A KR20210012127A KR102515456B1 KR 102515456 B1 KR102515456 B1 KR 102515456B1 KR 1020210012127 A KR1020210012127 A KR 1020210012127A KR 20210012127 A KR20210012127 A KR 20210012127A KR 102515456 B1 KR102515456 B1 KR 1025154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rail
- basket
- side support
- wor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소작업용 장치는 옥상 난간대의 상단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체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체에 걸쳐 지지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안내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개의 롤러결합체와, 상기 롤러결합체에 지지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소작업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작업자가 작업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고소작업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건물 외벽의 페인트칠 또는 외장재 교체 작업을 할 때 건물의 옥상에서 작업자가 로프에 의지한 채로 작업을 행하였다. 작업자는 옥상에서 점차 아래로 내려오면서 작업을 진행하였다. 작업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었으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기는 힘들었다. 따라서 다른 부분을 작업하기 위해서는 다시 옥상에서 작업자가 로프에 의지한 채 아래로 내려오면서 작업을 해야 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시행해야 했다. 따라서 작업의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의자에 매달린 채로 작업을 함으로써 의자가 뒤집혀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가중되어, 인적 및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는 지상에서 크레인을 고정한 상태에서 레일 등에 바스켓을 매달아 작업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는 크레인이 상승할 수 있는 높이에 한계가 있어서 건물의 상측은 작업을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건물 옥상에서 지상으로 내려오면서 작업할 때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범위가 커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고소작업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피가 작어 운반이 용이하고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소작업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장치는 옥상 난간대의 상단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체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체에 걸쳐 지지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안내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개의 롤러결합체와, 상기 롤러결합체에 지지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옥상 난간대의 실내측에 지지되는 제1측면지지대와, 상기 제1측면지지대의 상단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단지지대와, 상기 상단지지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측면지지대와, 상기 제2측면지지대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을 지지하는 레일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옥상 난간대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1측면지지대와 상기 제2측면지지대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간격조절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상기 상단지지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측면지지대가 슬라이딩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제1측면지지대가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슬라이딩된 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지지대는 상기 롤러결합체가 빠지지 않도록 상기 상단지지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하는 제1걸림부와, 상기 제2지지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하는 제2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면지지대, 상기 상단지지대, 상기 제2측면지지대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체가 상기 옥상 난간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결합체는 상기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복수개의 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롤러에 구비되는 회전축에 지지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로프를 지지하는 비너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롤러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상기 레일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롤러결합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의 좌우측 단부에는 상기 레일에서 상기 롤러결합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은 측면벽 부분은 중앙에 힌지를 구비하여 접히고, 바닥면 부분은 모서리에 힌지를 접히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에는 상기 바스켓이 건물의 외벽과 소정간격 이격되면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에는 상기 바스켓이 좌우로 이동한 후 상기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장치에 의하면 작업자가 건물 옥상에서 지상으로 내려오면서 작업할 때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범위가 커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장치의 부피가 작으므로, 현장에서 바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이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소작업용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지체에 레일 및 롤러결합체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롤러결합체에 안내되는 로프에 고정되는 바스켓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소작업용 장치에 사용되는 지지체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장치에 사용되는 지지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소작업용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지체에 레일 및 롤러결합체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롤러결합체에 안내되는 로프에 고정되는 바스켓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소작업용 장치에 사용되는 지지체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장치에 사용되는 지지체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소작업용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장치는 옥상 난간대(10)의 상단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체(100)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체(100)에 걸쳐 지지되는 레일(200)과, 상기 레일(200)에 안내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개의 롤러결합체(300)와, 상기 롤러결합체(300)에 지지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400)을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체(100)는 옥상 난간대(10)의 상단에 고정되어 레일(2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며, 옥상 난간대(10)에 걸쳐짐으로써 고정된다.
상기 지지체(100)는 상기 옥상 난간대(10)의 실내측에 지지되는 제1측면지지대(110)와, 상기 제1측면지지대(110)의 상단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단지지대(120)와, 상기 상단지지대(12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측면지지대(130)와, 상기 제2측면지지대(130)에 구비되어 레일(200)을 지지하는 레일지지대(140)를 구비한다.
