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670B1 - 슬라이드 조립형 복층 작업대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조립형 복층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670B1
KR101229670B1 KR1020110010364A KR20110010364A KR101229670B1 KR 101229670 B1 KR101229670 B1 KR 101229670B1 KR 1020110010364 A KR1020110010364 A KR 1020110010364A KR 20110010364 A KR20110010364 A KR 20110010364A KR 101229670 B1 KR101229670 B1 KR 101229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bench
slide
ladder
assembly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3553A (ko
Inventor
백훈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백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백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백상
Priority to KR1020110010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67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3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3Supports therefor, e.g. tripods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11), 손잡이(12),발판(13), 난간(14), 경사지주(15) 및 가새(16)를 주 구성부재로 하는 사다리를 서로 조립하여 안전한 작업대로 만들어 사용하는 기술이다. 종래의 사다리는 H자형으로 된 사다리 두 개를 A자형으로 서로 기대어 사용하기도 하고, 사다리 하나를 벽에 기대어 사용하기도 하지만 사다리가 미끄러지거나 사다리 위의 사람이 추락하는 사고 발생위험이 높다.
이에 본 발명은 발판과 난간, 가새가 사다리에 일체화되어 사다리 한쌍만 들고 가면 바로 안전한 작업대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조립형 복층 작업대{The Multi Step Work Platforms Using Slider}
본 발명은 사다리와 작업대 및 저층 비계의 제조와 사용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사다리와 작업대 및 저층 비계의 제조와 사용에 관한 기술이 배경이 된다.
사다리는 작업장에서 사용하기가 편리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사다리 자체의 전도(顚倒)와 작업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작업대를 사용하고 있으나, 높이가 높고 다수의 발판을 복수의 층으로 구축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비계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렇게 복층의 작업발판을 구비하고자 하면, 비계공이 높은 곳에서 손으로 많은 수의 비계 부재를 하나하나 조립하여야 한다. 이렇게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하는 것은 사고의 위험이 수반되게 되어, 안전한 지상에서 가능한 한 모든 조립작업을 마치는 것이 좋다. 대표적으로 그러한 장치는 사다리차(Ladder Truck)는 유압식 버킷차(Aerial Lift), 시저 리프트(Scissor Lift)같은 고소 작업 차량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작업차량은 차량 자체의 크기가 너무 크고 무거워 건축물 내부와 같은 작업현장에는 접근조차 할 수가 없다. 이에 고소 작업 차량과 같이 간단한 방식으로 높이 쌓을 수 있으면서도 안전한 복층 작업대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종래의 기술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 접이식 작업대 : 실용신안 등록번호 : 20-0271780 (접이식 이동 작업대)(2002.3.29 등록)에서 알 수 있듯이 지상에서의 조립시간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나 복층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 높이 조절형 작업대 : 미국특허 공보 : US2010/0071994 A1 (Multi-functional Collapsible Platform Ladder of H-Shape) (March 25, 2010)에서 알 수 있듯이 높이 조절은 가능하나 이 경우 사다리 간격이 변하여 사용에 불편이 수반되며, 다수의 발판을 조립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복층의 작업발판을 지상에서 조립하여 올림으로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작업시간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작업대의 조립을 지상에서 하고, 이를 높은 곳까지 슬라이딩(Sliding) 식으로 밀어 올리는 슬라이드(Slide) 조립형 복층 작업대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작업범위가 그다지 크기 않아 사다리를 사용하고 싶은 정도의 작업환경(통상 3단 사다리 정도의 높이)을 사다리와 동일한 체적을 차지하면서도 미끄러지거나 전도되지 않고,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사다리형으로서 조립이 간편한 작업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복층의 작업대를 구축함에 있어서, 지상에서 종래의 사다리에 발판과 난간을 일체화시키고 두 개의 사다리를 마주하게 한 후 발판과 난간을 연결하고, 경사재인 가새재를 조립하는 1단 작업대(10)를 지상에서 만드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하고, 이를 감싸 안을 수 있는 구조의 상부 작업대를 지상에서 조립하여, 1단 작업대의 기둥(11)을 레일로 하여 2단 작업대(20)를 슬라이드식으로 상부로 들어 올려 삼각형 모양의 쐐기만 박으면 상부에 있는 작업대가 하부로 미끄러지지 못하고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함으로서 상부에서의 조립 작업이 매우 쉽도록 하였다. 그 이상의 작업발판을 구축하는 것은 1단에서 2단을 구축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결과 종래의 사다리를 펴고 접는 시간에 전도와 추락이 방지되는 작업대를 지상에서 조립하고, 조립된 것을 상부로 슬라이드 시킨 후 상부에서는 단지 망치질만 함으로서 복층의 작업대가 완성되게 되어 위험한 고소에서 작업량을 줄이고 지상에서 거의 모든 조립작업이 완료되는 작업대를 구축할 수 있게 됨으로서 산업재해 예방과 작업자의 안전도가 가일층 증가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층 작업대의 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1단 작업대의 일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형 조립체의 일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형 조립체의 일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형 조립체의 일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발판의 일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발판의 일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발판의 일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발판의 일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축의 일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형 조립체의 일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복층 작업대의 일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의 일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2단 작업대의 일 실시 단면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전 본 발명과 관련된 용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사다리 두 개를 세우고 이들을 발판으로 연결하여 두 사다리 가운데에 서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여 추락이 방지되고, 사다리가 넘어지지 않는 작업대를 구축하는 것을 기본개념으로 발명되었는바 다음과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할 용어를 정의한다.
- 슬라이드(Slide)형 사다리 : 기둥(11)과 손잡이(12)로 구성되는 통상의 사다리에 롤러 레일(RL)과 롤러(R1,R2), 중복체결부(HT), 상부 고정자를 부가하여 수직 슬라이드 수단과 정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말한다.
- 사다리형 조립체 : 슬라이드형 사다리에 하나의 난간, 하나의 가새, 하나의 발판을 힌지(Hinge)로 체결하여 뭉치로 이동 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하부 작업대나 상부작업대의 반쪽을 구성하는 표현이다.
- 1단 작업대, 2단 작업대, 3단 작업대 :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형 조립체를 한 쌍으로 하여 발판과 난간, 가새를 연결한 것으로서 제일 아래층에 있는 사다리형 조립체 한 쌍의 구간을 “1단 작업대”, 그 위에 있는 것을 “2단 작업대”, 그 위에 있는 것을 “3단 작업대”라 하는 등 층수에 대응하는 단수를 명명한다.
- 복층 작업대 : 본 발명에 의한 1단 작업대, 2단 작업대 및 3단 작업대와 같이 각각의 작업대가 일체화 되어 있는 것을 “복층 작업대”라 한다.
- 하부 작업대, 상부 작업대 : 1단 작업대는 “하부 작업대”라 하고, 2단 및 3단 또는 그 이상의 작업대는 “상부 작업대”라 한다.
- 수평부 연결재 : 슬라이드형 사다리 한 쌍을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세워놓고 난간, 가새, 발판을 연결한 것으로 난간과 가새가 수평하게 조립된다는 의미에서 수평부 연결재라 하였다. 단, 가새는 경사지게 연결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표현의 간략화를 위하여 수평부 연결재에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사다리,발판(13), 난간(14), 경사지주(15) 및 가새(16)를 주 구성부재로 하는 사다리형 조립체 한 쌍을 서로 조립하여 안전한 작업대로 만들어 사용하는 기술이다. 종래의 사다리는 H자형으로 된 사다리 두 개를 A자형으로 서로 기대어 사용하기도 하고, 사다리 하나를 벽에 기대어 사용하기도 하지만 사다리가 미끄러지거나 사다리 위의 사람이 추락하는 사고 발생위험이 높다.
이에 본 발명은 발판과 난간, 가새가 종래의 사다리에 일체화된 사다리형 조립체 한쌍만 들고 가면 바로 안전한 작업대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슬라이드형 사다리는 종래의 사다리 형태와 차이가 없다. 단 종래의 사다리의 손잡이(12)에 발판이나 난간, 가새가 조립되므로 전보다 좀더 강한 구조이어야 한다는 점이 다르다.
본 발명에서 “사다리형 조립체”는 슬라이드형 사다리에 가새, 난간, 발판이 일체화되어 이동이 쉽고, 조립이 쉽게 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필요시 경사지주를 부설하여 전도를 방지할 수도 있다.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복층 작업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한 쌍(두개)의 사다리형 조립체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사다리를 사용하는 정도의 높이에 해당하는 복층의 작업용 발판을 이동식 작업대 형태로 구축함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미끄럼(Slide) 수단과 미끄럼 정지 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드형 사다리 두 개를 쌍으로 마주보게 하고, 이 사이를 수평부 연결재로 조립하는 1단 작업대, 상기 1단 작업대를 밖으로 감싸면서 수직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1단 작업대의 슬라이드형 사다리 폭을 증가시키고, 수평부 연결재의 길이를 증가시켰으나 형태는 1단 작업대와 동일한 2단 작업대, 상기 2단 작업대를 밖으로 감싸면서 수직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2단 작업대의 슬라이드형 사다리 폭을 증가시키고, 수평부 연결재의 길이를 증가시켰으나 형태는 2단 작업대와 동일한 3단 작업대, 또는 그 이상의 작업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Slide) 조립형 복층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 기능을 더하기 위하여 복층 작업대의 전도를 막기위한 경사지주(15), 복층 작업대 밖으로 설치되는 확장발판(40). 확장발판을 지지하는 확장지주(5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슬라이드형 사다리는 슬라이드형 사다리와 슬라이드형 사다리를 겹쳐 조립하는 길이에 해당하는 중복체결부(HT), 롤러(R1,R2)와 롤러 레일(RL)을 장착한 미끄럼 수단, 상부 고정자를 장착한 미끄럼 방지수단을 구비한 두 개의 기둥(11)과 상기 두 개의 기둥을 수평으로 연결한 다수의 손잡이(12)를 구비하게 한다. 여기서, 수평부 연결재는 반으로 나뉜 두 개의 몸체(BD), 상기 몸체의 일단에 상기 슬라이드형 사다리의 한쪽 손잡이(12)를 축으로 회전하는 힌지(HD), 상기 몸체의 타단에 있으면서 상기 슬라이드형 사다리의 다른 쪽 손잡이에 체결하는 클램프(CP) 및 상기 두 개의 몸체를 연결하여 회전하는 연결점(CT)를 구비하여 접이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13), 난간(14) 및 가새(16)를 포함한다. 또한, 조립식 체결수단은 쐐기 볼트형 체결수단을 사용한다.

