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897A -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897A
KR20220048897A KR1020200132291A KR20200132291A KR20220048897A KR 20220048897 A KR20220048897 A KR 20220048897A KR 1020200132291 A KR1020200132291 A KR 1020200132291A KR 20200132291 A KR20200132291 A KR 20200132291A KR 20220048897 A KR20220048897 A KR 20220048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ndola
handrail
work
cag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4012B1 (ko
Inventor
이동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곤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곤도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곤도라
Priority to KR1020200132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012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기술은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지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난간부; 및 상기 난간부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작업부를 포함한다. 본 기술에 따르면, 건물의 다양한 형상의 외벽에 대해 깊이 방향으로의 작업 능력이 크게 향상된다.

Description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Gondola for work at height}
본 발명은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작업 반경이 확장된 곤도라에 관한 것이다.
건물용 곤도라는 건물 외부에 대한 고소 작업을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용 곤도라는 건물의 이동용 레일 또는 고정 패드에 지지되는 프레임과, 이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건물의 외측으로 연장된 암, 이 암의 선단부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걸이 부재와, 일단부가 지지 프레임의 드럼에 고정되고 상기 걸이 부재를 경유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하향 연장된 와이어와, 이 와이어의 하단부에 매달리는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윈치 기구가 구비된 케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윈치 기구를 작동시켜 와이어를 풀거나 감음으로써, 케이지를 건물의 원하는 위치까지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측에 2 개의 와이어에 고정바를 설치하고 여기에 윈치를 설치하여 중량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곤도라를 이용함으로써 무거운 중량체 및 작업자를 싣고 높은 곳까지 이송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중량 및 부피가 큰 유리 등의 작업물을 고층 건물의 벽측에 부착 또는 교체하는 등의 공법도 많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또한 건축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건물의 외벽 디자인이 설계됨에 따라, 이러한 복잡한 디자인을 가진 외벽을 작업 시, 즉 예를 들어, 건물의 외벽이 돌출 또는 함몰된 부분을 가지도록 설계된 경우, 함몰된 건물의 외벽에 대해 작업 시, 단순 구조의 케이지 형태로 인해 정밀한 작업 수행이 어렵고, 함몰된 건물의 외벽에 밀착된 작업 수행이 상당히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의 건물의 외벽에 대해 깊이 방향으로의 작업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곤도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는,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로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지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난간부; 및 상기 난간부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작업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난간부는, 상기 바닥부의 후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방 난간; 및 상기 바닥부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방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의 후측 및 좌우측에만 각각 상기 후방 난간 및 상기 측방 난간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전측에서 상기 작업부가 상기 후방 난간으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후방 난간을 향하는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전측에서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전방 난간; 및 상기 베이스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방 난간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추가 측방 난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부의 상기 추가 측방 난간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측방 난간과 상기 케이지의 내측 방향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추가 측방 난간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더는, 복수 개의 롤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작업부의 슬라이딩 운동에 대한 위치를 확정시키는 위치 확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확정부는, 상기 작업부가 상기 케이지 내에 배치되는 기본 사용 모드시의 최종 위치를 확정시키며, 상기 작업부의 상기 전방 난간에 형성되는 제1 돌기;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돌기와의 고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는 제1 걸쇠; 상기 작업부가 상기 케이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 배치되는 개방 사용 모드시의 최종 위치를 확정시키며, 상기 작업부의 상기 추가 측방 난간에 형성되는 제2 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1 걸쇠보다 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제2 돌기와의 고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는 제2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확정부는, 상기 기본 사용 모드시, 상기 제1 걸쇠가 회전하여 상기 제1 돌기와의 결합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걸쇠가 회전하여 상기 제2 돌기와 해제되며, 상기 개방 사용 모드시, 상기 제2 걸쇠가 회전하여 상기 제2 돌기와의 결합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걸쇠가 회전하여 상기 제1 돌기와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작업부의 상기 추가 측방 난간에 형성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걸리도록 상기 추가 측방 난간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작업부의 최대 슬라이딩 위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부의 상기 전방 난간의 상측과 상기 난간부의 상기 측방 난간의 상측에 연결되되, 상기 작업부의 슬라이딩 운동 시 상기 작업부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작업부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1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지부는, 체인 또는 신축가능한 부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작업물로부터 상기 케이지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작업부의 추락을 추가 방지하는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피작업물로부터 상기 케이지를 향해 연장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측과 상기 작업부의 상기 전방 난간의 상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된 후크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는,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로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지는, 상기 곤도라의 전체적인 외관을 결정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식 난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이동을 지원하는, 제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딩부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상부에 롤러 구조 및 하부에 레일 구조를 통한 구름 접촉을 갖고, 상기 제2 슬라이디웁는 상부에 레일 구조 및 하부에 롤러 구조를 통한 구름 접촉을 가질 수 있다.
