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793A -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793A
KR20160132793A KR1020160144231A KR20160144231A KR20160132793A KR 20160132793 A KR20160132793 A KR 20160132793A KR 1020160144231 A KR1020160144231 A KR 1020160144231A KR 20160144231 A KR20160144231 A KR 20160144231A KR 20160132793 A KR20160132793 A KR 20160132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lifter
lifting
hydraulic device
ext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천
Original Assignee
한국렌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렌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렌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2793A/ko
Publication of KR20160132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용 리프터가 정지 또는 상승한 상태에서 확장 플랫폼이 확장된 상태에서는 플랫폼 전체가 하강, 또는 상승, 승강은 물론 리프터가 주행 작동이 제어되도록 하여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코자 하는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대차(2)상에 설치된 유압장치(3)에 의해 신축작동하는 유압실린더(4)와 연결설치된 시져암(5)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플랫폼(6), 상기 플랫폼(6)을 구성하는 메인 플랫폼(7)에서 슬라이드 인출 및 인입되는 확장 플랫폼(8)으로 이루어지는 고소작업용 리프터(1)의 작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랫폼(7)에 설치되어 확장 플랫폼(8)의 인출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9)의 감지작동에 따라 유압장치(3)에 신호가 인가되어 확장 플랫폼(8)이 인출 시에는 플랫폼(6)이 하강 또는 상승, 승강 작동을 행할 수 없도록 하고, 또한 리프터(1)의 주행 작동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없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Operation control method of high working position lifter}
본 발명은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고소(高所) 작업용 리프터(lifter)가 정지 또는 상승한 상태에서 확장 플랫폼(expanded platform)이 확장되면 플랫폼 전체가 하강, 또는 상승, 승강은 물론 리프터가 주행 작동이 제어되도록 하여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코자 하는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고소에 작업을 행하고자 할 시에 사용하는 고소작업용 리프터는 전기 배터리의 전원 또는 유압 등에 의해 정역 구동하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대차가 주행이 가능하고, 대차 상부에 시져암으로 연결설치된 플랫폼은 유압장치와 연결된 유압실린더의 신축작동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고소작업용 리프터는 작업자가 메인 플랫폼에 탑승하고,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주행 및 작업위치의 하부에 도착하면 플랫폼을 상승시켜 원하는 높이에 이르면 작업을 행하게 되며, 작업 중 메인 플랫폼에서 슬라이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확장 플랫폼을 슬라이드 인출시켜 동일한 높이에서 인접한 부위로 작업 영역을 확장시켜 작업도 동시에 진행하게 된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고소작업용 리프터 안전사고는 주로 플랫폼이 상승한 상태에서 리프터를 주행하다가 상부의 기둥이나 보 등의 장애물에 플랫폼 등이 추돌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 플랫폼 상승시 상부 장애물을 미처 발견하지 못한 상태에서 플랫폼을 계속 상승시켜 발생하는 협착 사고, 플랫폼 상승 후 확장 플랫폼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하강하다가 하부 장애물에 확장 플랫폼이 충돌하여 발생하는 전복 및 작업자 안전사고 등이 대표적인 사고의 사례들이다.
