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150Y1 - 접이형 작업대 - Google Patents

접이형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150Y1
KR200375150Y1 KR20-2004-0033123U KR20040033123U KR200375150Y1 KR 200375150 Y1 KR200375150 Y1 KR 200375150Y1 KR 20040033123 U KR20040033123 U KR 20040033123U KR 200375150 Y1 KR200375150 Y1 KR 200375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roller
worktable
bottom plate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1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붕
임택빈
Original Assignee
건융건설 주식회사
이용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융건설 주식회사, 이용붕 filed Critical 건융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31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1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04G1/06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comprising members with rod-like or tubular portions fitting together end to end, with or without separate connecting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0Ladde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4Scaffold constructions able to be folded in prismatic or flat parts or able to be turned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2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scaffold members in end-to-side re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형 작업대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일반작업장에서 설치가능하고 특히 철도궤도 상에 설치되어 지하철 구내의 보수작업시 타 공정 차량의 진입에 대하여 소수의 인원으로 손쉽게 접어서 철도궤도의 외측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경첩형태로 접혀지는 접철식바닥판을 구비하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접이형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일정 길이를 갖는 한쌍의 지주가 상호 평행한 상태로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다수의 연결바에 의해 연결된 전방 지주부와, 일정 길이를 갖는 한쌍의 지주가 상호 평행한 상태로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다수의 연결바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방 지주부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후방 지주부와, 상기 전방 지주부와 후방 지주부에 구비된 다수의 연결바 중 선택된 하나의 연결바에 양단이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며 중심부가 회전축에 의해 경첩구조로 접고 펼 수 있도록 구성된 바닥판과, 상기 전방 지주부와 후방 지주부의 지주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는 수평가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작업대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접이형 작업대{Working stand collapsible}
본 고안은 접이형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철식 바닥판을 구비하는 접이형 작업대를 필요한 작업높이에 맞도록 다단을 적층하여 사용하며 해체나 이동시 소수의 인원으로 바닥판을 접어 신속한 해체 및 이동이 가능하여, 특히 지하철 터널 내부에서 철로를 타고 이동되는 차량에 대하여 빠른 속도로 접철 및 이동할 수 있고, 일반 작업장에서도 소수의 인원으로 설치 및 이동을 할 수 있는 접이형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작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비계는 강관이나 형강을 이용하여 프레임 구조로 설치되고, 그 상부에 체결고리가 달린 발판을 설치하여 작업대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의 비계는 고정된 프레임의 구조를 가지고, 적층하여 높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계는 일반 공사장의 고소작업과 실내외의 각종 고소작업(외벽 미장공사 및 방수공사 또는 내, 외벽의 세척 작업, 실내의 벽지를 바르기 위한 도배공사 및 천정 배선공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지하철 터널 내부의 보수공사, 도장공사, 세척작업 등을 할 경우 이 비계를 철로측에 설치한 후 상기의 공사를 하게 되는데, 이때 타 공정 작업차량의 통과로 인해 빠른 시간에 비계를 해체한 후 철로의 외부로 이동시키고 작업자도 대피해야한다. 그러나 종래에의 비계는 프레임구조체를 상호 연결 조립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해체 및 조립하는데 있어 상당한 인력과 시간 손실이 많아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단으로 비계를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작업차량이 오는 시간에 맞게 비계를 해체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 지상으로 뛰어내리거나 급하게 해체시의 부주위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하철 터널 내부에서 작업차량의 이동이 느려지기 때문에 타 작업반의 작업도 느려져 지하철 터널 내부의 전체적인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 작업장에서도 기존의 작업대는 무게가 중량이고 조립 및 해체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설치 및 이동시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고, 