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671B1 - 고소 작업대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671B1
KR101021671B1 KR1020080096287A KR20080096287A KR101021671B1 KR 101021671 B1 KR101021671 B1 KR 101021671B1 KR 1020080096287 A KR1020080096287 A KR 1020080096287A KR 20080096287 A KR20080096287 A KR 20080096287A KR 101021671 B1 KR101021671 B1 KR 101021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main
extension
work
aerial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6874A (ko
Inventor
이기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96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671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2Scaffolds having a platform on an extensible substructure, e.g. of telescopic type or with lazy-tongs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추락 위험없이 작업을 할 수 있고, 적재 하중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소 작업대는, 이동대차의 바퀴를 상기 이동대차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각도조절축과; 상기 각도조절축의 각도를 강제로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승강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수단에 전가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로부터 감지되는 현재 하중과 기 저장된 하중을 비교하여 상기 현재 하중이 기 저장된 하중보다 클 경우 상기 승강수단의 구동을 정지하거나 경고를 발생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소 작업대, 바퀴, 중량, 난간

Description

고소 작업대{HIGH-PLACE WORK VEHICLE}
본 발명은 고소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추락위험없이 작업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상의 한계중량 이상을 적재한 경우 작동이 정지하도록 하여 과부하에 따른 수명 단축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고소 작업대의 위치를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대는 예컨대 4미터 이상 높은 천장의 배관, 덕트, 조명 등의 공사나 높은 건물의 도장, 미장, 설비 등의 공사에 사용되는 장비로서, 작동에 따라 직진형, 굴절형 등 여러 형태로 구분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고소 작업대는, 자체 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에 의해 이동되며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상과, 그리고, 상기 이동대차와 작업상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상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동대차는 다수 예를 들어 4개의 바퀴를 갖는다. 상기 바퀴는 각각의 유압모터 등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구동하며, 전방측에 배치되는 바퀴는 조향바퀴로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작업상은 발판 및 난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은 각각 다수의 로드가 힌지로 연결된 2개의 링크가 서로 힌지 결합되는 형식으로 유압실린더에 의해 강제로 절첩됨으로써 상기 작업상을 승강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고소 작업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이동대차의 바퀴는 전방의 조향 바퀴에 의해 고소 작업대의 선회를 가능하게 할 수 있지만, 선회각도가 직각 이하이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하는데 위험이 따르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소 작업대를 작업과 주행 모두 안전한 방향으로 정차한 상태에서 직각방향에서 작업이 필요한 경우 조향 바퀴를 통하여 직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이동대차를 전후방 및 좌우로 여러 번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동 시간이 오래 걸린다.
물론, 이동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고소 작업대의 이동이 안전하다면 큰 문제점이 없다 할 수 있겠지만, 고소 작업대를 직각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이동 을 위한 큰 반경이 필요로 하며, 작업 공간이 지하철 플랫폼의 경우 고소 작업대를 직각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고소 작업대가 플랫폼에서 추락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고소 작업대는 작업상과 승강수단의 자체 강도, 유압실린더의 한계중량이 정해져 있으며, 이러한 강도와 한계 중량을 벗어나면 변형과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지만,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인식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임의대로 중량물을 적재하고 있으며, 결국 한계중량 이상을 적재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여 승강수단이 파손되거나 순간적으로 하강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 안전사고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고소 작업대는 특성상 작업공간이 넓지 않은 곳에서 작업되기 때문에 이동시 주변 구조물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작업상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없다. 