물론, 플랫폼이 상승시 발생하는 협착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플랫폼 상부에 감지수단을 설치하여 상부 장애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플랫폼의 상승을 중지시키는 작동제어수단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설치 사용되고 있으나, 플랫폼이 하강시 발생하는 사고, 플랫폼이 확장된 상태에서 주행 중 발생하는 사고 등에는 별도의 제어수단이 부재하여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작업 현장에서 감독관이 작업자에게 각별히 주의를 시키고 있으나, 그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KR 등록특허 10-1021671 KR 등록특허 10-1036659 KR 등록특허 10-0834405 KR 등록실용 20-0355350
이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은 플랫폼이 상승 또는 하강한 상태에서 확장 플랫폼을 인출한 상태로 플랫폼 전체를 하강, 또는 상승, 승강, 주행이 불가토록 하여 고소작업용 리프터에 작업자가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대차에 설치된 유압장치에 의해 신축작동하는 유압실린더와 연결설치된 시져암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플랫폼, 상기 플랫폼을 구성하는 메인 플랫폼에서 좌우 중 어느 일측, 또는 좌우 양측으로 슬라이드 인출 및 인입되는 확장 플랫폼으로 이루어지는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랫폼에 설치되어 확장 플랫폼의 인출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의 감지작동에 따라 유압장치(또는 전기모터 등)에 신호가 인가되어 확장 플랫폼이 인출 시에는 플랫폼이 하강 또는 상승, 승강 작동을 행할 수 없도록 하고,
또한,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작동에 따라 대차에 설치되는 주행용 정역 모터, 또는 제어밸브에 신호가 인가되어 확장 플랫폼이 인출 시에는 리프터의 주행 작동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은 플랫폼의 확장 플랫폼을 슬라이드 인출 시에는 이를 감지수단이 감지하여 하강, 상승, 승강, 주행과 같은 다양한 선택에 따라 플랫폼을 승강작동 시키기 위한 유압장치와 리프터를 주행하기 위한 모터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플랫폼 승강 주행시 장애물에 의한 안전사고와 주행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리프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장치의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은 플랫폼이 정지 또는 상승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확장 플랫폼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플랫폼 전체를 하강, 또는 상승할 수 없도록 제어함은 물론, 상하 특정 방향으로 승강과 더불어 리프터 전체의 주행 역시 불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플랫폼에는 확장 플랫폼이 확장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리미트스위치, 근접센서와 같은 알려진 다양한 감지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감지수단이 확장 플랫폼이 확장된 것을 감지한 상태에서는 플랫폼 승강작동을 위한 유압장치 등이 작동이 불가토록 제어하며, 또한 대차의 주행을 위한 정역 모터 역시 작동이 불가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리프터(1) 전체를 보인 정면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소작업용 리프터(1)는 하부에 배터리 전원에 정역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전기 또는 유압 모터(M)에 의해 주행이 가능한 대차(2)와, 상기 대차(2) 내부에 설치된 유압장치(3)-또는 전기모터 등, 이하 동일-에 의해 신축작동이 가능한 유압실린더(4)와 연결된 시져암(scissor arm; 5), 그리고 상기 시져암(5) 상부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플랫폼(6)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플랫폼(6)은 메인 플랫폼(7)과, 상기 메인 플랫폼(7)에서 좌우 중 한쪽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드 인출 및 인입 및 가능하거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좌우를 선택하여 슬라이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확장 플랫폼(8)으로 구성된다. 도시한 예는 확장 플랫폼(8)이 도면상 우측에 하나만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확장 플랫폼(8)이 인출되었을 시에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9)을 구비하여 리프터(1)를 승강작동시키는 유압장치(3)를 작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감지수단(9)이 확장 플랫폼(8)의 인출을 감지하면 작업자가 유압장치(3)를 작동시켜 플랫폼(6)의 하강 작동을 실행하더라도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플랫폼(6)의 상승 작동을 못하도록 하거나, 또는 플랫폼(6)의 하강은 물론 상승 작동도 못하도록 하거나, 또는 리프터(1)의 주행 작동을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플랫폼(6)의 하강, 상승, 승강, 리프터(1)의 주행은 리프터(1)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으며, 전체적으로 작동 제어가 되도록 할 수도 있고, 하나만 특정하여 설치,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감지수단(9)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리미트스위치, 근접센서 등 다양한 감지수단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즉, 상기한 고소작업용 리프터(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확장 플랫폼(8)이 메인 플랫폼(7)에서 슬라이드 인출되었을 시에 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9)과 연동하여 유압장치(3) 및 모터(M)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 제어할 수 있는 선택스위치(10)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스위치(10)의 버턴 선택에 따라 하강, 상승, 승강, 주행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리프터(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선택스위치(10)의 메뉴 중 하강, 상승, 승강은 시져암(5)을 승강작동시키는 유압장치(3)의 작동을 선택 제어하기 위한 버턴이고, 주행은 모터(M)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버턴이다.
한편, 본 발명은 확장 플랫폼(8)이 확장 인출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플랫폼(6)의 하강, 상승, 또는 리프터(1)를 주행하는 작동 스위치를 ON 시켰을 경우 이를 작업장 내에 안전요원 및 다른 작업자에게 청각, 시각적으로 고지하여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적극 대처할 수 있도록 경보용 부져(buzzer), 경보용 램프(lamp) 등을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에 따른 작동 제어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우선 리프터(1)에 하강, 상승, 승강, 주행과 같은 4가지의 기능 모두를 제어할 수 있도록 장치를 설치한 경우이다.