옥상 난간대(10)는 옥상에서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옥상의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를 가지는 것으로, 지지체(100)는 옥상 난간대(10)의 상단에 고정됨으로써 레일(200)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옥상 난간대(10)의 두께는 건물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장치에 사용되는 지지체(100)에서 제1측면지지대(110)와 제2측면지지대(130)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간격조절장치(150)를 구비한다.
간격조절장치(150)는 상단지지대(120)에 구비되어 제1측면지지대(110)가 슬라이딩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딩부(151)와, 제1측면지지대(110)가 슬라이딩부(151)에서 슬라이딩된 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52)를 구비한다. 따라서 간격조절장치(150)를 이용하여 지지체(100)를 옥상 난간대(10)에 고정시킬 때에는 제2측면지지대(130)를 옥상 난간대(10)의 실외측면에 밀착시키고 제1측면지지대(110)를 슬라이딩시켜 옥상 난간대(10)의 실내측면에 밀착시킨 후 고정부재(152)를 이용하여 제1측면지지대(1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렇게 되면 지지체(100)의 제1측면지지대(110) 및 제2측면지지대(130)는 옥상 난간대(10)의 측면에 지지되고, 지지체(100)의 상단지지대(120)는 옥상 난간대(10)의 상면에 지지된다.
한편, 지지체(100)를 옥상 난간대(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제1측면지지대(110) 또는 상단지지대(120)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옥상 난간대(10)에 밀착하도록 조이는 조임부재(15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조임부재(153)는 제1측면지지대(110) 또는 상단지지대(120)에 형성된 홀에 나사결합하여 회전하는 볼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체(100)에 형성된 레일지지대(140)는 롤러결합체(300)가 빠지지 않도록 상단지지대(120)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하는 제1걸림부(141)와, 제2지지대(130)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하는 제2걸림부(142)를 구비한다.
제1걸림부(141)와 제2걸림부(142)는 모두 대략 'ㄱ'자 형태를 가지며, 제1걸림부(141)와 제2걸림부(142)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1걸림부(141)와 제2걸림부(142)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걸림부(141)와 제2걸림부(142)에 의해 롤러결합체(300)가 레일(2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제1걸림부(141)와 제2걸림부(142)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롤러결합체(300)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한다.
레일(200)은 복수개의 지지체(100)에 걸쳐 지지된다. 레일(200)은 길이가 긴 형강으로 형성되고 그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레일(200)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지지체(100)에 형성된 레일지지대(140)에 지지된다.
레일(200)이 레일지지대(140)에 지지되면, 레일(200)에 형성된 개구부와 레일지지대(140)에 형성된 개구부는 서로 일치되어 롤러결합체(300)의 일부가 돌출된다.
레일(200)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롤러결합체(300)가 복수개 설치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지체에 레일 및 롤러결합체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롤러결합체(300)는 레일(200)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복수개의 롤러(310)와, 복수개의 롤러(310)에 구비되는 회전축(311)에 지지되는 본체(320)와, 본체(320)의 하부에 결합되어 로프(500)를 지지하는 비너(330)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롤러결합체(300)가 2개의 롤러(310)를 구비하여 본체(3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였으나, 롤러(310)의 갯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롤러(310)가 지탱해야하는 무게에 따라 3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체(320)는 대략 T자 형상을 가지고, 상부 양측은 각각 롤러(310)의 회전축(311)과 결합된다. 본체(320)의 하부에는 비너(330)가 체결되는 홀이 형성되어 비너(330)가 결합된다. 비너(330)는 옥상에 고정된 로프(5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이 빈 삼각형의 걸림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롤러결합체(300)가 레일(200)의 단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200)의 좌우측 단부에는 이탈방지턱(2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결합체(300)에는 로프(500)가 지지되고 로프(500)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바스켓(400)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롤러결합체(300)가 레일(200)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필요한 경우 로프(500)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당겨 바스켓(400)을 작업이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프(500)를 이용하여 바스켓(400)을 아래로 내리는 작업을 하면서 바스켓(40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 반경이 커지기 때문에 고소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롤러결합체에 안내되는 로프에 고정되는 바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바스켓(400)은 소정의 높이를 가져 작업자가 바스켓(400) 내부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바스켓(400)은 운반의 편의성을 위해 측면(410) 부분은 다수의 앵글이 서로 교차하면 결합되는 격자형태를 가져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바닥면(420)은 작업자가 지지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태를 가진다.