즉, 작업상은 대개 이동대차의 면적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작업자가 작업상에서 작업할 경우 작업자의 행동반경을 벗어난 곳을 작업하기 위해서는 이동대차를 움직여 이동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대차가 전방에 대해 한 번의 작업을 통해 직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시간을 단축하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안전하게 직각 이동할 수 있는 고소 작업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상의 적재하중을 감지하여 작업상에 한계 중량 이상이 적재된 경우 이를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고소 작업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소 작업대의 이동시 주변 구조물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작업상의 부피를 최소하지만, 작업시에는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고소 작업대를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넓은 작업공간을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고소 작업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소 작업대는, 이동대차의 바퀴가 상기 이동대차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액추에이터를 통해 정면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방향 전환하도록 구성된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상의 승강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수단에 전가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로부터 감지되는 현재 하중과 기 저장된 하중을 비교하여 상기 현재 하중이 기 저장된 하중보다 클 경우 상기 승강수단의 구동을 정지하거나 경고를 발생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수단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발판, 상기 발판의 둘레부에 세워지는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은, 상기 승강수단이 연결되는 사각 형상의 메인발판, 상기 메인발판의 둘레부에 상기 메인발판에 대해 연장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연장발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발판은 상기 메인발판과 마주하는 단부가 경첩을 통해 절첩 가능하게 장착되어 미사용시 상기 메인발판의 둘레부에 세워지며 사용시 상기 메인 발판과 나란하게 펼쳐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난간은 일측이 상기 메인발판 또는 연장발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장발판의 3면중 마주하는 2면에 배치되도록 펼쳐지는 제2-1,2-2난간, 상기 제2-1,2-2난간 사이의 테두리에 세워지는 제2-3난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대에 의하면, 이동대차의 바퀴가 전방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여 직각방향으로 이동이 필요한 경우 이동대차를 전후방으로 여러 번 각도 조절하면서 이동할 필요없이 바퀴를 직각방향으로 조절한 후 한 번의 작업으로 직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동시간이 매우 짧아지고, 지하철 플랫폼과 같이 주변이 추락 가능한 지역에서도 안전하게 고소 작업대를 이동할 수 있으므로 고소 작업대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수단에 전가되는 하중을 감지하여 전가하중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경고음이나 경고등을 발생하거나 승강수단의 구동을 정지하여 무리한 구동을 진행하지 않으므로 장비의 수명을 연장하고 오동작에 따른 작업자와 적재물의 추락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연장발판을 메인발판에 감춰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이동시 주변 구조 물과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작업시 연장발판을 통해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할 수 있고, 고소 작업대를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업이 가능해지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고소 작업대(100)는, 다수의 바퀴(111)가 장착되며 자체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대차(110)와, 발판과 난간으로 구성되어 작업공간을 제공하며 이동대차(110)에 의해 이동되며 작업상(120)과, 그리고, 상기 이동대차(110)와 작업상(1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상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30)으로 구성된다.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바퀴(111)는 자체 구동력에 의해 구동하여 이동대차(110)를 주행하며, 예컨대 각각 구동모터(112)(유압모터 등)에 축결합되어 구동모터(11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한다.
바퀴(111)는 안정된 지지와 주행을 위하여 전후방에 각각 하나 이상이 설치될 것이며, 전방에 설치되는 바퀴는 이동대차(110)의 선회를 위한 조향 바퀴일 수 있다.
그리고, 바퀴(111)는 조향 및 직각 방향으로 각도 조절될 수 있도록 이동대차(110)에 각도조절축(113)을 통해 연결되며, 각도조절축(113)은 액추에이터(114)(유압실린더 등)에 의해 강제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즉, 액추에이터(114)에 의해 각도조절축(113)이 회전하여 바퀴(111)의 각도가 전방에 대해 90°도 전환되 는 것이다.
액추에이터(114)와 각도조절축(113)은 연결로드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된다.
바퀴(111)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112)와 액추에이터(114)는 유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나 조작반을 통해 이루어지는 조작에 의해 구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대에 따르면, 구동모터(112)를 통해 바퀴(111)가 구동하도록 하여 고소 작업대(100)를 작업 장소로 이동한다.
바퀴(111) 중 전방에 배치되는 바퀴(111)는 조향 바퀴로서, 상기 조향 바퀴의 각도 조절을 통해 고소 작업대(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조향 바퀴의 각도 조절은 액추에이터(114)에 의한 각도조절축(113)의 각도 조절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고소 작업대(100)가 A 위치에서 작업하다가 직각방향의 B 위치로 이동이 필요한 경우 액추에이터(114)를 통해 바퀴(111)를 직각으로 각도 조절한다. 이어서, 구동모터(112)를 통해 바퀴(111)를 구동하면 고소 작업대(100)가 B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고소 작업대(100)를 바퀴(111)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전후방으로 여러 번 이동할 필요가 없이 한 번의 작업으로 A 위치의 고소 작업대(100)를 B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적재 하중을 감지하여 설계 하중보다 큰 적재 하중일 경우 고소 작업대(100)를 제어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상(120)은 승강수단(130)에 의해 지지된다. 즉, 작업상(120)의 하중은 승강수단(130)에 전가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승강수단(130)에 전가되는 하중을 감지함으로써 작업상(120)의 적재 하중을 감지하여 고소 작업대(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먼저 도 4에서와 같이, 승강수단(130)은 종래와 동일한 구조로서 2개의 링크(131,132)가 서로 힌지(133) 결합되어 이루어지면서 유압실린더에 의해 강제로 절첩 및 지지된다.