해체하지 않은 상태로 보관할 경우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되는 것으로, 철도궤도 상에 설치되어 지하철 구내의 보수작업시 타 공정 차량의 진입에 대하여 소수의 인원으로 손쉽게 접어서 철도궤도의 외측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일반 작업장에서도 소수의 인원으로 작업대의 설치, 이동 및 보관이 용이 하도록 경첩형태로 접혀지는 접철식바닥판을 구비한 접이형 작업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 길이를 갖는 한쌍의 지주가 상호 평행한 상태로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다수의 연결바에 의해 연결된 전방 지주부와, 일정 길이를 갖는 한쌍의 지주가 상호 평행한 상태로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다수의 연결바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방 지주부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후방 지주부와, 상기 전방 지주부와 후방 지주부에 구비된 다수의 연결바 중 선택된 하나의 연결바에 양단이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며 중심부가 회전축에 의해 경첩구조로 접고 펼 수 있도록 구성된 바닥판과, 상기 전방 지주부와 후방 지주부의 지주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는 수평가새로 이루어진 접이형 작업대;
상기 접이형 작업대가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적층되며, 상하부에 위치한 접이형 작업대의 지주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접이형 작업대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접이형 작업대가 최하단에 위치할 경우 롤러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롤러부를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접이형 작업대가 최상단에 위치할 경우 난간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수평가새를 나타낸 상세도, 도 6 는 본 고안의 최하단에 위치한 접이형 작업대에 전도방지 고정브래킷과 이동용 바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본 고안은 바닥판(14)의 중심이 경첩구조(15)에 의해 접철됨에 따라 부피를 줄여 손쉽게 이동이 가능한 접이형 작업대(10)를 작업장의 작업높이에 맞도록 수직하게 적층시켜 높은 작업위치까지 손쉽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접이형 작업대(10)는 수직하중을 지지하고 일정거리를 갖는 한 쌍의 지주(13)가 상호 평행한 상태로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다수의 연결바(17)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전방지주부(11)와, 수직하중을 지지하고 일정거리를 갖는 한 쌍의 지주(13)가 상호 평행한 상태로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다수의 연결바(1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방지주부(11)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후방지주부(12)와, 상기 전방지주부(11)와 후방지주부(12)에 구비된 다수의 연결바(17) 중 선택된 하나의 연결바(17)에 양단이 회전가능 하도록 연결되며 중심부가 회전축(16)에 의해 경첩구조(15)로 접고 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닥판(14)과, 상기 전방지주부(11)와 후방지주부(12)의 지주(13)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바닥판(14)이 접혀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탈착 가능한 수평가새(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이형 작업대(10)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적층되며, 이때 상하부에 위치한 접이형 작업대(10)의 지주(13)가 고정수단(20)에 의해 고정되어 적층되며 그 재질은 알루미늄 등의 가벼운 재질로 하여 무게를 최소화 하였다.
상기 고정수단(20)은 접이형 작업대(10)의 지주(13)의 하단부에 형성된 끼움부(23)와, 상기 끼움부(23)가 끼워지도록 접이형 작업대(10)의 지주(13)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홈(22)과, 상기 끼움홈(23)과 끼움홈(22)을 고정해주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접이형 작업대(10)의 적층시 상측에 위치하는 접이형 작업대(10)의 끼움부(23)가 하측에 위치하는 접이형 작업대(10)의 끼움홈(22)에 끼워져 연결부재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접이형 작업대(10)의 지주(13) 하단에는 이동이 간편하도록 바퀴(53)를 설치하되, 상기 바퀴(53)는 작업시 접이형 작업대(10)가 이동되지 않도록 제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바닥판(14)에는 다수의 유공(18)이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이 접이형 작업대(10)의 무게를 경량화시켜 준다.
또한 상기 수평가새(40)는 전방지주부에 설치되는 수평가새탈착구(43)와, 상기 후방지주부에 설치되는 수평가새고정구(42)와, 상기 수평가새고정구(42)에 고정되고, 수평가새탈착구(43)에 연결되어 탈착되는 수평바(44)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가새(40)는 수평가새탈착구 측의 단부에 연결선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선은 지주에 연결되어 있어 접이형 작업대를 다시 설치할 경우 작업자에 의해 일측이 분리된 수평가새에 연결된 연결선을 잡아당김으로써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수평가새(40)를 다시 지주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높은 작업위치에 작업자가 올라가 시공하기 위하여 도8, 도 9 에서와 같이 다수의 접이형 작업대(10)를 적층할 경우 최상단의 접이형 작업대(10)의 바닥판(14)을 접을 수 있도록 최상단의 접이형 작업대(10)와 최하단의 접이형 작업대(10)에 설치되고 이음이 없는 강선(38)으로 연결되는 접이보조수단(30)을 구비하되, 상기 강선(38)은 최상단 접이형 작업대(10)의 회전축(16)을 경유하여 연결된다.