상기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쐐기 볼트형 체결 수단 및 클램프(CP)의 실시
쐐기 볼트형 체결수단을 채택한 간편 조립수단은 망치로 간단히 체결할 수 있는 쐐기형 체결수단과 상기 쐐기형 만으로는 조립 체결력에 의심이 갈 경우 완전하고 견고한 조립을 위하여 볼트체결방식을 부가한 체결기구로서 이미 상업화되어 있는 체결기구를 응용하되 [도 6]에 그 일시예가 나타나 있는 클램프(CP)를 보아 응용하면 된다. 가장 간단한 쐐기 볼트형 체결수단은 블록비계 상표등록되어 있는 체결기구이며, [도 6]에 예시된 클램프(CP)는 손잡이에 올려 놓고 망치로 때리면 V자 형태로 된 상기 클램프(CP)의 끝으로 들어가면서 상기 V자 내면이 상기 손잡이를 압박하여 체결된다. 그러나, 더 확실히 고정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보이는 볼트너트를 강관 클램프 조이듯이 체결하면 된다. 본 클램프(CP)는 강관 클램프와 쐐기형 체결기구를 조합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힌지(Hinge, HD)도 조립/해체 작업시에는 회전을 하지만, 조립이 완료되면 견고한 체결구조를 갖추어야 하므로 힌지도 회전을 멈추는 멈춤자를 갖추어야 한다. 상기 멈춤자는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예시하지 않았지만 힌지에 나사산을 내고 볼트로서 조이는 방식을 사용하면 쉽게 구현할 수 있다.