본 기술에 따르면, 건물의 외벽에 대해 깊이 방향으로의 작업 능력이 향상되어, 건물의 외벽에 대한 정밀한 작업이 가능해진다.
또한 건물의 외벽에 대해 밀착하여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한다.
또한 위치 확정부 및 스토퍼 구조를 통해서 케이지의 슬라이딩 작동이 신뢰성 있게 구현된다.
또한 2중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의 구조를 통해서 케이지의 슬라이딩 작동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획기적으로 예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슬라이딩부 상세도이다.
도 6에서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기본 상태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가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개념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슬라이딩부 상세도, 도 6에서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기본 상태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가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1)는, 케이지(10), 와이어(20), 블록스톱(30), 과부하 방지장치(40), 와인더(50) 및 모터(6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곤도라(1)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곤도라(1)는, 와이어(20)에 의해 매달려 있는 케이지(10)에 보조 와이어(부호 도시하지 않음), 블록스톱(30)과 과부하 방지장치(40)를 설치하여 추락 사고와 같은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곤도라(1)는 건물의 건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물용 외에도 선박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건물용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블록스톱(30)은, 케이지(10)의 양측 상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블록스톱(30)은 와이어(20)의 절단 시 보조 와이어를 자동으로 잡아 케이지(10)의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블록스톱(30)에는 보조 와이어가 설치된다.
케이지(20)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며, 작업자(3)가 발을 딛는 부위인 바닥부(11)와 바닥부(11)의 둘레를 따라 펜스 형태로 설치된 난간부(12)로 이루어진다.
케이지(10)의 양측에는 각각 와인더(50)가 설치되며, 각각의 와인더(50)에는 모터(60)가 설치된다.
와인더(50)에는 와이어(20)가 권취되며, 와인더(50)에 권취된 와이어(20)의 상단부는 건물의 최상단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2)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곤도라(1)는, 케이지(10)에 블록스톱(30), 과부하 방지장치(40), 와인더(50) 및 모터(60)가 설치되어, 케이지(10)가 와이어(20)에 의해 매달려 상향 또는 하향 구동된다.
한편, 최근에는 건축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건물(4; 피작업물, 도 7 참조)의 외벽 디자인이 설계됨에 따라, 이러한 복잡한 디자인을 가진 외벽을 작업 시, 즉 예를 들어, 건물(4)의 외벽이 돌출(4a) 또는 함몰(4b)된 부분을 포함하는 디자인으로 설계된 경우, 함몰(4b)된 부분에 대한 작업 시, 종래에는 단순 구조의 케이지 형태로 인해 정밀한 작업 수행이 어렵고, 함몰된 건물의 외벽(4b)에 밀착된 작업 수행이 상당히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곤도라(1)를 발명하였으며, 이러한 곤도라(1)의 구성 중 케이지(10)에 대해서 하기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케이지(10)는, 와이어(20)에 의해 매달려 상향 또는 하향되며, 바닥부(11), 난간부(12), 작업부(13), 슬라이딩부(14), 제1 지지부(15) 및 제2 지지부(16)를 포함한다. 물론 케이지가 좌우로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케이지는 전체적으로 견고한 구조를 위해 스틸, SUS, 알루미늄 등의 재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부(14)는 상부와 하부에 마련된다. 각각 상부 슬라이딩부(14_U, 도 2 및 도 3)와 하부 슬라이딩부(14_D)로 참조될 수 있다.