한편, 측면(410)과 바닥면(420)이 접힐 수 있도록 바스켓(400)은 다수개의 힌지를 가진다.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측면(410)은 힌지(411)를 가져 중앙이 서로 접힐 수 있도록 하였다. 바닥면(420)은 가장자리에 측면(410)과 결합되는 힌지(421)를 가져 힌지(42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측면(410)의 중앙에 형성된 힌지(411)를 접고 바닥면(4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힌지(421)를 접으면 바스켓(400)은 접힌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운반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작업이 필요한 곳에서는 측면(410) 및 바닥면(420)을 펼쳐서 사용자가 들어갈 수 있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바스켓(400)에는 상기 바스켓이 건물의 외벽과 소정간격 이격되면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유지장치(460)가 구비될 수 있다. 간격유지장치로(460)는 바스켓(400)이 외벽에 지지되면서 좌우로 이동하는 것이 수월하도록 단부에 롤러(462)가 구비된 간격유지대(461)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롤러(462)는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 어느 방향으로든지 구를 수 있게 형성되어 바스켓(400)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간격유지대(461)의 단부에 롤러 외에 외벽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스켓(400)에는 바스켓(400)이 좌우로 이동한 후 상기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장치(47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장치(470)로는 건물의 외벽에 밀착된 후 내부가 음압에 의하여 외벽과 밀착되는 밀착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장치(470)는 바스켓(400)을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바스켓(4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바스켓(400)은 로프(500)에 매달려 있기 때문에, 로프(500)를 감거나 풀면서 올라가거나 내려가게 되는데, 로프(500)는 바스켓(400) 내부에 탑승한 사람이 수동으로 풀거나,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풀리도록 할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장치는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소작업용 장치에 사용되는 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롤러결합체(300)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레일(200)에서 이동하도록 복수개의 롤러결합체(3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재(350)로는 앵글등의 부재로 형성되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연결부재(350)와 롤러결합체(300)의 본체(32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바스켓(400) 상부의 네모서리에서 짧은 로프(520)가 각각 하나의 점으로 모이게 되고, 이러한 짧은 로프(520)는 옥상 난간대(10)에서 내려오는 2개의 긴 로프(510)와 만나게 된다. 이때 바스켓(400) 상부의 네모서리에서 연장되는 4개의 짧은 로프(520)가 모이는 곳은 바스켓(400)의 정중앙에서 상부에 연장한 곳이다. 따라서 바스켓(400)은 중심을 잡고 로프(510,520)에 의해 올바르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바스켓(400) 내부의 작업자는 한손으로 로프들(510,520)이 모이는 곳을 한손으로 잡고 로프를 조절할 수 있고 다른 한손으로 다른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옥상 난간대(10)에서 내려오는 2개의 긴 로프(510)가 서로 모일 수 있도록 복수개의 롤러결합체(300)에는 긴 로프(510)의 단부가 바스켓(400)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도록 본체(320)에서 연장되는 연장대(340)를 구비할 수 있다. 양측 연장대(340)에는 각각 긴 로프(510)가 안내될 수 있도록 안내고리(341)가 구비되어 긴 로프(510)는 양측 연장대(340)의 단부로 각각 안내되어 연장대(340)의 단부 하측에서 서로 만나게 된다. 이렇게 만난 긴 로프(510)들은 바스켓(400) 상부의 네모서리에서 연장되는 4개의 짧은 로프(520)와 연결되어 바스켓(400)을 균형을 잡으면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장치에 사용되는 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장치는 상기 지지체(100)는 상기 옥상 난간대(10)의 실내측에 지지되는 제1측면지지대(110)와, 상기 제1측면지지대(110)의 상단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단지지대(120)와, 상기 상단지지대(12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측면지지대(130)와, 상기 제2측면지지대(130)에 구비되어 레일(200)을 지지하는 레일지지대(140)를 구비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장치는 구비하지 않는다.
제1측면지지대(110), 상단지지대(120), 제2측면지지대(130)의 내측에는 지지체(100)가 옥상 난간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베어링(150)이 구비된다.