- 슬라이드형 사다리, 사다리형 조립체, 복층 작업대의 실시

기둥(11), 손잡이(12) 및 롤러 레일(RL)과 롤러(R1,R2), 중복체결부(HT), 상부 고정자를 구성부재로 하는 슬라이드형 사다리에 난간, 발판, 가새가 취부되면 사다리형 조립체가 구성된다.

슬라이드형 사다리는 [도 3]의 (1)과 같이 두 개의 기둥(11)과 다수의 손잡이로 이루어진 통상의 사다리에 미끄럼 수단과 미끄럼 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완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드형 사다리에 [도 3]의 (2)와 같이 앵글이나 파이프등을 주 소재로 하는 가새와 [도 3]의 (3)과 같이 앵글이나 파이프등을 주 소재로 하는 난간과 [도 3]의 (4)와 같이 종래의 발판을 양끝부위만 달리한 발판을 체결하여 사다리형 조립체를 구축한다. 한 쌍의 사다리형 조립체를 마주보게 하여 [도 2]의 (1)과 같이 조립하면 슬라이드형 사다리를 이용한 안전한 복층 작업대가 구성된다. 여기에 복층작업대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도 1] 및 [도 12]의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주(15)가 추가된다.
슬라이드형 사다리를 구성하는 기둥(11)은 통상의 사다리 기둥에 [도 13]의 (1)과 같이 롤러 레일(RL)이 난 것으로, 이곳에 롤러 1(R1)과 롤러2(R2)가 기둥 하부에 부설된다. 상기 기둥(11)은 슬라리드형 사다리부분과 상하 슬라이드형 사다리가 중복되어 체결되는 중복체결부(HT)를 구비하여 인접한 기둥의 상하부를 신속 체결수단으로 체결한다. 중복체결부를 구비하는 방법은 상기 연결점(CT)에서 서로 다른 부재를 연결하는 체결구1과 체결구2의 원리을 적용하면 쉽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조립작업의 신속성을 위해서는 삼각형 모양의 쐐기가 2단 작업대의 기둥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1단 작업대의 기둥 상부에 설치하면 된다.

1단 작업대의 기둥 레일(RL) 속으로 2단 작업대의 롤러1과 롤러2의 바퀴부분이 들어가 2단 작업대의 기둥이 [도 13]의 (2)와 같이 미끄러져 올라 갈 수 있도록 롤러1(R1)과 롤러2(R2)의 지지점은 2단 작업대의 하단 HT 지점에 적절히 배치하여 고정하고, 1단 작업대의 기둥과 2단 작업대의 기둥간격은 그 사이에 있는 발판이나 난간, 가새가 간섭이 되지 않도록 적절히 선정하되, 이 간격이 크면 클수록 취급이 어려우니 가능하면 간격을 적게 하여야 한다. 롤러가 2개가 있는 이유는 위로 오르고 내리면서 기둥이 나자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 최 상단의 기둥([도 1]의 예시에서는 3단 작업대의 기둥) 최 상부에는 운반바퀴(ROL)를 구비하여 슬라이드형 사다리를 이동할 경우 [도 13]의 (3)처럼 운반바퀴를 지면에서 구르게 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12)는 통상의 손잡이이다. 기둥과 다수의 손잡이로 구성된 슬라이드형 사다리에 발판과 난간, 가새가 [도 2]의 (1)과 같이 조립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형 사다리에 힌지로 구성되된다. 이것들은 조립하지 않고 해체한 경우에는 [도 2]의 (3),(4)와 같이, 또는 [도 4], [도 5]에 그 실시예가 나온 바와 같이 상기 발판, 상기 가새, 상기 난간이 상기 슬라이드형 사다리에 바싹 붙어 있는 형태가 되어 이들을 적층된 상태인 [도 13]의 (3)과 같이 한쪽 끝에 있는 바퀴를 이용하여 지면으로부터 끌고 다닐 수 있는 일체화된 구조체가 된다.