바닥부(11)는, 케이지(10)의 바닥을 형성하며, 중앙 부위의 상측에 기본 사용 모드 시 후술할 작업부(13)가 배치되고, 개방 사용 모드 시 작업자(3)의 발을 딛는 부위일 수 있으며, 둘레에는 상측에 후술할 난간부(1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부(11)는, 바닥부(11)의 후측 및 좌우측에만 각각 후술할 후방 난간(121) 및 측방 난간(122)이 형성되고, 바닥부(11)의 전측에서 작업부(13)가 후방 난간(121)으로부터 멀어지거나 후방 난간(121)을 향하는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닥부(11)는, 전측에는 난간부(11)가 설치되지 않고, 작업부(13)가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바닥부(11)는 작업부(13)와 맞닿는 곳에 후술할 슬라이드부(14)의 슬라이더(142)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롤러(14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롤러(142)를 통해서 작업부(13)의 하면에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141)을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추가 측방 난간(132)이 측방 난간(122)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더욱 용이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구름 접촉만을 고려하면, 롤러와 베이스 프레임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작업부가 개방 사용 모드시 피작업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롤러가 바닥부에 구비되고, 베이스 프레임이 작업부에 구비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바닥부(11)는, 하측에 복수 개의 롤러가 구비되어, 케이지(10)의 지상 이동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난간부(12)는, 바닥부(11)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후방 난간(121) 및 측방 난간(122)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난간(121)은, 바닥부(11)의 후측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프레임 구조 또는 플레이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후방 난간(121)은, 일례로 측방 난간(122)과 그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곤도라(1)가 높은 위치에 위치 시, 작업자(3)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업시 작업자의 후방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방 난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측방 난간(122)은, 바닥부(11)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프레임 구조 또는 플레이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측방 난간(122)은, 일례로 후방 난간(121)과 그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블록스톱(30), 과부하 방지장치(40), 와인더(50) 및 모터(60)가 배치될 수 있다.
측방 난간(122)은, 후방 난간(121)과 같이 곤도라(1)가 높은 위치에 위치 시, 작업자(3)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업부(13)는, 난간부(12)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베이스(131), 전방 난간(132) 및 추가 측방 난간(13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31)는, 작업부(13)의 바닥을 이루며, 작업자(3)의 발을 딛는 부위이고, 둘레에는 전측에 전방 난간(132) 및 좌우측에 추가 측방 난간(133)이 설치될 수 있되, 후측에는 난간이 설치되지 않아 작업자(3)가 개방 모드 시 바닥부(11)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즉, 기본 사용 모드시 작업자는 바닥부를 딛고서 작업하고, 개방 모드 사용시 작업자는 베이스를 딛고서 작업할 수 있다.
베이스(131)는, 일례로 바닥부(11)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131)는, 하면에 슬라이딩부(14)의 베이스 프레임(141)이 돌출 형성되어, 바닥부(11)에 형성된 롤러(142)와 서로 맞닿아 이 롤러(142)에 의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전방 난간(132)은, 베이스(131)의 전측에서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프레임 구조 또는 플레이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방 난간(132)은, 일례로 작업자 전방으로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후방 난간(121) 및 측방 난간(122)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 난간(121) 및 측방 난간(122)과 같이 곤도라(1)가 높은 위치에 위치 시, 작업자(3)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 측방 난간(133)은, 베이스(131)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이격되어 전방 난간(132)에 연결 형성되며, 프레임 구조 또는 플레이트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측방 난간(122)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가 측방 난간(133)은, 일례로 전방 난간(132)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곤도라(1)가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개방 사용 모드 시, 작업자(3)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추가 측방 난간(133)은 측방 난간(122)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므로 작업자(3)의 추락 위험이 조금 더 확대될 수 있으나 이는 후술할 제1 지지부(15)에 의해서 보조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추가 측방 난간(133)은 후방 난간(121) 및 측방 난간(122)과 같은 높이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추가 측방 난간(133)은, 슬라이드부(14)의 슬라이더(142),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롤러(142)와 맞닿아 롤러(142)가 굴러가기 용이하게 즉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 측방 난간(133)은, 후단에 후술할 스토퍼부(144)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슬라이딩부(14)는, 작업부(13)의 추가 측방 난간(133)과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구성되며, 베이스 프레임(141), 슬라이더(142), 위치 확정부(143) 및 스토퍼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41)은, 측방 난간(122)과 케이지(10)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일측, 바람직하게는 하측에 슬라이더(142)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41)은, 전방측에 제1 걸쇠(1432)가 형성되고, 후방측에 제2 걸쇠(14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141)의 길이는 제1 걸쇠(1432)와 제2 걸쇠(1434)의 배치 거리와 함께 작업부(13)의 슬라이딩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슬라이더(142)는, 베이스 프레임(141)의 일측에 형성되되, 추가 측방 난간(133)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142)는 복수 개의 롤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롤러일 수 있다. 구름 접촉만을 고려하면, 슬라이더는 베이스 프레임쪽이 아닌 추가 측방 난간쪽에 설치될 수도 있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작업부가 개방 사용 모드시 피작업물과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가 베이스 프레임쪽에 구비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부가 상하부에 마련된다.