상기 접이보조수단(30)은 최하단 접이형 작업대(10)의 전방지주부(11) 모서리에 브래킷(33)을 통해 설치되는 롤러부(31)와, 최상단 접이형 작업대(10)에 브래킷(33)을 통해 상기 롤러부(31)의 수직방향 상측에 설치되되, 바닥판(14)의 하측으로 위치하는 하부롤러(37)와, 상기 최상단 접이형 작업대(10)에 브래킷(33)을 통해 바닥판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롤러(36)와, 상기 롤러부(31), 하부롤러(37), 회전축(14), 상부롤러(36)를 차례대로 연결하는 이음이 없는 강선(38)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롤러(36)와, 하부롤러(37), 롤러부(31)는 수직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강선(38)은 마찰력에 의해 바닥판(14)의 회전축(16)을 회전시켜 바닥판(14)을 상부로 들어올려 접철시킬 수 있도록 팽팽히 긴장된 상태로 설치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롤러부(31)는 전방지주부(11)에 설치되는 브래킷(33)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강선(38)이 감겨지며 일측으로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메인롤러(32)와, 상기 메인롤러(3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메인롤러(32)의 회전반경을 조절하는 래칫기어(34)를 구비한다.
상기 래칫기어(34)는 메인롤러(32)를 일측으로 회전하여 바닥판을 접철한 후 메인롤러(32)가 역회전하여 바닥판(14)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상기 상부롤러(36)와 하부롤러(37)는 두개의 롤러가 상하로 연결되고 그 사이로 강선(38)이 지나감에 따라 바닥판(14)의 접철시에 강선(38)이 롤러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접이형 작업대(10)의 바닥판(14)이 하측방향으로 접혀지지 않도록 중심부가 상기 회전축(16)에 감겨져 바닥판(14)을 받쳐 고정해주며 양단이 상기 전방지주부(11)와 후방지주부(12)의 지주(13)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19)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접이형 작업대(10) 중 최상단에 위치한 접이형 작업대(10)의 전방지주부(11)와 후방지주부(12)의 지주(13)의 둘레를 연결하여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다수의 난간대(50)가 설치되되, 상기 난간대(50) 중 전방지주부(11)의 지주(13)와 후방지주부(12)의 지주(13)를 상호 연결해주는 난간대는 상호 간격조정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결합되는 다단 난간대(50)를 구비하여 경첩구조(15)에 의해 바닥판(14)이 접혀짐과 동시에 다단 난간대(50)가 접혀지면서 접이형 작업대가(10) 소정의 폭으로 접혀지게 된다.
또한 접이형 작업대(10)가 다단으로 적층될 경우 최상단의 접이형 작업대(10)에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할 수 있도록 접이형 작업대(10) 전방지주부(11) 또는 후방지주부(12)의 측면으로 사다리(52)가 설치되고, 접이형 작업대(1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지주부(11)와 후방지주부(12)의 지주(13)에는 전도방지 고정브래킷(60)이 설치되어 접이형 작업대(10)가 지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7 에서와 같이 바닥판(14)을 상부방향으로 3~5ㅀ 의 각도로 절곡시켜 놓아 접이보조수단(30) 없이 적은 힘만을 하측에서 가해 최상단의 접이형 작업대(10)를 접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판(14)의 경사각이 5ㅀ이상일 경우에는 작업자가 작업하다가 걸려 넘어지거나 지상으로 추락될 위험이 있다. 또한 3ㅀ보다 작을 경우에는 하측에서 작업자가 힘을 가해서 최상단의 접이형 작업대가 손쉽게 접혀지지 않게 되어 본 고안의 접철작업이 곤란해진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하철 터널의 철로 상에 접이형 작업대(10)를 위치시키고 전방지주부(11)와 후방지주부(12)의 지주(13)를 수평가새(40)로 연결하여 경첩구조(15)에 의해 접철되는 바닥판(14)이 접혀지지 않도록 고정한 후 터널 내부의 보수나 개량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작업하는 장소가 높게 위치할 경우에는, 고정수단(20)을 통해 상기접이형 작업대(10)의 지주(13)가 상하로 끼워지도록 하여 다단을 설치한 후 작업자가 최상단의 접이형 작업대(10) 상에 사다리(52)를 타고 올라가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도중에 지하철 터널 내부의 타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차량이 철로를 따라 자주 지나가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접이형 작업대 전방지주부(11) 또는 후방지주부(12)의 측면으로 설치된 사다리(52)를 타고 지상으로 내려오되, 수평바(44)를 수평가새탈착구(43)에서 분리함에 따라 수평가새(40)의 일측을 분리하면서 지상으로 내려온다.