중복 체결부(HT)는 1단에서는 슬라이드형 사다리의 상부에, 2단,3단에서는 슬라이드형 사다리의 하부에 구비된 롤러(R1,R2)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기둥부분이 된다.

- 발판(13)의 실시
본 발명에 의한 발판(13)은 [도 2]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시에는 수평이고, [도 2]의 (3)과 같이 해체시에는 사다리형 조립체의 몸체에 바싹 붙는 구조로서 [도 8]과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은 구조이다. 상기 발판(13)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단이 힌지(HD)로 되어, 상기 손잡이(12)를 감싸고 돌거나, 별도의 회전축(RC)을 감싸고 회전하며, 타단은 상기 쐐기볼트형 체결수단인 클램프(CP, Clamp)가 구비된다. [도 8]의 (1)은 발판(13)의 정면도, [도 8]의 (2)는 발판의 평면도이고, [도 8]의 (3)는 난간(14)과 가새(16)의 평면도이다. 난간과 가새의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발판의 한쪽 힌지가 있는 끝부위와 평면상으로는 동일하지만 그 폭이 앵글 폭이나 파이프 직경과 같은 것만 다를 뿐 차이가 없다.

상기 클램프는 통상 강관클램프를 응용하여 만들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발판(13)는 힌지(HD), 발판몸체(BD), 클램프(CP)를 구비한다. 본 발판(13)은 손잡이와 일정거리를 두어 슬라이드형 사다리로 올라가는 작업자가 손잡이와 발판에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도 8]의 (3)과 같이 홈을 두되 이 홈의 깊이는 [도 9]의 PG의 길이가 적어도 주먹의 반만큼 간격을 두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발판은 이동시 슬라이드형 사다리에 바싹 달라붙도록 하기 위하여 한쌍을 이루고 있는 손잡이(12) 중심선보다 [도 9]와 같이 발판의 밑부분이 높아야 하므로 [도 9]에 도시된 FH는 적어도 손잡이(12)의 외경 반지름보다 커야한다.
본 발판이 길 경우에는 이동상의 편의를 위하여 가운데 또는 임의의 위치를 [도 8]의 (2)와 같이 절단하여 분리하고, 본 발판의 양단을 힌지로 하며, 가운데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의 볼트로 체결할 수 있는 체결구1(RH)과 체결구2(RF)를 구비한 연결점(CT)이 추가된다. 발판의 양단을 힌지로 할 경우에는 상기 연결점의 체결구 1과 체결구2는 구멍만을 뚫어 볼트로 맞추면 분리된 발판이 직선으로 이어진다.
필요에 따라서는 본 발판의 일단을 힌지로, 타단을 클램프로 하되, 연결점의 한 곳(체결구1, RF)를 힌지로 하고, 체결구2를 볼트너트를 삽입하여 체결하는 방식으로 할 경우 [도 7]의 (1)과 [도 7]의 (2)와 같이 발판이 구분되고, 이들을 조립하면 [도 7]의 (3)과 같이 회전할 수 있는 힌지를 중앙 또는 임의의 위치에 둔 발판이 된다.
필요시 발판의 일부분에 개폐가 가능한 창을 만들어 둘 경우 작업자가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거나 위에서 아래로 내려 올 때에 이 창을 통하여 오르고 내리면 작업자가 복층작업대의 난간으로 보호된 범위 안에서 오르고 내리는 작업을 하게 되므로 추락을 예방할 수 있다.

- 난간(14) 및 가새(16)의 실시
본 발명에 의한 난간(14) 및 가새(16)는 상기 발판과 같이 일단은 힌지(HD), 타단은 클램프(CP)로 하되, 사용 부재를 파이프나 앵글등의 구조재를 사용하고, 이들 힌지는 비계의 난간 위치에 맞는 곳과 가새 위치에 맞는 곳에 배치되도록 하면 된다. 모든 기능과 힌지 및 클램프의 구조가 상기 발판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 경사지주(15)의 실시
경사지주(15)는 간편 작업대가 전도되지 않도록 기둥(11)의 일정한 위치에 힌지로 하고 일정한 각도에서 지면과 접촉하도록 파이프와 같은 구조물을 [도 1] 및 [도 12]의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하면 된다. 여기서 힌지는 기둥(11)과 일정한 각을 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야 하지만, 기계 기술자라면 누구나 실시할 수 있는 쉬운 수단이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슬라이드형 사다리 두 개를 한 쌍으로 마주보게 하고, 상기 발판, 상기 난간을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조립하고, 상기 가새를 경사지게 하며, 상기 경사지주(15)를 밖으로 경사지게 세우면 하부 작업대나 상부 작업대를 구축하며, 이들이 복층으로 조립되면 본 발명에 의한 복층 작업대가 구현된다.