여기서, 승강수단(130)의 유압실린더를 연결하기 위한 부시(bush)(135)와 2개의 링크(131,132)를 연결하는 힌지(133)의 내부에는 힌지(133)에 전가되는 하중을 감지하는 로드셀(134)이 설치된다.
로드셀(134)은 유무선을 통해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하중을 컨트롤러에 인가하고, 컨트롤러는 기 설정된 설계 하중과 현재 하중을 비교하여 현재 하중이 설계 하중보다 큰 경우 경고등이나 경고음을 발생하고, 승강수단(130) 및 구동모터(112)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상(120)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상(120)은 발판과 난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판과 난간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해 넓고 안전한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서처럼, 발판(140)은, 메인발판(141) 및 3개의 연장발판(142,143,144) 으로 구성된다.
메인발판(141)은 승강수단에 연결되어 승강하며 연장발판(142,143,144)이 연결되며 예컨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각형상의 메인발판(141)의 일면에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도어(145)가 갖추어진다.
연장발판(142,143,144)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인발판(141)의 4면 중 도어가 형성되는 1면을 제외한 3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연장발판(142,143,144)으로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처럼 메인발판(141)이 직사각형인 경우인 메인발판(141)의 4변 중 길이가 짧은 2변 중 1변에 설치되는 것을 제1연장발판(142), 제1연장발판(14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제2,3연장발판(142,142)이라 한다.
제1 내지 제3연장발판(142,143,144)은 메인발판(141)의 둘레부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주는 것이며, 즉, 작업자가 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되지 않는 것이므로 이동시에는 부피를 최소화하고 작업시에만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서랍식, 절첩식 등이 가능하다.
제1연장발판(142)은 서랍식으로 적용된 것이며, 제2,3연장발판(143,144)은 절첩식으로 적용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먼저 제1연장발판(142)은 서랍식에 맞도록 메인발판(141)보다 작게 형성되어 메인발판(141)의 내부에 삽입되며, 메인발판(141)의 폭방향 양측에는 제1연장발판(141)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미도시)가 설치된다.
제2연장발판(143)은 일측이 메인발판(141)에 하나 이상의 경첩(143a) 등을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절첩된다. 메인발판(141)과 제2연장발판(143)은 펼쳐진 상태에서 상부가 경첩(143a)으로 연결되어 마주하는 측면이 접촉됨으로써 제2연장발판(143)이 더 이상 하부로 쳐지지 않게 된다.
제2연장발판(143)은 작업시에만 펼쳐지는 것이며, 미사용시 메인발판(141)에 대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록킹수단은 제2연장발판(143)을 메인발판에 고정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도면에서처럼 제2연장발판(143)에 록커(143b)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록커(143b)는 고정 구조물(도면에는 록커(143b)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구가 제1난간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음)에 걸려 고정된다.
제3연장발판(144)은 제2연장발판(143)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발판(140)에 갖추어지는 난간들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5에서와 같이, 난간(150)은 발판(140)의 모든 방향에 갖추어져야 할 것이며, 메인발판(141)은 제1 내지 제3연장발판(142,143,144)과 도어(145)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제1 내지 제3연장발판(142,143,144)에만 난간이 설치되어도 모든 방향으로 추락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난간(151)은 제1연장발판(142)이 서랍식이기 때문에 제1연장발판(142)의 3방향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제2난간(152)은 제2연장발판(143)이 절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1난간(151)처럼 고정 구조로는 적용될 수 없으며, 마주하는 2방향의 제2-1,2-2난간(152-1,152-2)은 일측이 메인발판(14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절첩되고, 제2-1,2-2난간(152-1,152-2) 사이의 제2-3난간(153-3)은 탈착식으로 구성된다.
제2-1,2-2난간(152-1,152-2)은 미사용시 메인발판(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어 제2연장발판(143)이 메인발판(141)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제2연장발판(143)의 안쪽에 배치됨으로써 제2연장발판(143)에 간섭되지 않으며, 사용시 자유단부가 회전되어 제2연장발판(143)의 마주하는 2방향에 배치 고정된다.
제2-1,2-2난간(152-1,152-2)은 핀에 의해 제2연장발판(143)에 고정되는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할 것이며, 도면에서처럼 하단부에 판상의 삽입편(154)을 형성하여, 이 삽입편(154)을 제2연장발판(143)의 바닥부에 형성된 삽입홈(143c)에 끼움으로써 고정할 수도 있다.