상부 슬라이딩부(14_U,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나는 구름 접촉은 상부에 롤러 구조(142)와 하부에 레일 구조(1331)를 통한다. 고정형 롤러 구조에 이동형 레일 구조이다. 상대적으로 아래에 배치되는 레일 구조가 하중을 지지한다. 레일 구조(1331)는 추가 측방 난간(133)의 상부에 마련된다.
하부 슬라이딩부(14_D,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나는 구름 접촉은 상부에 레일 구조(141)과 하부에 롤러 구조(142)를 통한다. 고정형 롤러 구조에 이동형 레일 구조이다. 상대적으로 아래에 배치되는 롤러 구조가 하중을 지지한다. 상술한 상부 슬라이딩부와는 지지 방향이 반대임을 주목한다.
곤도라(1)의 전체적인 외관을 결정하는 프레임부에 대해, 서랍형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작업부(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난간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이동식 난간부로 참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부의 슬라이딩부에서 롤러 구조들은 (이동식 난간부가 아닌) 프레임부에만 마련됨으로써 작업간 피작업물과의 간섭을 최소화한다. 이는 또한 작업부(13)에 가해지는 총 하중을 고려할 때 안전한 지지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1)는, 슬라이딩부(14)의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서 건물(4)의 외벽에 대해 깊이 방향으로의 작업 능력 즉, 도 7의 함몰 부분(4b)에 대한 작업 능력이 향상되어, 건물(4)의 외벽에 대한 정밀한 작업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고, 건물(4)의 외벽에 대해 더욱 밀착하여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 작업자(3)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돌출된 부분에 대해서는 기본 사용 모드로 사용할 수 있고, 함몰된 부분에 대해서는 개방 사용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곤도라에서 작업자가 앞으로 다가서기 힘든 부위에 대해 발판을 앞쪽으로 빼줌으로써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위치 확정부(143)는, 작업부(13)의 슬라이딩 운동에 대한 위치를 확정시킬 수 있으며, 제1 돌기(1431), 제1 걸쇠(1432), 제2 돌기(1433), 제2 걸쇠(14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1431)는, 작업부(13)의 전방 난간(132)에 형성되어, 후술할 제1 걸쇠(1432)와 결합 시, 작업부(13)가 케이지(10) 내에 배치되는 기본 사용 모드 시의 최종 위치를 확정시킬 수 있다. 즉,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작업부를 잡아준다.
제1 걸쇠(1432)는, 슬라이딩부(14)의 베이스 프레임(141)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제1 돌기(1431)와의 고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시킬 때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H)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돌기(1433)는, 작업부(13)의 추가 측방 난간(133)에 형성되어, 후술할 제2 걸쇠(1434)와 결합 시, 작업부(13)가 케이지(10)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 배치되는 개방 사용 모드 시의 최종 위치를 확정시킬 수 있다. 즉, 임의로 폐쇄되지 않도록 작업부를 잡아준다.
제2 걸쇠(1434)는, 슬라이딩부(14)의 베이스 프레임(141) 상에서 제1 걸쇠(1432)보다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제2 돌기(1433)와의 고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회전시킬 때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확정부(143)의 제1 돌기(1431), 제1 걸쇠(1432), 제2 돌기(1433), 제2 걸쇠(1434)의 구성들을 통해 기본 사용 모드와 개방 사용 모드 시, 상기 구성들의 결합 및 고정구조를 하기 기술하도록 한다.