- 확장발판(40), 확장지주(50)의 실시
하부 작업대나 상부 작업대의 임의의 높이에 상기 작업대들 밖으로 설치된 확장발판(40), 상기 확장발판을 지지하는 확장지주(50)를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확장발판(40)은 본 발명에 의한 발판(13)과 폭과 길이가 같고, 구조가 같지만 하기 확장지주(50)의 상단과 [도 1]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될 상기 쐐기 볼트형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발판(13)이나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의 기둥(11)에 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쐐기 볼트형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도 1]과 같이 설치한다. 또, 확장지주는 하부에 십자(十)형 바닥을 갖추어 상기 바닥이 지상에서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본 확장지주(50)의 특수한 예로 상기 십자형 바닥을 상기 기둥에 설치하여 브레이스(Brace) 형태로 상기 확장발판(40)을 지지하게 할 수도 있다.

- 보다 상세하고 추가적인 기능의 실시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사다리를 주 구성원으로 하는 [도 2]의 (2)와 같은 종래의 사다리에 [도 2]의 (3)과 같이 일단이 슬라이드형 사다리의 손잡이(12)에 힌지로 고정된 발판(13)과 [도 2]의 (4)와 같이 일단이 슬라이드형 사다리의 손잡이(12)에 고정된 난간(14)을 한 몸으로 일체화 할 경우 한 몸에 발판과 난간이 있는 [도 3]과 같은 구조물이 된다. 여기에 구조물의 찌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성(剛性)을 보강하는 가새(16)를 구비한다. 이 발판, 가새 및 난간은 슬라이드형 사다리의 손잡이를 회전축 또는 손잡이 이외의 기둥(11)의 일정한 곳에 [도 10]과 같이 별도로 구비한 회전축(RC)을 감싸고 도는 힌지(Hinge) 형식으로 제작한다. 발판과 난간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도 2]의 (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가새 역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발판(13)과 난간(14)이 슬라이드형 사다리와 연결되지 아니한 일단(F와 G)은 대응하는 슬라이드형 사다리와 신속체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발판과 난간의 길이는 1단 작업대 기둥(11)간 중심거리(L10)의 반으로 하여야 한다. 가새(16)역시 상기 발판이나 난간과 같이 [도 2]의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체 길이의 반으로 하고, 이를 중앙에서 서로 신속 체결할 수단을 상기 난간과 같이 구비하면 된다. 상기 신속체결 수단은 통상의 건축 거푸집에 사용하는 쐐기형 구조를 사용할 수 도 있고, 볼트와 너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발판과 난간의 폭은 상기 슬라이드형 사다리의 폭을 넘어서서는 아니된다.
상기 발판(13)과 난간(14), 가새(16)의 경우 그 길이를 통상 1단 작업대 기둥(11)간 중심거리(L10)의 반으로 하는 것이 사용에 쉬우나 필요에 따라서는 한쪽은 크게하고 다른 한쪽은 작게하는, 즉 [도 2]의 (1)에서 가새의 상부에서 연결점인 CT까지의 거리와 하부에서 CT까지의 거리가 다른 바와 같이 다르게 하여도 무방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한 쪽 슬라이드형 사다리는 상기 발판, 난간, 가새를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여 조립되는 반대측 슬라이드형 사다리에는 상기 발판, 난간, 가새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대측 슬라이드형 사다리의 체결부, 즉 통상적으로 손잡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대응하는 손잡이(12), 아니면 별도의 회전축(RC)를 사용할 경우에는 대응하는 회전축(RC)에 상기 발판, 난간, 가새의 일단이 신속히 체결되도록 신속체결기구를 갖추어야 한다. 이 경우 손잡이나 회전축의 단면을 파이프로 할 경우에는 통상의 비계파이프 클램프와 같은 사용하면 견고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비계파이프 클램프로 제한하지는 않으며, 서로 견고히 이을 수 있는 상업용 체결수단을 구비하면 된다.
[도 2]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이나 가새의 길이를 하나의 강체로 하지 않고 중간을 연결하는 연결점(CT)을 두는 것으로 실시할 경우에는 난간과 가새의 단면이 원형일 경우에는 낚싯대나 등산용 지팡이의 길이 확장 체결수단인 테이퍼 나사 체결방식을 사용하여도 좋고, 연결점을 볼트, 너트를 사용하는 체결방식을 사용하는 등 동일 단면의 축방향 연장 방법의 상업용 수단을 사용하면 된다.
발판과 난간, 가새의 힌지부와 발판 바닥, 난간 몸체, 가새 몸체를 연결할 때는 [도 6]의 (3)과 같이 힌지부(HI)의 중심과 몸체부(BD)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도록 하여야 슬라이드형 사다리의 이동시 상기 발판과 난간, 가새가 슬라이드형 사다리 평면에 바짝 붙게 되어 취급이 용이해진다. 중심의 어긋난 정도는 손잡이(12)의 직경을 초과해야 한다.