이렇게 수평바(44)의 일측이 분리되면 작업자는 사다리(52)를 분리하고, 다단으로 적층된 접이형 작업대(10) 중 최하단의 접이형 작업대(10)의 바닥판(14)이 상측으로 접혀지도록 전방지주부(11)와 후방지주부(12)를 밀어 접이형 작업대(10)를 전방지주부(11)와 후방지주부(12)를 밀착시켜주며, 이와 동시에 최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부(31)의 메인롤러(32)에 설치된 손잡이(35)를 돌려 강선(38)을 감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강선(38)은 이음이 없이 하나의 선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메인롤러(32)를 중심으로 하부롤러(37)와 회전축(16), 상부롤러(36) 다시 메인롤러(32) 이렇게 계속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강선(38)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16)이 팽팽히 긴장된 강선(38)에 회전하면서 강선(38)을 타고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며, 회전축(16)이 상승함에 따라 바닥판(14)이 경첩구조(15)에 의해 상측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렇게 바닥판(14)이 회전축(16)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접혀짐에 따라 전방지주부(11)와 후방지주부(12)가 겹쳐져 접이형 작업대(10)가 접혀지게 된다. 상기 접이형 작업대(10)가 접혀지면 작업자는 본 고안을 들어 철로의 측면으로 이동시킨 후 철로에서 대피한다.
한편 철로상으로 작업차량이 지나가면 작업 장소에 본 고안을 다시 위치시키고, 하측의 접이형 작업대(10)는 작업자가 직접 벌려 수평바(44)를 수평가새탈착구에 고정하여 수평가새(40)를 설치하고, 상측의 접이형 작업대(10)는 메인롤러(32)를 최초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풀어 줌에 따라 바닥판이 펼쳐져 수평으로 놓여지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사다리(52)를 타고 최상단의 접이형 작업대(10)로 올라가되, 수평가새(40)에 연결된 연결선(41)을 잡아당겨 수평바(44)를 수평가새탈착구(43)에 끼워 고정하면서 올라간다.
또한 상기 접이형 작업대(10)의 지주(13)에는 전도방지 고정브래킷(60)이 설치되어 접이형 작업대(10)가 지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여 전도를 방지해 준다.
한편 본 고안은 일반 작업장에서도 지주(13)하단에 설치된 바퀴(53)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전도방지 고정브래킷(60)을 통해 고층 작업시에도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지상에서 작업자의 손이 닿는 위치의 접이형 작업대(10)는 작업자가 직접 밀어 바닥판(14)을 접고,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한 접이형 작업대(10)는 접이보조수단을 작동시켜 접음에 따라 작업공간과 대피공간이 협소한 지하철 내부에 설치되어 설치, 분해, 이동이 용이하다.
특히 레일 상으로 차량이 다니는 지하철 내부에서 작업을 할 경우 적은 인원으로 손쉬운 접철 및 이동이 가능하여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는 접이형 작업대를 해체하지 않고 접이형 작업대가 다단으로 결합된 상태로 접철이 가능하여 지하철 터널 내부의 작업시 철로를 따라 이동되는 차량에 대비하여 손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무게가 가벼워 소수의 인원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에 따라 빠른 조립과 분해에 따라 작업능률이 향상됨은 물론 지하철 터널 내부의 차량 소통을 방해하지 않아 터널 내부의 전체적인 작업속도가 빨라질 뿐만 아니라 일반 작업장에서도 무게가 가볍고, 설치 및 철거,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여 인력과 시간이 절감되어 전반적인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접이형 작업대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접이형 작업대가 최하단에 위치할 경우 롤러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롤러부를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접이형 작업대가 최상단에 위치할 경우 난간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수평가새를 나타낸 상세도,
도 6 는 본 고안의 최하단에 위치한 접이형 작업대에 전도방지 고정브래킷과 이동용 바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고안의 바닥판을 상측으로 절곡하여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고안의 접이형 작업대를 다단으로 적층시킨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고안의 접이형 작업대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이형 작업대 (11) : 전방지주부
(12) : 후방지주부 (13) : 지주
(14) : 바닥판 (15) : 경첩구조
(16) : 회전축 (17) : 연결바
(18) : 유공 (19) : 와이어로프
(20) : 고정수단 (21) : 연결부재
(22) : 끼움홈 (23) : 끼움부
(30) : 접이보조수단 (31) : 롤러부
(32) : 메인롤러 (33) : 브래킷
(34) : 래칫기어 (35) : 손잡이
(36) : 상부롤러 (37) : 하부롤러
(38) : 강선 (40) : 수평가새
(41) : 연결선 (42) : 수평가새고정구
(43) : 수평가새탈착구 (44) : 수평바
(50) : 난간대 (51) : 다단난간대
(52) : 사다리 (53) : 바퀴
(60) : 전도방지 고정브래킷

Claims (9)

  1. 일정 길이를 갖는 한쌍의 지주가 상호 평행한 상태로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다수의 연결바에 의해 연결된 전방지주부와,
    일정 길이를 갖는 한쌍의 지주가 상호 평행한 상태로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다수의 연결바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방 지주부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후방 지주부와,
    상기 전방 지주부와 후방 지주부에 구비된 다수의 연결바 중 선택된 하나의 연결바에 양단이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며 중심부가 회전축에 의해 경첩구조로 접고 펼 수 있도록 구성된 바닥판과,