기본 사용 모드 시, 위치 확정부(143)는, 제1 걸쇠(1432)가 회전하여 제1 돌기(1431)와의 결합으로 고정되고, 제2 걸쇠(1434)가 회전하여 제2 돌기(1433)와 해제되며, 개방 사용 모드 시, 위치 확정부(143)는, 제2 걸쇠(1434)가 회전하여 제2 돌기(1433)와의 결합으로 고정되고, 제1 걸쇠(1432)가 회전하여 제1 돌기(1431)와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본 사용 모드 시, 위치 확정부(143)는, 제1 걸쇠(1432)와 제1 돌기(1431)가 결합 상태에 있고 제2 걸쇠(1434)가 제2 돌기(1433)와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당연히 제2 걸쇠(1434)와 제2 돌기(1433)는 해제 상태로 놓여져 있다. 이후, 개방 사용 모드로 변경 시, 먼저 제1 걸쇠(1432)가 회전하여 제1 돌기(1431)와 해제됨에 따라, 작업부(13)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에 놓이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3)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외부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작업부(13)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제2 걸쇠(1434)와 제2 돌기(1433)가 서로 가까워지고 결국 맞닿게 되어 제2 걸쇠(1434)가 회전하여 제2 돌기(1433)와의 결합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개방 사용 모드는 작업부(13)의 최대 연장 위치에 있을 수 있고, 이 길이는 제2 걸쇠(1434)와 제2 돌기(1433)의 결합으로 결정지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1)는, 위치 확정부(143)의 구조를 통해서 케이지(10)의 개방 사용 모드 시, 케이지(10)가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스토퍼부(144)는, 작업부(13)의 추가 측방 난간(133)에 형성되며, 슬라이더(142)의 일측에 걸리되록 추가 측방 난간(133)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작업부(13)의 최대 슬라이딩 위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토퍼부(144)는, 위치 확정부(143)에 더해 작업부(13)의 최대 슬라이딩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1)는, 스토퍼부(144)의 구조를 통해서 위치 확정부(143)와 함께 이단으로 케이지(10)의 개방 사용 모드 시, 케이지(10)가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제1 지지부(15)는, 작업부(13)의 전방 난간(132)의 상측과 난간부(12)의 측방 난간(122)의 상측에 연결되되, 작업부(13)의 슬라이딩 운동 시 작업부(13)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작업부(13)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15)는, 체인 또는 신축가능한 부재일 수 있다.
제1 지지부(15)는, 곤도라(1)가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개방 사용 모드 시, 추가 측방 난간(133)에 더해 작업자(3)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6)는, 피작업물(4)로부터 케이지(10)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작업부(13)의 추락을 추가 방지할 수 있으며, 몸체부(161) 및 연결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16)는, 작업부(13)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몸체부(161)는, 피작업물(4)로부터 케이지(10)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프레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162)는, 몸체부(161)의 하측과 작업부(13)의 전방 난간(132)의 상측을 연결할 수 있으며, 몸체부(161)의 하측에 형성된 후크(부호 도시하지 않음)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연결부(162)는, 후크에 걸리는 고리 및 고리와 전방 난간(132)의 상측을 연결하는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라인은, 체인일 수 있다.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곤도라는 케이지에 슬라이딩 서랍형 구조를 갖는다. 즉,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작업부는 케이지의 프레임에 마련된 롤러 구조를 통해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1)는, 케이지(10)의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서 건물(4)의 외벽에 대해 깊이 방향으로의 작업 능력이 향상되어, 건물(4)의 외벽에 대한 정밀한 작업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1)는, 케이지(10)의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서, 건물(4)의 외벽에 대해 밀착하여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 작업자(3)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1)는, 위치 확정부(143) 및 스토퍼(144) 구조를 통해서 케이지(10)의 슬라이딩 작동이 신뢰성 있게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1)는, 2중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5, 16)의 구조를 통해서 케이지(10)의 슬라이딩 작동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획기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곤도라
2. 고정 프레임
3: 작업자
4: 피작업물(건물)
4a: 돌출 부분
4b: 함몰 부분
10: 케이지
11: 바닥부
12: 난간부
121: 후방 난간
122: 측방 난간
13: 작업부
131: 베이스
132: 전방 난간
133: 추가 측방 난간
14: 슬라이딩부
141: 베이스 프레임
142: 슬라이더
143: 위치 확정부
1431: 제1 돌기
1432: 제1 걸쇠
1433: 제2 돌기
1434: 제2 걸쇠
144: 스토퍼부
15: 제1 지지부
16: 제2 지지부
161: 몸체부
162: 연결부
20: 와이어
30: 블록스톱
40: 과부하 방지장치
50: 와인더
60: 모터

Claims (10)

  1.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로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지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난간부; 및
    상기 난간부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작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는,
    상기 바닥부의 후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방 난간; 및
    상기 바닥부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방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의 후측 및 좌우측에만 각각 상기 후방 난간 및 상기 측방 난간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전측에서 상기 작업부가 상기 후방 난간으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후방 난간을 향하는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전측에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방 난간; 및