본 발명의 효율적인 실시 방법을 부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긴 슬라이드형 사다리에 작은 난간과 발판을 다수 사용하면 기계와 기계 사이와 같이 좁은 공간의 작업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의 (1)과 (2)는 한쌍의 사다리형 조립체이고, [도 11]의 3은 발판과 난간의 구조이다. 이를 견양도로 표시하면 [도 12]와 같으며 [도 12]의 (1)과 [도 12]의 (2)는 한 쌍의 사다리형 조립체이고, [도 12]의 3은 본 발명에 의한 복층 작업대의 일 실시예이다. 특히, 이 경우 사다리는 2m 정도의 길이의 사다리형 조립체를 수직으로 조립하여 일체화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다리형 조립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체결 수단은 상기 연결점 체결방식을 준용하면 된다.

본 발명은 통상의 사다리를 사용할 자리에 본 복층 작업대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3단 작업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사용하고자 하는 곳의 높이에 따라 1단 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구조용 재료가 가벼울 경우 3단으로 제한하지 않고 그 이상의 단으로 만들 수 도 있다.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됨은 자명한 것이다.

- 조립과 해체 방법의 실시
이상 설명한 바를 기초로 본 사다리형 간편 작업대를 조립하고 해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지상에서 1단용 기둥(11), 1단용 손잡이(12)가 일체화된 1단용 슬라이드형 사다리에 힌지로 연결된 1단용 접이식 발판(13)과 1단용 난간(14) 및 1단용 가새(16)를 펴서 조립하는 1단 작업대의 지상 조립한다.
지상에서 2단용 기둥(11), 2단용 손잡이(12)가 일체화된 2단용 슬라이드형 사다리에 힌지로 연결된 2단용 접이식 발판(13)을 펴서 메달고, 2단용 난간(14) 및 2단용 가새(16)를 펴면서 상기 1단 작업대를 감싸며 조립하는 2단 작업대의 지상 조립한다.
지상에서 3단용 기둥(11), 3단용 손잡이(12)가 일체화된 3단용 슬라이드형 사다리에 힌지로 연결된 3단용 접이식 발판(13)을 펴서 메달고, 3단용 난간(14) 및 3단용 가새(16)를 펴면서 상기 2단 작업대를 감싸며 조립하는 3단 작업대의 지상 조립한다.
상기 1단 작업대의 롤러 레일속으로 상기 2단 작업대의 롤러가 미끄러져(Sliding) 상기 1단 작업대 상부로 올려진 후 상부 고정자를 체결하여 상기 2단 작업대가 상기 1단 작업대 위에서 고정되고, 상기 2단용 발판을 수평으로 하여 클램프(CP)를 상기 2단용 손잡이(12)에 체결한다.
상기 1단 작업대를 거쳐 상기 2단 작업대의 롤러 레일속으로 상기 3단 작업대의 롤러가 미끄러져(Sliding) 상기 2단 작업대 상부로 올려진 후 상부 고정자를 체결하여 상기 3단 작업대가 상기 2단 작업대 위에서 고정되고, 상기 3단용 발판을 수평으로 하여 클램프(CP)를 상기 3단용 손잡이(12)에 체결한다.
경사지지대(15)를 조립한다.
확장발판(40)과 확장지주(50)를 더 설치한다.

[도 2]에 (1) 및 [도 12]의 (3)과 같이 사다리형 조립체 두 개를 한 쌍으로 마주보게 하고, 지상으로부터 발판(13), 난간(14), 가새(16), 경사지주(15) 조립한 뒤 연이어 있는 발판(13), 난간(14), 가새(16)를 차근차근 위로 쌓아 올라 간다.
상기 1단 작업대의 조립 방법과 동일하나 2단 작업대가 1단 작업대의 밖으로 미끄러져 올라가 1단 작업대의 상부고정자에서 정지하는 1단 작업대 위에 체결된 2단 작업대(2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시할 수 있다.
1단 작업대의 상부고정자에서 정지하는 1단 작업대 위에 체결하는 방식은 [도 13] 및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1단 작업대의 기둥(11)과 2단 작업대의 기둥이 중복되어 체결되는 중복체결부(HT)를 구비하여 인접한 기둥의 상하부를 신속 체결수단으로 체결한다. 중복체결부를 구비하는 방법은 연결점(CT)에서 서로 다른 부재를 연결하는 체결구1과 체결구2의 원리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고, 조립작업의 신속성을 위해서는 삼각형 모양의 쐐기가 2단 작업대의 기둥하단부를 지지하도록 1단 작업대의 기둥 상부에 설치하면 된다는 것도 이미 설명한바 있다.
상기 2단 작업대의 사다리 작업대 구축방법과 동일하나 3단 사다리가 2단 사다리의 밖으로 미끄러져 올라가 2단 작업대 상부고정자에서 정지하고 3단과 체결된 3단 작업대(20)를 구축하는 방식은 상기 1단 작업대위에 2단 작업대를 체결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2단 작업대와 및 3단 작업대를 조립할 때에 슬라이드형 사다리와 발판, 난간 및 가새를 조립하는 순서는 슬라이드형 사다리에 발판, 난간, 가새가 힌지로 체결된 상태에서 한쪽 사다리형 조립체를 먼저 위로 올려 상부고정자로 체결하고, 이어 발판, 난간, 가새가 없는 다른 슬라이드형 사다리를 올려 상부 고정자를 체결한 후 난간, 가새, 발판을 조립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각단의 작업대의 무게가 가벼울 경우에는 슬라이드형 사다리와 난간, 가새를 지상에서 완전히 조립하여 위로 올리고, 상부 고정자를 체결하여 고정한 후 발판을 체결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시행하여 슬라이드(Slide) 조립형 복층 작업대를 조립하고 역으로 해체할 수도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 1단 작업대
11 : 기둥
12 : 손잡이
13 : 발판
14 : 난간
15 : 경사지주
16 : 가새
20 : 2단 작업대
30 : 3단 작업대
40 : 확장발판
50 : 확장지주