제2-3난간(152-3)은 단품으로서 사용시에는 제2-2,2-2난간(152-1,152-2)이 막지 못하는 제2연장발판(143)의 일면에 배치되고, 미사용시에는 별도로 보관된다.
제2-3난간(152-3)은 제2연장발판(143)의 일면에만 고정되면 난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사용이 용이하고 파손 등을 감안하여 제2-1,2-2난간(152-1,152-2)에 끼워 보관되거나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2-1.2-2난간(152-1,152-2)의 양측에는 각각 제2-3난간(152-3)이 끼워 고정되는 제1,2고정부(155,156)가 형성되는 것이다. 제1고정부(155)는 미사용시 고정되는 것이고, 제2 고정부(156)는 사용시 고정되는 것이다.
제3난간(153)은 이와 같은 제2난간(152)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난간의 실시예에 의하면, 미사용시나 주행시에는 제1연장발판(142)과 제1난간(151)이 메인발판(141)측으로 삽입되어 있고, 제2,3연장발판(143,144)이 메인발판(141)측으로 접혀 있다.
제2-1,2-2난간(152-1,152-2)은 메인발판(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제2연장발판(143)의 안쪽에 배치되고, 제2-3난간(152-3)은 양측이 제2-1,2-2난간(152-1,152-2)의 제1고정부(155)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메인발판(141)은 제1 내지 제3난간(151,152,153)에 의해 둘러싸여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작업시 제1연장발판(142)을 메인발판(141)에서 인출하여 전방에 대한 공간을 확보하고, 제2연장발판(143)을 펼쳐 메인발판(141)과 나란히 배열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2-3난간(152-3)을 제2-1,2-2난간(152-1,152-2)의 제1고정부(155)에서 분리한 후, 제2-1,2-2난간(152-1,152-2)의 자유단부를 회전시켜 제2-1,2-2난간(152-1,152-2)이 제2연장발판(143)의 테두리에 나란하도록 하고, 이때, 삽입편(154)이 삽입홈(143c)에 삽입되어 제2,-1,2-2난간(152-1,152-2)은 제2연장발판(143)에 고정된다.
제2-3난간(152-3)의 양측을 제2-1,2-2난간(152-1,152-2)의 제2고정부(156)에 삽입하여 제2연장발판(143)의 남은 테두리부를 막는다.
이로써, 작업을 위한 발판과 난간의 준비가 완료되며, 작업자는 메인발판(141), 제1 내지 3연장발판(142,143,144)에 의해 확보된 공간을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작업이 완료되면, 제2-3난간(152-3)을 분리하고, 제2-1,2-2난간(152-1,152-2)을 메인발판(141)측으로 접으며, 제2-3난간(152-3)을 제2-1,2-2난간(152-1,152-2)의 제1고정부(155)에 끼워 고정한 후, 제2연장발판(143)을 메인발판(141)측으로 접어 록킹한다.
<실시예 2>
전술한 실시예 1의 난간은 제2-3난간(152-3)을 분리하고 끼워 고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본 실시예에 의한 난간은 제2,3난간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a와 도 6b에서처럼, 제2-3난간(152-3)은 제2연장발판(143)의 폭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1,2-2난간(152-1,152-2)은 제2-3난간(152-3)의 왕복 이동시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인발판(141)의 테두리부와 제2연장발판(143)에는 폭방향을 따라 레일(R1)이 형성되며, 제2-3난간(152-3)의 저부는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2-3난간(152-3)의 일측에는 제2-1,2-2난간(152-1,152-2)이 슬라이딩 가능 하게 연결되는 레일(R2)이 형성된다.
제2-1,2-2난간(152-1,152-2)은 일측이 각각 메인발판(14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 즉 마주하는 단부는 제2-3난간(152-3)의 일측에 형성된 레일(R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미사용시 제2-3난간(152-3)이 메인발판(141)의 테두리부에 배치되고, 제2연장발판(143)이 메인발판(141)측으로 접혀 제2-3난간(152-3)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한편, 작업 등을 위한 제2연장발판(143)의 사용시 제2연장발판(143)을 펼쳐 메인발판(141)과 나란하게 하면, 레일이 자연스럽게 일치되며, 제2-3난간(152-3)을 제2연장발판(143)의 테두리쪽으로 밀면, 제2-1,2-2난간(152-1,152-2)이 회전하면서 제2-3난간(152-3)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제2-3난간(152-3)이 제2연장발판(143)의 단부에 고정되면 제2-1,2-2난간(152-1,152-2)이 제2연장발판(143)의 테두리를 막도록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작업 완료 후 제2연장발판(143)을 접을 경우에는 먼저 제2-3난간(152-3)을 메인발판(141)측으로 잡아당기며, 제2-3난간(152-3)의 직선 이동에 따라 제2-1,2-2난간(152-1,152-2)이 서로 모아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접히게 된다.