작업자가 선택스위치(10)의 '하강' 버턴을 선택한 후 리프터(1)를 사용할 경우 작업자가 플랫폼(6)에 탑승하여 유압장치(3)의 작동에 의해 유압실린더(4)가 신장 작동하여 시져암(5)으로 연결된 플랫폼(6)이 원하는 작업 위치까지 상승한 후 작업자가 작업을 하다가 동일한 높이에서 작업 영역을 확장키 위해 확장 플랫폼(8)을 인출시키면 감지수단(9)이 이를 감지하게 되며, 작업자가 작업 후 플랫폼(6)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조이스틱을 조작하더라도 감지수단(9)이 확장 플랫폼(8)이 확장된 것을 감지하여 제어반에서 유압장치(3)로 신호를 인가시켜 유압장치(3)는 작동을 하지 않게 된다.
작업 중 대부분의 작업자는 고소에서 행하는 특정 작업에 신경을 집중하게 되므로 플랫폼(6)이 상승 중에는 장애물이 없어서 상승을 하였고, 확장 플랫폼(8)을 인출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하다가 작업이 완료되면 바로 플랫폼(6)을 하강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플랫폼(6)이 상승 중에는 확장 플랫폼(8)이 인출되지 않은 상태라 상승작동 중 장애가 되지 않았으나, 확장 플랫폼(8)이 인출된 상태에서 하강 중에는 장애가 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이를 사전에 선택스위치(10)로 '하강'을 선택 할 경우 작업자가 작업에 몰입하여 잊고 있던 하강시 장애물로 인한 플랫폼(6)과 장애물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작업자가 확장 플랫폼(8)을 인입시키면 감지수단(9)이 이를 감지하여 제어반에서 유압장치(3)로 신호를 인가시켜 하강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선택스위치(10)의 '상승' 버턴을 선택할 경우에는 확장 플랫폼(8)이 확장된 상태에서는 상승작동시 유압장치(3)가 작동 제어되어 상승 중 장애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선택스위치(10)의 '승강' 버턴을 선택하게 되면 하강 및 상승 작동 모두 확장 플랫폼(8)이 확장된 상태에서는 감지수단(9)이 이를 감지하여 유압장치(3)의 작동을 전기와 같이 제어하게 되며,
선택스위치(10)의 '주행' 버턴을 선택할 경우 리프터(1)를 주행시키는 정역 모터(M) 등의 작동을 제어하여 리프터(1)가 주행하지 못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소작업용 리프트의 제어방법은 전기와 같이 리프터(1)에 4가지 기능을 모두 선택, 수행토록 할 수 있음은 물론, 1가지 이상의 기능만 수행토록 장치를 설치,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은 플랫폼(6)의 확장 플랫폼(8)을 슬라이드 인출 시에는 이를 감지수단(9)이 감지하여 하강, 상승, 승강, 주행과 같은 다양한 선택을 하는 선택스위치(10)의 선택 등에 따라 유압장치(3), 모터(M)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플랫폼(6)이 정지, 또는 승강시 장애물에 의한 안전사고와 주행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 리프터 2: 대차 3: 유압장치 4: 유압실린더 5: 시져암 6: 플랫폼 7: 메인 플랫폼 8: 확장 플랫폼 9: 감지수단 10: 선택스위치 M: 모터

Claims (4)

  1. 대차(2)상에 설치된 유압장치(3)에 의해 신축작동하는 유압실린더(4)와 연결설치된 시져암(5)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플랫폼(6), 상기 플랫폼(6)을 구성하는 메인 플랫폼(7)에서 슬라이드 인출 및 인입되는 확장 플랫폼(8)으로 이루어지는 고소작업용 리프터(1)의 작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랫폼(7)에 설치되어 확장 플랫폼(8)의 인출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9)의 감지작동에 따라 유압장치(3)에 신호가 인가되어 확장 플랫폼(8)이 인출 시에는 플랫폼(6)이 하강 작동을 행할 수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
  2. 대차(2)상에 설치된 유압장치(3)에 의해 신축작동하는 유압실린더(4)와 연결설치된 시져암(5)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플랫폼(6), 상기 플랫폼(6)을 구성하는 메인 플랫폼(7)에서 슬라이드 인출 및 인입되는 확장 플랫폼(8)으로 이루어지는 고소작업용 리프터(1)의 작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랫폼(7)에 설치되어 확장 플랫폼(8)의 인출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9)의 감지작동에 따라 유압장치(3)에 신호가 인가되어 확장 플랫폼(8)이 인출 시에는 플랫폼(6)이 상승 작동을 행할 수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
  3. 대차(2)상에 설치된 유압장치(3)에 의해 신축작동하는 유압실린더(4)와 연결설치된 시져암(5)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플랫폼(6), 상기 플랫폼(6)을 구성하는 메인 플랫폼(7)에서 슬라이드 인출 및 인입되는 확장 플랫폼(8)으로 이루어지는 고소작업용 리프터(1)의 작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랫폼(7)에 설치되어 확장 플랫폼(8)의 인출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9)의 감지작동에 따라 유압장치(3)에 신호가 인가되어 확장 플랫폼(8)이 인출 시에는 플랫폼(6)이 승강 작동을 행할 수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