Claims (6)

  1. 고소 작업대를 복층으로 하되, 고가 사다리차의 붐대(Boom臺) 처럼 다단으로 하여 슬라이드(Slide)되게 하기위하여,

    수직 슬라이드(Slide) 수단과 정지수단을 구비한 사다리형 조립체 두 개를 한 쌍으로하여 접이식으로 구성한 하부 작업대;

    상기 하부 작업대를 평면적으로 감싸고 슬라이드(Slide)되도록 높이는 상기 하부 작업대와 같고, 폭은 각 층마다 점증하는 구조가 되도록 상기 사다리형 조립체의 크기를 조절한 상부 작업대;를

    사용하여 상기 하부 작업대 위에 상기 상부 작업대가 슬라이드 되면서 적층되어 조립되는 구조로 하되, 사용할 높이에 따라 적층 수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Slide) 조립형 복층 작업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작업대는

    두 개의 기둥(11)사이에 다수의 손잡이(12)로 구성되는 슬라이드형 사다리에, 접이식으로 된 발판(13)과 접이식으로 된 난간(14) 및 가새(16)로서 구성되는 수평부 연결재를 체결시켜 형성한 상기 사다리형 조립체 두 개를 한 쌍으로 마주 보게 하고, 체결하되,

    상기 접이식으로 된 발판과 상기 접이식으로 된 난간은 반으로 나뉜 두 개의 몸체(BD), 상기 몸체의 일단에 상기 슬라이드형 사다리의 한쪽 손잡이(12)를 축으로 회전하는 힌지(HD), 상기 몸체의 타단에 있으면서 상기 슬라이드형 사다리의 다른 쪽 손잡이에 체결하는 클램프(CP) 및 상기 두 개의 몸체를 연결하여 회전하는 연결점(CT)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Slide) 조립형 복층 작업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작업대는

    두 개의 기둥(11)사이에 다수의 손잡이(12)로 구성되는 슬라이드형 사다리에, 상기 하부 작업대를 평면적으로 감싸고 슬라이드(Slide)되도록 상기 하부 작업대에 비하여 길이가 연장된 접이식으로 된 발판(13)과 접이식으로 된 난간(14) 및 가새(16)로서 구성되는 수평부 연결재를 체결시켜 형성한 상기 사다리형 조립체 두 개를 한 쌍으로 마주 보게 하고, 상기 수평부 연결재를 상대측 슬라이드형 사다리에 연결하되,

    상기 접이식으로 된 발판과 접이식으로 된 난간은 반으로 나뉜 두 개의 몸체(BD), 상기 몸체의 일단에 상기 슬라이드형 사다리의 한쪽 손잡이(12)를 축으로 회전하는 힌지(HD), 상기 몸체의 타단에 있으면서 상기 슬라이드형 사다리의 다른 쪽 손잡이에 체결하는 클램프(CP) 및 상기 두 개의 몸체를 연결하여 회전하는 연결점(CT)를 구비하고,

    하부 작업대의 밖으로 상부 작업대가 슬라이드 되거나 고정될 수 있는 상기 수직 슬라이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Slide) 조립형 복층 작업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슬라이드 수단과 정지 수단은