제3난간(153)은 이와 같은 제2난간(152)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1 내지 제2-3난간(151,152,153)은 메인발판(141)에 설치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2연장발판(143)에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 3>
도 7본 실시예 따른 제2-1,2-2난간(152-1,152-2)은 제2연장발판(143)의 마주하는 면에 각각 하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연장발판(143)측으로 접히거나 반대로 펼쳐진다.
제2-3난간(152-3)은 제2연장발판(143)의 나머지 면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연장발판(143)측으로 접히거나 반대로 펼쳐친다.
제2-3난간(152-3)의 일측에는 호형상의 레일(R3)이 각각 형성되며, 제2-1,2-2난간(152-1,152-2)은 제2-3난간(152-3)의 레일(R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1 내지 제2-3난간(152-1,152-2,153)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들 난간의 사이에는 삼각형상의 고정편 등을 끼울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난간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연장발판(143)을 메인발판(141)과 나란하게 펼치면, 제2난간(152)이 제2연장발판(143)과 함께 펼쳐진다.
제2난간(152)은 제2연장발판(143)의 바닥부에 접혀진 상태이며, 제2-3난간(152-3)을 들어 올리면 제2-3난간이 회전하며, 이때, 제2-1,2-2난간(152-1,152-2)이 제2-3난간(153-3)의 레일(R3)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펼쳐지게 된다.
작업이 완료되면 제2-1,2-2난간(152-1,152-2)을 안쪽으로 모아 제2-3난간(153-3)이 제2연장발판(143)측으로 접히도록 한 후, 제2-3난간을 제2연장발판(143)측으로 접으면 제2-1,2-2난간(152-1,152-2)이 함께 제2연장발판(143)의 바닥측으로 접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소 작업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소 작업대에 적용된 바퀴의 설치 상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소 작업대의 바퀴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소 작업대에 적용된 로드셀의 설치 상태도.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고소 작업대에 적용된 난간의 예시도.

Claims (10)

  1. 다수의 바퀴가 장착되며 자체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대차(110)와, 상기 이동대차에 의해 이동되며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상(120)과, 그리고, 상기 이동대차와 작업상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상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30)을 포함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작업상은,
    상기 승강수단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발판, 상기 발판의 둘레부에 세워지는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은, 상기 승강수단이 연결되는 사각 형상의 메인발판(141), 상기 메인발판의 둘레부에 상기 메인발판에 대해 연장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연장발판(142,143,14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발판은 상기 메인발판과 마주하는 단부가 경첩을 통해 절첩 가능하게 장착되어 미사용시 상기 메인발판의 둘레부에 세워지며 사용시 상기 메인 발판과 나란하게 펼쳐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난간은 일측이 상기 메인발판 또는 연장발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장발판의 3면중 마주하는 2면에 배치되도록 펼쳐지는 제2-1,2-2난간(152-1,152-2), 상기 제2-1,2-2난간 사이의 테두리에 세워지는 제2-3난간(15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고소작업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발판의 테두리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발판에 대한 출입을 안내하는 도어(145)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1,2-2난간은 일측이 상기 메인발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메인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거나 상기 연장발판의 테두리측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2-3난간은 양측이 상기 제2-1,2-2난간의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1,2-2난간의 양측에는 상기 제2-3난간의 사용시와 미사용시 각각 고정되는 제1,2고정부(155,15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1,2-2난간의 자유단부의 저부에는 삽입편(154)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발판의 바닥부에는 상기 삽입편이 끼워지는 삽입홈(143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3난간은 상기 연장발판의 저부에 형성된 레일을 통해 상기 연장발판의 폭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1,2-2난간은 일측이 상기 메인발판 또는 연장발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마주하는 단부가 상기 제2-3난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3난간의 전후진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1 내지 제2-3난간은 각각 상기 연장발판을 향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1,2-2난간은 상기 제2-3난간의 저부에 포개지면서 상기 제2-3난간에 형성된 곡선형 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제2-3난간의 회동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발판은 상기 메인발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서랍식으로 삽입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9. 삭제