    상기 베이스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방 난간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추가 측방 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의 상기 추가 측방 난간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측방 난간과 상기 케이지의 내측 방향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추가 측방 난간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복수 개의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작업부의 슬라이딩 운동에 대한 위치를 확정시키는 위치 확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확정부는,
    상기 작업부가 상기 케이지 내에 배치되는 기본 사용 모드시의 최종 위치를 확정시키며, 상기 작업부의 상기 전방 난간에 형성되는 제1 돌기;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돌기와의 고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는 제1 걸쇠;
    상기 작업부가 상기 케이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 배치되는 개방 사용 모드시의 최종 위치를 확정시키며, 상기 작업부의 상기 추가 측방 난간에 형성되는 제2 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1 걸쇠보다 후방측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제2 돌기와의 고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는 제2 걸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정부는,
    상기 기본 사용 모드 시, 상기 제1 걸쇠가 회전하여 상기 제1 돌기와의 결합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걸쇠가 회전하여 상기 제2 돌기와 해제되며,
    상기 개방 사용 모드 시, 상기 제2 걸쇠가 회전하여 상기 제2 돌기와의 결합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걸쇠가 회전하여 상기 제1 돌기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작업부의 상기 추가 측방 난간에 형성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걸리도록 상기 추가 측방 난간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작업부의 최대 슬라이딩 위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
  9.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로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지는,
    상기 곤도라의 전체적인 외관을 결정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식 난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이동을 지원하는,
    제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딩부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상부에 롤러 구조 및 하부에 레일 구조를 통한 구름 접촉을 갖고,
    상기 제2 슬라이디웁는 상부에 레일 구조 및 하부에 롤러 구조를 통한 구름 접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
KR1020200132291A 2020-10-13 2020-10-13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 KR102464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291A KR102464012B1 (ko) 2020-10-13 2020-10-13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291A KR102464012B1 (ko) 2020-10-13 2020-10-13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897A true KR20220048897A (ko) 2022-04-20
KR102464012B1 KR102464012B1 (ko) 2022-11-07

Family

ID=81395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291A KR102464012B1 (ko) 2020-10-13 2020-10-13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550B1 (ko) 2022-08-31 2022-11-03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건축물 외벽의 다양한 공법에 사용할 수 있는 확장수축형 곤도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583B1 (ko) 2023-02-14 2023-04-12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건축용 조립식 모듈 곤도라 작업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529A (ko) * 2017-03-10 2018-09-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소 작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529A (ko) * 2017-03-10 2018-09-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소 작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550B1 (ko) 2022-08-31 2022-11-03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건축물 외벽의 다양한 공법에 사용할 수 있는 확장수축형 곤도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012B1 (ko)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8259C (en) Scaffold system
KR102464012B1 (ko)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
KR20180116170A (ko) 고소작업대용 안전 기구 및 그 안전 기구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KR101501899B1 (ko) 작업발판용 해치
KR20220125633A (ko)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JP4454765B2 (ja) エレベータ
KR101954940B1 (ko) 고소 작업 장치
KR100881807B1 (ko) 더블 크레인
JP4804144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類のクライミング工法におけるトップシーブ装置
KR102515456B1 (ko) 고소작업용 장치
JP2014009562A (ja) 仮設足場用の開閉式手摺
JP2003010566A (ja) 舞台設備の吊幕物装置
JP4245315B2 (ja) エレベータ据付用移動足場およびエレベータ据付工法
TWI773323B (zh) 可自動脫鉤的起重機
CN215047846U (zh) 一种用于房屋建筑施工的安全升降装置
JP3172791U (ja) 収納式タラップ
JP2545152B2 (ja) クレ―ン用床材保持装置
JPH084301A (ja) 索道を用いた外壁パネルの施工法及びその装置
US1376253A (en) Elevator
JPS5847547B2 (ja) 高層建築物の外装版揚重方法及び装置
JPH0646932Y2 (ja) 移動する揚重機を備えたエレベータ
JP3486158B2 (ja) 天井収納用昇降装置
JP2014043323A (ja) エレベータ用トーガード
JPH0428697A (ja) 工事用リフト
WO2005051835A1 (en) Lif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