    상기 사다리형 조립체의 슬라이드형 사다리의 기둥(11)에 중복 체결부(HT), 롤러(R1,R2)와 롤러 레일(RL)을 구비한 슬라이드(Slide) 수단과 상부 고정자를 구비한 슬라이드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Slide) 조립형 복층 작업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작업대와 상부 작업대의 전도를 막기 위한 경사지주(15);
    상기 하부 작업대와 상부 작업대 밖으로 설치되는 확장발판(40);
    상기 확장발판을 지지하는 확장지주(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Slide) 조립형 복층 작업대
  6. 지상에서 하부 작업대용 기둥(11), 상기 하부 작업대용 손잡이(12)가 일체화된 상기 하부 작업대용 사다리형 조립체에 힌지로 연결된 상기 하부 작업대용 접이식 발판(13)과 상기 하부 작업대용 난간(14) 및 상기 하부 작업대용 가새(16)를 펴서 조립하는 상기 하부 작업대의 지상 조립단계;
    지상에서 상부 작업대용 기둥(11), 상기 상부 작업대용 손잡이(12)가 일체화된 상기 상부 작업대용 사다리형 조립체에 힌지로 연결된 상기 상부 작업대용 접이식 발판(13)을 펴서 메달고, 상기 상부 작업대용 난간(14) 및 상기 상부 작업대용 가새(16)를 펴면서 상기 하부 작업대를 감싸며 조립하는 상기 상부 작업대의 지상 조립단계;
    상기 하부 작업대의 롤러 레일속으로 상기 상부 작업대의 롤러가 미끄러져(Sliding) 상기 하부 작업대 상부로 올려진 후 상부 고정자를 체결하여 상기 상부 작업대가 상기 하부 작업대 위에서 고정되고, 상기 상부 작업대용 발판을 수평으로 하여 클램프(CP)를 상기 상부 작업대용 손잡이(12)에 체결하는 상기 상부 작업대의 인양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Slide) 조립형 복층 작업대의 조립방법

KR1020110010364A 2011-02-01 2011-02-01 슬라이드 조립형 복층 작업대 KR101229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364A KR101229670B1 (ko) 2011-02-01 2011-02-01 슬라이드 조립형 복층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364A KR101229670B1 (ko) 2011-02-01 2011-02-01 슬라이드 조립형 복층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553A KR20110043553A (ko) 2011-04-27
KR101229670B1 true KR101229670B1 (ko) 2013-02-04

Family

ID=4404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364A KR101229670B1 (ko) 2011-02-01 2011-02-01 슬라이드 조립형 복층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6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958B1 (ko) 2013-08-12 2014-02-24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철도터널용 접철식 작업대차
KR20190127275A (ko) 2018-05-04 2019-11-13 (주)오성지엔티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KR20210000042U (ko) 2020-12-28 2021-01-06 (주)오성지엔티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076B1 (ko) * 2011-07-04 2012-05-08 주식회사백상 뭉치형 사다리 작업대
KR101668923B1 (ko) * 2014-12-29 2016-10-24 주식회사 에코프랜 방음터널용 접이식 점검로 및 이 시공 방법
FR3046619B1 (fr) * 2016-01-12 2018-01-26 Tubesca-Comabi Echafaudage comportant deux ensembles d'echelle en plusieurs parties coulissantes les unes par rapport aux autres.
KR102105675B1 (ko) 2018-03-19 2020-04-28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
KR102204933B1 (ko) 2018-12-19 2021-01-19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고소 작업대 승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167Y2 (ja) * 1989-05-16 1994-09-21 栄二 藤本 折り畳み式足場台
KR20100129182A (ko) * 2009-05-29 2010-12-08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사 승강식 비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167Y2 (ja) * 1989-05-16 1994-09-21 栄二 藤本 折り畳み式足場台
KR20100129182A (ko) * 2009-05-29 2010-12-08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사 승강식 비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958B1 (ko) 2013-08-12 2014-02-24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철도터널용 접철식 작업대차
KR20190127275A (ko) 2018-05-04 2019-11-13 (주)오성지엔티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KR20210000042U (ko) 2020-12-28 2021-01-06 (주)오성지엔티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553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670B1 (ko) 슬라이드 조립형 복층 작업대
US7971408B2 (en) Stairtower and method for erecting the same
US10703591B2 (en) Loading platform
US20180119432A1 (en) Scaffold unit
US5772183A (en) Portable lifting apparatus for demountable positioning in an overhead location
KR101021671B1 (ko) 고소 작업대
KR101884626B1 (ko) 랙방식으로 연결되는 고소작업대
KR101143076B1 (ko) 뭉치형 사다리 작업대
US6640928B1 (en) Free-standing, multi-functional, mobile construction aid
KR101288370B1 (ko) 터널용 작업대차
JP2017166289A (ja) 迅速組立足場
KR20150127559A (ko) 접이식 매단 비계
JP2008214983A (ja) 昇降式移動足場
KR101011595B1 (ko) 불균일 바닥면상 이동과 조립중 운용되는 짐수레와 단독조립형 발판을 구비한 블록 비계와 블록비계의 조립방법
JP2010261286A (ja) 分割可能伸縮昇降枠付可搬式高所作業台
JP2010037769A (ja) 連結式昇降移動足場
KR102058311B1 (ko)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
CN114104939B (zh) 一种钢构架吊装工艺、吊装设备及辅助装置
JP2004143677A (ja) 建築機材の搬出入装置
JP7066253B2 (ja) 吹抜建造物の天端部の工事方法
JP7213134B2 (ja) 杭打機及び杭打機の使用方法
JP2011006890A (ja) 基台および昇降式移動足場
JP4030078B2 (ja) 折り畳み階段装置
EP3423390B1 (en) A foldable platform lift
KR101800622B1 (ko) 다단 승강형 족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