  10. 삭제
KR1020080096287A 2008-09-30 2008-09-30 고소 작업대 KR101021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287A KR101021671B1 (ko) 2008-09-30 2008-09-30 고소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287A KR101021671B1 (ko) 2008-09-30 2008-09-30 고소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874A KR20100036874A (ko) 2010-04-08
KR101021671B1 true KR101021671B1 (ko) 2011-03-17

Family

ID=4221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287A KR101021671B1 (ko) 2008-09-30 2008-09-30 고소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6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793A (ko) 2016-11-01 2016-11-21 한국렌탈주식회사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
CN109024296A (zh) * 2018-08-26 2018-12-18 时光 一种安全稳定的桥梁施工用工作平台的工作方法
KR20190043798A (ko) *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클린룸용 시스템 실링 설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224B1 (ko) * 2011-01-31 2013-02-12 (주)해명엔지니어링 고소작업용 작업차
KR101123630B1 (ko) * 2011-08-10 2012-03-21 주식회사 세웅 농업기계용 고소작업대
KR101459637B1 (ko) * 2013-02-28 2014-11-20 주식회사 세웅 농업기계용 고소작업대의 발판 확장장치
KR102183990B1 (ko) * 2020-04-06 2020-11-27 한성웰텍 (주) 사방으로 연결이 가능한 고소작업대
CN111894443A (zh) * 2020-08-27 2020-11-06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低空作业可移动小平台
CN111910972A (zh) * 2020-09-08 2020-11-10 河南省水利勘测设计研究有限公司 用于电动葫芦的折叠式检修平台
KR102362409B1 (ko) 2020-10-08 2022-02-15 (주)코스텍 천정 무대장치 설치작업용 발판유닛
KR20220145528A (ko) 2021-04-22 2022-10-31 이응창 올 덕트 지그
CN113833245B (zh) * 2021-09-13 2023-02-07 烟建集团第七建筑安装有限公司 一种方便提升物料的建筑施工平台
CN114991447B (zh) * 2022-06-23 2024-05-17 中建三局建筑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用于高空作业的智能平台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4381Y2 (ja) * 1991-01-18 1997-08-20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の操向機構
KR100714730B1 (ko) * 2005-12-03 2007-05-14 김종건 고소작업차의 다중 안전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4381Y2 (ja) * 1991-01-18 1997-08-20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の操向機構
KR100714730B1 (ko) * 2005-12-03 2007-05-14 김종건 고소작업차의 다중 안전제어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793A (ko) 2016-11-01 2016-11-21 한국렌탈주식회사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
KR20190043798A (ko) *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클린룸용 시스템 실링 설치 시스템
KR101982232B1 (ko) * 2017-10-19 2019-05-24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클린룸용 시스템 실링 설치 시스템
CN109024296A (zh) * 2018-08-26 2018-12-18 时光 一种安全稳定的桥梁施工用工作平台的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874A (ko)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671B1 (ko) 고소 작업대
JP5828831B2 (ja) 接近用装置
CN110194405A (zh) 电梯轿厢和包括电梯轿厢的电梯系统
AU2016349938B2 (en) Loading platform
US9109394B2 (en) Adjustable ladder support mechanism
JP2008527222A (ja) 建築物の建築に使用される装置
KR100989822B1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101229670B1 (ko) 슬라이드 조립형 복층 작업대
AU2012226370B2 (en) Suspended scaffolding system
CA2834094C (en) Self-contained, portable and self-supporting scaffolding kit
JP3236717U (ja) 折り畳み歩行プラットフォームを有する移動クレーン
WO2016131839A1 (en) Collapsible elevated platforms
CN111439711A (zh) 一种室内装修用便携式升降机
WO2016151307A1 (en) Adjustable scaffold
US20160130115A1 (en) Retractable overhead access platform for machine room less elevator systems
CA2569329A1 (en) Combination loft ladder and lift
JP2010115758A (ja) 可搬式作業台装置
JP5686282B2 (ja) 足場装置
JP2008214983A (ja) 昇降式移動足場
CN111608568A (zh) 一种具有回转延伸对接平台的梯蹬自动调平的高空救援车
US20090071751A1 (en) Portable aerial platform
JP2009096626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昇降用踏み台装置
RU2193006C2 (ru) Устройство телескопической лестницы и перемещаемого по ней подвижного элемента для башенного подъемного крана
EP2378033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temporarily covering a hole in a floor
JP4030078B2 (ja) 折り畳み階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