    상기 전방 지주부와 후방 지주부의 지주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는 탈착가능한 수평가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작업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형 작업대가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적층되며, 상하부에 위치한 접이형 작업대의 지주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작업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접이형 작업대의 지주의 하단부에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가 끼워지도록 접이형 작업대의 지주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과 끼움부를 고정해주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작업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형작업대의 다단 적층시 최상단의 접이형작업대의 바닥판을 접을 수 있도록 최상단의 접이형작업대와 최하단의 접이형작업대에 설치되고, 최상단의 접이형 작업대의 회전축을 경유하는 이음이 없는 강선으로 연결되는 접이보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작업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보조수단은 최하단 접이형작업대의 전방지주부에 브래킷을 통해 설치되는 롤러부와,
    최상단 접이형작업대에 브래킷을 통해 설치되되, 바닥판의 하측으로 위치하고 상기 롤러부와 강선으로 연결되는 하부롤러와,
    상기 최상단 접이형작업대에 브래킷을 통해 설치되되, 바닥판의 상측으로 위치하는 상부롤러와,
    상기 롤러부, 하부롤러, 회전축, 상부롤러를 차례대로 연결하는 이음이 없는 강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작업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전방지주부에 설치되는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강선이 감겨지며 일측으로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메인롤러와,
    상기 메인롤러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메인롤러의 회전반경을 조절하는 래칫기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작업대.
  7.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형 작업대의 전방지주부와 후방지주부의 지주를 연결하여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난간대를 설치하되, 상기 전방지주부의 지주와 후방지주부의 지주를 상호 연결하는 난간대는 다단으로 결합되어 간격조정이 가능한 다단 난간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작업대.
  8.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형 작업대의 전방지주부 또는 후방지주부에 작업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사다리가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작업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형 작업대의 바닥판이 하측으로 접혀지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에 강선이 감겨지고 이 강선의 양단이 전방지주부와 후방지주부의 지주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작업대.
KR20-2004-0033123U 2004-11-23 2004-11-23 접이형 작업대 KR200375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123U KR200375150Y1 (ko) 2004-11-23 2004-11-23 접이형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123U KR200375150Y1 (ko) 2004-11-23 2004-11-23 접이형 작업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254A Division KR20060057178A (ko) 2004-11-23 2004-11-23 접이형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150Y1 true KR200375150Y1 (ko) 2005-03-11

Family

ID=43677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123U KR200375150Y1 (ko) 2004-11-23 2004-11-23 접이형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1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9073A (zh) * 2017-11-01 2018-03-06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曲靖供电局 带电作业用杆柱式绝缘平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9073A (zh) * 2017-11-01 2018-03-06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曲靖供电局 带电作业用杆柱式绝缘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65031A1 (en) Scaffold unit
US4253548A (en) Folding scaffold system
KR101229670B1 (ko) 슬라이드 조립형 복층 작업대
CN1500171A (zh) 在脚手架中用于人身保护的装置
US8418810B2 (en) Collapsible man-lift for use in wind turbine towers
WO2010061301A1 (en) Portable collapsible building structure
KR200375150Y1 (ko) 접이형 작업대
KR20060057178A (ko) 접이형 작업대
CN110259095A (zh) 一种可折叠式高空升降作业平台装置
JP2008095373A (ja) 移動用足場およびその仮設方法
KR200378217Y1 (ko) 고소작업용 틀비계
US11280097B2 (en) Ladder-based winch-powered plank scaffold
WO2001053630A1 (en) Temporary access structures
CN114439211A (zh) 一种建筑脚手架支撑结构
JP3864189B2 (ja) 塔状構造物解体装置とそれによる解体工法
CN109537868B (zh) 一种用于装配式主梁吊装的便捷式操作平台
KR200288007Y1 (ko) 건축장의 레일난간(비계) 협지장치.
KR101800622B1 (ko) 다단 승강형 족장
CN220133460U (zh) 一种建筑施工自动升降型脚手架
KR102447971B1 (ko) 롤링 타워
JP4733475B2 (ja) 作業用足場装置
CN217728660U (zh) 一种可翻转的工作台
KR102609173B1 (ko)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
CN114104939B (zh) 一种钢构架吊装工艺、吊装设备及辅助装置
WO2009114912A1 (en) Device and method for safely erecting and dismantling a scaff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