따라서 지지체(100)를 옥상 난간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고소작업용 장치를 설치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장치에 의하면 작업자가 건물 옥상에서 지상으로 내려오면서 작업할 때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범위가 커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장치의 부피가 작으므로, 현장에서 바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이 간편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지지체 200: 레일
300: 롤러결합체 400: 바스켓
500: 로프
300: 롤러결합체 400: 바스켓
500: 로프
Claims (12)
- 옥상 난간대의 상단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체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체에 걸쳐 지지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안내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개의 롤러결합체와,
상기 롤러결합체에 지지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과,
상기 옥상 난간대의 두께에 따라 제1측면지지대와 제2측면지지대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간격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옥상 난간대의 실내측에 지지되는 제1측면지지대와, 상기 제1측면지지대의 상단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단지지대와, 상기 상단지지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측면지지대와, 상기 제2측면지지대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을 지지하는 레일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결합체는 상기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복수개의 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롤러에 구비되는 회전축에 지지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로프를 지지하는 비너를 구비하는 고소작업용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상기 상단지지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측면지지대가 슬라이딩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제1측면지지대가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슬라이딩된 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지지대는 상기 롤러결합체가 빠지지 않도록 상기 상단지지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하는 제1걸림부와, 상기 제2측면지지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하는 제2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지지대, 상기 상단지지대, 상기 제2측면지지대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체가 상기 옥상 난간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롤러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상기 레일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롤러결합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좌우측 단부에는 상기 레일에서 상기 롤러결합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측면벽 부분은 중앙에 힌지를 구비하여 접히고,
바닥면 부분은 모서리에 힌지를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에는 상기 바스켓이 건물의 외벽과 소정간격 이격되면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에는 상기 바스켓이 좌우로 이동한 후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2127A KR102515456B1 (ko) | 2021-01-28 | 2021-01-28 | 고소작업용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2127A KR102515456B1 (ko) | 2021-01-28 | 2021-01-28 | 고소작업용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8987A KR20220108987A (ko) | 2022-08-04 |
KR102515456B1 true KR102515456B1 (ko) | 2023-03-29 |
Family
ID=8283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2127A KR102515456B1 (ko) | 2021-01-28 | 2021-01-28 | 고소작업용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545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2519B1 (ko) * | 2005-09-15 | 2008-08-1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밀림방지장치가 장착된 수직 및 수평작업용 곤도라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92964A (ja) * | 1994-04-28 | 1995-11-07 | Kogyo Gijutsu Kenkyusho:Kk | 建築物壁面の工事装置 |
KR20070107492A (ko) * | 2006-05-03 | 2007-11-07 | 주식회사 운영 | 청소 케이지 유닛 |
KR100949431B1 (ko) | 2007-12-10 | 2010-03-24 | 손창근 |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 |
-
2021
- 2021-01-28 KR KR1020210012127A patent/KR1025154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2519B1 (ko) * | 2005-09-15 | 2008-08-1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밀림방지장치가 장착된 수직 및 수평작업용 곤도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8987A (ko) | 2022-08-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65838A (en) | Movable support for window washers and the like | |
US20130112500A1 (en) | Lift Unit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a Scaffold | |
US7900745B1 (en) | Motor driven lifting assembly | |
US20190194957A1 (en) | Telescoping Break-Away Canopy Assembly | |
CN106103328A (zh) | 临时电梯装置 | |
US10655345B2 (en) | Height accessible working platform with horizontally displaceable cradle | |
CN211058279U (zh) | 超高层建筑施工用悬挑式作业装置 | |
KR101975293B1 (ko) | 고소작업대용 안전 기구 및 그 안전 기구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 |
JP2006233486A (ja) | 横行式作業装置およびこれによる作業方法 | |
US3951236A (en) | Mountable hoist | |
US20080308362A1 (en) | Cable management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on elevator systems | |
JP6076031B2 (ja) | 仮設構造物の荷上げ装置 | |
KR102426503B1 (ko) |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 |
KR20220149959A (ko) | 추락방지를 위한 와이어로프 안전장치 | |
KR102241781B1 (ko) |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 |
KR102515456B1 (ko) | 고소작업용 장치 | |
KR102560658B1 (ko) |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 |
JP5430682B2 (ja) | エレベータ | |
EP3296251B1 (en) | A height accessible working platform with horizontally displaceable cradle | |
KR101473434B1 (ko) |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 |
KR20220048897A (ko) |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 | |
CN211447725U (zh) | 房建工程用可变式吊篮 | |
US20030111293A1 (en) | Fall arrest system with flow-through intermediate support | |
KR102447971B1 (ko) | 롤링 타워 | |
CN217780602U (zh) | 高空移动吊挂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