  4. 대차(2)상에 설치된 유압장치(3)에 의해 신축작동하는 유압실린더(4)와 연결설치된 시져암(5)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플랫폼(6), 상기 플랫폼(6)을 구성하는 메인 플랫폼(7)에서 슬라이드 인출 및 인입되는 확장 플랫폼(8)으로 이루어지는 고소작업용 리프터(1)의 작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랫폼(7)에 설치되어 확장 플랫폼(8)의 인출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9)의 감지작동에 따라 모터(M)에 신호가 인가되어 확장 플랫폼(8)이 인출 시에는 리프터(1)가 주행 작동을 행할 수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
KR1020160144231A 2016-11-01 2016-11-01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 KR20160132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231A KR20160132793A (ko) 2016-11-01 2016-11-01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231A KR20160132793A (ko) 2016-11-01 2016-11-01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793A true KR20160132793A (ko) 2016-11-21

Family

ID=5753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231A KR20160132793A (ko) 2016-11-01 2016-11-01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27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190B1 (ko) * 2022-11-28 2023-12-11 주식회사 나우로보틱스 재킹 타입 및 피킹 타입 호환 로봇용 적재유닛과 물류로봇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350Y1 (ko) 2004-04-06 2004-07-06 명 신 이 고소작업차
KR100834405B1 (ko) 2008-03-03 2008-06-04 아주렌탈 주식회사 고소작업대용 안전기구
KR101021671B1 (ko) 2008-09-30 2011-03-17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고소 작업대
KR101036659B1 (ko) 2008-10-23 2011-05-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소작업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350Y1 (ko) 2004-04-06 2004-07-06 명 신 이 고소작업차
KR100834405B1 (ko) 2008-03-03 2008-06-04 아주렌탈 주식회사 고소작업대용 안전기구
KR101021671B1 (ko) 2008-09-30 2011-03-17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고소 작업대
KR101036659B1 (ko) 2008-10-23 2011-05-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소작업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190B1 (ko) * 2022-11-28 2023-12-11 주식회사 나우로보틱스 재킹 타입 및 피킹 타입 호환 로봇용 적재유닛과 물류로봇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2213B2 (en) Lift truck with optical load sensing structure
CN113227501B (zh) 对地面铣刨机的侧板进行高度调节的方法及地面铣刨机
KR20080039329A (ko) 고소작업차
US10875456B2 (en) Cab guard with adjustable railing system for aerial device
EP3266735B1 (en) Limit switch system
KR20160132793A (ko)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
KR20070047071A (ko) 안전장치가 설치된 고소 작업대
CN112551282B (zh) 控制电梯系统的电梯轿厢的移动
CN109850710B (zh) 电梯的厅门安全装置、电梯的厅门安全装置的驱动方法以及电梯
US10859206B2 (en)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and procedure for the operation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JP2006265911A (ja) 単純昇降式駐車装置
KR101715330B1 (ko) 엘리베이터의 피트 전용 수동 운전리모컨
KR102205520B1 (ko) 끼임사고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KR20090062779A (ko) 고소작업대의 협착 방지장치
EP3752442B1 (en) Elevator install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4195057A (zh) 用于作业平台的防碰撞系统及作业平台
JP4255687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CN112357854A (zh) 一种起升控制装置、高空作业平台及起升控制方法
JP2003040596A (ja) オーダーピッキング車
KR20130032673A (ko)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
JP6778668B2 (ja) 昇降設備
KR100327945B1 (ko) 건설현장용 리프트 시스템
JP2002020095A (ja) 高所作業装置
KR200299793Y1 (ko) 자동차용 리프트
JPH0728199U (ja) 高所作業装置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